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597B1 -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 Google Patents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597B1
KR100398597B1 KR10-2001-0044038A KR20010044038A KR100398597B1 KR 100398597 B1 KR100398597 B1 KR 100398597B1 KR 20010044038 A KR20010044038 A KR 20010044038A KR 100398597 B1 KR100398597 B1 KR 10039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auxiliary
frame
plate
harrow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983A (ko
Inventor
홍덕화
Original Assignee
(주)광산엠.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산엠.티.시 filed Critical (주)광산엠.티.시
Priority to KR10-2001-004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59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쟁기로 갈아 엎어 놓은 논 밭의 흙을 고르게 펼쳐주기 위한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써레의 좌, 우 밸런스 유지 구조를 개량하여 지면의 요철에 대해 신속하게 작용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하부프레임의 조립구조를 새로이 하여 써레의 전, 후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보조써레판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보조써레판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안전을 위해 충격흡수를 하는 방향으로 일시 꺾인 후, 다시 복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보울트의 교체작업 없이 즉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부프레임(30)의 상단을 로터리 프레임(100)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0)의 하단 중앙과 로터리 연결폴(101)사이에는 메인실린더(104)를 연결하여 상, 하 회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0)의 하단 중앙부에 종축(31)을 가진 회동브라켓(32)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40)을 연결하며, 상기 하부프레임(40)의 전방에 중앙써레판(50)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중앙써레판(50)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의 보조써레판(60)을 보조써레판 연결기구(80)로써 절첩가능하도록 연결한 후, 이들 각각의 보조써레판(60)을 가로로 설치한 유압실린더(70)의 양측 끝단에 연결하여 유압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광폭 써레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프레임(30)과 상기한 하부프레임(40)은 종축(31)을 가진 회동브라켓(32)으로 좌, 우 회동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하부프레임(40)의 상면 좌, 우 양단에는 피봇핀(41)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0)에는 통공(34a)을 가진 돌편(34)을 형성한 후, 상기 돌편(34)의 통공(34a)으로 끼워진 피봇핀(41)의 상단에 압축스프링(33)을 탄설시켜 좌, 우 회동작동에 따른 복귀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한 하부프레임(40)은 가로프레임부재(42)와 그 좌, 우 양측에 부착시킨 평판부재(44)와, 좌, 우 평판부재(44)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채 각각의 회동축(46)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한 한 쌍의 세로프레임부재(43)로 구성하되, 상기 세로프레임부재(43)의 상단에 형성한 장공(43a)을 통해 보울트(45)를 끼워 상기 평판부재(44)에 고정하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WIDE WIDTH HARROW}
본 발명은 쟁기로 갈아 엎어 놓은 논 밭의 흙을 고르게 펼쳐주기 위한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로터리의 후방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되, 로터리 및 트랙터 차체가 기울어 져도 써레는 자동으로 수평상태가 유지되고, 상, 하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좌, 우 양측 끝단의 보조 써레판의 안전사고 발생시 안전장치의 핀이 파손 되지 않고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터리(10)의 후방에 상부프레임(12)의 상단을 로터리동력축(13)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고 메인실린더(14)로써 상, 하 회동 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상부프레임(12)에는 전면 중앙 하단에 종축(11a)을 가진 회동브라켓(11)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15)을 연결하되, 그 좌, 우 양측에 인장스프링(15a)을 마련하며, 하부프레임(15)의 전방에는 중앙써레판(16)을 연결 고정한다.
또, 중앙써레판(16)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의 보조써레판(17)을 보조써레판 연결기구(18)로써 절첩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절첩 동력은 가로로 설치한 유압실린더(19)의 양측 끝단을 연결하여 유압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폭 써레는 다음과 같은 미비점이 있다.
첫째, 써레 전체의 좌, 우 밸런스 유지가 신속하지 못하다.
써레는 트랙터나 로터리가 기울어도 가능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써레질이 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밸런스 유지구조를 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30)의 밑에 설치된 회동브라켓(11)의 종축(11a)을 지점으로 하부프레임(15)이 좌, 우 회동할 수 있고, 또 그 회동에 대한 복귀력을 양측의 인장스프링(15a)이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밸런스 유지 장치에서는 처진 쪽을 인장스프링(15a)이 당겨 올리는 형태이기 때문에 작동이 신속하지 못하고, 수면에 잠긴 넙적한 써레판들의 수면 흡착력과 무게 때문에 복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예가 많다.
둘째, 써레판의 좌, 우 회동은 수시로 작동 가능하지만 전, 후 각도 조절은지면의 요철에 대한 조절 작동이 불가능하다.
종래의 써레는 도 1에서 보듯이 써레의 전, 후 각도 조절을 하고자 한다면 메인실린더(14)로써 상부프레임(12)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므로써 가능하기는 하다.
그러나 이는 이동을 위해서 써레 전체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구성이고, 써레작업을 하면서 그 작업 여건에 따라 조절을 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셋째, 보조써레판(17)의 안전장치 보수가 불편하다.
즉, 보조써레판 연결기구(18)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아암(18a)과, 이 보조아암의 끝단에서 안전힌지축(18c)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장아암(18b)과, 이 연장아암과 같은 방향으로 연결하되, 끝단에 안전보울트(18d)가 끼워진 안전연결편(18e)으로 이루어 진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보조써레판(17)에 장애물이 부딪히면 이 보조써레판이 안전힌지축(18c)을 지점으로 회동하려는 충격이 전해 지는 바, 그 충격에 의해 안전보울트(18d)가 파손되면서 회동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안전보울트(18d)가 파손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난 후에는 보조써레판의 기능을 복귀시키기 위해 다시 동일한 안전보울트(18d)를 그 자리에 체결하여야 하는데, 이 때는 써레 작업을 중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능률이 떨어지며, 안전보울트 교체작업도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써레의 좌, 우 밸런스 유지 구조를 개량하여 지면의 요철에 대해 신속하게 작용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하부프레임의 조립구조를 새로이 하여 써레의 전, 후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보조써레판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보조써레판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안전을 위해 충격흡수를 하는 방향으로 일시 꺾인 후, 다시 복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보울트의 교체작업 없이 즉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프레임의 상단을 로터리 프레임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 중앙과 로터리 연결폴사이에는 메인실린더를 연결하여 상, 하 회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 중앙부에 종축을 가진 회동브라켓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중앙써레판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중앙써레판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의 보조써레판을 보조써레판 연결기구로써 절첩가능하도록 연결한 후, 이들 각각의 보조써레판을 가로로 설치한 유압실린더의 양측 끝단에 연결하여 유압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광폭 써레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프레임과 상기한 하부프레임은 종축을 가진 회동브라켓으로 좌, 우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 좌, 우 양단에는 피봇핀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통공을 가진 돌편을 형성한 후, 상기 돌편의 통공으로 끼워진 피봇핀의 상단에 압축스프링을 탄설시켜 좌, 우 회동작동에 따른 복귀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한하부프레임은 가로프레임부재와 그 좌, 우 양측에 부착시킨 평판부재와, 좌, 우 평판부재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채 각각의 회동축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한 한 쌍의 세로프레임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세로프레임부재의 상단에 형성한 장공을 통해 보울트를 끼워 상기 평판부재에 고정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 상기한 양측 보조써레판 연결기구는 상기 중앙써레판의 끝단부에서 써레판의 두께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시킨 지지축과, 이 지지축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한 연장아암과, 연장아암의 끝단에서 상기 지지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축착된 보조축과, 상기 보조축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보조써레판과, 상기 보조써레판에서 내측으로 연장시킨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상에서 상기 지지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고정시키되, 연장아암을 관통시킨 보조핀과, 상기 보조핀과 상기 연장아암 사이에 탄설시킨 보조스프링으로 구성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폭 써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밸런스 유지구조를 보인
도 3은 종래의 보조 써레판 절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밸런스 유지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런스 유지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써레 각도 조절구조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써레 각도 조절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써레 각도 조절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 써레판 절첩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보조 써레판 절첩구조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0 : 상부프레임
31 : 종축 32 : 회동브라켓
33 : 압축스프링 34 : 돌편
40 : 하부프레임
41 : 피봇핀 42 : 가로프레임부재
43 : 세로프레임부재 44 : 평판부재
50 : 중앙써레판
60 : 보조써레판
61 : 연장편 62 : 보조핀
63 : 와셔 64 : 너트
70 : 유압실린더
80 : 보조써레판 연결기구
81 : 지지축 82 : 연장아암
83 : 보조축 84 : 보조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밸런스 유지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보조 써레판 절첩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광폭 써레는 상부프레임(30)의 상단을 로터리측 프레임(100)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0)의 하단 중앙과 로터리 연결폴(101)사이에는 메인실린더(104)를 연결하여 상, 하 회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0)의 하단 중앙부에 종축(31)을 가진 회동브라켓(32)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40)을 연결하며, 상기 하부프레임(40)의 전방에 중앙써레판(50)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중앙써레판(50)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의 보조써레판(60)을 보조써레판 연결기구(80)로써 절첩가능하도록 연결한 후, 이들 각각의 보조써레판(60)을 가로로 설치한 유압실린더(70)의 양측 끝단에 연결하여 유압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데 여기까지의 구성들은 종래의 광폭써레와 대동소이하다.
본 발명에서 새로운 밸런스 유지구조는 도 5에서 보듯이 상기한 상부프레임(30)과 상기한 하부프레임(40)을 종축(31)을 가진 회동브라켓(32)으로 좌, 우 회동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하부프레임(40)의 상면 좌, 우 양단에는 피봇핀(41)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0)에는 통공(34a)을 가진 돌편(34)을 형성한 후, 상기 돌편(34)의 통공(34a)으로 끼워진 피봇핀(41)의 상단에 압축스프링(33)을 탄설시켜 좌, 우 회동작동에 따른 복귀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압축스프링(33)을 탄설시키기 위한 수단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피봇핀(41)의 상단에 둥근 와셔(41a)를 끼운 후, 와셔의 이탈을 막는 핀 또는 너트(41b)을 끼워 조립하는 것이며, 특히, 피봇핀(41)에 높이가 다른 다수의 핀구멍을 천공하고, 그 핀구멍의 위치에 따라 와셔(41a)의 높이를 달리하면 압축스프링(33)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써레 각도 조절구조를 보면, 상기한 하부프레임(40)은 가로프레임부재(42)와, 그 좌, 우 양측에 부착시키고 보울트구멍(44a)을 형성시킨 평판부재(44)와, 좌, 우 평판부재(44)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채 각각의 회동축(46)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한 한 쌍의 세로프레임부재(43)로 구성하되, 상기 세로프레임부재(43)의 상단에 형성한 장공(43a)을 통해 보울트(45)를 끼워 상기 평판부재(44)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평판부재(44)에는 상기 보울트구멍(44a)을 복수로 형성하여 장공(43a)에 끼우는 보울트(45)의 위치를 도 에서 보듯이 달리 하였을 때 조절범위가 더 커질 수 있는 것이다.
또 한, 본 발명에서의 보조써레판 연결기구(8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써레판(50)의 끝단부에서 써레판의 두께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시킨 지지축(81)과, 이 지지축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한 연장아암(82)을 먼저 설치한다. 이때의 연장아암(82)은 상기 지지축(81)을 지점으로 하향 회동하였을 때 중앙써레판의 상단면에 닿아서 같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상기 연장아암(82)의 끝단에서 상기 지지축(8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축착된 보조축(83)과, 상기 보조축(83)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보조써레판(60)과, 상기 보조써레판(60)에서 내측으로 연장시킨 연장편(61), 그리고 상기 연장편(61)상에서 상기 지지축(81)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고정시키되, 연장아암(82)을 관통시킨 보조핀(62)과, 상기 보조핀(62)과 상기 연장아암(82) 사이에 탄설시킨 보조스프링(8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도 상기의 보조스프링(84)을 탄설시키기 위한 수단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보조핀(62)의 상단에 둥근 와셔(63)를 끼운 후, 와셔의 이탈을 막는 핀 또는 너트(64)을 끼워 조립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중앙써레판(50) 및 보조써레판(60)은 하단에 톱니 모양의 요철을 형성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써레판과 달리 저면에 다수의 배수안내편(51)들을 형성하고, 상단에 배수구멍(52)을 형성하여 물의 배수가 항상 원활하도록 하였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밸런스 유지구조를 보면, 중앙써레판(50)과 중앙써레판의 좌, 우 양측 보조써레판(60)들이 다 펼쳐지고, 로터리에 연결된 상부프레임(30)에 대해 하부프레임(40)이 중앙의 종축(31)을 가진 회동브라켓(32)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써레질을 시작하면 로터리작업된 흙을 써레판이 고르게 펼치면서 작업진행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진행 중 로터리와 로터리를 끄는 트랙터가 지면의 굴곡에 따라 기울어져도 좌, 우 양측에 설치된 압축스프링(33)이 작용하기 때문에 써레판은 가능한 수평을 유지하면서 작업하게 되는데 가능한 수평을 유지하려는 반응이 매우 빠르다.
그 이유는 종래의 인장스프링은 기울어져 내려간 쪽을 당겨 올리는 형태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기울어져 올라간 쪽을 밀어 내리는 형태이기 때문에 작동이 용이하고 빠른 것이다.
본 발명의 써레판 각도 조절구조를 이용한 조절 상태를 보면,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40)의 가로프레임부재(42)와 그 양측 끝단에 고정된 평판부재(44)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축(46)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한 세로프레임부재(43)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세로프레임부재(43)의 장공(43a)에 끼워진 보울트(45)를 풀고 난 후에 세로프레임부재(43)의 각도를 장공(43a)의 길이 범위 내에서 도 8에서와 같이 돌린 후, 다시 장공(43a)의 보울트(45)를 잠그면 각도 조절이 되는 것이며, 때에 따라 더 큰 각도 조절이 필요할 경우, 도 9에서 보듯이 상기한 회동축(46)을 복수로 마련된 또 다른 보울트구멍(44a)에 옮겨 끼우고 그 위치를 축으로 각도조절을 하면 더 큰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조써레판 연결기구(80)는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중앙써레판(50)의 끝단부에서 써레판의 두께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시킨 지지축(81)과, 이 지지축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한 연장아암(82)을 토대로 하는 바, 좌, 우 양측의 연장아암(82) 간에 양측 끝단을 연결한 실린더(70)로써 위로 접어 올리거나 내려서 펼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써레판(60)에 장애물이 접촉하여 충격이 가해지면 중앙써레판(50)이 후방으로 약간 경사진 상태이기 때문에 연장아암(82) 끝단의 보조축(83)을 지점으로 상향회동하여 들어 올려지게 되고, 들어 올려지는 보조써레판(60)의 안쪽으로 연장된 연장편(61)에는 보조핀(62)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아암(82) 위에 탄설된 보조스프링(84)을 누르고 내려가게 되고, 따라서 보조써레판에 발생된 충격이 보조스프링(84)에 전달되어 흡수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향회동하였던 보조써레판(60)이 장애물로부터 벗어나면 상기한 보조스프링(84)의 힘으로 보조써레판(60)이 하향회동하여 본래의 위치로 즉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새로운 밸런스 유지구조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좌, 우 양측에 압축코일스프링을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인장스프링으로써 기울어져 내려간 쪽을 당겨 올리는 형태의 종래 구성과 달리 기울어져 올라간 쪽을 밀어 내리는 형태이기 때문에 작동이 용이하고 빠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써레판 각도조절을 위해 하부프레임을 가로프레임부재와 양측 세로프레임부재로 하되, 회동축을 지점으로 세로프레임부재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 후, 그 상단부분에 형성한 장공의 범위 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써레작업의 여건에 따라 즉시 즉시 써레판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본 발명의 보조 써레판연결기구는 연장아암과, 연장편의 사이에 조보핀을 설치한 후, 보조스프링을 탄설시킨 것이기 때문에 보조 써레판에 장애물이 부딪혀 꺾인다 하더라도 보조스프링이 충격을 흡수하고, 바로 펼쳐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파손되는 안전핀 기능의 보울트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를 제공하며, 이는 써레작업을 중단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Claims (2)

  1. 상부프레임(30)의 상단을 로터리 프레임(100)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0)의 하단 중앙과 로터리 연결폴(101)사이에는 메인실린더(104)를 연결하여 상, 하 회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0)의 하단 중앙부에 종축(31)을 가진 회동브라켓(32)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40)을 연결하며,
    상기 하부프레임(40)의 전방에 중앙써레판(50)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중앙써레판(50)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의 보조써레판(60)을 보조써레판 연결기구(80)로써 절첩가능하도록 연결한 후, 이들 각각의 보조써레판(60)을 가로로 설치한 유압실린더(70)의 양측 끝단에 연결하여 유압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광폭 써레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프레임(30)과 상기한 하부프레임(40)은 종축(31)을 가진 회동브라켓(32)으로 좌, 우 회동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하부프레임(40)의 상면 좌, 우 양단에는 피봇핀(41)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0)에는 통공(34a)을 가진 돌편(34)을 형성한 후, 상기 돌편(34)의 통공(34a)으로 끼워진 피봇핀(41)의 상단에 압축스프링(33)을 탄설시켜 좌, 우 회동작동에 따른 복귀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한 하부프레임(40)은 가로프레임부재(42)와 그 좌, 우 양측에 부착시킨 평판부재(44)와, 좌, 우 평판부재(44)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채 각각의 회동축(46)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한 한 쌍의 세로프레임부재(43)로 구성하되, 상기 세로프레임부재(43)의 상단에 형성한 장공(43a)을 통해 보울트(45)를 끼워 상기 평판부재(44)에 고정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측 보조써레판 연결기구(80)는 상기 중앙써레판(50)의 끝단부에서 써레판의 두께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시킨 지지축(81)과, 이 지지축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한 연장아암(82)과, 연장아암의 끝단에서 상기 지지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축착된 보조축(83)과, 상기 보조축(83)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보조써레판(60)과, 상기 보조써레판(60)에서 내측으로 연장시킨 연장편(61)과, 상기 연장편(61)상에서 상기 지지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고정시키되, 연장아암(82)을 관통시킨 보조핀(62)과, 상기 보조핀과 상기 연장아암 사이에 탄설시킨 보조스프링(84)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KR10-2001-0044038A 2001-07-21 2001-07-21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KR100398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038A KR100398597B1 (ko) 2001-07-21 2001-07-21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038A KR100398597B1 (ko) 2001-07-21 2001-07-21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983A KR20030008983A (ko) 2003-01-29
KR100398597B1 true KR100398597B1 (ko) 2003-09-19

Family

ID=2771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038A KR100398597B1 (ko) 2001-07-21 2001-07-21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5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302B1 (ko) * 2008-11-03 2011-09-16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절첩 안전 장치
KR101150296B1 (ko) * 2009-07-20 2012-06-12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20200110592A (ko) * 2019-03-16 2020-09-24 김완수 비료살포기와 배토기 및 로터베이터가 결합된 3공정 농작업기
KR20220018231A (ko) * 2020-08-06 2022-02-15 김계수 써레용 절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613B1 (ko) * 2013-06-11 2015-02-11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DE102016108032B4 (de) 2015-04-29 2024-02-15 Peter Heidester Landmaschinen GmbH Kreiselegge
CN107548586B (zh) * 2017-10-21 2023-04-14 盐城师范学院 滩涂水田宽幅耙平装置
KR102076355B1 (ko) * 2018-09-20 2020-02-11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CN109275361A (zh) * 2018-10-30 2019-01-29 南县伟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液压传动的水田液压平整机
KR102369365B1 (ko) 2020-05-20 2022-03-03 김문수 트랙터용 써레
KR102500698B1 (ko) * 2020-08-06 2023-02-27 김필수 써레용 각도 조절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802A (ja) * 1993-04-02 1994-10-11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補助リアカバー取付構造
KR100228261B1 (ko) * 1997-08-14 1999-11-01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10025718A (ko) * 2001-01-20 2001-04-06 김대호 보조날개 절첩식 광폭써레
KR200239473Y1 (ko) * 2000-12-09 2001-09-25 홍덕화 절첩식 써레장치
KR20020037239A (ko) * 2000-11-12 2002-05-18 홍덕화 절첩식 써레장치
KR100376327B1 (ko) * 2000-04-29 2003-03-31 정지환 트랙터용 써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802A (ja) * 1993-04-02 1994-10-11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補助リアカバー取付構造
KR100228261B1 (ko) * 1997-08-14 1999-11-01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100376327B1 (ko) * 2000-04-29 2003-03-31 정지환 트랙터용 써레장치
KR20020037239A (ko) * 2000-11-12 2002-05-18 홍덕화 절첩식 써레장치
KR200239473Y1 (ko) * 2000-12-09 2001-09-25 홍덕화 절첩식 써레장치
KR20010025718A (ko) * 2001-01-20 2001-04-06 김대호 보조날개 절첩식 광폭써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302B1 (ko) * 2008-11-03 2011-09-16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절첩 안전 장치
KR101150296B1 (ko) * 2009-07-20 2012-06-12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20200110592A (ko) * 2019-03-16 2020-09-24 김완수 비료살포기와 배토기 및 로터베이터가 결합된 3공정 농작업기
KR102257364B1 (ko) * 2019-03-16 2021-05-27 김완수 비료살포기와 배토기 및 로터베이터가 결합된 3공정 농작업기
KR20220018231A (ko) * 2020-08-06 2022-02-15 김계수 써레용 절첩장치
KR102500697B1 (ko) * 2020-08-06 2023-02-24 김필수 써레용 절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983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8597B1 (ko)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US5191729A (en) Trip apparatus for moldboard assembly
KR1007019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KR100701920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101010232B1 (ko)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CA1052168A (en) Lift arrangement for wing of a foldup implement
KR101263728B1 (ko) 전후로 기울어지는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US6418645B1 (en) Milling unit for the beating of snow-covered slopes
CA2326946C (en) Snowplow blade support apparatus
US4236583A (en) Toggle link trip and reset mechanism for earthworking tool
KR100390696B1 (ko) 절첩식 써레장치
KR100228261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411996B1 (ko) 자동절첩식 광폭써레
US4054177A (en) Trip beam linkage
KR101368466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트랙터용 써레
KR200238344Y1 (ko) 안전장치를 갖는 절첩식 써레
US2793577A (en) Tractor-attached tool bar-support mechanism
KR20010044234A (ko) 트랙터 로우더 탈부착형 제설장치
KR101398588B1 (ko)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KR200171851Y1 (ko) 제설기 완충장치
KR200393311Y1 (ko)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US4252198A (en) Ground levelling attachment for tractors
US4167977A (en) Toggle link trip mechanism
KR20010100076A (ko) 트랙터용 써래
KR200410355Y1 (ko) 트랙터용 써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