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597A -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597A
KR20190129597A KR1020180054482A KR20180054482A KR20190129597A KR 20190129597 A KR20190129597 A KR 20190129597A KR 1020180054482 A KR1020180054482 A KR 1020180054482A KR 20180054482 A KR20180054482 A KR 20180054482A KR 20190129597 A KR20190129597 A KR 20190129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tor
link
expansion plate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9597A/ko
Publication of KR2019012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20Special adjusting means for tools of ploughs drawn by, or mounted on tractors working on hillsides or slo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확장판을 자동으로 접힘동작 또는 펼침동작시킬 수 있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트랙터의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하측에 다수의 경운날이 설치된 로터베이터 본체(100)와,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의 후단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설치된 커버(20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의 하부 양측에는 커버(200)의 양측으로 밀려나오는 흙을 눌러주도록 각각 힌지축(350)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확장판(300)이 설치되고,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는 각각의 확장판(300)을 접힘동작 또는 펼침동작시키도록 확장판회동수단(400)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확장판회동수단(400)은 상기 확장판(300)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과,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 로터베이터의 좌우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작동링크(420)와, 상기 작동링크(42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링크연결용 브라켓(410)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430a,430b)과,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의 중간이상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링크(420)에 연결수단(460)을 매개로 연결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420)를 좌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동작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440)와, 상기 작동링크(420)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 설치되는 링크지지용 브라켓(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트랙터용 로터베이터{Rotavator for tractor}
본 발명은 커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확장판을 자동으로 접힘동작 또는 펼침동작시키도록 한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이나 밭의 바닥을 갈아엎어 흙을 잘게 부수는데 사용하는 로터베이터는 트랙터의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로터베이터 본체가 연결되는 것이고, 로터베이터 본체의 내부 하측에는 다수개의 경운날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운날은 트랙터의 변속기에 장착된 PTO축에 연결되어 엔진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로터베이터 본체의 후단에는 논이나 밭의 바닥을 갈아엎을 경우 굴곡이 없는 평탄한 상태를 만들기 위해 커버가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 양측 단부에는 별도로 확장판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확장판은 로터베이터를 이용한 경운과정에서 로터베이터의 측면방향으로 밀려나가는 흙을 눌러 평탄화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커버의 외표면에 접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상기 확장판은 수동으로 접힘동작과 펼침동작되도록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확장판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확장판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는 방식은 사용시마다 작업자가 직접 확장판을 접거나 펼쳐야 함에 따라 번거롭고 불편하며, 특히 작업중 확장판이 논두렁 등에 부딪혀 접혀진 경우에는 트랙터 운전자가 트랙터에서 내려와 직접 다시 펼쳐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린더를 이용하여 확장판을 펼쳐 사용하는 방식은 수동방식에 비해 간편하기는 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가 커버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실린더의 로드에 흙이나 물이 접촉되고 심한 경우에는 실린더관과 로드 사이를 통해 실리더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트랙터의 유압장치에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실린더가 커버의 회전축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커버의 후단부에 설치됨에 따라 커버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커버가 논이나 밭의 바닥을 더욱 무겁게 가압하게 됨으로써 경운 후 파쇄된 흙이 커버의 양측을 통해 바깥으로 밀려나가게 되어 바닥면의 평탄화작업이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07060호(2000,04,25, 트랙터부착용 로터리의 정지기 구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실린더가 로터베이터 본체 또는 커버의 중간이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커버가 지나치게 무겁지 않아 경운 후 파쇄된 흙을 심하게 가압하지 않게 되고, 유압실린더가 흙과 물에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유압실린더 또는 트랙터 본체의 유압장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트랙터용 로터베이터는 트랙터의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하측에 다수의 경운날이 설치된 로터베이터 본체(100)와,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의 후단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설치된 커버(20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의 하부 양측에는 커버(200)의 양측으로 밀려나오는 흙을 눌러주도록 각각 힌지축(350)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확장판(300)이 설치되고,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는 각각의 확장판(300)을 접힘동작 또는 펼침동작시키도록 확장판회동수단(400)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확장판회동수단(400)은 상기 확장판(300)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과,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 로터베이터의 좌우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작동링크(420)와, 상기 작동링크(42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링크연결용 브라켓(410)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430a,430b)과,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의 중간이상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링크(420)에 연결수단(460)을 매개로 연결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420)를 좌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동작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440)와, 상기 작동링크(420)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 설치되는 링크지지용 브라켓(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연결브라켓(430a)은 양단부에 각각 제1결합홀(431)과 제2결합홀(432)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힌지축(350)에 관통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는 일정길이의 금속편이며, 상기 제1결합홀(431)에 상기 작동링크(420)의 일단부가 제1고정축(425)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홀(432)이 일측의 확장판에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제2고정축(426)으로 결합되며, 2개의 연결브라켓 중 다른 하나의 연결브라켓(430b)은 일단부가 상기 작동링크(420)의 타단부와 제3고정축(427)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타측의 확장판에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제4고정축(428)으로 결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신축동작에 따라 각각의 상기 확장판(300)이 모두 접힘동작 또는 펼침동작되어 진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 따르면, 유압실린더가 로터베이터 본체 또는 커버의 중간이상의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커버가 지나치게 무겁지 않게 되어 파쇄된 흙을 심하게 가압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바닥면을 깔끔하게 평탄화시킬 수 있게 되고, 유압실린더가 흙과 물에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유압실린더 또는 트랙터 본체의 유압장치 고장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트랙터용 로터베이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서 커버에서 확장판을 분리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커버의 일부를 절개한 로터베이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서 확장판회동수단을 보인 발췌도,
도 8a는 도 7에서 오른쪽 확장판과 연결되는 확장판회동수단의 분해도,
도 8b는 도 7에서 왼쪽 확장판과 연결되는 확장판회동수단의 분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서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서 확장판이 대략 90도로 접혀진 상태도,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서 확장판이 커버의 표면에 접혀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판회동수단에서 다른 실시예의 연결수단을 보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는 트랙터의 후방에 3점링크로 연결되는 것으로, 유압장치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는 로터베이터 본체(100)와,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의 후단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설치된 커버(200)와, 커버(200)의 하부 양측에 커버(200)의 양측으로 밀려나오는 흙을 눌러주도록 각각 힌지축(350)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확장판(300)과,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 설치되어 각각의 확장판(300)을 접힘동작 또는 펼침동작시키기 위한 확장판회동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의 내부 하측에는 트랙터의 엔진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경운축(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운축(110)에는 논이나 밭을 갈아엎어 파쇄하도록 다수의 경운날(11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에 상측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게 설치되는 것이고, 하강제한수단(120)에 의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하강제한수단(120)은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와 커버(200) 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로터베이터 본체(100)와 커버(200)에 각각 브라켓을 설치하고 그 브라켓에 연결되게 로드나 사슬 또는 와이어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200)의 하강이 제한되게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실시예로서 로터베이터 본체(100)와 커버(200)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각각의 브라켓에 로드를 연결하였으며, 로드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스프링을 끼워 완충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확장판(300)은 후방으로 회동되어져 커버(200)의 표면으로 접혀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확장판(300)을 접거나 펼치기 위해 상기 확장판회동수단(4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확장판회동수단(400)은 상기 확장판(300)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과,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 로터베이터의 좌우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작동링크(420)와, 상기 작동링크(42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링크연결용 브라켓(410)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430a,430b)과,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의 중간이상의 위치에 형성된 브라켓에 볼트 또는 핀으로 결합되고 상기 작동링크(420)에 연결수단(460)을 매개로 연결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420)를 좌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동작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440)와, 상기 작동링크(420)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 설치되는 링크지지용 브라켓(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작동링크(420)는 커버(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440)는 커버(200)의 상측 중앙부에 브라켓에 고정된 채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확장판(300)은 커버(200)의 외측으로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커버(200)의 표면에 접어 놓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압실린더(440)를 작동시켜 작동링크(420)를 수평이동시킴으로써 연결브라켓(430a,430b)으로 연결된 확장판(300)을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접어지게 하면 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440)는 커버(200)의 중간이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흙이나 물에 접촉되지 않아 고장발생이 방지되고, 나아가 트랙터의 유압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높이는 중간 이상의 위치에 설치하되 첨부된 도면과 같이 커버의 상측에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더욱이, 상기 유압실린더(440)가 커버(200)의 하중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게 됨으로써 커버가 지나치게 무거워짐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문제(경운 후 파쇄된 흙을 심하게 가압하게 됨)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작동을 통해 확장판(300)을 원활히 접거나 펼치기 위해, 상기 작동링크(42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브라켓(430a,430b)은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2개의 연결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연결브라켓(430a)은 양단부에 각각 제1결합홀(431)과 제2결합홀(432)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힌지축(350)에 관통되어 회전되게 일정길이로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제1결합홀(431)에 상기 작동링크(420)의 일단부가 제1고정축(425)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홀(432)이 일측의 확장판에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제2고정축(426)으로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2개의 연결브라켓 중 다른 하나의 연결브라켓(430b)은 일단부가 상기 작동링크(420)의 타단부와 제3고정축(427)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타측의 확장판에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제4고정축(428)으로 결합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420)와 연결된 연결브라켓(430a,430b)이 각기 다른 원리로 동작되면서 커버(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확장판(300)을 모두 접힘동작시키거나 펼침동작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확장판의 동작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9a는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이 상태에서는 유압실린더(440)의 로드가 인출되어 있다.
도 9a와 같이 펼쳐진 확장판을 접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440)를 작동시켜 로드를 인입시키게 되면, 로드에 연결수단(460)으로 연결된 작동링크(420)가 로드와 함께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작동링크(420)의 이동으로 인해 일측의 확장판에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브라켓(430a)은 작동링크(420)에 의해 밀려나가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확장판을 회동시켜 대략 90도 정도로 접어지게 하고, 타측의 확장판에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브라켓(430b)은 작동링크(420)에 의해 잡아당겨지면서 확장판을 회동시켜 대략 90도 정도로 접어지게 하는 것이다.(도 9b 참조)
한편, 확장판(300)이 커버(200)에 대략 90도 정도 접어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더 회동되면서 180도 접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형성된 홀은 장홀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호형으로 형성되게 한다.(도 9c 참조)
따라서, 상기 확장판(300)이 후방으로 90도 이상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축(426)과 제4고정축(428)이 각각 상기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형성된 장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확장판(300)이 180도로 접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확장판(300)이 180도 접어진 상태에서 펼치고자 하는 경우에도 대략 90도 이상 펼쳐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고정축(426)과 제4고정축(428)이 각각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형성된 장홀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확장판을 펼침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링크(420)는 수평이동동작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브라켓(430a)은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확장판(300)의 접힘동작 또는 펼침동작시 원활히 동작되지 않고 부품의 파손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브라켓(430a)에 형성된 제1결합홀(431)은 상기 작동링크(420)의 수평이동시 제1고정축(425)이 홀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브라켓(43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홀로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판(300)이 90도 접어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동되면서 180도 접어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접힘상태 또는 펼침상태가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도록 인장스프링(5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500)은 상기 커버(200)와 확장판(30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확장판(30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인장스프링(500)의 고정을 위해 상기 확장판(300)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연결부(510)의 위치는 상기 힌지축(350)의 위치보다 커버(200)의 표면에서 더 가까운 위치에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확장판의 접힘상태와 펼침상태에서 모두 확장판(3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9c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수단(460)의 일 실시예로서, 일단부가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로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동링크(420)에 고정되는 연결편으로 구성된 것을 적용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유압실린더(440)의 로드 인입시 상기 작동링크(420)도 로드의 인입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연결편을 매개로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로드와 상기 작동링크(420)가 동일선상에서 연결되게 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연결편이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로드와 상기 작동링크(42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수단(46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일단부가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로드에 힌지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동링크(420)에 힌지연결되며 중간부분이 커버(200)에 설치된 회동축브라켓(466)에 회동축(465)으로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신축동작에 따라 회동축(465)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연결링크로 구성된 것을 적용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유압실린더(440)의 로드 인입시 상기 작동링크(420)는 로드의 인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로드 인입시 상기 확장판(300)이 모두 접힘동작 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된 상기 연결브라켓(430a, 430b)의 위치를 서로 반대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작동링크(420)의 타단부 하측 또는 커버(200)의 일측에는 상기 제3고정축(427)으로 결합되는 연결브라켓(430b)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강제한스토퍼(421)가 형성된다.
상기 하강제한스토퍼(421)는 상기 확장판(300)을 접거나 펼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브라켓(430b)의 상방회동을 자유롭게 하면서 하방회동을 제한하여 확장판(30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흔들림없이 회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축(350)으로 결합되어 회동되게 설치되는 확장판(300)은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후방으로만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제한스토퍼(310)에 의해 전방회동이 제한된다.
상기 회동제한스토퍼(310)는 상기 확장판(300)의 내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커버(200)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확장판(300)이 전방으로 더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회동제한스토퍼(310)는 확장판(300)이 상기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후방으로만 회동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구성이기는 하나, 확장판(300)의 일측에 별도로 전방회동안내수단(320)을 구비하여 확장판의 전방회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전방회동안내수단(32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이 형성된 측판과 이 측판에 연결되어 파쇄된 흙을 가압하는 가압판을 서로 분리하고, 측판과 가압판을 별도의 보조힌지축으로 힌지연결한 후 보조힌지축에 토션스프링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가압판이 측판에 대해 전방회동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200)는 하나의 판체로 형성되거나 첨부 도면과 같이 2개의 판체(상부커버, 하부커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210)는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에 상단이 상부힌지축(215)으로 힌지결합되게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하부커버(220)는 상기 상부커버(210)의 하단에 상단이 하부힌지축(225)으로 힌지결합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200)가 하나의 판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확장판(300)이 커버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커버(200)가 2개의 판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하부커버(220)의 양측에 확장판(30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200)가 상부커버(210)과 하부커버(220)로 분리되어 구성된 경우에는 트랙터의 후진이동과정에서 운전미숙이나 부주의로 인해 논이나 밭의 바닥에 상기 커버(200)가 박히는 경우에 상기 하부커버(220)가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완충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커버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200)가 2개의 판체로 형성된 경우에 상기 작동링크(420)는 상기 하부힌지축(225)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커버(200)가 논이나 밭의 바닥에 박히는 경우에 상기 하부커버(220)의 하부가 충격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더라도 상기 작동링크(420)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의 신축동작으로 확장판을 접거나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트랙터 운전자가 경운작업 중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유압실린더를 로터베이터 본체나 커버의 중간이상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커버가 지나치게 무거워지는 것이 방지되어 파쇄된 흙을 심하게 가압하지 않아 평탄화작업시 효율이 높아짐은 물론 흙과 물이 접촉되지 않아 유압실린더나 트랙터 유압장치의 고장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로터베이터 본체 110: 경운축
111: 경운날 120: 하강제한수단
200: 커버 210: 상부커버
215: 상부힌지축 220: 하부커버
225: 하부힌지축 300: 확장판
310: 회동제한스토퍼 320: 전방회동안내수단
350: 힌지축 400: 확장판회동수단
410: 링크연결용 브라켓 420: 작동링크
421: 하강제한스토퍼 425: 제1고정축
426: 제2고정축 427: 제3고정축
428: 제4고정축 430a, 430b: 연결브라켓
431: 제1결합홀 432: 제2결합홀
440: 유압실린더 450: 링크지지용 브라켓
460: 연결수단 465: 회동축
466: 회동축브라켓 500: 인장스프링
510: 스프링연결부

Claims (8)

  1. 트랙터의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하측에 다수의 경운날이 설치된 로터베이터 본체(100)와,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의 후단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설치된 커버(20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의 하부 양측에는 커버(200)의 양측으로 밀려나오는 흙을 눌러주도록 각각 힌지축(350)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확장판(300)이 설치되고,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는 각각의 확장판(300)을 접힘동작 또는 펼침동작시키도록 확장판회동수단(400)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확장판회동수단(400)은 상기 확장판(300)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과,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 로터베이터의 좌우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작동링크(420)와, 상기 작동링크(42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링크연결용 브라켓(410)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430a,430b)과,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의 중간이상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링크(420)에 연결수단(460)을 매개로 연결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420)를 좌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동작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440)와, 상기 작동링크(420)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 설치되는 링크지지용 브라켓(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연결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연결브라켓(430a)은 양단부에 각각 제1결합홀(431)과 제2결합홀(432)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힌지축(350)에 관통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홀(431)에 상기 작동링크(420)의 일단부가 제1고정축(425)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홀(432)이 일측의 확장판에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제2고정축(426)으로 결합되며,
    2개의 연결브라켓 중 다른 하나의 연결브라켓(430b)은 일단부가 상기 작동링크(420)의 타단부와 제3고정축(427)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타측의 확장판에 형성된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제4고정축(428)으로 결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신축동작에 따라 각각의 상기 확장판(300)이 모두 접힘동작 또는 펼침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홀(431)은 상기 확장판(300)의 접힘동작 또는 펼침동작과정에서 상기 제1고정축(425)이 홀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브라켓(43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링크(420)의 타단부 하측 또는 상기 커버(200)의 일측에는 상기 제3고정축(427)으로 결합되는 연결브라켓(430b)이 수평상태에서 상방회동은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하방회동이 제한되도록 하강제한스토퍼(4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축(426) 또는 제4고정축(428)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형성된 홀은 호형의 장홀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판(300)이 후방으로 90도 이상 접어지거나 펼쳐진 경우에 상기 제2고정축(426) 또는 제4고정축(428)이 상기 링크연결용 브라켓(410)에 형성된 장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확장판(300)이 180도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와 확장판(300)에는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확장판(300)의 접힘상태 또는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인장스프링(500)이 설치되고,
    상기 확장판(300)의 내측면 일측에는 상기 커버(200)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확장판(300)이 더이상 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회동제한스토퍼(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60)은 일단부가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로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동링크(420)에 고정되는 연결편으로 구성되거나, 일단부가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로드에 힌지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동링크(420)에 힌지연결되며 중간부분이 커버(200) 또는 커버에 결합된 회동축브라켓(466)에 회동축(465)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440)의 신축동작에 따라 회동축(465)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연결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8. 제1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로터베이터 본체(100)에 상단이 상부힌지축(215)으로 힌지결합되는 상부커버(210)와, 상기 상부커버(210)의 하단에 상단이 하부힌지축(225)으로 힌지결합되는 하부커버(220)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링크(420)는, 상기 하부커버(220)의 하부가 외부충격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하부힌지축(225)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1020180054482A 2018-05-11 2018-05-11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20190129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482A KR20190129597A (ko) 2018-05-11 2018-05-11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482A KR20190129597A (ko) 2018-05-11 2018-05-11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597A true KR20190129597A (ko) 2019-11-20

Family

ID=6872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482A KR20190129597A (ko) 2018-05-11 2018-05-11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95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060A (ko) 1999-11-23 2000-02-07 이상현 가정용 방진 무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060A (ko) 1999-11-23 2000-02-07 이상현 가정용 방진 무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8327A (en) Wingfold configuration
US4355689A (en) Flexible wing implement with universal hinges and selective locking structure associated with wings thereof
JP2008528017A (ja) 改良した展開及び折畳み装置を備えている草刈機
KR101010232B1 (ko)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KR20190129597A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US9763378B2 (en) Winged agricultural implement
KR100390696B1 (ko) 절첩식 써레장치
KR100451135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860338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무논 정지기
US9986672B2 (en) Land roller
JP3486250B2 (ja) クラッチ装置
KR20010025718A (ko) 보조날개 절첩식 광폭써레
KR20190142615A (ko) 트랙터용 써레
KR200278600Y1 (ko) 이단 굴절이 가능한 확장써레
KR102112992B1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200278603Y1 (ko) 트랙터용 써레
KR102050742B1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100411996B1 (ko)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KR102472819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자동 접이장치
KR200230285Y1 (ko) 트랙터용 써레
CN220422387U (zh) 一种可折叠压膜覆土器
JP2019110774A (ja) 農作業機
JP5225943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KR100452184B1 (ko) 로터리용 써레
KR200238518Y1 (ko) 트랙터용 써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