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200A -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200A
KR20210046200A KR1020190129678A KR20190129678A KR20210046200A KR 20210046200 A KR20210046200 A KR 20210046200A KR 1020190129678 A KR1020190129678 A KR 1020190129678A KR 20190129678 A KR20190129678 A KR 20190129678A KR 20210046200 A KR20210046200 A KR 2021004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rrow
folding
tracto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388B1 (ko
Inventor
김필수
Original Assignee
김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수 filed Critical 김필수
Priority to KR102019012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3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01B23/043Frames; Drawing-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01B19/04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with two or more tool-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베이터(B) 또는 장착유닛(C)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프레임(10); 상기 연결프레임(10)의 후방에 장착하는 중앙 써레날(20); 상기 중앙 써레날(20)의 양측에 접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외측 써레날(30); 로터베이터(B) 또는 장착유닛(C)의 상부 일측에 상기 중앙 써레날(2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는 실린더(40);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과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 사이에 절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절첩유닛(100);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절첩유닛(100)은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1지지구(110); 상기 제1지지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지지구(120);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3지지구(130); 상기 제2지지구(120)와 제3지지구(13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140);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3지지구(130)의 하부 또는 상기 제3지지구(130)의 선단에 형성하는 회동부재(131)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절첩부(140)를 강제로 꺾이도록 형성하는 절첩 유도부(15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무논의 평탄작업 과정에서 외측 써레날이 논두렁과 충돌하여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절첩유닛을 강제로 절첩시켜 중앙 써레날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중앙 써레날 및 절첩유닛의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절첩유닛에 이물질 및 흙이 쌓이더라도 강제로 절첩시켜 원활한 작동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Tractor harveste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 써레날이 수평방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절첩유닛이 강제로 꺾이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용 써레는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앙 써레날의 양측에 외측 써레날을 형성하여 상부로 접어서 이동 및 보관하고 반대로 수평으로 펼쳐서 무논의 평탄작업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또는 로터베이터의 일측에 설치하는 장착유닛과 상기 외측 써레날의 사이를 연결하는 절첩유닛을 포함하여 외측 써레날을 안정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접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칠 수 있는 절첩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써레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 및 충격으로 인해 상기 절첩유닛이 변형되고 이물질이 틈새에 쌓이면서 원활한 절첩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무논의 평탄작업 과정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외측 써레날이 논두렁과 충돌하거나 무논의 저항으로 후방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과정에서 상기 외측 써레날의 길이방향과 상기 절첩유닛의 길이방향이 서로 일치한 상태에서 중앙 써레날을 들어올릴 경우 상기 절첩유닛이 쉽게 절첩되지 않고 지지상태를 유지하므로 실린더가 작동하는 부하가 중앙 써레날 및 절첩유닛에 집중되어 파손 및 변형을 유발시키는 심각한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부하가 집중되는 중앙 써레날 및 절첩유닛이 쉽게 파손 및 변형되므로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중앙 써레날 및 절첩유닛이 파손 및 변형될 경우 무논의 균일한 평탄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구조상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7-0068804호(1997.11.0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7911호(2000.12.15.)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97807호(2004.11.18.)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65422호(2008.07.14.)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1110호(2013.07.16)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4626호(2014.12.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측 써레날이 수평방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절첩유닛을 강제로 꺾이도록 절첩시켜 중앙 써레날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 및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트랙터용 써레는,
로터베이터(B) 또는 장착유닛(C)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프레임(10); 상기 연결프레임(10)의 후방에 장착하는 중앙 써레날(20); 상기 중앙 써레날(20)의 양측에 접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외측 써레날(30); 로터베이터(B) 또는 장착유닛(C)의 상부 일측에 상기 중앙 써레날(2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는 실린더(40);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과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 사이에 절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절첩유닛(100);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절첩유닛(100)은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1지지구(110); 상기 제1지지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지지구(120);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3지지구(130); 상기 제2지지구(120)와 제3지지구(13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140);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3지지구(130)의 하부 또는 상기 제3지지구(130)의 선단에 형성하는 회동부재(131)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절첩부(140)를 강제로 꺾이도록 형성하는 절첩 유도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구(110)의 외측에 삽입하는 탄성체(111); 상기 제1지지구(110)의 전방에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과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는 받침부(31); 상기 제3지지구(130)의 선단에 상기 받침부(31)와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부재(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절첩부(140)는 일측에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와 결합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절첩축(141); 상기 절첩축(141)이 일측 또는 하부에 형성하는 절첩몸체(142); 상기 절첩몸체(142)의 하부에 상기 절첩축(141)을 중심으로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가 하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맞닿아 더는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정지부(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첩몸체(142)의 양측에 형성하는 지지턱(142a); 상기 제2지지구(120)의 일측에 상기 지지턱(142a)과 맞닿아 상기 제2지지구(120)가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턱(120a); 상기 제3지지구(130)의 일측에 상기 지지턱(142a)과 맞닿아 상기 제3지지구(130)가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턱(13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절첩 유도부(150)는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 또는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는 받침부(31)와 결합하되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후방으로 회전하는 위치까지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절첩 유도부(150)는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위치에서 후방으로 회전하는 위치까지 갈수록 점차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논의 평탄작업 과정에서 외측 써레날이 논두렁과 충돌하여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절첩유닛을 강제로 절첩시켜 중앙 써레날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중앙 써레날 및 절첩유닛의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절첩유닛에 이물질 및 흙이 쌓이더라도 강제로 절첩시켜 원활한 작동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트랙터용 써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트랙터용 써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절첩유닛 및 절첩 유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 트랙터용 써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트랙터용 써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트랙터용 써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절첩유닛 및 절첩 유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트랙터용 써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터베이터(B) 또는 장착유닛(C)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프레임(10); 상기 연결프레임(10)의 후방에 장착하는 중앙 써레날(20); 상기 중앙 써레날(20)의 양측에 접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외측 써레날(30); 로터베이터(B) 또는 장착유닛(C)의 상부 일측에 상기 중앙 써레날(2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는 실린더(40);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과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 사이에 절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절첩유닛(100);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절첩유닛(100)은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1지지구(110); 상기 제1지지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지지구(120);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3지지구(130); 상기 제2지지구(120)와 제3지지구(13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140);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3지지구(130)의 하부 또는 상기 제3지지구(130)의 선단에 형성하는 회동부재(131)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절첩부(140)를 강제로 꺾이도록 형성하는 절첩 유도부(15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연결프레임(1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 써레날(20)이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유도 및 지지한다.
참고로 상기 장착유닛(C)에 대한 구성 및 작동원리는 한국등록특허 제10-0398702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5187호 등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프레임(10)과 중앙 써레날(20)의 사이에 연결부재(11)를 포함하여 무논의 평탄작업 과정에서 상기 중앙 써레날(2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1)는 베어링은 물론 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써레날(20)과 외측 써레날(30)은 무논의 평탄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써레날(20)의 양측에 힌지부(21)를 형성하여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음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중심축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실린더(40)는 상기 중앙 써레날(20)과 외측 써레날(3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40)의 전방은 로터베이터(B) 또는 장착유닛(C)의 일측에 설치하고, 후방에 위치한 로드는 상기 중앙 써레날(20)과 연결하며, 트랙터(A)의 작동시 발생하는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첩유닛(100)은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무논의 평탄작업 과정에서 논두렁과 충돌하거나 또는 무논의 저항으로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절첩하여 파손 및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1지지구(110)의 전방에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과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부(112)는 축 또는 베어링 등을 포함하여 상기 제1지지구(110)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제1지지구(110)의 외측에 삽입하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111)를 포함하여 상기 중앙 써레날(20)과 외측 써레날(30)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1지지구(110)가 제2지지구(12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맞닿아 압축력을 발생하고, 반대로 상기 중앙 써레날(20)과 외측 써레날(30)을 하부방향으로 내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2지지구(120)가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구(120)는 상기 중앙 써레날(20)과 외측 써레날(3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지지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제1지지구(110)가 상기 제2지지구(120)의 내측으로 삽입하거나, 반대로 상기 제2지지구(120)가 상기 제1지지구(110)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지지구(130)는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는 받침부(31)와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지지구(130)의 선단에 상기 받침부(31)와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부재(131);를 포함하여 상기 중앙 써레날(20)과 외측 써레날(3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원활한 각도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131)는 링크볼 또는 베어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구(110), 제2지지구(120), 제3지지구(130)는 일정길이를 갖는 파이프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부(140)는 상기 제2지지구(120)와 제3지지구(130)의 사이에 형성하여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거나 꺾일 수 있는 절첩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절첩부(140)는 일측에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와 결합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절첩축(141); 상기 절첩축(141)이 일측 또는 하부에 형성하는 절첩몸체(142); 상기 절첩몸체(142)의 하부에 상기 절첩축(141)을 중심으로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가 하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맞닿아 더는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정지부(14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절첩축(141)은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가 서로 수평방향을 유지하거나 서로 꺾일 수 있도록 절첩시키기 위한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절첩축(14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하여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가 수평방향을 펼쳐지거나 하부방향으로 원활하게 꺾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첩몸체(142)의 양측에 형성하는 지지턱(142a); 상기 제2지지구(120)의 일측에 상기 지지턱(142a)과 맞닿아 상기 제2지지구(120)가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턱(120a); 상기 제3지지구(130)의 일측에 상기 지지턱(142a)과 맞닿아 상기 제3지지구(130)가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턱(130a);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턱(142a)과 받침턱(120a,130a)이 서로 맞닿게 되므로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가 서로 수평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턱(142a)과 받침턱(120a,130a)은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지부(143)는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가 상기 절첩축(141)을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꺾이면서 회전할 경우 더는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정지시켜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가 꺾인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가 쉽게 꺾이면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한편, 상기 절첩 유도부(150)는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3지지구(130) 또는 상기 회동부재(131)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절첩부(140)를 강제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절첩 유도부(150)는 무논의 평탄작업 과정에서 트랙터(A)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논두렁과 충돌하여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절첩부(140)를 강제로 꺾일 수 있도록 절첩시켜 상기 중앙 써레날(20) 및 절첩유닛(100)의 파손 및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첩 유도부(150)는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 또는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는 받침부(31)와 결합하되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후방으로 회전하는 위치까지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첩 유도부(150)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회전할 경우 상기 제3지지구(130) 또는 상기 회동부재(131)의 하부와 맞닿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반원 형상 또는 호 형상은 물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절첩 유도부(150)는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위치에서 후방으로 회전하는 위치까지 갈수록 점차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절첩 유도부(150)의 상부면이 상기 제3지지구(130) 또는 상기 회동부재(131)의 하부와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점차 상부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들어올려 상기 절첩부(140)를 강제로 꺾일 수 있도록 절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연결프레임 11: 연결부재
20: 중앙 써레날(중앙 써레판) 21: 힌지부
30: 외측 써레날(외측 써레판) 31: 받침부
40: 실린더
100: 절첩유닛 110: 제1지지구
111: 탄성체 112: 회동부
120: 제2지지구 120a: 받침턱
130: 제3지지구 130a: 받침턱
131: 회동부재
140: 절첩부 141: 절첩축
142: 절첩몸체 142a: 지지턱
143: 정지부
150: 절첩 유도부
A: 트랙터 B: 로터베이터
C: 장착유닛

Claims (7)

  1. 로터베이터(B) 또는 장착유닛(C)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프레임(10); 상기 연결프레임(10)의 후방에 장착하는 중앙 써레날(20); 상기 중앙 써레날(20)의 양측에 접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외측 써레날(30); 로터베이터(B) 또는 장착유닛(C)의 상부 일측에 상기 중앙 써레날(2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는 실린더(40);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과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 사이에 절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절첩유닛(100);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절첩유닛(100)은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1지지구(110); 상기 제1지지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지지구(120);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3지지구(130); 상기 제2지지구(120)와 제3지지구(130)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첩부(140);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3지지구(130)의 하부 또는 상기 제3지지구(130)의 선단에 형성하는 회동부재(131)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절첩부(140)를 강제로 꺾이도록 형성하는 절첩 유도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구(110)의 외측에 삽입하는 탄성체(111); 상기 제1지지구(110)의 전방에 상기 장착유닛(C) 또는 상기 실린더(40)의 일측과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는 받침부(31); 상기 제3지지구(130)의 선단에 상기 받침부(31)와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부재(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140)는 일측에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와 결합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절첩축(141); 상기 절첩축(141)이 일측 또는 하부에 형성하는 절첩몸체(142); 상기 절첩몸체(142)의 하부에 상기 절첩축(141)을 중심으로 상기 제2지지구(120) 및 제3지지구(130)가 하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맞닿아 더 이상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정지부(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첩몸체(142)의 양측에 형성하는 지지턱(142a); 상기 제2지지구(120)의 일측에 상기 지지턱(142a)과 맞닿아 상기 제2지지구(120)가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턱(120a); 상기 제3지지구(130)의 일측에 상기 지지턱(142a)과 맞닿아 상기 제3지지구(130)가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턱(13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첩 유도부(150)는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 또는 상기 외측 써레날(30)의 일측에 형성하는 받침부(31)와 결합하되 평면상태에서 보았을때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후방으로 회전하는 위치까지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첩 유도부(150)는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측 써레날(3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위치에서 후방으로 회전하는 위치까지 갈수록 점차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KR1020190129678A 2019-10-18 2019-10-18 트랙터용 써레 KR10232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678A KR102326388B1 (ko) 2019-10-18 2019-10-18 트랙터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678A KR102326388B1 (ko) 2019-10-18 2019-10-18 트랙터용 써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200A true KR20210046200A (ko) 2021-04-28
KR102326388B1 KR102326388B1 (ko) 2021-11-15

Family

ID=7572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678A KR102326388B1 (ko) 2019-10-18 2019-10-18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38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804A (ko) 1997-08-14 1997-11-07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207911Y1 (ko) 2000-07-28 2000-12-15 박병찬 접철형 써레
KR20030020191A (ko) * 2001-09-03 2003-03-08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40097807A (ko) 2003-05-13 2004-11-18 박기혁 트랙터용 써래장치
KR20080065422A (ko) 2007-01-09 2008-07-14 대호 (주)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KR20130081110A (ko) 2012-01-06 2013-07-16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KR20140144626A (ko) 2013-06-11 2014-12-19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KR101482550B1 (ko) * 2013-08-16 2015-01-19 대호 (주) 트랙터용 써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804A (ko) 1997-08-14 1997-11-07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207911Y1 (ko) 2000-07-28 2000-12-15 박병찬 접철형 써레
KR20030020191A (ko) * 2001-09-03 2003-03-08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40097807A (ko) 2003-05-13 2004-11-18 박기혁 트랙터용 써래장치
KR20080065422A (ko) 2007-01-09 2008-07-14 대호 (주)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KR20130081110A (ko) 2012-01-06 2013-07-16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KR20140144626A (ko) 2013-06-11 2014-12-19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KR101482550B1 (ko) * 2013-08-16 2015-01-19 대호 (주) 트랙터용 써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388B1 (ko) 202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74846B (zh) 手术显微镜用支架装置
KR20110049584A (ko) 트랙터용 써레
KR101472066B1 (ko) 트랙터용 써레
US10413460B2 (en) Wheelchair
KR20100019849A (ko) 트랙터용 써레
KR20210046200A (ko) 트랙터용 써레
JP6272914B2 (ja) パイル打ち込みガイド
JP6618092B1 (ja) 軌条走行機械の転倒防止装置および軌条走行機械の転倒防止機構
JP4874737B2 (ja) 多連ロータリーモアにおけるモアユニットの連結リンク装置
KR20010050027A (ko) 소형 경작기
KR102048338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160012770A (ko) 써레용 안전장치
KR101174808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100019848A (ko)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KR102034732B1 (ko) 트랙터용 써레
JP2019082058A (ja) エレクタ装置
JP5866184B2 (ja) ワーク支持台
JP6914829B2 (ja) 作業機のアーム
JP2009280344A (ja) クレーンのバックストップ構造
JP4804123B2 (ja) 作業車両の支持装置
WO2008105627A1 (en) Hand-operated foldable harrow
JP4148731B2 (ja) リフタ装置
JP2022001489A5 (ko)
JP5385030B2 (ja) 削孔機の姿勢制御装置
JP5905254B2 (ja) 杭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