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232B1 -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232B1
KR101010232B1 KR1020080078581A KR20080078581A KR101010232B1 KR 101010232 B1 KR101010232 B1 KR 101010232B1 KR 1020080078581 A KR1020080078581 A KR 1020080078581A KR 20080078581 A KR20080078581 A KR 20080078581A KR 101010232 B1 KR101010232 B1 KR 10101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auxiliary
guide shaft
stopper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847A (ko
Inventor
김필수
Original Assignee
김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수 filed Critical 김필수
Priority to KR102008007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2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1/00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 A01B61/04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nnection between tools and carrier beam or frame
    • A01B61/044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nnection between tools and carrier beam or frame the connection enabling a yielding pivoting movement around a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transverse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써레(110)와; 상기 중앙 써레(110)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111)을 매개로 절첩되는 한 쌍의 보조 써레(120)와; 상기 중앙 써레(110)의 양단에 설치되는 스톱퍼(140)와; 상기 보조 써레(120)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121)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축(150)과; 상기 가이드축(150)의 선단에 구비된 힌지축(170)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140)와 맞닿아 지지되는 지지판(160)과; 상기 가이드축(150)의 후단에 결합되는 고정구(190)와; 상기 가이드축(150)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보조 써레(120)와 고정구(190)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0)을 포함하는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보조 써레에 과부하가 집중되면 자연스럽게 회동하여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 기존에 사용중인 써레를 전체적으로 개조 및 변형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은 물론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Figure R1020080078581
써레, 보조 써레, 절첩, 회동, 스프링, 안전, 손상, 방지

Description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support harrow}
본 발명은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논의 평탄작업에서 장애물과의 충돌로 발생하는 보조 써레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레는 로터베이터의 후방에 설치되어 무논의 평탄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써레는 중앙 써레와 상기 중앙 써레의 양측에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보조 써레로 구성되어 평소에는 상기 보조 써레가 접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무논의 평탄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양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무논의 평탄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보조 써레에 과부하가 집중되거나 또는 장애물(돌 또는 논두렁)과 부딪칠 경우에 쉽게 변형(휘어짐)되거나 손상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로터 리에 결합되는 유압실린더와 써레장착대와, 거상대으로 연결되는 중앙써레날과 보조써레날과, 써레장착대와 중앙써레날을 연결하기 위한 써레결합구, 연결봉, 써레연결구로 구성되어진 써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레결합구와 써레연결구 사이에 회전판을 회동 가능토록 결합하고, 상기 거상대 상단에 안전판을 회동 가능토록 결합하여 구성되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238344호 "안전장치를 갖는 절첩식 써레"가 안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장치를 갖는 절첩식 써레"는 보조써레날에 과부하가 집중되면 안전핀이 절단되어 보조써레날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나, 이는 절단된 안전핀을 새로운 안전핀으로 교체하기 전까지는 보조써레날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안전장치를 갖는 절첩식 써레"는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안전핀의 교체비용이 가중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안전장치를 갖는 절첩식 써레"는 안전핀이 절단될 때까지는 보조써레날에 과부하가 집중되므로 이로 인해 보조써레날의 내구성이 저하됨은 물론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논의 평탄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장애물과 충돌하여 보조 써레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에 자연스럽게 회동하여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중앙 써레(110)와; 상기 중앙 써레(110)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111)을 매개로 절첩되는 한 쌍의 보조 써레(120)와; 상기 중앙 써레(110)의 양단에 설치되는 스톱퍼(140)와; 상기 보조 써레(120)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121)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축(150)과; 상기 가이드축(150)의 선단에 구비된 힌지축(170)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140)와 맞닿아 지지되는 지지판(160)과; 상기 가이드축(150)의 후단에 결합되는 고정구(190)와; 상기 가이드축(150)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보조 써레(120)와 고정구(190)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조 써레에 과부하가 집중되면 자연스럽게 회동하여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 기존에 사용중인 써레를 전체적으로 개조 및 변형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은 물론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 써레(120)의 절첩 방법 및 작동수단은 당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톱퍼(140)는 상기 지지판(160)과 맞닿아 상기 보조 써레(12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논의 평탄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스톱퍼(140)는 체결구(143)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써레(110)의 양단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스톱퍼(140)의 일측에는 장공(142)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160)과의 맞닿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톱퍼(14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톱퍼(140)의 선단에는 걸림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지지판(160)과 맞닿는 면적을 증대시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써레(120)가 장애물과 충돌할 경우에 상기 힌지축(17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지지판(160)이 상기 걸림돌기(141)의 하부와 맞닿아 작업자가 조작하기 전까지는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41)는 상기 지지판(160)의 하부 또는 상부와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140)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축(150)은 상기 지지판(160)이 상기 스톱퍼(140)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공(112,121)은 상기 가이드축(150)의 규격(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축(150)이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판(1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140)와 맞닿은 상태로 무논의 평탄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써레(12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180)은 상기 보조 써레(120)와 고정구(190)의 사이에서 압축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지지판(160)이 상기 스톱퍼(140)와 맞닿게 된다.
즉, 평소에 상기 스프링(180)이 압축복원력으로 상기 고정구(190)를 하부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지지판(160)이 상기 보조 써레(120)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140)와 맞닿아 지지하여 상기 보조 써레(12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180)은 압축스프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써레(120)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상기 스프링(180)이 압축복원력을 초과하는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보조 써레(120)가 하부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160)이 상기 힌지축(17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스톱퍼(140)와 맞닿는 일측이 들어 올려져 지지상태가 해제되므로, 결국 상기 보조 써레(120)가 변형 및 손상되기 전에 자연스럽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써레(120)를 다시 펼쳐진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 상기 보조 써레(120)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141)의 하부와 맞닿은 상기 지지판(160)이 상기 힌지축(170)을 중심으로 내려지면서 상기 보조 써레(120)가 다시 펼쳐진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환경에 따라서 설치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베이터(A)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B)와 한 쌍의 연결프레임(C)의 선단에 상기 중앙 써레(110)를 설치하여 무논의 평탄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 -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 및 도 5 -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9 -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10 -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110: 중앙 써레 111: 힌지축
112: 통공
120: 보조 써레 121: 통공
140: 스톱퍼 141: 걸림돌기
142: 장공 143: 체결구
150: 가이드축 160: 지지판
170: 힌지축 180: 스프링
190: 고정구
A: 로터베이터 B: 유압실린더
C: 연결프레임

Claims (3)

  1. 중앙 써레(110)와; 상기 중앙 써레(110)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111)을 매개로 절첩되는 한 쌍의 보조 써레(120)와; 상기 중앙 써레(110)의 양단에 설치되는 스톱퍼(140)와; 상기 보조 써레(120)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121)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축(150)과; 상기 가이드축(150)의 선단에 구비된 힌지축(170)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140)와 맞닿아 지지되는 지지판(160)과; 상기 가이드축(150)의 후단에 결합되는 고정구(190)와; 상기 가이드축(150)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보조 써레(120)와 고정구(190)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2. 중앙 써레(110)와; 상기 중앙 써레(110)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111)을 매개로 절첩되는 한 쌍의 보조 써레(120)와; 상기 보조 써레(120)의 내측에 설치하되 선단에 걸림돌기(141)가 구비되는 스톱퍼(140)와; 상기 중앙 써레(110)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112)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축(150)과; 상기 가이드축(150)의 선단에 구비된 힌지축(170)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140)와 맞닿아 지지되는 지지판(160)과; 상기 가이드축(150)의 후단에 결합되는 고정구(190)와; 상기 가이드축(150)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중앙 써레(110)와 고정구(190)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140)의 선단에는 걸림돌기(141)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장공(1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KR1020080078581A 2008-08-11 2008-08-11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KR10101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581A KR101010232B1 (ko) 2008-08-11 2008-08-11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581A KR101010232B1 (ko) 2008-08-11 2008-08-11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847A KR20100019847A (ko) 2010-02-19
KR101010232B1 true KR101010232B1 (ko) 2011-01-24

Family

ID=4209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581A KR101010232B1 (ko) 2008-08-11 2008-08-11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2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770A (ko) 2014-07-25 2016-02-03 김경수 써레용 안전장치
KR20190016847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20190016848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2076355B1 (ko) 2018-09-20 2020-02-11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00076375A (ko) 2018-12-19 2020-06-29 김경수 트랙터용 써레
KR20210143585A (ko) 2020-05-20 2021-11-29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30105511A (ko) 2022-01-04 2023-07-11 김계수 써레용 완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118B1 (ko) * 2010-07-14 2013-04-25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344Y1 (ko) * 2001-01-04 2001-09-25 광산번지(주) 안전장치를 갖는 절첩식 써레
KR20020037239A (ko) * 2000-11-12 2002-05-18 홍덕화 절첩식 써레장치
KR20020038344A (ko) * 2000-11-17 2002-05-23 이계안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리버스 아이들기어
KR100820730B1 (ko) * 2007-01-29 2008-04-11 대호 (주) 써레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239A (ko) * 2000-11-12 2002-05-18 홍덕화 절첩식 써레장치
KR20020038344A (ko) * 2000-11-17 2002-05-23 이계안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리버스 아이들기어
KR200238344Y1 (ko) * 2001-01-04 2001-09-25 광산번지(주) 안전장치를 갖는 절첩식 써레
KR100820730B1 (ko) * 2007-01-29 2008-04-11 대호 (주) 써레 안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770A (ko) 2014-07-25 2016-02-03 김경수 써레용 안전장치
KR20190016847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20190016848A (ko) 2017-08-09 2019-02-19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2076355B1 (ko) 2018-09-20 2020-02-11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00076375A (ko) 2018-12-19 2020-06-29 김경수 트랙터용 써레
KR20210143585A (ko) 2020-05-20 2021-11-29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20230105511A (ko) 2022-01-04 2023-07-11 김계수 써레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847A (ko) 201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232B1 (ko)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CN102926585A (zh) 用于车辆的门把手装置
KR20110049584A (ko) 트랙터용 써레
KR20100019850A (ko) 트랙터용 써레
KR20100019849A (ko) 트랙터용 써레
KR20100019848A (ko)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KR100398597B1 (ko)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KR20100116418A (ko) 트랙터용 써레
JP2009293262A (ja) 作業機械のブーム組立構造
KR101751752B1 (ko) 써레용 안전장치
KR101174808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2048338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860338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무논 정지기
JP5801739B2 (ja) 遠隔操作用カッター
KR200253213Y1 (ko) 트렉터용 써레의 각도조절장치
KR20160001188U (ko) 트랙터용 광폭써레
KR20100044365A (ko)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
KR200238344Y1 (ko) 안전장치를 갖는 절첩식 써레
CN211169757U (zh) 坑洞保护机构及移动作业平台
JP2009280344A (ja) クレーンのバックストップ構造
KR100642209B1 (ko) 콤바인의 예취날 안내장치
KR101951626B1 (ko) 써레 하중 저감장치
KR102050742B1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20010025718A (ko) 보조날개 절첩식 광폭써레
KR200397531Y1 (ko)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