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996B1 -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 Google Patents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996B1
KR100411996B1 KR10-2001-0070046A KR20010070046A KR100411996B1 KR 100411996 B1 KR100411996 B1 KR 100411996B1 KR 20010070046 A KR20010070046 A KR 20010070046A KR 100411996 B1 KR100411996 B1 KR 100411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link
plate
harrow plat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113A (ko
Inventor
홍덕화
Original Assignee
(주)광산엠.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산엠.티.시 filed Critical (주)광산엠.티.시
Priority to KR10-2001-007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9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절첩식 광폭써레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보조써레판(18)을 자동으로 접고 펼수 있으며, 써레판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절첩식 광폭써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보조써레판(18)의 접고 펴는 것을 링크기구의 당기고 미는 작용에 의해 작동되므로 보조써레판(18)이 트랙터의 전방으로 접혔을 때 고정이 완전하며, 펼 때에도 펴짐이 일정하여 보조써레판(18)이 갑자기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써레판의 전·후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써레판이 일정 각도 내에서 상·하 유동되도록 하여 트랙터의 롤링에 따른 써레판의 상·요동을 흡수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부프레임(13)의 상단을 로터리(11) 프레임 상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3)의 하단 중앙과 로터리(11) 연결폴(11b) 사이에는 유압실린더(12)를 연결하여 상·하 회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3)의 하단 중앙부에 종축(15)을 가진 회동브라켓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14)을 연결하되, 하부프레임(14)은 종축(15)을 지점으로 좌·우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14)의 전방에 중앙써레판(17)(17)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중앙써레판(17)(17)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의 보조써레판(18)이 절첩 가능하도록 하되, 접철 수단으로 링크기구를 이용하는 광폭 써레에 있어서,
상기의 접철수단은 상부프레임(13)의 상측에 회전링크(19)가 설치되며, 회전링크(19)의 하단에는 제1링크(20)가 힌지 결합되되 타단이 로터리(11) 측의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전링크(19)의 상단에는 제2링크(20a)가 힌지 결합되되 타단이 보조써레판(18)의 아암(18a)에 힌지 결합되어 지지축(17a)을 지점으로 보조써레판(18)이 절첩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14)은 가로프레임부재(14a)와, 그 좌·우 양측에 부착시키고 볼트구멍을 형성시킨 평판부재(14b)와, 좌·우 평판부재(14b)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채 각각의 회동축(14c)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한 한쌍의 체인연결부재(14d)로 구성하되, 상기 체인연결부재(14d)와 회전링크(19)의 인장체인(22) 연결공 사이에 인장체인(22)이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절첩식 광폭써레{WIDTH HARROW}
본 발명은 자동절첩식 광폭써레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보조써레판(18)을 자동으로 접고 펼수 있으며, 써레판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절첩식 광폭써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폭써레는 보조날개를 접고 펴는 방식에 수동식과 유압식이 있는데, 수동식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유압식은 조작은 편리하나 실린더 등의 유압장치에 논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고장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써레판(4)의 아암(5)과 유압실린더(2) 몸체의 상단의 일점을 연결하여 링크를(6) 설치하며, 이 링크는 파이프(9)에 삽입되는 로드(7)에 스프링(8)을 개재하고 상기스프링을 로드에 끼워진 핀으로 지지하여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2)를 수축시켜 써레판을 상승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의 로터리(1)측 힌지점(10)과 상부프레임(3)의 로터리측 힌지점(10a)의 편차로 인하여, 상기 링크(6)가 아암(5)을 밀어 보조써레판(4)을 특랙터 전방으로 회동되어 절첩된다. 그리고 보조써레판(4)이 스토퍼(9)에 이르면 보조써레판(4)의 아암(5)이 링크에 결합된 스프링의 반력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접철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2)를 이완시켜 써레판을 하강시키면 보조써레판(4)은 자중에 의해 펴지게 된다. 이때 링크(6)는 상기 아암(5)을 지지하여 일정한 속도로 펴지도록 구성된 자동 절첩식 광폭써레가 출원번호 10-1997-38771호(1997. 8. 14. 출원)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폭 써레는 다음과 같은 미비점이 있다.
첫째, 보조써레판(4)이 절첩된 상태에서 보조써레판의 고정이 완전치 못하다.
보조써레판(4)이 트랙터의 전방으로 완전히 절첩되어 스톱퍼(9)에 이르면 링크에 결합된 스프링의 반력에 의해 펴지지 않도록 가압되나, 특랙터의 롤링 등에 의한 충격시 스프링의 유격만큼 보조써레판(4)이 이완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되므로 연결 부품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둘째, 보조써레판(4)의 펴짐이 일정하지 않다.
유압실린더(2)를 이완시켜 써레판을 하강시키면 보조써레판(4)은 자중에 의해 펴지게 되며, 이때 링크가 아암(5) 부분을 지지하므로 보조써레판(4)을 일정속도로 펴지게 된다. 그러나 어느 정도 펴지면 갑자기 펴지므로 사고의 원인이 되며, 기계적으로도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보조써레판의 접고 펴는 것이 링크기구의 당기고 미는 작용에 의해 이행되므로 보조써레판이 트랙터의 전방으로 접혔을 때 고정이 완전하며, 펼 때에도 펴짐이 일정토록 하여 보조써레판이 갑자기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써레판의 전·후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써레판이 일정 각도 내에서 상·하 유동되도록 하여 트랙터의 롤링에 따른 써레판의 상·요동을 흡수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폭 써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광폭 써레의 작동상태도
도 3은 종래의 링크절을 이용한 트래터 상·하 요동 충격의 흡수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광폭 써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써레판의 상·하 유동구조를 보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보조써레판이 절첩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1 : 로터리 12 : 유압실린더
13 : 상부프레임 14 : 하부프레임
14a : 가로프레임부재 14b : 평판부재
14c : 회동축 14d : 체인연결부재
15 : 종축 16 : 회동브라켓
17 : 중앙써레판 18 : 보조써레판
19 : 회전링크 20 : 제1링크
20a : 제2링크 21 : 회전축지지구
22 : 인장체인 30 : 브라켓
30a : 장홀 31 : 링크절
50 : 스프링스토퍼 51 : 스프링지지간
100, 101 : 힌지점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광폭 써레는 상부프레임(13)의 상단을 로터리(11)측 프레임(11a) 상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3)의 하단 중앙과 로터리(11) 연결폴(11b) 사이에는 유압실린더(12)를 연결하여 상·하 회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3)의 하단 중앙부에 종축(15)을 가진 회동브라켓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14)을 연결하여 하부프레임(14)이 종축(15)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프레임(14)의 전방에 중앙써레판(17)을 연결하여, 상기 중앙써레판(17)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의 보조써레판(18)을 힌지로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데 상기의 구성들은 종래의 광폭써레와 대동소이하다.
본 발명의 보조써레판(18) 절첩구조는 도 4 및 도 5 에서 보듯이 상부프레임(13)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회전링크(19)가 설치되며, 회전링크(19)의 하단에는 제1링크(20)가 힌지 결합되되 타단이 로터리(11) 측의 브라켓(11b)에 힌지 결합되어 연동되며, 상기 회전링크(19)의 상단에는 제2링크(20a)가 힌지 결합되되 타단이 보조써레판(18)의 아암(18a)에 힌지 결합되어 지지축(17a)을 지점으로 보조써레판(18)이 절첩되는 것이다. 상기의 회전링크(19)는, 일측에 일체로 구성된 회전축(19a)이 상부프레임(13)에 고정 설치된 회전축 지지구(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제1 및 제2링크는 링크간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각 링크의 힌지점은 볼조인트 결합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써레판 각도 조절구조를 보면, 상기한 하부프레임(14)은 가로프레임부재(14a)와, 그 좌·우 양측에 부착시키고 볼트 구멍을 형성시킨 평판부재(14b)와, 좌·우 평판부재(14b)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채 각각의 회동축(14c)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한 한쌍의 체인 연결부재(14d)로 구성하되, 상기 체인 연결부재(14d)의 트랙터 쪽 단부에 인장체인(22)이 연결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인장체인(22)의 타단부는 회전링크(19)의 후측(트랙터 쪽이 전측임)의 돌부(19b)에 형성된 체인공에 결합되어 회전링크(19)의 회동에 따라 체인 연결부재(14d)가 연동되며, 이에 따라 체인 연결부재(14d)에 고정된 써레판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인장체인(22)은 길이 조절부재(미도시 되었음)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써레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써레판의 유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써레판의 유동구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체인(22)에 유격이 있도록 길이 조절부재(미도시 되었음)를 조정하면 하부프레임(14)의 회동축(14c)을 지점으로 써레판이 상·하로 유동할 수 있는 유격을 가지므로 트랙터의 롤링에 따른 써레판의 상·요동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보조써레판(18) 절첩구조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써레작업이 끝난 후 이동하기 위하여 보조써레판(18)을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12)를 수축시켜 써레판을 상승시키면, 제1링크(20)의 로터리(11)측 힌지점(100)과 상부프레임(13)의 로터리(11)측 힌지점(101)의 편차로 인하여, 제1링크(20)가 전방(트랙터 쪽)으로 당겨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회전링크(19)가 회전축(19a)을 지점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회전링크(19)에 결합된 제2링크(20a)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보조써레판(18)의 일측에 형성된 아암(18a)을 후방으로 밀으므로 보조써레판(18)이 지지축(17a)을 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절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크의 당기고 미는 힘에 의하여 보조써레판(18)이 절첩된 상태를 완전히 고정하므로 트랙터가 롤링을 하더라도 보조써레판(18)의 유동이 없다.
다음, 써레 작업을 위하여 보조써레판(18)을 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을 때와 반대로 작동되는 것이며, 이때에도 상기 링크의 당기고 미는 힘에 의하여 보조써레판(18)이 펴지므로 보조써레판(18)이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써레판 각도 조절구조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써레 작업을 위하여 보조써레판(18)을 펴고자 하는 경우 유압실린더(12)를 이완시켜 써레판을 하강시키면, 제1링크(2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회전링크(19)가 회전축(19a)을 지점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 회전링크(19)에 결합된 제2링크(20a)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보조써레판(18)의 일측에 형성된 아암(18a)을 전방으로 당기므로 보조써레판(18)이 지지축(17a)을 지점으로 하여 후방으로 펴지는 것이다. 이때 회전링크(19)의 후측 돌부(19b)에 결합된 인장체인(22)이 당겨지므로 써레판이 하부프레임(14)의 회동축(14c)을 지점으로 회동되어 써레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압실린더(12)의 이완을 조절하면 이와 연동되어 써레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써레판의 각도는 인장체인(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전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세팅되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써레판 유동구조의 작용관계를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래에는 도 2에서 보듯이 트랙터에 연결되는 로터리(11)측의 브라켓(30)에장홀(30a)을 구성하여 이 장홀 내에 유압실린더(12)의 핀(12a)이 결합되므로 특랙터의 상·하 요동시 써레판이 유격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 3 에서와 같이 트랙터측의 브라켓(30)과 유압실린더(12) 사이에 링크절(31)을 설치하여 특랙터가 상·하 요동하더라도 써레판은 일정 유격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써레판이 하강된 상태에서 인장체인(22)에 유격이 있도록 길이조절부재를 조절하면, 하부프레임(14)의 회동축(14c)을 지점으로 써레판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는 유격을 가지므로 트랙터가 상·하 요동되더라도 써레판은 상기의 상·하 회동할 수 있는 유격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링크기구의 밀고 당기는 힘에 의하여 보조써레판(18)을 접거나 펴는 구성이므로, 접거나 펴는 동작이 확실하여 보조써레판(18)이 절첩된 상태에서 약간의 유동도 없으며, 펼 때에도 보조써레판(18)이 갑자기 떨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펴지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인장체인(22)을 조절하여 써레판에 상·하 유격을 두면 트랙터가 상·하 요동하여도 써레판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12)의 이완을 조절하여 써레판의 각도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것이다.

Claims (2)

  1. 상부프레임(13)의 상단을 로터리 프레임(11a) 상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3)의 하단 중앙과 로터리 연결폴(11b) 사이에는 유압실린더(12)를 연결하여 상·하 회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3)의 하단 중앙부에 종축(15)을 가진 회동브라켓(16)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14)을 연결하되, 하부프레임(14)은 종축(15)을 지점으로 좌·우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14)의 전방에 중앙써레판(17)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중앙써레판(17)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의 보조써레판(18)이 절첩 가능하도록 하되, 접철 수단으로 링크기구를 이용하는 광폭 써레에 있어서,
    상기의 접철수단은 상부프레임(13)의 상측에 회전링크(19)가 설치되며, 회전링크(19)의 하단에는 제1링크(20)가 힌지 결합되되 타단이 로터리측의 브라켓(11b)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전링크(19)의 상단에는 제2링크(20a)가 힌지 결합되되 타단이 보조써레판의 아암(18a)에 힌지 결합되어 지지축(17a)을 지점으로 보조써레판(18)이 절첩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14)은 가로프레임부재(14a)와, 그 좌·우 양측에 부착시키고 볼트구멍을 형성시킨 평판부재(14b)와, 좌·우 평판부재(14b)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채 각각의 회동축(14c)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한 한쌍의 체인 연결부재(14d)로 구성하되, 상기 체인 연결부재(14d)와 회전링크(19)의 인장체인 연결공(19c) 사이에 인장체인(22)이 연결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링크(20), 제2링크(20a) 및 인장체인(22)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KR10-2001-0070046A 2001-11-12 2001-11-12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KR100411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046A KR100411996B1 (ko) 2001-11-12 2001-11-12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046A KR100411996B1 (ko) 2001-11-12 2001-11-12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113A KR20030039113A (ko) 2003-05-17
KR100411996B1 true KR100411996B1 (ko) 2003-12-24

Family

ID=2956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046A KR100411996B1 (ko) 2001-11-12 2001-11-12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9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40B1 (ko) * 2009-07-27 2012-03-28 오대석 써레 절첩장치
KR101150298B1 (ko) 2010-07-14 2012-06-12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508A (ko) * 2003-01-23 2004-07-30 선광주 트랙터용 써래
KR100836601B1 (ko) * 2007-02-28 2008-06-10 대호 (주) 수동식 접철써레
KR100836587B1 (ko) * 2007-03-14 2008-06-10 대호 (주)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303A (ja) * 1993-05-28 1994-12-06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の整地装置
JPH09191708A (ja) * 1996-01-23 1997-07-29 Kobashi Kogyo Co Ltd 代掻ハローのサイドレベラー起倒装置
JPH1098909A (ja) * 1996-09-30 1998-04-21 Kobashi Kogyo Co Ltd 農作業機のサイドレベラー起倒装置
KR200221951Y1 (ko) * 2000-11-24 2001-04-16 유성수 절첩식 써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303A (ja) * 1993-05-28 1994-12-06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の整地装置
JPH09191708A (ja) * 1996-01-23 1997-07-29 Kobashi Kogyo Co Ltd 代掻ハローのサイドレベラー起倒装置
JPH1098909A (ja) * 1996-09-30 1998-04-21 Kobashi Kogyo Co Ltd 農作業機のサイドレベラー起倒装置
KR200221951Y1 (ko) * 2000-11-24 2001-04-16 유성수 절첩식 써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40B1 (ko) * 2009-07-27 2012-03-28 오대석 써레 절첩장치
KR101150298B1 (ko) 2010-07-14 2012-06-12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113A (ko) 200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8327A (en) Wingfold configuration
US4878545A (en) Agricultural implement with foldable wing
CA2538941C (en) Field marker for agricultural implement
US4178998A (en) Folding mechanism for a multiple section agricultural implement
KR100411996B1 (ko)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KR100701920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100398597B1 (ko)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CA1052168A (en) Lift arrangement for wing of a foldup implement
KR970068804A (ko) 트랙터용 써레
KR100390696B1 (ko) 절첩식 써레장치
KR200278603Y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836587B1 (ko)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US2793577A (en) Tractor-attached tool bar-support mechanism
KR200215739Y1 (ko) 로타베이터 장착용 써레
KR100888414B1 (ko) 자동 수평 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AU2718900A (en) Adjustable linkage
CN216976394U (zh) 一种三脚架的角度控制结构
KR102500697B1 (ko) 써레용 절첩장치
KR200254664Y1 (ko) 트랙터용 써레
CN215957077U (zh) 一种旋耕机用折叠开沟装置
KR100701921B1 (ko)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
KR200410355Y1 (ko) 트랙터용 써레
KR200221951Y1 (ko) 절첩식 써레
KR20190129597A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SU546310A1 (ru) Механизм навески тракторного плуг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