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911Y1 - 접철형 써레 - Google Patents
접철형 써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7911Y1 KR200207911Y1 KR2020000021557U KR20000021557U KR200207911Y1 KR 200207911 Y1 KR200207911 Y1 KR 200207911Y1 KR 2020000021557 U KR2020000021557 U KR 2020000021557U KR 20000021557 U KR20000021557 U KR 20000021557U KR 200207911 Y1 KR200207911 Y1 KR 2002079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arrow
- blade
- folding
- blade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철형 써레에 관한 것으로 써레를 접철이 가능하도록 하여 폭 조절에 요구되는 유압 회로를 삭제하여 구성을 간소화하며, 각종 체결 부위등에 완충재를 더 구비함은 물론 직접적으로 지표면과 접촉하는 블래이드의 좌, 우 탄성 유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써레와 농기계의 내구성 증대에 따른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격감시킴은 물론 작업의 효율증대를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상기 접철형 써레는 그 전체 형상이 '⊥'형으로,
사이드 프레임(201) 가장 자리 일측으로 평판형 고정 브라켓(203)이 직립 고정된 절곡형 힌지 프레임(202)을 개재하고, 타측으로는 저면에 회동 샤프트 하우징(221)과 스프링(222)에 의해 탄지되는 회동 샤프트(223)를 장착한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이 형성된 본체(200)와, 상기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 직하방에는 평판형 블레이드(301)와 블레이드(301)를 고정하여 본체(200)와 연결하는 블레이드 프레임(302)으로 형성되며, 본체(200)와 직접으로 연결되는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와 이의 양측으로 접철을 수행하는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의 3등분으로 구성된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접철형 써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지의 객토 혹은 교반 후 표면을 정리하기 위해 각종 농기계에 부착되어 유압에 의한 폭의 조절과 힌지를 이용한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2000-10666 호인 '농기계 부착용 써레'의 개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경지는 다작에 의한 토양 성질의 변화 및 토양이 함유하는 각종 영양분의 고갈을 보충 또는 토질 개선을 위해 경작 경험이 없는 토양을 첨가하는 객토 작업을 실시하거나,
일정한 지표층을 이루는 흙과 그 하방에 위치하는 흙을 상호 교반하여 경작된 흙과 경작되지 않은 토양의 위치를 변경하여, 토양의 휴식년을 제공함으로서 다음 해 파종되는 농작물의 발육과 생육이 활성화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객토 작업은 일반적으로 다년간에 걸친 경작 이후 실시되며, 교반 작업은 해마다 흙의 위치를 변경하여 다수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교반 작업은 트랙터 혹은 경운기에 다수 개의 블레이드를 장착한 로터리라고 하는 전용 장치를 부착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상기 로터리를 이용한 교반 작업시 농경지의 지표면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되고, 이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여러 차례에 걸친 로터리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교반 작업후 불규칙한 지표면을 방치할 경우 농작물의 원활한 파종을 방해하여 발육 및 생육에 크나큰 지장을 초래하여 수확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하여 교반 작업 후에는 반드시 지표면을 균일하게 하는 작업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전체적인 교반 작업 후 로터리 블레이드의 침투 깊이를 조절하여 동일한 교반 작업을 반복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작업의 반복은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켜 작업 능률을 저하시킴은 물론 로터리를 통한 원활한 농경지 지표면의 균일화 작업이 난이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2000-10666 호에서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개략 '¿'형으로;
다수 개의 고정 브라켓(11)을 상방 일측으로 형성한 평판형의 장착부(12)와, 써레(1)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볼록형의 완만한 곡선(r)을 부여한 만곡부(13)로 이루어 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는 만곡부(13) 내방에는 가장 자리 일측으로 원호형 브라켓을 장착하여 본체(10) 중앙에 힌지 고정된 유압 실린더(22)의 로드(23)와 체결되는 인서트(20)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20)를 수용한 본체(10) 외방에는 채널형 부재를 이용하여 일측 선단은 유압 실린더(22)가 힌지 고정된 부위와 동일한 지점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 선단은 평판형 브라켓을 개재하여된 커버(30)로 구성된 써레를 제공함으로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려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써레의 경우 불규칙한 농경지의 지표면을 인한 충격이 전달될 경우 이를 흡수할 완충재가 전무하여 써레의 내구성 저하와,
전달된 진동 혹은 써레의 비틀림등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응력으로 농기계의 파손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써레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인서트를 구동하는 유압 회로등의 구성으로 써레의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유압 발생에 따른 농기계의 마모 촉진을 초래하여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써레를 접철이 가능하도록 하여 폭 조절에 요구되는 유압 회로를 삭제하여 구성을 간소화하며,
나아가 써레를 구성하는 각종 체결 부위등에 완충재를 더 구비함은 물론 직접적으로 지표면과 접촉하는 블래이드의 좌, 우 탄성 유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써레와 농기계의 내구성 증대에 따른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격감시킴은 물론 작업의 효율증대를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써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의 접철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의 사용 상태중 농기계의 이동 방향에 따른 좌, 우 탄성 유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의 일 요부인 본체와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절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의 다른 일 요부인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접철에 요구되는 접철 샤프트의 고정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절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접철형 써레 200;본체
201;사이드 프레임 220;격자형 고정 프레임
223;회동 샤프트 300;블레이드 어셈블리
302;블레이드 프레임 310,320;고정,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
322;힌지부 326;접철 서포트
330;볼 조인트 340;접철 샤프트
이하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의 접철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의 사용 상태중 농기계의 이동 방향에 따른 좌, 우 탄성 유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의 일 요부인 본체와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절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의 다른 일 요부인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접철에 요구되는 접철 샤프트의 고정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절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2)는 도 2에서와 같이 그 전체 형상이 개략 '⊥'형으로,
일측에는 접철형 써레(2)의 구동을 위한 동력원인 농기계와의 체결과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형의 본체(20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표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농경지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직선형의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사이드 프레임(201) 가장 자리 일측으로 접철형 써레(2)가 농기계와 체결된 후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고정되는 절곡형의 힌지 프레임(202)을 개재하며,
상기 힌지 프레임(202) 평면에는 접철형 써레(2)의 상, 하 유동을 위해 개재되는 유압 실린더(210) 및 블레이드 어셈블리(300)의 회동에 요구되는 볼 조인트(330)를 장착하는 평판형 고정 브라켓(203)이 직립 고정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203)상에 힌지 샤프트(204)를 통하여 고정되는 유압 실린더(210)는,
실린더 로드(211)를 본체(200)의 사이드 프레임(201)과 블레이드 어셈블리(300)가 상호 교차하는 부위에 개재되는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과 회동 자유롭게 연결하는데,
상기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은 저면으로 회동 샤프트 하우징(221)과 스프링(222)에 의해 탄지되는 회동 샤프트(223)를 통하여 본체(200)와 블레이드 어셈블리(300)가 상호 연결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블레이드 어셈블리(300)가 좌,우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에 의해 연결되는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는;
도 2 및 도 3등에서와 같이 직접적으로 지표면과 접촉하여 농경지를 평탄화하는 블레이드(301)와, 이러한 블레이드(301)를 고정하여 본체(200)와 연결하는 블레이드 프레임(302)으로 형성되어,
본체(200)와 직접으로 연결되는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와 이의 양측으로 접철을 수행하는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의 3등분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는 농경지의 평탄화를 위해 전개시에는 일직선형을 이루지만,
도 4에서와 같이 미사용으로 인해 본체(200)가 상방으로 이동할 경우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의 접철시에는 장착 기준면을 기점으로 내측 90°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철형 써레(2)의 전체적인 폭(b)을 축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는 양측의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를 내측으로 접철함은 물론,
도 5에서와 같이 고정형 및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320)가 전반적으로 일정 각도 유동이 가능한데,
이는 상술한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에 스프링(222)을 통해 탄지된 회동 샤프트(223)와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가 상호 결합됨으로서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는 도 6에서와 같이 본체(200)의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 직하방에 장착되는 것으로,
블레이드 프레임(302) 평면으로 정방형 혹은 다양한 형상의 평판형 부재를 가공하여된 동일 형상태의 회동 플레이드(311,311')를 적층 구비하고,
그 상측에 구비된 회동 플레이트(311) 평면 외측 가장 자리에는 스프링(222)으로 탄지된 회동 샤프트(223)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구(312)를 더 개재하며, 이들 적층된 회동 플레이트(311,311')는 유격을 가지는 볼트와 너트의 고정 수단(313)으로 상호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의 블레이트 프레임(302) 상방에는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 양측 가장 자리와 회동 또는 평탄화 작업시 작용하는 각종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코일형의 완충 스프링(314)을 바(bar)형의 브라켓(315)을 통하여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는;
양측 선단으로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를 접철하기 위한 접철 수단(321)을 구비하는데,
상기 접철 수단(321)으로는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의 블레이드 프레임(302)과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의 블레이드 프레임(302)을 상호 힌지 체결하여 회동 자유롭도록 하는 힌지부(322)가 이들의 경계부(323)에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323)에는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의 전개후 전개 상태 유지를 위한 고정 수단으로 볼트(324)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한 절곡형 브라켓(325)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양측 힌지부(322)에는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의 접철을 수행하기 위해 내측방(도면상)으로 향하는 접철 서포트(326)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접철 서포트(326)는 상술한 본체(200) 선단에 개재되어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2)의 상, 하 이동 작업을 수행하는 힌지 프레임(202)의 평판형 고정 브라켓(203)에 장착된 볼 조인트(330)와 접철 샤프트(340)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접철 샤프트(340)는 도 7에서와 같이 볼 조인트(330)와 체결되는 볼 조인트 접철 샤프트(341)와, 접철 서포트(326)와 체결되는 서포트 접철 샤프트(342)로 독립 구성하여 신축 자재 이음(telescopic)한 것으로,
상기 신축 자재 이음된 서포트 접철 샤프트(342)의 선단에는 접철형 써레(2)의 상, 하 유동과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의 변위에 따른 위치 변동 보정 및 작동의 원활성을 이루기 위한 스프링(343)을 장착한다.
또한 상기 접철 샤프트(340)는 볼 조인트와 체결되는 선단을 나사 체결을 통해 고정되는 연결 수단(344)을 구비하여 전체적인 접철 샤프트(340)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종래 구성의 문제점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철형 써레(2)는 본체(200)의 힌지 프레임(202)을 통하여 농기계와 연결하고 이어 농기계의 유압 라인을,
힌지 프레임(202)상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203)을 통해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과 체결되는 유압 실린더(210)와 연결하여 접철형 써레(2)의 사용에 필요한 준비공정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농기계에 연결된 접철형 써레(2)는 농경지로의 이동을 위해 지표면과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210)의 수축으로 인해 힌지 프레임(202)을 기점으로 일정 각도로 상승한다.
이 때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는 접철 샤프트(340)의 각도 변경에 따른 길이 변화로 접철 서포트(326)를 외방으로 이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접철 서포트(326)와 연결된 힌지부(322)가 회동하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가 내측방으로 90°회전하여 접철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접철형 써레(2) 폭(b)을 축소하여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접철형 써레(2)의 사용이 요구될 경우,
농기계의 유압 회로를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은 유압 실린더(210)는 로드(211)를 이완하여 블레이드(301)가 지면과 접촉하도록 본체(200) 및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를 힌지 프레임(202)을 기점으로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힌지 프레임(202)을 기점으로 하강하는 본체(200) 및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로 인해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와 체결된 접철 샤프트(340)에 각도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접철 샤프트(340)의 각도 변화는 길이 변동을 동시에 유발하여 힌지부의 접철 서포트(326)를 수축하여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가 길이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 양측 선단으로 전개 완료된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는 블레이드 프레임(302)상방에 개재된 절곡형 브라켓(325)과 볼트(324)를 이용하여 전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접철 상태의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를 전개하여 폭(b)을 확대한 접철형 써레(2)는 농경지의 지표면과 접촉하면서 객토 혹은 교반 작업으로 인해 불규칙한 지표면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작업중 흙의 불규칙성등으로 긴 전장(l)의 블레이드 어셈블리(300) 전체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편차가 발생할 경우,
본체(200)의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과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에 스프링(222)으로 탄지된 회동 샤프트(223)를 중심으로 도 5에서와 같이 블레이드 어셈블리 전체가 상,하 방향(도면상)으로 일정 각도 유동한다.
상기와 같이 유동하는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를 통하여 접철형 써레(2)에 지나친 비틀림 하중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하여 접철형 써레(2)를 장착한 농기계와의 체결 부위에도 하중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접철 상태의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브리를 전개하여 농경지의 평탄화 작업이 완료되면,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와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의 블레이드 프레임(302)을 상호 고정하는 절곡형 브라켓(325)을 탈거한 후, 유압 실린더(210)에 유압을 전달하여 실린더 로드(211)가 수축하여 본체(200) 및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를 힌지 프레임(202)을 기점으로 일정 각도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승한 본체 및 블레이드어셈블리는 상술한 내용과 같이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접철하여 접철형 써레를 이용한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접철형 써레는 농기계와의 체결을 위한 본체와 지표면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블레이드가 스프링에 의한 완충구를 가지는 회동 샤프트등을 통하여 분리 구성됨으로,
평탄화 작업 중 야기되는 써레의 각종 하중을 상쇠시켜 써레를 비롯한 농기계의 내구성 증대와 균일한 써레 작업으로 수확량의 증산을 이룰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 농경지의 지표면을 균일화하기 위한 써레를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써레는 그 전체 형상이 '⊥'형으로,사이드 프레임(201) 가장 자리 일측으로 평판형 고정 브라켓(203)이 직립 고정된 절곡형 힌지 프레임(202)을 개재하고,타측으로는 저면에 회동 샤프트 하우징(221)과 스프링(222)에 의해 탄지되는 회동 샤프트(223)를 장착한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이 형성된 본체(200)와,상기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 직하방에는;평판형 블레이드(301)와 블레이드(301)를 고정하여 본체(200)와 연결하는 블레이드 프레임(302)으로 형성되며,본체(200)와 직접으로 연결되는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와 이의 양측으로 접철을 수행하는 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의 3등분으로 구성된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써레.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힌지 프레임(202)에 장착된 고정 브라켓(203)에는 격자형 고정 프레임(220)과 체결되는 유압 실린더(210)와,이동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20)와 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의 블레이드 프레임(302)을 상호 힌지 체결한 힌지부(322)의 접철 서포트(326)와 체결되는 접철 샤프트(340)가 연결되는 볼 조인트(33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써레.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접철 샤프트(340)는;볼 조인트(330)와 체결되는 볼 조인트 접철 샤프트(341)와,선단으로 스프링(343)을 개재하여 접철 서포트(326)와 체결되는 서포트 접철 샤프트(342)로 분리 구성하여 신축 자재 이음(telescopic)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써레.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300)는;고정형 블레이드 어셈블리(310)의 블레이드 프레임(302) 평면으로 정방형 혹은 다양한 형상의 평판형 부재를 가공하여된 동일 형태의 회동 플레이드(311,311')를 적층 구비하고,그 상측에 구비된 회동 플레이트(311) 평면 외측 가장 자리에는 스프링(222)으로 탄지된 회동 샤프트(223)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구(312)를 더 개재하며,이들 회동 플레이트(311,311')는 유격을 가지는 볼트와 너트의 고정 수단(313)으로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써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1557U KR200207911Y1 (ko) | 2000-07-28 | 2000-07-28 | 접철형 써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1557U KR200207911Y1 (ko) | 2000-07-28 | 2000-07-28 | 접철형 써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7911Y1 true KR200207911Y1 (ko) | 2000-12-15 |
Family
ID=1966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1557U KR200207911Y1 (ko) | 2000-07-28 | 2000-07-28 | 접철형 써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7911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3003B1 (ko) | 2006-11-16 | 2008-02-14 | 김명수 | 트랙터용 써레의 써레날 장치 |
KR100836587B1 (ko) | 2007-03-14 | 2008-06-10 | 대호 (주) |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
KR100860263B1 (ko) * | 2007-01-09 | 2008-09-25 | 대호 (주) |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
KR101129640B1 (ko) * | 2009-07-27 | 2012-03-28 | 오대석 | 써레 절첩장치 |
KR101150298B1 (ko) | 2010-07-14 | 2012-06-12 | 박기혁 |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
KR20210046200A (ko) | 2019-10-18 | 2021-04-28 | 김필수 | 트랙터용 써레 |
-
2000
- 2000-07-28 KR KR2020000021557U patent/KR2002079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3003B1 (ko) | 2006-11-16 | 2008-02-14 | 김명수 | 트랙터용 써레의 써레날 장치 |
KR100860263B1 (ko) * | 2007-01-09 | 2008-09-25 | 대호 (주) |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
KR100836587B1 (ko) | 2007-03-14 | 2008-06-10 | 대호 (주) |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
KR101129640B1 (ko) * | 2009-07-27 | 2012-03-28 | 오대석 | 써레 절첩장치 |
KR101150298B1 (ko) | 2010-07-14 | 2012-06-12 | 박기혁 |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
KR20210046200A (ko) | 2019-10-18 | 2021-04-28 | 김필수 | 트랙터용 써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64388C2 (ru) | Шарнирный узел рамы, имеющий две оси поворота | |
US8662195B2 (en) | Apparatus for adjusting tension and positioning of a harrowing chain | |
US5207279A (en) | Agricultural apparatus having vertically adjustable disc gang assemblies | |
US6089329A (en) | Implement wing weight transfer apparatus | |
KR200207911Y1 (ko) | 접철형 써레 | |
US4187914A (en) | Soil cultivating implements | |
US4191258A (en) | Soil cultivating implements | |
GB1566605A (en) | Soil cultivating implements | |
JP2000300006A (ja) | 水田除草機 | |
RU2568469C1 (ru) |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со стопором для упругой опоры | |
CN104322170B (zh) | 具有改进的调节作业深度的调节装置的土壤作业机械 | |
CN107690851B (zh) | 一种具有可调式托板机构的水田打浆机 | |
CN219329972U (zh) | 一种集成有平田机构的水田埋茬起浆机 | |
SU424522A1 (ru) | Навесная сцепка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оруднй | |
RU2638653C2 (ru) | Сцепной узел и конструкция поперечной трубы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орудия | |
AU2001269619B2 (en) | Device for maintaining grass fields | |
EP0345899A1 (en) | A soil cultivating machine | |
RU2653370C1 (ru) |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ручно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культиватор | |
RU222098U1 (ru) |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ультиватор для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с изменяемым перекрытием рабочих органов | |
KR200368669Y1 (ko) | 다목적 제초장치 | |
US4127175A (en) | Soil cultivating implements | |
KR200194283Y1 (ko) | 농기계 부착용 써레 | |
JP2020129990A (ja) | 白ネギ用培土器及び農作業機 | |
JP6954596B2 (ja) | 農作業機 | |
CN216218629U (zh) | 一种改善旋耕机作业质量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