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490B1 - 굴절식 크레인과 이를 이용한 펴기 및 접기 방법. - Google Patents

굴절식 크레인과 이를 이용한 펴기 및 접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490B1
KR100528490B1 KR1020050026350A KR20050026350A KR100528490B1 KR 100528490 B1 KR100528490 B1 KR 100528490B1 KR 1020050026350 A KR1020050026350 A KR 1020050026350A KR 20050026350 A KR20050026350 A KR 20050026350A KR 100528490 B1 KR100528490 B1 KR 100528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hydraulic cylinder
stage
stage boom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Priority to KR102005002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6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 B66C2700/062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mounted on motor vehicles
    • B66C2700/065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mounted on motor vehicles with a slewable ji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절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사용종료 후 또는 이동시 크레인의 붐을 상방향으로도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굴절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은 제 1단 붐과 제 2단붐 사이에 결합되는 제2유압실린더의 양단이 제 1단 붐 및 제 2단붐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힌지결합점들에서 각각 힌지 결합하여, 상기 제 1단붐과 제 2단 붐 사이의 제 2유압실린더의 신축운동에 따라 제 2단붐이 회전축를 중심으로 제 1단 붐의 상단과 하단으로의 회전운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절식 크레인과 이를 이용한 펴기 및 접기 방법.{Knuckle crane and fonding-unfol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단 붐을 갖는 굴절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사용종료 후 또는 이동시 크레인의 바깥 쪽 붐을 안쪽 붐의 상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굴절식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펴기 및 접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에 설치된 굴절식 크레인의 경우 차량의 이동시와 같이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 크레인의 붐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접은 후 차량의 전장에 걸쳐 길게 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34744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83784호에 잘 나타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크레인의 경우에 크레인의 붐이 차량의 전장(길이방향)으로 접히기 때문에 적재함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또한 제2단 붐대를 제 1단 붐대의 하방향으로 접을 경우에는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프레임과 제1단 붐대의 하방향으로 결합된 제1유압실린더와 부딪히게 되어 완전히 접힐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특히 제2단 붐대가 작업반경을 넓히기 위해 전장이 긴 경우나 2단 붐대 내에 3단 붐대 이상의 붐대가 수납되는 구조 일 경우 그 전장으로 인해 하방향으로 완전히 접힐 수 없을 때 문제된다.또한 상기 종래 크레인 붐은 차량 적재함 및 운전석 지붕 상단을 포함하는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수평으로 놓여진다.
삭제
이에 따라 차량 전체의 무게 중심선도 차량 상부 쪽에서 길게 길이방향으로 높게 형성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커브길에서 코너링할 때 차량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쉽게 기울어지므로 차량 전복 등의 사고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붐의 회전부재가 고장을 일으켜 붐이 좌우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붐대가 수평으로 길게 놓여진 만큼 붐대의 회전반경도 크므로 자칫 주변의 차량이나 구조물 또는 인명 등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단 붐대의 회전에 이용되는 소정의 실린더를 실린더의 압축·신장시 최대최소길이를 고려하여 붐대 각각의 소정의 위치에 힌지결합함으로써, 붐대 간의 결합부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나의 붐이 다른 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180도 이상 회전운동이 가능한 굴절식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붐이 모두 접혀진 상태에서 붐대들이 차량 상부에 수평으로 놓여지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적재함 바닥을 향하여 경사지게 놓여지도록 함으로써, 붐대로 인해 차량의 무게중심이 높아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붐대들이 접혀진 상태의 크레인이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은,지지프레임(102)에 제1유압실린더(108)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회전축(A)으로 연결된 제 1단붐(110)과 상기 제 1단붐(110)에 제2유압실린더(114)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B)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단붐(116)을 구비한 굴절식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제 1단 붐과 제 2단붐(116) 사이에 결합되는 제2유압실린더(114)의 양단이 제 1단(110)붐 및 제 2단붐(116)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힌지결합점(C), (D)에서 각각 힌지 결합하여, 상기 제 1단붐(110)과 제 2단 붐(116) 사이의 제 2유압실린더(114)의 신축운동에 따라 제 2단붐(116)이 회전축(B)를 중심으로 제 1단 붐의 상단과 하단으로의 회전운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굴절식 크레인의 붐대들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베이스(100)는 차량 등에 고정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크레인 베이스(100)는 지지프레임(102)과 회전부재(10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2)은 차량 등에 고정된 크레인 베이스(100)에 대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지면에 수평하게 360도 회전을 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2)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제 1단붐(110)은 빔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그 양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 1연결편(106)과 제2 연결편(11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편들(106, 111)은 제 1단붐(110)과 다른 구성 부재와 연결 및 연결 후에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제 1단붐(110)의 몸체와 일체로 성형되어 질 수도 있다.
제 1단붐(110)의 상단에는 다시 제 2단붐(116)이 연결 설치된다. 제 2단붐(116)은 빔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그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제3 연결편(1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3연결편(112) 역시 제 1단붐(110)과 연결 및 연결 후에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제 2단붐(110)의 몸체와 일체로 성형되어 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레인의 붐대의 굴절운동을 위하여 유압실린더를 사용한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지지프레임(102)과 제 1단붐(110)을 연결하는 제1유압실린더(108)와 제 1단붐(110)과 제2단붐(116)을 연결하는 제2유압실린더(114)로 구별된다.
우선 제1유압실린더(108)는 그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02)의 하단부와 제 1단 붐(110)의 하단부에 결합고정되어 있는 제 1연결편(106) 사이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 1연결편은 지지프레임(102)과 제 1단붐을 연결하여주는 구성요소로서 제1회전축(A)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1단 붐(110)은 상기 제1유압실린더(108)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02)과 상기 제 1단 붐(110) 간의 제 1회전축(A)을 중심으로 축회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유압실린더(114)는 상기 제 1단 붐(110)의 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힌지결합(C:힌지결합점)되고, 제 2단 붐(116)의 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힌지결합(D:힌지결합점)된다.
이 때 상기 소정의 힌지결합점들(C),(D)은 실린더의 용량과 실린더의 압축·신장에 따른 실린더 로드의 길이와 실린더 자체의 길이의 합인 실린더 최대최소길이와 실린더의 용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를 선정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소정의 힌지결합점들(C), (D) 중 어느 한 점도 회전축(B)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 말해 상기 소정의 힌지결합점들(C), (D)들은 회전축(B)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제2유압실린더를 붐대의 측면에 힌지결합함으로써, 완전히 접힌 상태를 제 1단 붐과 제 2단 붐이 이루는 각을 0도라고 할 때, 붐대 간(본 발명에서는 제 1단 붐과 제 2단 붐 간에)의 회전각이 0도에서 180이상(대략 305도 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상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하며, 또한 작업시에도 크레인 쪽으로 최대한 안쪽까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범위를 넓힐 수 있다.
만일 상기 소정의 힌지결합점들(C), (D) 중 어느 한 점이 회전축(B)상에 위치하게 되면 본 발명의 붐대 회전각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제 1단붐(110)의 하단에 제 1연결편(106)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것처럼 상단에도 제 2연결편(111)이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제 2단붐(112)의 하단에는 제 3결합편(112)이 고정결합되어 있다.
제1 단붐과 제 2단붐 사이의 연결은 상기 제 2연결편(111)과 제 3연결편(112)이 회전축(B)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2단 붐(116)은 상기 제2유압실린더(114)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제 2회전축(B)을 중심으로 축회동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제2유압실린더(114)의 일단이 결합되는 위치인 힌지결합점(C)은 제 1단붐(110)의 몸체 측면 상에 형성되고, 타단이 결합되는 위치인 힌지결합점(D)은 제 2단붐(116)의 제3연결편(112) 측면 상에 형성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2유압실린더(114)의 힌지결합점들(C), (D)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축(B)과 일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즉 힌지 결합점(C)은 제 1단붐(110)의 몸체 측면이나 제 2연결편(111) 측면상의 어느 점에 위치하여도 되고, 힌지결합점(D)은 제 2단붐(116)의 몸체 측면이나 제 3연결편(112) 측면상의 어느 점에 위치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단붐(116)은 내부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제 3단 붐 및 제 4단 붐 등이 차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최종 붐 대에는 결합편(118)을 두어 집게 또는 버켓 등의 작업구(12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 2단 붐(116)의 내부에 제 3단붐 또는 제 4단붐 등을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는 일반적인 공지 기술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굴절식 크레인인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우선 굴절식 크레인 붐대의 펴기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제 2단붐(110)을 제 1단붐(110)의 상부에 접혀져 있는 초기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펼침으로써 작업모드로 이행하는 과정인 붐대펴기 제 1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고, 도 3, 도4, 도5는 각각 상기 제1동작에 이어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붐대펴기 제 2동작, 제 3동작, 제 4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이러한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크레인의 작동에 필요한 엔진의 시동을 켠 후, 크레인 사용자가 유압실린더 조절레버(미도시함)를 조절하여 유압실린더(제1유압실린더, 제2유압실린더 등)를 작동시킨다.
먼저 도 2의 붐대펴기 제 1동작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제1유압실린더(108)의 피스톤 로드를 신장시켜 제 1단 붐(110)과 지지프레임(102)사이에 소정의 각(바람직하게는 대략 30도)을 형성하도록 제 1단붐(110)을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회전부재(104)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끝부분에 결합된 작업구(120)를 고임목이 있는 방향으로 움직인 후, 제2유압실린더(114)를 신장시켜 작업구(120)가 고임목 위쪽으로 오도록 제 2단붐(116)을 펼쳐준다.
이 때 제 2단붐의 펼쳐지는 정도는, 도2의 하단 도면에 보이는 것처럼 신장된 제2유압실린더(114)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이 회전축(B)의 위치보다 약간 위쪽(바람직스럽기로는 약5Cm 상단)에 오는 정도가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동작에 이은 붐대펴기 제2동작을 도 3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제2유압실린더(114)를 더 신장시키면 제 2단 붐(116)은 회전축(B)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끝부분의 작업구(120)는 하강하게 되어 고임목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제1유압실린더(108)를 신장시키면, 회전축(B)의 위치와 제2유압실린더(114)와 제 2단붐(116)의 힌지결합점(D) 및 제 1단붐(110)과 제2유압실린더(114)의 힌지결합점(C)이 동일선 상에 놓이게 된다.
즉, 위와 같이 제 2단 붐(116)에 연결된 작업구(120)가 고임목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108)를 조작함으로써 제2유압실린더(114)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회전축(B)의 위치에 이르게 하는 과정을 제 2동작이라 한다.
다음 상기 제 2동작에 이은 제 3동작을 도 4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제 2동작 상태에서,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제1유압실린더(108)와 제2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로드를 더욱 신장시키면, 회전축(B)의 위치는 제2유압실린더(114)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보다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동작 과정을 제 3동작이라 한다.
상기 제 2동작 상태가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유압실린더(108)의 피스톤로드는 계속 신장시키면서 제2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로드는 반대로 인입시키게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제 1단붐(110)과 제 2단붐(116)은 역 V자 형상으로 꺽이게 되고, 제 2단붐(116)의 끝단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이 가능한 상태로 되는데, 이 동작과정이 제 4동작이 되며, 이로써 제 2단붐(110)을 펼쳐서 작업모드로 이행하는 과정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굴절식 크레인 붐대를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이 작업모드에서 작업을 마친 후 붐대들을 접어 제1도의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붐대 접기 동작 중 제 1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고, 도 7, 도 8, 도9는 각각 상기 제1동작에 이어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붐대접기 제 2동작, 제 3동작, 제 4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6의 붐대 접기 제1 동작을 설명한다.
작업을 마친 후 크레인을 접기 위해서는 우선 제1유압실린더(108)의 피스톤 로드를 인입시키면서 제2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로드는 신장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제 1단붐은 하방으로 하강하고, 제 2단붐은 상방으로 상승하는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과정이 제 1동작 과정에 해당한다.
다음은 도 7의 붐대 접기 제 2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붐대접기 제1동작을 계속 진행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제 1단붐(110)과 제 2단붐(116)이 대체로 수평상태로 펴지게 된다. 여기서 회전부재(104)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끝부분을 고임목 쪽으로 둔다.
이 상태는 도7에 보이는 것처럼 신장된 제2유압실린더(114)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이 회전축(B)의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바람직스럽기로는 약5Cm 하단)에 오는 정도가 되며, 이로써 붐대접기 제2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8의 붐대접기 제3동작을 설명한다.
도8에서 보이는 것처럼 고임목에 크레인 붐대 끝부분의 작업구(1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108)를 피스톤로드를 인입시키면 회전축(B)의 위치는 아래로 하강하게 되며, 제 1단붐(110)과 제 2단붐(116)은 V자 형상으로 꺽이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B)의 위치가 제2유압실린더(114)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회전축(B)의 위치와 동일선상에 놓이게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 과정이 붐대접기 제 3동작이다.
다음은 도 9에서 붐대접기 제4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붐대접기 제3동작에 이어 제1유압실린더(108)의 피스톤로드를 계속 인입시키면 회전축(B)의 위치가 상기 제2유압실린더(114)의 길이방향 중심축 상의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동시에 제2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로드를 인입시키면 제 2단붐(116)의 회전방향이 제 1단붐의 상부로 향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1유압실린더(108)와 제2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로드를 최대로 인입하면, 제 1단붐(110)은 지지프레임(102) 위로, 제 2단붐(116)은 제 1단붐(110) 위로 완전히 접혀서 도1의 초기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동작과정이 붐대접기 제4동작이다.
이때 작업구(120)는 결합편(118)과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제 2단붐 쪽으로 회전하여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편(118)에 작업구 회전 제한 걸림턱(미도시) 등을 구성하며, 이에 따라 집게부를 따로 떼어낼 필요가 없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 구성은 공지의 수단을 이용하므로 별도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제 1단 붐과 제 2단 붐의 회전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서 크레인의 제 1단 붐(110)을 제1유압실린더(108)를 이용하여 지면에 수평인 상태로 두고, 제 2단 붐(116)을 제2유압실린더(114)를 이용하여 회전시켜보면, 제 1단 붐(110)과 제 2단 붐(116)이 접힌 상태의 제 1단 붐(110)과 제 2단 붐(116) 사이의 각을 0도라 할 때, 제 2단붐은 제 1단 붐(110)과 제 2단 붐(116)이 수평인 180도를 넘어 최대 305도 지점까지 회전가능하다.
이는 종래 굴절식 붐크레인의 제2단붐의 회전각이 180도를 넘지 못하였던 것에 비하여 큰 차이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제 2단 붐(116)이 크레인의 지지프레임(102) 쪽으로 최대한 근접하는 위치까지 작업반경이 확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차량의 적재함에서 적재된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크레인의 차량 적재함에서 적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차량 등의 적재함의 앞쪽 어느 한 쪽으로(운전석 쪽 또는 조수석 쪽 어느쪽이라도 무방함) 크레인 베이스를 고정하고, 크레인의 붐대가 상방향으로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회전부재(104)를 이용하여 크레인을 차폭방향으로 두어 고정하면, 차량의 적재함에서 크레인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으므로 차량 적재함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고정된 크레인의 붐은 차량 상부에 수평으로 놓여지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적재함 바닥을 향하여 경사지게 놓여지므로 붐대로 인해 차량의 무게중심이 그다지 높아지지 않아 차량이 곡선로를 주행할 때에도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104)가 고장을 일으킬 때라도 붐대가 임의로 회전하더라도 회전반경이 작으므로 주변의 차량이나 구조물 또는 인명 등에 손상을 입힐 염려가 적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 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 특성을 갖는 굴절식 크레인은
작업이 종료한 후에 이를 상방향으로 접고 회전을 시켜 차폭방향으로 두면, 차량의 적재함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여분의 적재함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또한 이렇게 고정된 크레인은 차량이 커브를 돌 때에도 종래의 굴절식 크레인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 놓이며, 회전부재가 고장을 일으킬 때라도 회전반경이 작으므로 옆 차량 등에 손상을 입힐 염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제 2단붐이 제 1단 붐(110)과 제 2단 붐(116)이 수평인 180도를 넘어 최대 305도 지점까지 회전가능하므로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굴절식 크레인의 접혀있는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붐대 펴기 동작과정 중 제 1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붐대 펴기 동작과정 중 제 2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붐대 펴기 동작과정 중 제 3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붐대 펴기 동작과정 중 제 4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붐대 접기 동작과정 중 제 1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붐대 접기 동작과정 중 제 2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붐대 접기 동작과정 중 제 3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붐대 접기 동작과정 중 제 4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제 1단 붐과 제 2단 붐의 회전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크레인의 차량 적재함에서 적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5)

  1. 지지프레임(102)에 제1유압실린더(108)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회전축(A)으로 연결된 제 1단붐(110)과 상기 제 1단붐(110)에 제2유압실린더(114)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B)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단붐(116)을 구비한 굴절식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제 1단 붐(110)과 제 2단붐(116) 사이에 결합되는 제2유압실린더(114)의 양단이 제 1단붐(110) 및 제 2단붐(116)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힌지결합점(C), (D)에서 각각 힌지 결합하여, 상기 제 1단붐(110)과 제 2단 붐(116) 사이의 제 2유압실린더(114)의 신축운동에 따라 제 2단붐(116)이 회전축(B)를 중심으로 제 1단 붐의 상단과 하단으로 회전운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식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점(C)은 제 1단붐(110)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점(D)는 제 2단붐(116)에 부착된 제 2연결편(1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식 크레인.
  3. 삭제
  4. 삭제
  5. 제1유압실린더(108)의 피스톤 로드를 신장시켜 제 1단 붐(110)과 지지프레임(102)사이에 소정의 각을 형성하도록 제 1단붐(110)을 상승시키는 붐대 펴기 제 1단계;
    제2유압실린더(114)를 신장시켜 작업구(120)가 고임목 위쪽으로 오도록 제 2단붐(116)을 펼쳐주는 붐대 펴기 제 2단계;
    제2유압실린더(114)를 더 신장시켜 제 2단 붐(116)이 회전축(B)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끝부분의 작업구(120)는 하강하게 되어 고임목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붐대 펴기 제 3단계;
    제1유압실린더(108)를 신장시켜, 회전축(B)의 위치와 제2유압실린더(114)와 제 2단붐(116)의 힌지결합점(D) 및 제 1단붐(110)과 제2유압실린더(114)의 힌지결합점(C)이 동일선 상에 놓이게 하는 붐대 펴기 제 4단계; 및
    제1유압실린더(108)와 제2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로드를 더욱 신장시켜, 회전축(B)의 위치가 제2유압실린더(114)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보다 상부로 올라가게 하고, 제1유압실린더(108)의 피스톤로드는 계속 신장시키면서 제2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로드는 반대로 인입시켜 제 1단붐(110)과 제 2단붐(116)이 역 V자 형상으로 꺽이게 하는 붐대 펴기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붐대 펴기 과정; 및
    제1유압실린더(108)의 피스톤 로드를 인입시키면서 제2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로드는 신장시키는 붐대 접기 제 1단계;
    제 1단붐(110)과 제 2단붐(116)을 대체로 수평상태로 펴고, 크레인의 끝부분을 고임목 쪽으로 두는 붐대 접기 제 2단계;
    고임목에 크레인 붐대 끝부분의 작업구(1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108)를 피스톤로드를 인입시켜, 회전축(B)의 위치를 아래로 하강하게 하고, 제 1단붐(110)과 제 2단붐(116)은 V자 형상으로 꺽이도록 하는 붐대 접기 제 3단계;
    제2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로드를 인입시켜 제 2단붐(116)의 회전방향이 제 1단붐의 상부로 향하게 하고, 제1유압실린더(108)와 제2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로드를 최대로 인입하여, 제 1단붐(110)이 지지프레임(102) 위로, 제 2단붐(116)이 제 1단붐(110) 위로 완전히 접히는 봄대 접기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붐대 접기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식 크레인의 펴기 및 접기 방법.
KR1020050026350A 2005-03-30 2005-03-30 굴절식 크레인과 이를 이용한 펴기 및 접기 방법. KR100528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50A KR100528490B1 (ko) 2005-03-30 2005-03-30 굴절식 크레인과 이를 이용한 펴기 및 접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50A KR100528490B1 (ko) 2005-03-30 2005-03-30 굴절식 크레인과 이를 이용한 펴기 및 접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8490B1 true KR100528490B1 (ko) 2005-11-15

Family

ID=3730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350A KR100528490B1 (ko) 2005-03-30 2005-03-30 굴절식 크레인과 이를 이용한 펴기 및 접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4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680B1 (ko) 2011-11-17 2013-05-10 (주) 뉴텍 배수갑문 고정식 이물질 제거장치
CN110090379A (zh) * 2019-06-05 2019-08-06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臂架组件和消防车
CN114753774A (zh) * 2022-04-08 2022-07-15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凿岩台车及钻臂系统
CN116443745A (zh) * 2023-06-16 2023-07-18 杭州未名信科科技有限公司 塔吊系统及控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680B1 (ko) 2011-11-17 2013-05-10 (주) 뉴텍 배수갑문 고정식 이물질 제거장치
CN110090379A (zh) * 2019-06-05 2019-08-06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臂架组件和消防车
CN114753774A (zh) * 2022-04-08 2022-07-15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凿岩台车及钻臂系统
CN116443745A (zh) * 2023-06-16 2023-07-18 杭州未名信科科技有限公司 塔吊系统及控制方法
CN116443745B (zh) * 2023-06-16 2023-10-20 杭州未名信科科技有限公司 塔吊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376656U (zh) 折叠臂架及具有该臂架的登高消防车
KR100528490B1 (ko) 굴절식 크레인과 이를 이용한 펴기 및 접기 방법.
CN204572025U (zh) 用于采矿顶板的支撑系统和地下采矿的锚杆机
JP3313784B2 (ja) 建設機械の作業機装置
JP5869242B2 (ja) 高所作業車
JP2837555B2 (ja) 主ブームおよび副ブームから成る操作ブーム
JPH1171093A (ja) 塔型クレーン用折畳み/伸ばし広げ装置付き三要素式折畳み可能支柱
JP5774837B2 (ja) 分割式フロアプレートを備えた貨物積載用昇降装置
CN203699834U (zh) 臂架及高空作业车
JP3131617B2 (ja) 昇降装置
JP3767798B2 (ja) 貨物自動車用昇降装置
JP2024061474A (ja) アウトリガ装置、アウトリガ装置を用いた産業用機械の積み込み方法及び積み下ろし方法
JP2003306295A (ja) クレーンのジブを上昇させ且つマストを上昇及び折り畳む装置
JPH09227073A (ja) 移動式クレーン
JP4772191B2 (ja) 作業装置
CN216005020U (zh) 一种折叠臂架及工程机械
WO1989004894A1 (en) Working machine for construction vehicl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4098875B2 (ja) 自走式クレーン
JP6807733B2 (ja) 高所作業車
JPH0620795Y2 (ja) 高所作業車
KR200257577Y1 (ko) 굴삭기캐빈라이저의틸팅장치
JP4288023B2 (ja) 高所作業車
JPH106842A (ja) 車両用リフター
JP2006214160A (ja) ホイール式建設機械
JPS5853325Y2 (ja) 杭打機のブ−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