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531B1 - 공구거치장치 - Google Patents

공구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531B1
KR101301531B1 KR1020120130182A KR20120130182A KR101301531B1 KR 101301531 B1 KR101301531 B1 KR 101301531B1 KR 1020120130182 A KR1020120130182 A KR 1020120130182A KR 20120130182 A KR20120130182 A KR 20120130182A KR 101301531 B1 KR101301531 B1 KR 10130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main unit
unit
installation unit
tool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부
Original Assignee
(주)록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록키 filed Critical (주)록키
Priority to KR102012013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2Clamp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25B5/101C-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대에 임의의 공구를 거치시키기 위해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구멍을 뚫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작업대를 클램핑하여 설치되는 메인유닛과; 일측은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공구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공구가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위치 또는 상기 공구가 상기 작업대의 하방 측에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위치로 상기 공구를 이동되어, 상기 공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공구설치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과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샤프트부를 포함하는 공구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메인유닛은, 상기 메인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유닛 몸체; 및 상기 메인유닛 몸체의 전방 상부 측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설치유닛은, 상기 공구설치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공구를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메인유닛 몸체를 감싸고 하측은 상기 메인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구설치유닛 몸체와; 상기 공구설치유닛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유닛 몸체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에 고정되어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위치 고정스크류와;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에 관통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위블링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고정샤프트;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샤프트를 회전시키켜 고정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고정핸들을 포함하여 상기 공구위치조정부가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거나 스위블링된 상태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공구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유닛 몸체는 상기 작업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메인유닛 몸체의 전방 하부 측에 배치되는 메인유닛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는 상기 메인유닛 연장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를 향하여 연장되는 공구설치유닛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샤프트부는 상기 메인유닛 연장부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구거치장치{APPARATUS FOR MOUNTING TOOL}
본 발명은 공구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대에 구멍을 뚫지 않고 작업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대에 대한 설치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고 높낮이가 조절가능 함과 동시에 해당 공구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공구 거치 장치가 작업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대 하부로 해당 공구를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되 공구가 저치장치로부터 작업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공구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을 클램핑하는 바이스와 같은 공구를 작업대 거치시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작업대에 대한 공구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상기 공구를 상기 작업대에 구멍을 뚫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공구의 작업대 거치를 위하여 상기 작업대에 구멍을 뚫어야 함으로써, 작업대에 손상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공구를 다른 위치로 옮기려면 다시 상기 작업대에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이러한 공구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구 거치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대 공간을 넓게 사용할 때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상기 공구 작업대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작업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작업대상에 공구가 돌출되어 노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등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야기되는등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대에 구멍을 뚫지 않고 작업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대에 대한 설치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고 높낮이가 조절가능 함과 동시에 해당 공구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공구 거치 장치가 작업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대 하부로 해당 공구를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되 공구가 저치장치로부터 작업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공구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구거치장치의 특징은, 작업대에 임의의 공구를 거치시키기 위해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구멍을 뚫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작업대를 클램핑하여 설치되는 메인유닛과; 일측은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공구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공구가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위치 또는 상기 공구가 상기 작업대의 하방 측에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위치로 상기 공구를 이동되어, 상기 공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공구설치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과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샤프트부를 포함하는 공구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은, 상기 메인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유닛 몸체; 및 상기 메인유닛 몸체의 전방 상부 측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설치유닛은, 상기 공구설치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공구를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메인유닛 몸체를 감싸고 하측은 상기 메인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구설치유닛 몸체와; 상기 공구설치유닛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유닛 몸체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에 고정되어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위치 고정스크류와;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를 관통하여, 공구설치유닛 몸체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며 스위블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블링 샤프트와;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에 관통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위블링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고정샤프트;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샤프트를 회전시키켜 고정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고정핸들을 포함하는 공구위치조정부가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거나 스위블링된 상태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공구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유닛 몸체는 상기 작업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메인유닛 몸체의 전방 하부 측에 배치되는 메인유닛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는 상기 메인유닛 연장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를 향하여 연장되는 공구설치유닛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샤프트부는 상기 메인유닛 연장부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연결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구거치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공구위치조정부는, 상기 공구가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며 스위블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블링 샤프트;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구거치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작업대 고정부는, 상기 작업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유닛 몸체의 전방 상부 측에 고정부 몸체; 상기 제1연장부와 마주보는 상태에서 제1연장부와 이격되어, 상기 작업대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연장부의 일측을 상기 고정부 몸체에 대하여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타측에 관통되며, 단부가 상기 작업대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작업대를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스크류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구거치장치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은 상기 고정부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2연장부의 일측을 관통하고, 나선이 형성된 연결샤프트; 및 상기 연결샤프트의 타단 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정되도록 하는 이격거리 조정너트;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구거치장치의 또 다른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회전샤프트부는,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동시에 관통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공구설치유닛이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상태유지노브;를 포함 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공구의 위치를 작업이 가능한 작업위치 및 작업대에 대하여 보관이 가능한 보관위치로 선택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작업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작업자가 쉽고 안전하게 상기 공구의 위치를 변경시 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해당 공구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공구 거치 장치가 작업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샤프트를 기준으로 공구 고정수단이 회동하여 작업대 하부로 해당 공구를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공구 고정수단의 전면에 고정핸들을 위치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핸들이 작업대 하부 내측으로 이동하도록하여 작업자의 부주의로 고정핸들은 건드려 공구가 작업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자의 실수등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구거치장치를 보여주는 전방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구거치장치가 보관위치로 설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사시도의 측면도로써 작업대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되어진 상태에 대한 실제 구현 사진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공구거치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구거치장치를 보여주는 전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구거치장치가 보관위치로 설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사시도의 측면도로써 작업대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되어진 상태에 대한 실제 구현 사진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공구거치장치(1)는 일례로 바이스(Vice)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대(D)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대(D)에 대하여 공구를 작업위치에 거치시킨다. 그리고, 공구를 이용한 작업이 종료된 경우, 공구를 작업대(D)의 하방 측에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위치로 공구를 이동시켜 작업대(D)의 작업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구거치장치(1)는 메인유닛(10)과, 공구설치유닛(30)과, 회전샤프트부(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메인유닛(10)은 작업대(D)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 즉 작업대(D)를 클램핑하여 설치되며, 메인유닛(10)의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유닛 몸체(11)와, 메인유닛 몸체(11)의 전방상부 측에 마련되며 작업대(D)의 일부를 클램핑하여 작업대(D)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고정부(20)를 포함한다.
메인유닛 몸체(11)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유닛측 연장부(참조번호 미부여)를 포함하고, 한 쌍의 메인유닛측 연장부는 좌우로 이격된 형상으로 메인유닛 몸체(11)의 전방 하부 측에 배치된다.
이때, 메인유닛 몸체(11)는 금속재질의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구설치유닛(30)이 메인유닛(10)에 대하여 상기 작업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공구설치유닛(30)에 의하여 감싸지는 메인유닛 몸체(11)의 배면에는 고정홀(미 도시)이 관통 형성된다.
작업대 고정부(20)는 작업대(D)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작업대(D)의 상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1연장부(211)가 형성되고 메인유닛 몸체(11)의 전방 상부측에 고정되는 고정부 몸체(21)와, 제1연장부(211)와 마주보는 상태에서 제1연장부와 이격되어 작업대(D)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연장부(22)와, 제1연장부(211)와 상기 제2연장부(22)가 이격된 상태로 제2연장부(22)의 일측을 고정부 몸체(21)에 대하여 연결시키는 연결부(24)와, 제2연장부(22)의 타측에 관통되며, 단부가 작업대(D)의 하면에 접촉되어 작업대(D)를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스크류부(23)를 포함한다.
이때, 연결부(24)는 일측은 고정부 몸체(21)에 고정되며 제2연장부(22)의 일측을 관통하고 나선이 형성된 연결샤프트(참조번호 미부여)와, 연결샤프트의 타단 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연장부(211) 및 제2연장부(22)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정되도록 하는 이격거리 조정너트(참조번호 미부여)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압 스크류부(23)는 연장부(22)의 타측에 관통되며 일단이 작업대(D)의 하면에 접촉되는 가압 샤프트(참조번호 미부여)와, 가압 샤프트의 타단에 마련되는 가압 스크류 노브(참조번호 미부여)를 포함한다.
한편, 공구설치유닛(30)은 일측은 메인유닛(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에는 공구가 설치되어, 메인유닛(1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공구설치유닛(30)에 설치된 공구는 작업대에 대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작업위치 또는 작업대(D)의 하방 측으로 이동되어 보관되도록 하여 작업대(D)의 작업공간을 확보도록 하는 상기 보관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공구설치유닛(30)은 공구설치유닛 몸체(31)와, 공구위치조정부(32)와, 고정스크류(34)와, 공구고정부(35)를 포함한다.
공구설치유닛 몸체(31)는 공구설치유닛(30)의 외형을 형성하며 공구를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메인유닛 몸체(11)를 후방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공구설치유닛 몸체(31)는 메인유닛 몸체(11)의 상기 메인유닛측 연장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작업대(D)를 향하여 연장되는 공구설치유닛측 연장부(참조번호 미부여)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구설치유닛(30)이 메인유닛(10)에 대하여 상기 작업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공구설치유닛 몸체(31)의 배면은 메인유닛 몸체(11)의 배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스크류(34)는 공구설치유닛 몸체(31)의 배면 측에 위치되며, 공구설치유닛(30)이 메인유닛(10)에 대하여 상기 작업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메인유닛 몸체(11)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홀과 정렬되어, 상기 고정홀에 고정된다.
공구위치조정부(32)는 공구설치유닛 몸체(31)의 상측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측에는 공구가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공구위치조정부(32)는 공구가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참조번호 미부여)와, 일측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며 공구설치유닛 몸체(21)를 관통하여, 공구설치유닛 몸체(21)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며 스위블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블링 샤프트(33)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구고정부(35)는 공구가 고정되는 공구위치조정부(32)가 공구설치유닛 몸체(21)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거나 스위블링 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공구설치유닛 몸체(21)에 관통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스위블링 샤프트(33)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고정샤프트(참조번호 미부여)와, 고정샤프트를 회전시켜 고정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고정핸들(참조번호 미부여)을 포함한다.
한편, 회전샤프트(40)는 메인유닛측 연장부(113)와 공구설치유닛측 연장부를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메인유닛(10)과 공구설치유닛(2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그리고, 회전샤프트부(40)는 메인유닛측 연장부와 공구설치유닛측 연장부를 동시에 관통시키는 회전샤프트(41)와, 회전샤프트(41)의 일단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메인유닛측 연장부와 공구설치유닛측 연장부를 동시에 가압하여 공구설치유닛(30)이 메인유닛(10)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상태유지노브(4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공구거치장치(1)를 작업대(D)에 설치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대 고정부(20)의 연결부(24)를 이용하여 작업대 고정부(20)의 제1연장부(211)와 제2연장부(22) 사이의 이격거리를 작업대(D)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조절한다.
그 다음, 작업대 고정부(20)의 제1연장부(211)와 제2연장부(22) 사이에 작업대(D)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공구거치장치(1)를 작업대(D)에 대하여 정렬시킨다.
그 다음, 제2연장부(22)를 관통한 가압 스크류부(23)가 작업대(D)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조정하여, 작업대 고정부(20)가 연결된 메인유닛(10) 및 메인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공구가 설치된 공구설치유닛(30)이 작업대(D)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공구거치장치(1)를 이용하여 공구를 상기 작업위치 또는 상기 보관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공구가 설치된 공구거치장치(1)가 작업대(D)에 설치된 상태에서, 공구거치장치(1)의 공구설치유닛(30)을 메인유닛(10)에 대하여 상기 작업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작업위치는 공구설치유닛(30)에 설치된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대(D)에서 작업가능한 위치를 의미하며, 공구설치유닛(30)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구설치유닛(30)의 공구설치유닛 몸체(31)는 메인유닛 몸체(11)를 후방에서 감싸도록 위치된다. 상기 작업위치에서 공구설치유닛(30)에 고정된 공구는 작업대(D)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공구설치유닛(30)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샤트프부(40)의 회전상태유지노브(42)를 조정하여 메인유닛(10)의 메인유닛측 연장부와 공구설치유닛(30)의 공구설치유닛측 연장부를 가압시킴으로써, 공구설치유닛(30)이 메인유닛(10)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공구설치유닛(30)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메인유닛 몸체(11)의 배면에 형성된 관통홀과 정렬된 고정스크류(34)를 관통홀에 고정시킴으로써, 공구설치유닛(30)을 메인유닛(10)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회전상태유지노브(42) 및 고정스크류(34)에 의하여 공구설치유닛(30)이 상기 작업위치로 회전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공구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작업대(D)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이 종료되어 공구를 상기 보관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회전상태유지노브(42)를 반대로 조정하여 메인유닛(10)의 메인유닛측 연장부와 공구설치유닛(30)의 공구설치유닛측 연장부의 가압을 해제시켜, 공구설치유닛(30)이 메인유닛(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경한다.
그리고 고정스크류(34)을 메인유닛 몸체(11)의 관통홀로부터 분리시켜, 메인유닛(10)에 대한 공구설치유닛(30)의 결합을 해제시킨 다음, 공구설치유닛(30)을 메인유닛(10)에 대하여 상기 보관위치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공구를 작업대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위치와 상기 보관위치는 회전샤프트부(40)를 중심으로 180ㅀ이격된다.
본실시 예에 따른 공구거치장치(1)는 바이스(Vice)를 작업대(D)에 대하여 거치시키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그라인딩머신(Grinding Machine), 드릴링 머신(Drilling machine) 등 작업대(D)에 거치시켜 사용되는 다양한 공구를 거치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공구의 위치를 작업이 가능한 작업위치 및 작업대에 대하여 보관이 가능한 보관위치로 선택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작업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쉽고 안전하게 상기 공구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공간활용 및 사용자의 안전사고 우려를 더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 공구거치장치 10 : 메인유닛 11 : 메인유닛 몸체
20 : 작업대 고정부 21 : 고정부 몸체 211 : 제1연장부
22 : 제2연장부 23 : 가압스크류 24 : 연결부
30 : 공구설치유닛 31 : 공구설치유닛 몸체 32 : 공구위치조정부
33 : 스위블링 샤프트 34 : 고정스크류 35 : 공구고정부
40 : 회전샤프트부 41 : 회전샤프트 42 : 회전상태유지노브

Claims (3)

  1. 작업대에 임의의 공구를 거치시키기 위해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구멍을 뚫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작업대를 클램핑하여 설치되는 메인유닛과; 일측은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공구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공구가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위치 또는 상기 공구가 상기 작업대의 하방 측에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위치로 상기 공구를 이동되어, 상기 공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공구설치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과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샤프트부를 포함하는 공구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은, 상기 메인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유닛 몸체; 및 상기 메인유닛 몸체의 전방 상부 측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설치유닛은, 상기 공구설치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공구를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메인유닛 몸체를 감싸고 하측은 상기 메인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구설치유닛 몸체와; 상기 공구설치유닛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유닛 몸체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에 고정되어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위치 고정스크류와;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를 관통하여, 공구설치유닛 몸체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며 스위블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블링 샤프트와;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에 관통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위블링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고정샤프트;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샤프트를 회전시키켜 고정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고정핸들을 포함하는 공구위치조정부가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거나 스위블링된 상태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공구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유닛 몸체는 상기 작업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메인유닛 몸체의 전방 하부 측에 배치되는 메인유닛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는 상기 메인유닛 연장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를 향하여 연장되는 공구설치유닛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샤프트부는 상기 메인유닛 연장부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위치조정부는,
    상기 공구가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공구설치유닛 몸체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며 스위블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블링 샤프트;를 포함하는 공구거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부는,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동시에 관통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공구설치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공구설치유닛이 상기 메인유닛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상태유지노브;를 포함하는 공구설치유닛.
KR1020120130182A 2012-11-16 2012-11-16 공구거치장치 KR101301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182A KR101301531B1 (ko) 2012-11-16 2012-11-16 공구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182A KR101301531B1 (ko) 2012-11-16 2012-11-16 공구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531B1 true KR101301531B1 (ko) 2013-09-04

Family

ID=4945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182A KR101301531B1 (ko) 2012-11-16 2012-11-16 공구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677A (ko) 2017-09-28 2019-04-05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구 거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674A (ja) * 2002-03-18 2003-09-25 Occ Corp バケット取付用作業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674A (ja) * 2002-03-18 2003-09-25 Occ Corp バケット取付用作業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677A (ko) 2017-09-28 2019-04-05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구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4075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밀링 머신용 바이스
KR101301531B1 (ko) 공구거치장치
JP3115388U (ja) 携帯式切削工具研磨機
CN210524493U (zh) 一种机电设备加工用夹紧装置
CN204135820U (zh) 杠杆表专用找正装置
US20070289424A1 (en) Workpiece-holding device for band saw machine
CN103100736B (zh) 一种用于压脚钻孔的钻机
KR101235026B1 (ko) 수평 벤딩기의 소재 길이 셋팅을 위한 회전식 보조아대장치
CN210790037U (zh) 一种立式加工中心带夹持功能工作台
JP5526091B2 (ja) 加工作業における加工補助装置
KR20180077858A (ko) 공작기계용 거치대
CN210756349U (zh) 一种龙门钻铣一体机
CN209903011U (zh) 一种用于钳工台旋转装置的锁紧装置
CN110497228A (zh) 一种钻床用快速夹紧装置
CN101391317B (zh) 导向装置
JP5575713B2 (ja) 切削加工機における刃物突出量の調節装置
CN106624068B (zh) 一种带有辅助支撑装置的钻模
CN213380306U (zh) 一种便于更换刀具的加工设备固定座
CN110814455A (zh) 线割夹具
CN202861821U (zh) 一种带垫块的钻四孔夹具
CN215035604U (zh) 一种龙门金属外壳加工夹具
CN213764252U (zh) 一种活塞销切槽装置
CN210633632U (zh) 一种钳工工作台
CN216731139U (zh) 角磨机工作台
KR20130003315U (ko) 가공물 고정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