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298B1 -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298B1
KR101150298B1 KR1020100067874A KR20100067874A KR101150298B1 KR 101150298 B1 KR101150298 B1 KR 101150298B1 KR 1020100067874 A KR1020100067874 A KR 1020100067874A KR 20100067874 A KR20100067874 A KR 20100067874A KR 101150298 B1 KR101150298 B1 KR 101150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harrow plate
plate
tractor
hoo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226A (ko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riority to KR102010006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2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 A01B73/06Folding frames foldable about a vertical axis
    • A01B73/067Folding frames foldable about a vertical axis to a position essentially rearward of the axis,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of travel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외측 써레판의 접힐 때 자동으로 록 상태가 되고, 다시 펼칠때 자동으로 록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렉터의 후방에 설치되며, 중앙 써레판의 양측에 외측 써레판이 연결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써레판과 외측 써레판 사이에 장착되어 외측 써레판이 중앙 써레판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써레 고정부; 일측이 로터베이터쪽에 힌지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써레 고정부에 힌지로 연결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밀대가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 써레판의 승하강에 의해 신축 및 신장되는 신축바; 상기 중앙 써레판의 후방에서 탄성력을 가지고 설치된 탄성걸이편; 상기 외측 써레판의 후방에서 탄성걸이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탄성걸이편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이구; 상기 신축바에 설치된 밀대의 미는 동작에 의해 탄성걸이편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걸이해제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Apparatus for auto folding of harrow}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측 서레판이 자동으로 접었다 펼쳐졌다 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레는 논 등에서 평탄화작업을 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서, 통상 써레를 트랙터의 로터베이터 후방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써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1)의 뒤에 장착된 로타베이터(2)와 써레판(40,50,60)이 프레임(20)에 의해 연결되고, 유압실린더(10)에 의해 써레판(40,50,60)이 들어올려지거나 지면에 닿도록 상하운동하게 된다.
써레 작업시에는 써레판(40,50,60)이 지면에 닿은 상태가 되고, 이동시에는 써레판(40,50,60)에 들어올려지게 되는데, 이동의 편리성을 위하여 좌우 양측의 외측 써레판(50,60)을 접어서 이동하게 된다.
즉, 써레판(40,50,60)을 유압실린더(10)에 의해 들어올리면 외측 써레판(50,60)의 자중에 의해 접혀지고, 내리면 또한 자중에 의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외측 써레판(50,60)을 접어서 이동시에는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써레판(50,60)에는 접히는 방향으로 'ㄷ'자 형상의 환봉(52,62)을 부착하고 이 환봉(52,62)과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프레임(30)의 측면에 고정편(32,33)을 부착하므로써, 외측써레판(50,60)이 접어지면서 환봉(52,62)이 고정편(32,33)에 끼워지도록 하고, 고정편(32,33)에 스프링으로 탄설된 후크(H)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시 외측써레판(50,60)을 펼 때에는 유압실린더(10)를 이완시켜 중앙써레판(40)을 최대한 하강시킨 후 운전석에서 후크(H)와 연결된 와이어(W)를 당겨 후크(H)의 록상태를 해제시키면 고정편(32,33)과 외측써레판(50,60)이 분리되고 중앙써레판(40)보다 높은 위치에 있던 외측써레판(50,60)이 위치에너지에 의하여 90°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완전히 펼쳐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외측 써레판(50,60)을 다시 펼칠 때 작업자가 와이어(W)를 당겨서 후크(H)의 록킹상태를 일일이 수동으로 해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또한 와이어(W)의 잦은 고장으로 인해 외측 써레판(50,6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못하여 써레작업이 중단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외측 써레판의 접힐 때 자동으로 록킹 상태가 되고, 다시 펼칠때 자동으로 록킹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렉터의 후방에 설치되며, 중앙 써레판의 양측에 외측 써레판이 연결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써레판과 외측 써레판 사이에 장착되어 외측 써레판이 중앙 써레판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써레 고정부;
일측이 로터베이터쪽에 힌지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써레 고정부에 힌지로 연결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밀대가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 써레판의 승하강에 의해 신축 및 신장되는 신축바;
상기 중앙 써레판의 후방에서 탄성력을 가지고 설치된 탄성걸이편;
상기 외측 써레판의 후방에서 탄성걸이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탄성걸이편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이구;
상기 신축바에 설치된 밀대의 미는 동작에 의해 탄성걸이편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걸이해제부;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측 써레판이 접힐 때 자동으로 록킹 상태가 되고, 펼쳐질 때 자동으로 록킹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써레 작업 및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트랙터용 써레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써레의 구조를 보인 도.
도 4는 자동 접이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 5는 자동 접이장치에 의해 외측 써레판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도.
도 6은 걸이 해제부의 형태를 보인 도.
도 7은 걸이 해제부와 회전축의 분해도.
도 8은 도 7의 결합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장착된 트랙터용 써레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중앙 써레판(300)의 양측에 설치된 외측 써레판(310,320)이 힌지 형태로 된 접이 고정부(400,500)에 의해 각각 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로터베이터(20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각각 접이고정부(400,500)에 힌지로 고정된 신축바(260)가 구비되어 외측 써레판(310,320)을 접이되도록 한다.
즉, 중앙 써레판(300)을 들어올릴때는 실린더(220)가 압축되면서, 중앙 써레판(300)을 들어올리게 되며, 이때 접이고정부(400,500)를 동작시키는 실린더 형태의 신축바(260,270)도 신축되지만, 실린더(220)의 압축거리보다 신축바(260,270)의 신축거리가 짧으므로 신축바(260,270)가 자연스럽게 접이고정부(400,500)를 후방으로 밀게 되어 외측 써레판(310,320)이 전방으로 접혀지게 되며, 그 접혀진 외측 써레판(310,320)은 접이고정부(400,500)의 잠금구조에 의해 잠겨지므로 접혀진 상태가 고정된다.
또한, 중앙 써레판(300)의 내릴때는 실린더(220)가 신장되면서, 중앙 서레판(300)이 내려지게 되며, 이때 실린더(220)가 신장되는 거리보다 신축바(260,270)의 신장되는 거리가 짧으므로 접이고정부(400,500)를 동작시키는 신축바(260,270)가 자연스럽게 접이고정부(400,50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어 외측 써레판(310,320)이 후방으로 펼쳐지게 된다.
도 4는 접이고정부(400,5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양측의 접이고정부(400,500)는 서로 구조가 동일하므로, 한쪽의 접이고정부(400)만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중앙 써레판(300)에는 힌지 형태의 써레 고정부(460)가 장착되고, 그 써레 고정부(460)의 일측에는 외측 써레판(310)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신축바(260)가 힌지형태로 연결된다.
또한 중앙 써레판(300)의 전방부위에는 장착판(410)이 중앙 써레판(30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장착판(410)에는 회전축(420)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회전축에 걸이해제부(43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걸이해제부(430)는 도 6에서와 같이 원판형태의 몸체(431)의 외측으로 일정간격(90°간격)마다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부(433)가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는 축삽입공(4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도 6(b)와 같이 둘레를 따라서 캠(4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걸이해제부(430)의 캠(434)이 회전하는 범위내의 하측에는 중앙 서레판(300)에 지지된 탄성걸이편(450)이 배치되는데, 상기 탄성걸이편(450)은 그 단부가 후크형태로 형성되며, 외측 써레판(310)의 전방에 형성된 걸이구(470)에 삽입되어 걸리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걸이구(470)와 탄성걸이편(45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호간에 걸림과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신축바(260)에는 밀대(26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밀대(261)와 걸이해제부(430)가 가까워지게 되면, 날개부(433)를 밀어 걸이해제부(430)가 자연스럽게 회전되도록 한다.
도 7은 회전축(420)과 걸이해제부(430), 탄성걸이편(450)의 관계를 분해하여 보인 도이고, 도 8은 결합도로서, 볼트(421)로 형성된 축 상에 스프링(422)이 장착되고, 그 상측에 몸체(431)가 장착되어 너트(423)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보인다.
또한, 몸체(431) 하측의 캠(434)이 탄성걸이편(450)의 상단에 접촉되어 이동함으로써 탄성걸이편(450)을 하측방향으로 누르거나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실린더(220)가 압축하여 중앙써레판(300)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 신축바(260)가 써레고정부(460)의 타측을 밀어 외측 써레판(310)을 전방으로 접게되고, 외측 써레판(310)이 계속 접혀져서 걸이구(470)가 탄성걸이편(450)에 걸려지면 록킹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중앙써레판(300)이 들어올려지면 밀대(261)와 걸이해제부(430)가 서로 가까워지게 되므로, 밀대(261)가 날개부(431)에 근접하게 되어 날개부(431)를 밀게 되므로 캠(434)이 탄성걸이편(450)의 상부에서 이탈하게 된다.
그러므로, 탄성걸이편(450)과 걸이구(470)가 서로 록킹 상태가 되어 외측 써레판(310)이 접힌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실린더(220)가 신장하면 중앙써레판(300)이 내려짐과 동시에 신축바(260)도 신장하게 되고, 외측 써레판(310)이 접혀진 상태로 중앙 써레판(300)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는 밀대(261)와 날개부(431)가 서로 멀어져가는 상태이므로 탄성걸이편(450)과 걸이구(470)의 록킹상태가 유지되어 외측 써레판(310)이 접힌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다시, 실린더(220)를 압축하여 중앙써레판(300)을 들어올리게 되면, 밀대(261)와 걸이해제부의 날개부(431)가 서로 가깝게 근접하게 되어 밀대(261)가 날개부(431)를 밀게 되므로, 캠(434)이 탄성걸이편(450)의 상부로 이동하여 하측으로 누르게 됨으로써 탄성걸이편(450)과 걸이구(470)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록킹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중앙써레판(300)이 계속 하강하면, 록킹 상태가 해제된 외측 써레판(310)이 비로소 펼쳐지는 것이다.
즉, 중앙써레판(300)을 1회째 들어 올릴때는 외측 써레판(310)이 록킹되고, 다시 하강시킨 후 2회째 들어 올릴때 비로소 외측 써레판(31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220 - 실린더 260,270 - 신축바
261 - 밀대 300 - 중앙 써레판
310,320 - 외측 써레판 400,500 - 접이고정부
410 - 장착판 420 - 회전축
421 - 볼트 422 - 스프링
430 - 걸이해제부 431 - 몸체
432 - 축삽입공 433 - 날개부
434 - 캠 450 - 탄성걸이편
460 - 써레 고정부 470 - 걸이구

Claims (2)

  1. 트렉터의 후방에 설치되며, 중앙 써레판의 양측에 외측 써레판이 연결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써레판과 외측 써레판 사이에 장착되어 외측 써레판이 중앙 써레판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써레 고정부;
    일측이 로터베이터쪽에 힌지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써레 고정부에 힌지로 연결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밀대가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 써레판의 승하강에 의해 신축 및 신장되는 신축바;
    상기 중앙 써레판의 후방에서 탄성력을 가지고 설치된 탄성걸이편;
    상기 외측 써레판의 후방에서 탄성걸이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탄성걸이편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이구;
    상기 신축바에 설치된 밀대의 미는 동작에 의해 탄성걸이편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걸이해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부는
    원판형태로 형성되면서 주변으로는 복수개의 날개부가 일정간격마다 돌출되며, 하부로는 하부면 둘레를 따라 캠이 형성되어 상기 신축바의 밀대가 하나의 날개부를 밀면 회전하여 상기 캠이 탄성걸이편을 눌러 걸이구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몸체;
    상기 몸체를 신축바의 밀대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축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KR1020100067874A 2010-07-14 2010-07-14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KR10115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874A KR101150298B1 (ko) 2010-07-14 2010-07-14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874A KR101150298B1 (ko) 2010-07-14 2010-07-14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26A KR20120007226A (ko) 2012-01-20
KR101150298B1 true KR101150298B1 (ko) 2012-06-12

Family

ID=4561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874A KR101150298B1 (ko) 2010-07-14 2010-07-14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2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261B1 (ko) 1997-08-14 1999-11-01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207911Y1 (ko) 2000-07-28 2000-12-15 박병찬 접철형 써레
KR200242365Y1 (ko) 2001-05-04 2001-10-12 구완회 절첩식 농업용 써레
KR100411996B1 (ko) 2001-11-12 2003-12-24 (주)광산엠.티.시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261B1 (ko) 1997-08-14 1999-11-01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207911Y1 (ko) 2000-07-28 2000-12-15 박병찬 접철형 써레
KR200242365Y1 (ko) 2001-05-04 2001-10-12 구완회 절첩식 농업용 써레
KR100411996B1 (ko) 2001-11-12 2003-12-24 (주)광산엠.티.시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26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66447B (zh) 连接装置及具有该连接装置的婴儿照护设备
JP6038896B2 (ja) 正面カバーを引き出しに装着するための締結装置
US8197007B2 (en) Combination pivotal and displaceable headrest assembly incorporated into a vehicle seat
US8162586B2 (en) Parking stand
CA2523355A1 (en) Spray boom suspension lock assembly
US20110140402A1 (en) Folding Parking Stand
CN107069521B (zh) 一种开关柜
KR20120007245A (ko)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101150298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KR101449416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AU2014271244B1 (en) Device and coupling for a swing down stabiliser leg
US9157621B2 (en) Device for fixing warning lamp of a construction machine
US2977094A (en) Landing gear for trailers
US20140083966A1 (en) Lifting apparatus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CN207332490U (zh) 一种斜舌定点触发装置
KR102423185B1 (ko) 개량 힌지 어셈블리
CN210310605U (zh) 一种机动车驾驶室稳定支撑的翻转锁止装置
US20170071123A1 (en) Latch assembly for a folding toolbar wing
CA2552459A1 (en) Chassis for a lock set
US2957678A (en) Hydraulic hoist attachment for tractors
BR102016019659A2 (pt) carregador frontal
WO2010107343A1 (en) An arresting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KR200442248Y1 (ko) 트랙터의 히치멤버
KR20160001188U (ko) 트랙터용 광폭써레
KR200374288Y1 (ko) 트랙터용 써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