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263B1 -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 Google Patents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263B1
KR100860263B1 KR1020070002546A KR20070002546A KR100860263B1 KR 100860263 B1 KR100860263 B1 KR 100860263B1 KR 1020070002546 A KR1020070002546 A KR 1020070002546A KR 20070002546 A KR20070002546 A KR 20070002546A KR 100860263 B1 KR100860263 B1 KR 100860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rod
hinged
intermediate pipe
lin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422A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07000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263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 A01B73/06Folding frames foldable about a vertical axis
    • A01B73/067Folding frames foldable about a vertical axis to a position essentially rearward of the axis,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10Lifting or clean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 전방으로 접철되는 써레의 접철용 링크장치에 있어서 승강 실린더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 또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은 중앙 써레판과 좌우측 써레판을 결합하는 연결암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의 수축에 의하여 써레가 상승할 때 연결함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측 써레판을 접히게 하는 링크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링크장치가 제1 로드, 중간 파이프 및 제2 로드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로드는 그 전단이 상기 승강실린더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 또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그 후부는 상기 중간 파이프와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중간 파이프 후단과 상기 제2 로드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로드의 후단은 상기 결합암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로드, 제2 로드, 중간 파이프, 좌우측 써레판, 접철, 힌지

Description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Link Apparatus for Folding or Unfolding the Harr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장치를 설치한 전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1로드의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2)
도 6은 본 발명에서 써레를 들어올렸을 경우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트랙터 B: 로터베이터
10: 써레장착용 구조물 20: 승강로드
30: 승강실린더 40: 써레판
41: 중앙 써레판 42: 좌측 써레판
43: 우측 써레판 44: 제1 브래킷
45: 제2 브래킷 46: 연결암
47: 결합암 48: 핀
100: 링크장치 110: 제1 로드
111: 제1 힌지부 112: 힌지공
113: 압축스프링 120: 중간 파이프
121: 제2 힌지부 122: 힌지 브래킷
122': 힌지축 123: 케이블 안내구
130: 제2 로드 131: 제3 힌지부
200: 케이블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 전방으로 접철되는 써레의 접철용 링크장치에 있어서 승강 실린더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 또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은 중앙 써레판과 좌우측 써레판을 결합하는 연결암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의 수축에 의하여 써레가 상승할 때 상기 결합암을 중심으로 좌우측 써레판을 접히게 하는 링크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레는 무논의 평탄작업 등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써, 무논의 평탄 작업 등을 보다 폭 넓게 하기 위하여 중앙 써레판과 상기 중앙 써레판 의 좌우측에 좌우측 써레판을 부가 설치한 광폭 써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폭 써레는 도로 등을 이동시 장해물 등을 피하기 위하여 좌우측에 설치된 좌우측 써레판을 접어야 하고 작업 시에는 좌우측에 설치된 좌우측 써레판을 펴야 하는데, 상기 좌우측 써레판을 접고 펴는 방식으로 종래에는 수동식과 유압식이 있었다.
수동식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유압식은 조작은 편리하나 실린더 등의 유압장치가 써레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무논 작업시 이물질이 유입되어 고장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발명으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228261호이 있는데, 이 발명에는 중앙 써레판과 좌우측 써레판을 연결하는 연결암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에 링크장치의 일단을 힌지 결합하여 써레를 승강하는 승강 실린더의 수축 동작에 의하여 써레가 상승할 때 상기 링크장치가 상기 연결암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을 밀어 상기 좌우측 써레판이 트랙터 전방으로 회동하여 접히게 되고, 또한 상기 승강 실린더의 신장 동작에 의하여 상기 써레가 하강할 때 자중에 의하여 좌우측 써레판이 펴지게 되고 이때 상기 링크장치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펴지게 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트랙터를 전진시켜 흙을 끌기 위하여 전체 써레판이 지면에 대하여 대략 70도 범위 이내로 세우는 써레에 적용할 경우 상기 링크장치의 일단에 엔드 베어링 등을 설치하여 상기 링크장치 일단과 상기 연결암의 일단에 형 성된 결합암의 힌지부가 꺾이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나, 트랙터를 후진시켜 흙을 밀기 위하여 전체 써레판이 지면에 대하여 대략 120도 범위까지 세우는 써레에 적용할 경우 상기 엔드 베어링 등만으로는 상기 링크장치 일단과 상기 연결암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의 힌지부가 꺾이는 현상을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상기 링크장치의 중간 일부분이 써레의 다른 부분과 닿아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은 종래에는 좌우측 써레가 논두렁 등에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로 인한 여파로 상기 링크장치가 파손 또는 분리되는 경우 상기 링크장치에 삽입되는 부속품 중 압축스프링이 상기 링크장치에서 이탈하여 무논에서 분실되게 되어 써레 작업을 중단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좌우측 써레판을 접철하기 위한 링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를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와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중간 파이프 및 상기 중간 파이프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 로드로 구성하여, 써레판의 모든 세움 각도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상기 링크장치가 특정 세움 각도에서도 써레의 다른 부분과 닿지 아니하여 작동이 원활한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측 써레판을 접철하기 위한 링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를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와 삽입 결합되는 중간 파이프 및 상기 중간 파이프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 로드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로드에 압축스프링을 삽입 고정하게 함으로써 상기 써레가 논두렁 등의 충돌로 인하여 상기 승강로드가 파손된다 하더라도 상기 압축 스프링이 이탈되어 무논 등에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 써레판과 상기 중앙 써레판의 좌우측에 연결암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 좌우측 써레판으로 된 써레에서 상기 좌우측 써레판을 접철하기 위하여 그 일단이 승강실린더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 또는 로타베이터 상부 구조물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암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에 힌지 결합된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는 제1 로드, 중간 파이프 및 제2 로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로드는 그 전단이 상기 승강실린더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 또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그 후부는 상기 중간 파이프와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중간 파이프 후단과 상기 제2 로드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로드의 후단은 상기 결합암과 힌지 결합되되, 상기 중간 파이프 후단과 상기 제2 로드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방향과 상기 제2 로드의 후단과 상기 결합암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방향은 서로 교차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로드의 후부와 상기 중간 파이프와의 삽입되는 구조가 상기 중간 파이프가 중공 파이프로 되어, 상기 제1 로드의 후부가 상기 중간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로드에 압축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압축스프링 은 상기 제1 로드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압축스프링은 회전시켜 상기 제1 로드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중간 파이프 후단 또는 제2 로드 전단에 대략 ‘ㄷ'자 형상의 힌지 브래킷이 형성되되, 상기 브래킷에 측방으로 관통되어 힌지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 파이프의 외측면에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장치를 설치한 전체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1 로드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크장치(100)는, 트랙터(A)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베이터(B)의 횡축에 연결된 써레장착용 구조물(10)과, 상기 써레장착용 구조물(10)의 좌우측에 그 일단부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승강로드(20)와, 상기 써레장착용 구조물(10)의 중앙부에 그 일단부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승강실린더(30)와, 상기 승강로드(20)) 및 승강실린더(30)의 타단부에 써레판(40)과 결합된 제1 브래킷(44) 및 제2 브래킷(45) 들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써레판(40)은 중앙 써레판(41)과 상기 중앙 써레판(41)의 좌우측에는 좌우측 써레판(42, 43)이 있는데, 상기 좌우측 써레판(42, 43)은 트랙터(A)의 전후 방향으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연결암(46)에 의하여 상기 중앙 써레판(41)과 힌지 결합된 써레에 있어서, 그 일단이 상기 승강실린더(30)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좌우측 써레판과 상기 중앙 써레판을 결합하는 상기 연결암(46)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47)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좌우측 써레판(42, 43)이 트랙터(A)의 전후 방향으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상기 링크장치의 일단이 상기 승강실린더(30)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써레장착용 구조물(10) 또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미도시)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장치(100)는 그 일단이 상기 승강실린더(30)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10) 또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미도시)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암(46)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47)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장치(100)는 크게 전반부의 제1 로드(110)와, 중간부에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 파이프로 되어 그 중공 파이프의 내부로 상기 제1로드(110)가 삽입되는 중간 파이프(120)와, 후반부의 제2 로드(1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 로드(110)는 전단에 상기 승강실린더(30)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10) 또 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미도시)의 일면에 좌우로 회동 가능한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1 힌지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 힌지부(111)는 상기 승강실린더(30)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10) 또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미도시)의 일면과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평판 형상에는 힌지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로드(110)의 후부에는 상기 중간 파이프(120)의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써레판(40)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상기 제1 로드(110)가 상기 중간 파이프(120)로 점점 삽입되는데 이 때 상기 제1 로드(110)가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스톱퍼 기능과 충격완화 작용을 하기 위하여 압축스프링(113)을 상기 제1 로드(110)에 삽입하여 상기 제1 로드(110)의 전단부에 고정하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로드(110)와 상기 중간 파이프(120)가 삽입되는 구조가 서로 바뀌어도 작동될 수 있다면 그러한 구조로도 무방하다.
상기 압축스프링(113)을 상기 제1 로드(110)의 전단부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로드(110)의 전단부에서 상기 압축스프링(113)이 고정되는 부분에 나선형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압축스프링(113)의 감긴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로드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하게 한다.
또한, 상기 중간 파이프(1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로드(110)가 삽입되고, 후단은 상기 제2 로드(130)의 전단과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2 힌지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힌지부(121)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하여 일정한 한도 이상 회동을 제한하는 힌지 브래킷(122)과 상기 힌지 브래킷(122)의 특정 지점에 측방으 로 관통하게 형성된 힌지축(1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브래킷(122)은 일정한 한도 이상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면 대략 ‘ㄷ’자형상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좌우측 써레판(42, 43)의 접철 위치를 고정하게 하는 케이블(200)을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중간 파이프(120)의 외측면에 케이블 안내구(123)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200)을 상기 케이블 안내구(123)에 관통시켜 상기 케이블(20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케이블(200)이 안정적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힌지축(122’)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로드(130)가 회동되는 방향은 대략 상하로 회동되는데, 상기 힌지축(122’)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로드(130)가 회동되는 방향과 상기 결합암(47)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방향은 서로 교차하게 되고, 상기 교차되는 각도는 70-110도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상기 제2 힌지부(121)를 상기 중간 파이프(120)의 후단에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제2 힌지부(121)를 상기 중간 파이프(120)의 후단에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 로드의 전단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2 로드(130)는 그 전단이 상기 중간 파이프(120)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그 후단에 형성된 제3 힌지부(131)가 상기 연결암(46)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47)에 핀(48)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써레판(42, 43)이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핀(48) 대신 볼트 및 너트로 하여 힌지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링크장치(100)가 제1 로드(110)와 중간 파이프(120) 및 제2 로드가 조립되어 그 일단이 상기 승강실린더(30)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10) 또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미도시)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암(46)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47)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장치(100)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1)로서 써레판(30)을 지면에 대하여 세우지 않은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2)로서 써레판(30)을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세운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써레판(30)을 들어올렸을 경우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레판(30)을 지면에 대하여 세우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암(46)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47)에 힌지 결합된 제2 로드(130)가 상기 중간 파이프(120)와 수평을 이루거나 또는 다소 꺾이는 상태로 되어 있고, 이때 제1 로드는 상기 중간 파이프(120)로부터 어느 정도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써레판(40)을 흙밀기 작업 등을 하기 위하여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90-120도 내외)로 세우게 되면, 상기 써레판(40)에 부착된 상기 연결암(46)과 상기 써레판(40)의 후단이 세워지면서 상대적으로 트랙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연결암(46)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47)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2 로드(130)도 하방으로 세워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제2 로드(130)는 그 전단이 상기 중간 파이프(120)와 힌지축(122’)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된 상태여서 상기 제2 로드(130)의 후단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맞추어 상기 힌지축(122’)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동(굴절)하게 되고 또한 제1 로드(110)가 그 이동거리 만큼 보충하여 상기 중간 파이프(120)로부터 삽입된 부분이 슬라이딩되어 빠져나와 신장되므로, 상기 링크장치(100)는 무리없이 작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써레판(40)을 흙밀기 작업 등을 하기 위하여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90-120도 내외)로 세우게 되더라도 상기 링크장치(100)가 파손되거나 기계적으로 무리가 가는 일이 없게 되고 써레의 다른 부품과도 간섭이 일어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30)를 최대한으로 수축하여 상기 써레판(30)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경우 상기 제1 로드(110)가 상기 중간 파이프(120)의 내부로 모두 삽입되게 되고, 이때 압축스프링(113)은 제1 로드(110)가 상기 중간 파이프(12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한편 상기 중간 파이프(120)와 상기 제2 로드(120)가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2 힌지부의 일면에 지지됨으로써 대략 일자형으로 되어 상기 제2 로드의 후단에 형성된 제3 힌지부(131)에 힌지 결합된 상기 결합암(47)을 밀어냄으로써 상기 좌우측 써레판(42,43)이 접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113)은 상기 좌우측 써레판(42,43)이 접힌 상태에서 비포장도로, 요철 등을 주행하다 흔들리는 충격으로 써레 외측판이 순간적으로 펼쳐져 행인이나 차량에 충돌하지 않도록 제1 로드와 중간 파이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써레판(40)이 논두렁 등에 충돌하여 이로 인한 여파로 상기 링크장치(100)가 파손 또는 상기 써레판(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압축스프링(113)이 제1 로드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축스프링(113)이 무논에 분실되지 않는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30)를 최대한으로 수축하여 상기 써레판(30)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실린더(30)를 신장시키면, 상기 써레판(40)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좌우측 써레판(42, 43)은 상기 연결암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하여 펴지게 되고, 이때 상기 링크장치(100)는 상기 결합암(47)을 지지하여 상기 좌우측 써레판(42, 43)이 일정 속도로 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는 제1 로드, 중간 파이프 및 제2 로드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로드는 그 전단이 상기 승강실린더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10) 또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그 후부는 상기 중간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며, 상기 중간 파 이프 후단과 상기 제2 로드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로드의 후단은 상기 결합암과 힌지 결합되게 함으로써, 써레판의 모든 세움 각도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상기 링크장치가 특정 세움 각도에서도 써레의 다른 부분과 닿지 않아 작동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는 상기 제1 로드에 압축스프링을 삽입 고정하게 함으로써 상기 써레가 논두렁 등의 충돌로 인하여 상기 링크장치가 파손된다 하더라도 상기 압축 스프링이 이탈되어 무논 등에서 분실되는 것을 방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중앙 써레판과 상기 중앙 써레판의 좌우측에 연결암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 좌우측 써레판으로 된 써레에서 상기 좌우측 써레판을 접철하기 위하여 그 일단이 승강실린더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 또는 로타베이터 상부 구조물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암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암에 힌지 결합된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는 제1 로드, 중간 파이프 및 제2 로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로드는 그 전단이 상기 승강실린더 또는 써레장착용 구조물 또는 로터베이터 상부 구조물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그 후부는 상기 중간 파이프와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중간 파이프 후단과 상기 제2 로드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로드의 후단은 상기 결합암과 힌지 결합되되,
    상기 중간 파이프 후단과 상기 제2 로드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방향과 상기 제2 로드의 후단과 상기 결합암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방향은 서로 교차되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의 후부와 상기 중간 파이프와의 삽입되는 구조는 상기 중간 파이프가 중공 파이프로 되어, 상기 제1 로드의 후부가 상기 중간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에는 압축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제1 로드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은 회전시켜 상기 제1 로드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되는 각도는 70-110도 범위 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7.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파이프 후단과 상기 제2 로드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중간 파이프 후단 또는 제2 로드 전단에 대략 ‘ㄷ'자 형상의 힌지 브래킷이 형성되되, 상기 브래킷에 측방으로 관통되어 힌지축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8.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파이프의 외측면에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KR1020070002546A 2007-01-09 2007-01-09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KR100860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46A KR100860263B1 (ko) 2007-01-09 2007-01-09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46A KR100860263B1 (ko) 2007-01-09 2007-01-09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422A KR20080065422A (ko) 2008-07-14
KR100860263B1 true KR100860263B1 (ko) 2008-09-25

Family

ID=3981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546A KR100860263B1 (ko) 2007-01-09 2007-01-09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64B1 (ko) * 2013-10-23 2015-03-10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
KR102243629B1 (ko) * 2018-03-19 2021-04-26 대호 (주) 써레의 유압장치
KR102326388B1 (ko) 2019-10-18 2021-11-15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7009U (ko) 1977-07-27 1979-02-22
KR100228261B1 (ko) 1997-08-14 1999-11-01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207911Y1 (ko) * 2000-07-28 2000-12-15 박병찬 접철형 써레
KR20040067508A (ko) * 2003-01-23 2004-07-30 선광주 트랙터용 써래
KR20040097807A (ko) * 2003-05-13 2004-11-18 박기혁 트랙터용 써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7009U (ko) 1977-07-27 1979-02-22
KR100228261B1 (ko) 1997-08-14 1999-11-01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207911Y1 (ko) * 2000-07-28 2000-12-15 박병찬 접철형 써레
KR20040067508A (ko) * 2003-01-23 2004-07-30 선광주 트랙터용 써래
KR20040097807A (ko) * 2003-05-13 2004-11-18 박기혁 트랙터용 써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422A (ko) 200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7080B2 (ja) 建設機械のラダー装置
KR100742099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860263B1 (ko)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AU2009201862A1 (en) A conveyor system
KR101472066B1 (ko) 트랙터용 써레
EP2716267B1 (en) Wheelchair lift
EA034293B1 (ru) Балкон со складным ограждением для судов
JP2021503573A (ja) 直立可能な障壁の基礎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直立可能な障壁
RU2747817C9 (ru) Складная осветительная мачта
KR100836587B1 (ko)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JP5869242B2 (ja) 高所作業車
EP1407804A1 (en) Amusement device
KR102256672B1 (ko)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
EP3406545B1 (en) Radial conveyor with multi-mode wheel assembley
DE10054508C2 (de) Kleinstbohranlage für den Einsatz auf engstem Raum (Brunnenbohrgerät)
KR100528490B1 (ko) 굴절식 크레인과 이를 이용한 펴기 및 접기 방법.
KR200402817Y1 (ko) 아웃트리거
KR100836601B1 (ko) 수동식 접철써레
KR20070029398A (ko) 아웃트리거
KR100779581B1 (ko) 트랙터용 써래장치
EP1384698A1 (en) Lifting vehicle having telescopic arms for transfer of loads
KR20210040292A (ko)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
EP1398291A1 (en) Tower crane, self-assembling, with folding and telescoping tower, and foldable jib
CN102491202B (zh) 行车式起重机
KR100597370B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