KR20120046948A -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6948A KR20120046948A KR1020100108516A KR20100108516A KR20120046948A KR 20120046948 A KR20120046948 A KR 20120046948A KR 1020100108516 A KR1020100108516 A KR 1020100108516A KR 20100108516 A KR20100108516 A KR 20100108516A KR 20120046948 A KR20120046948 A KR 201200469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mold
- core member
- mold
- cam
- b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with programme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바 소재의 절곡 각도 셋팅 작업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정밀도가 높으며, 중량물인 부스바 소재를 작업자가 직접 핸드링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부스바 절곡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부스바 소재를 절곡 가공하기 위한 고정금형과 선단에 벤딩용 요홈을 가진 가동금형,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을 고정금형에 대해 왕복 이동 작동시키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스바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이 전진 작동하여 부스바 소재에 도달하여 최초 밀착접촉이 발생한 시점부터 시작하여 가동금형의 전진 직선 이동을 직선 이동량에 비례한 회전 운동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벤딩용 요홈을 가진 가동금형의 양측으로 돌출한 선단부위에 장착되는 회전운동 변환수단과; 상기 회전운동 변환수단에 의한 회전 운동을 다시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가동금형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직선운동 변환수단과; 상기 직선운동 변환수단에 의한 후진하는 직선 이동을 회전량으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엔코더와; 소재의 원하는 절곡 각도를 수치 입력 방식으로 설정하며, 입력된 절곡 각도만큼 상기 가동금형이 전진하는 거리를 피드백에 의해 상기 엔코더를 통해 검출하여 유압실린더의 작동방향을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배전반이나 분전반 등에 사용되는 부스바(Bus bar)를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스바의 벤딩(절곡) 가공에 있어 부스바의 절곡 각도를 자동으로 셋팅하여 가공할 수 있는 부스바 절곡가공장치의 절곡각도 설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금형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나 분전반, 제어반 등에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 동판이나 알루미늄 등의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진 부스바(Bus bar)라 불리우는 접속편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부스바는 배전반 등의 설계에 따라 장착 및 다른 부재와의 연결을 위하여 커팅 또는 벤딩되거나 복수의 체결공이 펀칭되는 등의 여러 가공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스바의 가공 작업을 위해 일종의 프레스 장치인 부스바 가공장치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스바 가공장치는 대체로 내부에 구동장치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벤딩기, 커터, 펀칭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벤딩기, 커터, 펀칭기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레스에 각각의 목적에 적합한 가공수단을 장착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유압펌프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선행 기술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선 등록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091984호 및 동 실용신안등록 제 20-357890호 등의 예를 들 수 있는 데, 이는 장치 본체의 가장자리에 천공유닛, 벤딩유닛, 절단유닛 등이 형성되고, 장치 본체의 전면부에 유압모터를 구비하고 있는 콘트롤부를 갖추고 있어서 사용자가 콘트롤부를 조작함에 따라 그 내부에 구비된 유압모터가 구동하여 각각의 유닛으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므로써 각각의 유닛이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복수 종류의 작업수단 중 벤딩유닛은 부스바를 일정각도 절곡시키는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수직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금형이 하강하면서 하부금형과 협력하여 부스바를 일정각도 절곡시키게 되며, 이러한 벤딩유닛에 있어서는 상부금형이 하강하는 거리만큼 부스바의 절곡각도가 결정되게 되므로 부스바의 절곡각도 만큼 상부금형의 하강거리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또한 부스바 소재가 두껍고 긴 중량물이어서 주변의 작업 공간이 요구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 위험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부스바 소재(6)를 두 개의 절곡점(6a,6b)을 가지도록 이단 절곡 가공해야 하는 상황도 흔하게 발생하는데, 유압실린더가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는 상기한 종래의 벤딩기 구조에 의하면 도11에서처럼 소재(6)가 작업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형태로 작업시 작업장 바닥면(40)의 간섭으로 소재(6)의 길이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또 상부금형(41)이 하부금형(42)를 향해 하강하여 절곡시에 소재(6) 하단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되어 소재(6) 하단부가 상승하면서 작업자의 신체에 타격을 가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성이 있고, 반대로 절곡 작업 후 상부금형(41)이 상승시엔 부스바 소재(6)의 무게 중심으로 인해 부스바 소재가 낙하하는 회전 모우먼트 작용에 의해 부스바 소재가 낙하하는 것 때문에 작업자가 다칠 수 있으며, 또 통상 전류의 저항 손실이 작은 구리 재질로 부스바 소재(6)를 형성하기 때문에 길게 돌출되어 허공에 노출된 소재를 안전을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준 상태에서 절곡 작업하게 될 때 중량물인 동소재의 부스바 소재(6)를 핸들링하는 데 있어 힘이 많이 드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회피하고자 도12에 도시하는 것처럼 부스바 소재(6)를 반대 방향으로 위치시켜 작업하는 방안은 부스바 소재(6)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가 소재를 잡아줄 수 없어 위험성이 크고 전혀 소재의 콘트롤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이는 유압실린더가 수직으로 구동하도록 설치하는 데 따라 수반되는 회피할 수 없는 문제점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대체로 배전반이나 분전반, 제어반 등이 설치되는 장소는 협소한 경우가 많은데 비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스바 가공장치는 내부에 유압펌프와 같은 구동장치가 마련되고 상부에 복수의 프레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장치가 무겁고 대형화되어 장치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배전반 등의 설치 장소에서 현장 상황에 맞게 즉시 절곡가공 및 성형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또 유압실린더가 수직으로 입설되는 장치의 특성상 하부금형을 고정금형으로하고, 상부금형이 하강 작동하는 가동금형이 될 수밖에 없는 데, 유압실린더를 작업대의 상부, 즉 상부금형의 상부로 높이 솟아오르도록 지지되게 설치하는 것은 장치의 외관이 보기 흉하고 덩치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통상 유압실린더를 하부금형 밑으로 설치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설치 방식의 경우 하부금형에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고정 설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출몰하게 되면 유압실린더가 상하로 움직여야 하며, 이에 연동하여 유압실린더의 지지구조물들도 함께 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상하 운동하여야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강성에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그 지지구조물이 하부금형을 지나 상부금형까지 연장되는 관계로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중량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부스바 가공장치를 통해 벤딩, 커팅, 펀칭 등의 가공 및 성형이 이루어진 부스바가 배전반 등에 장착됨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배전반 등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가공 및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경우에 따라 배전반 등을 설치하면서 현장 상황에 맞게 즉시 부스바의 가공 및 성형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접속이 필요한 많은 단자들의 설치 상황에 의해 부스바의 절곡 상태도 각기 다를 수밖에 없어 절곡 각도를 달리하는데 따라 가동금형(수직으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 방식에 있어 상부금형에 해당)의 하강거리를 조정, 즉 유압실린더가 작동 절환하는 하사점 위치를 수시로 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도13 및 도14는 상부금형(7)의 하강거리를 제어하는 종래의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부금형(7)이 상측에 고정된 측면지지대(7a) 일측에 상하 거리를 두고 고정대(8)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대(8)에 스크류(10)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가이드(9)를 회전가능하게 끼워 설치하며, 상기 수직가이드(9)에 일단이 나사 결합되어져서 상기 수직가이드(9)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상부센서 작동구(12)를 측면지지대(7a)에 상하로 이동이 가이드되게 형성하고, 수직가이드(9)의 도중에는 상부금형(7)의 상승시 하부센서(15)에 접촉되는 하부센서 작동구(13)를 고정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1)의 측벽면상에는 상기 상부센서 작동구(12)의 상하 움직임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지는 부스바의 절곡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16)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가이드(9)의 하측에는 수직가이드(9)를 회전시키기 위한 놉(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벤딩유닛 제어장치(하강거리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부스바의 목표 절곡각도를 설정하기 위해 놉(11)을 잡고 수직가이드(9)를 회전시켜 상부센서 작동구(12)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부센서 작동구(12)가 가리키는 눈금(16)의 숫자로서 설정되는 부스바의 목표 절곡각도를 확인하게 된다.
부스바의 목표 절곡각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도시된 스위치를 작동시켜 유압모터에서 공급된 유압이 유압실린더(6)로 공급되면, 유압실린더(6)의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상부금형(7)이 하강하면서 부스바를 절곡시키게 되고, 이때 상부센서 작동구(12)가 상부센서(14)에 접촉될 때 상부센서(14)에서 출력된 감지신호에 의해 유압실린더(6)로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이 절환되면서 피스톤이 상승하여 상부금형(7)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상승하게 되며, 상부금형(7)이 상승하는 도중 수직가이드(9)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센서 작동구(13)가 하부센서(15)에 접촉할때 유압실린더(6)가 정지하면서 상부금형(7)이 초기위치에 정지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유압실린더(6)의 수직 설치 구조상 피스톤로드가 고정되는 대신, 유압실린더(6)와 두개의 측면지지대(7a) 및 하부 지지대(7b)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지지대(7a)에 장착된 하강거리 조절장치 구성(8~12)이 하부금형을 고정지지하는 가이드장치(16)의 안내를 받아 모두 함께 상하로 왕복 운동하여야 하므로 장치의 전체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크기가 커지며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종래의 하강거리 조절장치는 스크류(10)를 구비하고 있는 수직가이(9)가 상부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해 유압실린더(6)의 하측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고 그 하단에 회전 조절용 놉(11)을 마련하고 있어(도13 참조), 놉(11)의 회전 조작 시 작업자가 몸을 심하게 구부려서 작동시켜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또 측정 눈금(16)이 작업대 보다 훨씬 낮은 위치라서 눈금의 확인이 불편하며 부스바 절곡각과의 연계성이 없어 절곡각을 변경시 변경된 절곡각을 가진 금형으로 교체해 주어야 할 뿐 아니라 상부금형이 하사점에 다다라 절곡이 완성되는 순간 부스바의 절곡 각도가 정확한지 현장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출원 제2010-20808호를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부스바 절곡가공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선출원 발명은 중량물인 부스바 소재를 작업자가 직접 핸드링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며, 소형이고 유압실린더의 장착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지지구조가 강건하여 원가가 절감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저감될 뿐 아니라 부스바의 절곡각도에 맞추어 가동금형의 행정거리의 조절 작업이 쉽고 정확하며, 또한 부스바 소재의 절곡 작업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절곡 작업에 방해되지 않고 미관을 해치는 일도 없을 뿐 아니라 장착 구조가 견고한 각도측정수단과 행정거리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수평 작동 방식의 부스바 절곡가공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방식의 새로운 발명은 매우 유용한 것이기는 하나, 행정거리 조절수단의 구조가 다소 복잡하며, 수동 방식으로서 부스바 각도를 셋팅시엔 먼저 시험편을 이용하여 유압실린더를 조금씩 단속적으로 작동 전진시켜 시험편의 절곡 각도를 작업대 바닥에 매설한 각도계를 통해 육안으로 대략 파악하여 설계각도에 도달하였을 때 행정거리 조절수단을 통해 비로소 각도 셋팅을 하게 되는 것이나, 이때 스크류부재와 전진검출블록 등을 각도 셋팅 시마다 여러 단계를 거쳐 조정하여야 함으로써 수동 작업의 특성상 셋팅 작업이 번거롭고 정밀도에 문제가 있으며, 특히 절곡각도가 같아도 소재의 두께가 달라지는 경우 행정거리가 변경됨에 따라 다시 복잡한 수동 조작을 통해 셋팅 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부스바 소재의 절곡 각도 셋팅 작업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데 사용하는 부스바 가공기의 절곡각도 설정장치에 있어 가동금형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회전운동 변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스바 소재를 절곡 가공하기 위한 고정금형과 선단에 벤딩용 요홈을 가진 가동금형,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을 고정금형에 대해 왕복 이동 작동시키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스바 가공기의 가동금형에 설치하여 상기 가동금형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회전운동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변환장치는 코어부재와 캠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가동금형의 양측 선단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상기 가동금형이 절곡가공될 소재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부터 전진되는 이송량에 비례하여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코어부재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 상에 볼트공을 형성하며, 상기 캠부재는 그의 외측으로 타원형 캠면이 구비되고 그의 고정단에 볼트공과 핀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공을 상기 코어부재 상단으로 회전중심축에 형성한 볼트공과 일치시켜 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캠부재를 상기 코어부재에 고정하며, 상기 핀공을 통해서는 핀을 상기 코어부재에 체결하여 상기 캠부재가 상기 코어부재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기재에 의하면 부스바 소재를 절곡 가공하기 위한 고정금형과 선단에 벤딩용 요홈을 가진 가동금형,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을 고정금형에 대해 왕복 이동 작동시키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스바 가공기의 가동금형에 설치하여 상기 가동금형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회전운동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변환장치는 코어부재와 캠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가동금형의 양측 선단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상기 가동금형이 절곡가공될 소재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부터 전진되는 이송량에 비례하여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코어부재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 상에 볼트공을 형성하되, 상기 볼트공은 상기 코어부재 상부로 돌출한 다각기둥돌기물의 중심에 형성하며, 상기 캠부재는 그의 외측으로 타원형 캠면이 구비되고 그의 고정단에 상기 다각기둥돌기물에 끼워지는 다각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캠부재의 다각구멍을 다각기둥돌기물에 끼워 장착한 후 볼트로 상기 볼트공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캠부재가 상기 코어부재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기재에 의하면 부스바 소재를 절곡 가공하기 위한 고정금형과 선단에 벤딩용 요홈을 가진 가동금형,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을 고정금형에 대해 왕복 이동 작동시키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스바 가공기의 가동금형에 설치하여 상기 가동금형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회전운동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변환장치는 코어부재와 캠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가동금형의 양측 선단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상기 가동금형이 절곡가공될 소재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부터 전진되는 이송량에 비례하여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코어부재 상부면에는 끼움홈을 형성하고, 그 끼움홈 내로 상기 회전중심축선 상에 볼트공을 형성하며, 상기 캠부재는 그의 외측으로 타원형 캠면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에 기밀하게 끼워지는 그의 고정단에는 상기 볼트공에 일치하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단을 상기 끼움홈에 끼워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캠부재가 상기 코어부재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기재에 의하면 부스바 소재를 절곡 가공하기 위한 고정금형과 선단에 벤딩용 요홈을 가진 가동금형,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을 고정금형에 대해 왕복 이동 작동시키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스바 가공기의 가동금형에 설치하여 상기 가동금형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회전운동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변환장치는 코어부재와 캠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가동금형의 양측 선단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상기 가동금형이 절곡가공될 소재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부터 전진되는 이송량에 비례하여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코어부재의 전면 상부면에는 단턱홈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상기 회전중심축선 상에 일치하는 볼트공을 형성하며, 상기 캠부재는 그의 외측으로 타원형 캠면이 구비되고 그의 고정단에는 상기 볼트공에 일치하는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단 끝에 하부로 돌출하는 하향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고정단의 하향 절곡부를 상기 단턱홈에 의해 지지되게 한 후 양측 볼트공을 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캠부재가 상기 코어부재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을 통해 원하는 부스바의 절곡각을 수치로 입력하고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면, 가동금형이 전진하는 중에 소재에 접촉하는 순간부터 회전운동 변환수단의 반달형 코어부재가 소재의 절곡각의 증가와 함께 회전을 하게 되며, 이 회전은 타원형 캠면을 가진 캠부재에 의해 직선운동 변환수단에 의해 등비례 직선운동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 직선운동을 엔코더에서 감지하여, 엔코더에서 검출된 회전량이 설정한 절곡각에 해당하는 순간 제어수단이 유압실린더를 절환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정확하면서도 간단하게 소재의 절곡각의 셋팅 및 절곡가공이 가능하며, 가동금형이 소재에 접촉하는 순간을 기점으로 작동이 일어나므로 소재 두께의 변화에도 상관없이 정확한 절곡각의 셋팅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 같이 본 발명은 캠부재의 타원형 캠면이 등비례 직선운동을 유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절곡각도 셋팅을 위한 수치제어 설계가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를 구비한 부스바 절곡가공장치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주요 부품인 제1캠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주요 부품인 제1캠부재의 타원형 캠면의 설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8(a) 내지 도8(d)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회전운동 변환장치에서 캠부재를 코어부재에 고정시키는 방법의 각기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소재의 절곡 작업이 진행되는 시간대 별로 나누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2단 절곡 가공된 부스바 소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11과 도12는 종래 부스바 절곡가공장치에 의한 부스바 소재의 2단 절곡 가공시 부스바 소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3 및 도14는 종래 수직 작동식 유압실린더하에서의 상부금형의 하강거리 조절장치의 구조 및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주요 부품인 제1캠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주요 부품인 제1캠부재의 타원형 캠면의 설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8(a) 내지 도8(d)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회전운동 변환장치에서 캠부재를 코어부재에 고정시키는 방법의 각기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설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소재의 절곡 작업이 진행되는 시간대 별로 나누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2단 절곡 가공된 부스바 소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11과 도12는 종래 부스바 절곡가공장치에 의한 부스바 소재의 2단 절곡 가공시 부스바 소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3 및 도14는 종래 수직 작동식 유압실린더하에서의 상부금형의 하강거리 조절장치의 구조 및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부스바 절곡가공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스바 절곡가공장치(51)는 하단에 4개의 바퀴(52)를 가진 소정의 작업 높이를 가진 작업대(5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작업대(53)의 상부에는 장치의 주요부가 장착되는 베이스부재(54)가 고정 설치되고, 이 베이스부재(54)의 양측에는 같은 평면을 가지는 작업판(55)이 설치되어 있어 작업대(53)의 상면은 부스바 소재(56)를 올려 놓고 지지하기에 충분한 넓은 평면적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부재(54)의 상면 후방에는 유압실린더(57)가 뉘어있는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그 유압실린더(57)로부터 출몰 작동하는 피스톤로드(이 피스톤 로드는 도면에서는 보호카바 58 내에 수용되어 있어 보호카바에 의해 가려져서 보이지 않고 있다)는 수평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며, 그 피스톤로드의 선단에는 가동금형(59)이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그 가동금형(59)이 유압실린더(57)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54) 표면상에서 고정금형(90)에 대해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금형(59)의 선단에는 상하로 트인 벤딩용 요홈(60)이 형성되어 가동금형(59)의 평면 형상은 정면이 움푹 파인 ㄷ자 또는 V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가동금형(59)에는 본 발명의 요지로서 도2 내지 도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각도설정장치(61)를 구성하는 회전운동 변환수단(62)과 직선운동 변환수단(63) 및 엔코더(64)를 포함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고, 추후 상세하게 설명되겠지만 소재(56)의 원하는 절곡 각도를 수치 입력 방식으로 설정하며, 입력된 절곡 각도만큼 상기 가동금형(59)이 전진하는 거리를 피드백에 의해 상기 엔코더(64)를 통해 검출하여 유압실린더(57)의 작동방향을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65)이 유압실린더(57)의 후방으로 베이스부재(54) 상에 회전 지지점을 두고 작업대(53)의 상부로 높이 돌출하게 설치되어 있는 데, 상기 회전운동 변환수단(62,이하 명세서에서 사용한 회전운동 변환수단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한 회전운동 변환장치를 의미한다))은 상기 가동금형(59)이 전진 작동하여 부스바 소재(56)에 도달하여 최초 면접촉이 발생한 시점부터 시작하여 가동금형(59)의 전진 직선 이동을 직선 이동량에 비례한 회전 운동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벤딩용 요홈(60)을 가진 가동금형(59)의 양측으로 돌출한 선단부위(72) 및 그의 상부로 장착되며, 상기 직선운동 변환수단(63)은 상기 회전운동 변환수단(62)에 의한 회전 운동을 다시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가동금형(59)의 상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엔코더(64)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수단(63)과 연동하여 상기 직선운동 변환수단에 의한 후진하는 직선 이동을 회전량으로 변환하여 검출하도록 그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한 회전운동 변환수단(62)은 본 발명의 청구 요지 구성으로서 도8a 및 도9에 도시하는 것 같이 가공될 소재(56)와 마주 대향하여 소재(56)에 접근 시 그의 평면에 밀착하는 평면부(66)와, 그 평면부(66)의 배면을 형성하는 원호부(67)를 가진 반달형 코어부재(68)와, 상기 코어부재(68)의 회전중심축(69)에 고정되게 코어부재(68)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부재(68)가 상기 회전중심축(69)을 기점으로 회전운동 시 함께 회전운동하며, 외측으로 타원형 캠면(70)을 가진 제1캠부재(7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재(68)는 상하로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상기 가동금형(59)의 양측 선단부(72)에 각기 수직으로 기립되게 설치하되 상기 양측 선단부(72)에 형성한 호형가이드면(73)에 동일 곡률을 가진 상기 원호부(67)가 밀착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평면부(66)가 상기 소재(56)에 면접촉하여 전진 이동 시 상기 코어부재(68)가 상기 회전중심축(69)을 기점으로 상기 호형가이드면(73)의 안내를 따라 슬라이드 회전 운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캠부재(71)는 그의 고정단(71a)에 회전 중심축(69) 선상에 일치하게 볼트공(74)을 형성하여, 그 볼트공(74)을 코어부재(68) 상면에 회전 중심축(69) 선상에 일치하게 형성한 볼트공(75)을 일치시켜 볼트(76)로 체결하여 고정하며, 또 회전 중심축(69)을 기점으로 회전 모우먼트를 받게 되는 제1캠부재(71)가 회동작동 중 과도한 힘이 작용하여 유격(여기서의 의미는 고정된 상태에서 틀어져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토록 볼트공(74)(75) 외에 핀공(77)(78)을 추가 형성하고 핀(79)으로 체결하여 제1캠부재(71)가 작동 중 외력에 의한 회전 모우먼트를 받아도 상기 코어부재(68)로부터 움직이지 않도록 보강하여 마치 단일 몸체를 형성하듯이 고정하고 있다.
도8(b)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변환수단(61a)의 다른 실시예 구성으로서, 코어부재(68)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69) 상에 볼트공(75)을 형성하되, 상기 볼트공(75)은 상기 코어부재(68) 상부면보다 조금 높게 상부로 돌출한(정확하게는 제1캠부재의 두께 높이만큼 돌출함) 다각기둥돌기물(91),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4각기둥돌기물의 중심에 형성하며, 그의 외측으로 타원형 캠면(70)이 구비되는 상기 캠부재(71)는 그의 고정단(71a)에 상기 다각기둥돌기물(91)에 기밀하게 끼워지는 다각구멍(92)을 형성하여 상기 제1캠부재(71)의 다각구멍(92)을 다각기둥돌기물(91)에 끼워 장착한 후 볼트(76)로 상기 볼트공(75)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캠부재(71)가 상기 코어부재(68)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8(c)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변환수단(61b)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으로서, 코어부재(68)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69) 상에 볼트공(75)을 형성하되, 상기 볼트공(75)은 상기 코어부재(68) 상부면보다 조금 낮게 하부로 오목하게 파여진(정확하게는 제1캠부재의 두께 높이 만큼 파여짐) 끼움홈(93)에 위치하게 형성되며, 이 끼움홈(93)에 제1캠부재(71)의 고정단(71a)을 끼워 붙여 양측 볼트공(74)(75)을 볼트(76)로 체결하면 상기 제1캠부재(71)가 상기 코어부재(68)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8(d)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변환수단(61c)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으로서, 코어부재(68)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69) 상에 볼트공(75)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부재(68)의 평면부(66)에 접하는 상단으로 상부면보다 조금 낮게 하부로 오목하게 파여진(정확하게는 제1캠부재의 두께의 폭과 높이 만큼 파여짐) 단턱홈(94)을 형성하며, 상기 제1캠부재(71)의 고정단(71a)의 단부를 하향 방향으로 절곡하여 ㄱ 자 형상을 이루는 하향절곡부(95)를 형성하여 상기 하향 절곡부(95)를 상기 단턱홈(94)에 계합되게 한 후, 양측 볼트공(74)(75)을 볼트(76)로 체결하면 상기 제1캠부재(71)가 작동 중에 큰 모우먼트를 받게 되더라도 상기 코어부재(68)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운동 변환수단(63)은 상기 제1캠부재(71)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후방을 향한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제2캠부재(80)와, 상기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제2캠부재(80)를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밀착시켜 복수개의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시켜주도록 가로질러 설치되는 캠블럭(81)과, 그 캠블럭(81)의 중앙부에 선단이 핀(82)에 의해 고정 접속되어 후방으로 연장하는 이동거리 측정용 래크기어(83)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캠부재(71)의 바깥측으로 벌어지는 회전 운동은 상기 래크기어(83)의 후진하는 직선운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 제2캠부재(80)는 상기 제1캠부재(71)의 타원형 캠면(70)과 한 지점을 통해 점접촉하게 되는 경사캠면(84)을 가지고 있어, 제1캠부재(71)의 회전 각에 비례하여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어 있다.
상기 엔코더(64)는 상기 래크기어(83)와 맞물려 래크기어(83)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피니언기어(8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동금형(59)이 소재(56)와 면접촉하는 순간부터의 직선 이송량이 상기 각도설정장치(61)를 통해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그리고 다시 회전 운동이 직선운동으로, 그 직선운동이 엔코더(64)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는 일련의 피드백 과정을 거쳐 소재(56)의 셋팅된 절곡각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며, 절곡 공정을 완료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및 가동금형이 후퇴하면 상기 각도설정장치(61)는 앞서와 반대 과정의 움직임을 통해 원상으로 복귀하게 되는 데, 이 복귀 수단으로는 코어부재(68)의 회전중심축(69)의 바깥으로 고정지지점을 두는 인장스프링에 의한 탄성복귀수단(86)이 사용되며, 이 탄성복귀수단(86)은 가동금형(59)의 양측 벽의 상하에 형성한 설치요홈(87) 내에 수용되게 설치하여, 기동금형(59)이 전진하여 코어부재(68)가 회전하게 될 때에는 인장스프링(86)이 늘어나면서 탄성력을 축척하였다가 가동금형(59)이 후퇴할 때에는 코어부재(68)를 잡아당겨 원상 복귀하게 되며, 완전히 원상복귀되면 양측의 평면부(66)가 일직선상에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캠부재(71)의 캠면(70)을 곡률반경이 일정한 원호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타원형으로 설계하는 이유는 원형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질 때 균일한 각도로 회전하여도 그에 따른 직선운동의 값이 도7의 (a)처럼 동일각, 예를 들면 진원을 갖는 원의 회전반경의 궤적을 따라 5°씩 분할하였을 때, 5°씩의 회전각이 위치에 따라 나타나는 직선 이송량은 각기 다르므로 이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수치제어 설계상의 난점을 가지고 있게 되기 때문인 바, 이 때문에 도7의 (b)도와 같이 등각, 예를 들면 직각을 5°씩 분할하여 수평선 상의 기준점(이 기준점이 회전중심축이다)으로부터 방사선(T1 ~ T18)으로 선을 긋고, 타원의 시작점(S)을 설정하여 최초의 원호 C1의 길이를 5로 정하면(예를 든 것임) 제1캠부재(71)가 최초 상태에서 5°회전하면 직선 방향의 이송량은 5가 되는 것을 의미하는 데(각이 작으면 최초 원호 C1의 길이와 직선의 길이 값 5가 근사치로 거의 같다고 하여도 무방하다), 이 수치 5를 수직선 상에서 등간격으로 구획하고 각 간격 지점에서 수평선(H1 ~H18)을 그어 방사선(T1~T18)과 만나는 교차점(P1~P18)들, 예를 들어 방사선 T7과 수평선 H7이 만나는 교차점 P7이 타원의 한 점이 되는 식으로 캠면(70)의 궤적을 설계하면 P1 부터 P18 까지의 교차점이 구해지며, 이들 교차점들을 곡선으로 부드럽게 이어가면 타원형 캠면(70)이 구해지는 것이다. 결국 제1캠부재(71)의 등각 회전에 대해 C1에서 C18로 갈수록 호의 길이는 증가하여도 제2캠부재(80)가 일직선으로 후퇴 이동하는 거리는 모두 같은 값을 가지게 되므로 각도 셋팅을 위한 수치 제어 설계상 극히 단순해지게 되는 것이며, 또한 분할각을 작게 세분화하면 그만큼 많은 교차점을 구할 수 있고 그만큼 정밀한 캠면이 구해지게 된다.
이하에 소재(56)의 절곡각 셋팅 작업을 도8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9 의 단계 ⑤에 도시한 것처럼 부스바 소재(56)를 90°(내각 기준이며, 외각 기준으로는 270)°로 절곡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제어수단(65)의 키보드(88)를 통해 90°를 입력하면 표시화면(89)에 입력한 수치가 나타나 정확한 각도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이 입력 각도가 설정되면 래크기어의 이송 허용량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 같이 하여 절곡각의 셋팅이 끝나면 소재(56)를 고정금형(90)의 후방으로 삽입하여 절곡점이 고정금형(90)의 선단날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 후 유압실린더(57)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가동금형(59)이 전진하게 된다. 그러나 가동금형(59)이 소재(56)에 못미친 상태에서는 각도설정장치(61)는 아무런 작동도 없는 상태이며, 가동금형의 코어부재(68)의 선단을 형성하는 양측 평면부(66)가 소재(56)에 도달하여 면접촉이 일어나는 순간부터 각도설정장치(61)가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최초 면접촉 상태에서 가동금형(59)이 전진하게 되면 소재(56)가 절곡되기 시작하며(도9의 ② 참조: 160°절곡 상태 참조), 이 상태에서 코어부재(71)는 강제적으로 소재(56)를 가압하기 때문에 소재(56)가 절곡되는 만큼 코어부재(71)도 회전하게 된다.
코어부재(71)가 회전하면 그와 고정된 제1캠부재(71)도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타원형 캠면(70)의 제2캠부재(80)의 경사캠면(84)과의 접촉점이 변경되면서 제2캠부재(80)가 후방으로 밀려나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제2캠부재(8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캠블록(81)을 통해 래크기어(83)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래크기어(83)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 기어(85)가 회전하며, 이 피니언 기어(85)의 회전량(회전각)을 엔코더(64)에서 검출하여 제어수단(65)에 그 정보가 입력된다.
이때 제어수단(65)은 기 설정된 절곡각 90°에 도달하였을 때에 대응되는 피니언 기어(85)의 회전량(이 회전량은 결국 래크기어(83)의 직선 이동량이다)과 실시간으로 입력된 절곡각 160°시의 회전량(또는 래크기어 이송량)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므로 아직 목표 각도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절곡 작업을 계속 진행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가동금형(59)이 계속 전진하여 도9의 ③과 ④처럼 소재(56)는 140°, 120°순으로 점차 목표 절곡각에 접근하게 되는 데, 이때 제1캠부재(71) 부재의 회전각이 커지게 되고 그에 비례하여 래크기어(83)의 후진 이동량도 증가하게 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도9의 ⑤ 처럼 소재(56)가 90°로 절곡되는 순간 엔코더(64)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은 제어수단(65)은 현재의 래크기어 이동량(피니언 기어 회전량)이 설정된 허용 이동량과 일치한다고 판단하여(도9의 ⑤를 보면 래크기어 83가 후진하여 엔코더 64 후방으로 돌출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유압실린더(57)를 절환 작동토록 제어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동금형(59)이 전진을 멈추고 후진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절곡하여야 할 각도를 수치로 입력하면 래크기어(83)의 후진 이송 허용량이 결정되고, 절곡 작업이 진행되면 피드백 과정을 통해 래크기어의 실시간 이송량을 검출하여 입력된 이송 허용량과 일치하는 경우 설정된 절곡각이 완성되었다고 판단하고 유압실린더를 절환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이때 본 발명의 제1캠부재(71)의 타원형 캠면(70)이 그의 회전운동을 제2캠부재(80)에 등비례 직선 이동을 유발하게 되며, 또 견고하게 코어부재(68)에 장착하여 유격이 없어지게 되므로 각도 셋팅의 신뢰성이 제고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수평 작동식 부스바 절곡가공장치의 회전운동 변환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평작동식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각도설정장치는 수직작동식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부스바 절곡가공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은 기술적으로 자명하다.
51:부스바 절곡가공장치 52:바퀴
53:작업대 54:베이스부재
55:작업판 56:부스바 소재
57:유압실린더 58:피스톤로드 보호카바
59:가동금형 60:벤딩용 요홈
61:각도설정장치 62:회전운동 변환수단
62a,62b,62c:회전운동 변환수단
63:직선운동 변환수단 64: 엔코더
65:제어수단 66:평면부
67:원호부 68:반달형 코어부재
69:회전 중심축 70:타원형 캠면
71:제1캠부재 71a:고정단
73:호형가이드면 74:볼트공
75:볼트공 76:볼트
77,78:핀공 79:핀
80:제2캠부재 81:캠블록
82:핀 83:래크기어
84:경사캠면 85:피니언 기어
86:탄성수단(인장스프링) 87: 스프링 설치홈
88:키보드 89:표시화면
90:고정금형 91:다각기둥돌기물
92:다각구멍 93:끼움홈
94:단턱홈 95:하향절곡부
53:작업대 54:베이스부재
55:작업판 56:부스바 소재
57:유압실린더 58:피스톤로드 보호카바
59:가동금형 60:벤딩용 요홈
61:각도설정장치 62:회전운동 변환수단
62a,62b,62c:회전운동 변환수단
63:직선운동 변환수단 64: 엔코더
65:제어수단 66:평면부
67:원호부 68:반달형 코어부재
69:회전 중심축 70:타원형 캠면
71:제1캠부재 71a:고정단
73:호형가이드면 74:볼트공
75:볼트공 76:볼트
77,78:핀공 79:핀
80:제2캠부재 81:캠블록
82:핀 83:래크기어
84:경사캠면 85:피니언 기어
86:탄성수단(인장스프링) 87: 스프링 설치홈
88:키보드 89:표시화면
90:고정금형 91:다각기둥돌기물
92:다각구멍 93:끼움홈
94:단턱홈 95:하향절곡부
Claims (4)
- 부스바 소재를 절곡 가공하기 위한 고정금형과 선단에 벤딩용 요홈을 가진 가동금형,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을 고정금형에 대해 왕복 이동 작동시키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스바 가공기의 가동금형에 설치하여 상기 가동금형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회전운동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변환장치는 코어부재와 캠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가동금형의 양측 선단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상기 가동금형이 절곡가공될 소재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부터 전진되는 이송량에 비례하여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코어부재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 상에 볼트공을 형성하며, 상기 캠부재는 그의 외측으로 타원형 캠면이 구비되고 그의 고정단에 볼트공과 핀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공을 상기 코어부재 상단으로 회전중심축에 형성한 볼트공과 일치시켜 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캠부재를 상기 코어부재에 고정하며, 상기 핀공을 통해서는 핀을 상기 코어부재에 체결하여 상기 캠부재가 상기 코어부재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 부스바 소재를 절곡 가공하기 위한 고정금형과 선단에 벤딩용 요홈을 가진 가동금형,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을 고정금형에 대해 왕복 이동 작동시키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스바 가공기의 가동금형에 설치하여 상기 가동금형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회전운동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변환장치는 코어부재와 캠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가동금형의 양측 선단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상기 가동금형이 절곡가공될 소재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부터 전진되는 이송량에 비례하여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코어부재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 상에 볼트공을 형성하되, 상기 볼트공은 상기 코어부재 상부로 돌출한 다각기둥돌기물의 중심에 형성하며, 상기 캠부재는 그의 외측으로 타원형 캠면이 구비되고 그의 고정단에 상기 다각기둥돌기물에 끼워지는 다각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캠부재의 다각구멍을 다각기둥돌기물에 끼워 장착한 후 볼트로 상기 볼트공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캠부재가 상기 코어부재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 부스바 소재를 절곡 가공하기 위한 고정금형과 선단에 벤딩용 요홈을 가진 가동금형,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을 고정금형에 대해 왕복 이동 작동시키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스바 가공기의 가동금형에 설치하여 상기 가동금형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회전운동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변환장치는 코어부재와 캠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가동금형의 양측 선단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상기 가동금형이 절곡가공될 소재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부터 전진되는 이송량에 비례하여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코어부재 상부면에는 끼움홈을 형성하고, 그 끼움홈 내로 상기 회전중심축선 상에 볼트공을 형성하며, 상기 캠부재는 그의 외측으로 타원형 캠면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에 기밀하게 끼워지는 그의 고정단에는 상기 볼트공에 일치하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단을 상기 끼움홈에 끼워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캠부재가 상기 코어부재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 부스바 소재를 절곡 가공하기 위한 고정금형과 선단에 벤딩용 요홈을 가진 가동금형,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을 고정금형에 대해 왕복 이동 작동시키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스바 가공기의 가동금형에 설치하여 상기 가동금형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회전운동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변환장치는 코어부재와 캠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가동금형의 양측 선단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상기 가동금형이 절곡가공될 소재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부터 전진되는 이송량에 비례하여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코어부재의 전면 상부면에는 단턱홈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상기 회전중심축선 상에 일치하는 볼트공을 형성하며, 상기 캠부재는 그의 외측으로 타원형 캠면이 구비되고 그의 고정단에는 상기 볼트공에 일치하는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단 끝에 하부로 돌출하는 하향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고정단의 하향 절곡부를 상기 단턱홈에 의해 지지되게 한 후 양측 볼트공을 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캠부재가 상기 코어부재로부터 유격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8516A KR101319513B1 (ko) | 2010-11-03 | 2010-11-03 |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8516A KR101319513B1 (ko) | 2010-11-03 | 2010-11-03 |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6948A true KR20120046948A (ko) | 2012-05-11 |
KR101319513B1 KR101319513B1 (ko) | 2013-10-21 |
Family
ID=4626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8516A KR101319513B1 (ko) | 2010-11-03 | 2010-11-03 |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951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59496A (zh) * | 2015-04-23 | 2015-07-08 | 刘冬明 | 一种母线弯排机及其弯曲方法 |
CN105583325A (zh) * | 2016-03-17 | 2016-05-18 |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 一种排线折弯机构 |
US10826260B2 (en) * | 2017-04-10 | 2020-11-03 | Gong Zhu | Power busbar connection tool |
KR102205544B1 (ko) * | 2019-10-10 | 2021-01-20 | 주식회사 에이젠코리아 | 텐션 지지 구조를 갖는 부스바 벤딩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296311B1 (it) * | 1997-05-23 | 1999-06-25 | Cml Costr Mecc Liri Srl | Centrinatrice modulare multifunzionale e sistema di posizionamento lineare per essa |
JP2002102934A (ja) * | 2000-09-28 | 2002-04-09 | Waitekku:Kk | 長尺部材の曲げ加工装置 |
-
2010
- 2010-11-03 KR KR1020100108516A patent/KR10131951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59496A (zh) * | 2015-04-23 | 2015-07-08 | 刘冬明 | 一种母线弯排机及其弯曲方法 |
CN105583325A (zh) * | 2016-03-17 | 2016-05-18 |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 一种排线折弯机构 |
CN105583325B (zh) * | 2016-03-17 | 2017-07-14 |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 一种排线折弯机构 |
US10826260B2 (en) * | 2017-04-10 | 2020-11-03 | Gong Zhu | Power busbar connection tool |
KR102205544B1 (ko) * | 2019-10-10 | 2021-01-20 | 주식회사 에이젠코리아 | 텐션 지지 구조를 갖는 부스바 벤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9513B1 (ko) | 2013-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9715B1 (ko) | 부스바 절곡가공장치 | |
KR101210493B1 (ko) | 부스바 절곡 유닛 | |
KR101319513B1 (ko) |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 |
KR100785455B1 (ko) | 휴대용 부스바 가공장치 | |
CN214053196U (zh) | 一种折弯机用定位装置 | |
KR20120046947A (ko) | 부스바 절곡가공장치 | |
KR101176783B1 (ko) | 수평 작동식 부스바 절곡가공장치 | |
CN111729964A (zh) | 用于智能门窗生产线的冲切设备及其使用方法 | |
KR101176782B1 (ko) | 유압실린더의 보호수단을 구비한 수평 작동식 부스바 절곡가공장치 | |
CN214309428U (zh) | 一种机器人伺服电缸功能验证系统 | |
CN214518971U (zh) | 一种机外装夹夹具 | |
CN214984242U (zh) | 一种夹具盘及大幅面打标工作站 | |
CN213318573U (zh) | 焊接定位装置 | |
CN108429117A (zh) | 夹紧机构及剥线设备 | |
CN211437570U (zh) | 钣金折弯机 | |
CN211437867U (zh) | 一种基于电力线材折弯器 | |
KR101235026B1 (ko) |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회전식 보조아대장치 | |
KR200402851Y1 (ko) | 각도 조절 기능이 부가된 휴대용 부스바 가공장치 | |
CN219201117U (zh) | 一种钢绞线测试工装用顶升模拟结构 | |
KR200455610Y1 (ko) | 부스바 가공기의 상부금형 장착장치 | |
CN220075444U (zh) | 一种注塑件浇口高精度剪切工装设备 | |
CN219203714U (zh) | 一种打端机 | |
CN219357494U (zh) | 一种可连续折弯的折弯机架 | |
CN211247834U (zh) | 一种可调整弯折角度的折弯机 | |
CN219966563U (zh) | 龙门式液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108 Effective date: 201309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