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311Y1 -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311Y1
KR200393311Y1 KR20-2005-0014338U KR20050014338U KR200393311Y1 KR 200393311 Y1 KR200393311 Y1 KR 200393311Y1 KR 20050014338 U KR20050014338 U KR 20050014338U KR 200393311 Y1 KR200393311 Y1 KR 200393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bracket
adjustment
sw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동
Original Assignee
정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동 filed Critical 정길동
Priority to KR20-2005-0014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써레의 양쪽에 결합되는 보조써레가 접힐 때 로타리의 체인 커버에 보조써레가 닿지 않도록 볼트를 이용하여 간단히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좌우 수평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로타리의 축커버에 결합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지지봉에 결합된 실린더 고정 브라켓과 주써레의 중앙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실린더 지지브라켓 사이에 유압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과 주써레의 양측에 설치된 높이 조절 브라켓 사이에 연결대를 결합한 써레에 있어서, 상기 주써레에 설치된 높이 조절 브라켓의 후단에 연결대를 결합시키되 연결대의 선단에 주써레의 상부를 향하여 조절 플레이트가 돌출되게 고정시키고, 상기 조절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판을 고정시켜 스윙 조절볼트를 고정시키며,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 사이에는 받침판과 받침봉을 고정시키되 상기 받침봉의 상부를 스윙 조절볼트가 닿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윙 조절볼트의 높이 조절에 따라 조절 플레이트의 높이가 달라 연결대의 높이가 달라지므로 보조 써레의 스윙 각도를 변화시키는 한편 스윙 조절볼트의 조작이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Angle regulator of harrow}
본 고안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써레의 양쪽에 결합되는 보조써레가 접힐 때 로타리의 체인 커버에 보조써레가 닿지 않도록 볼트를 이용하여 간단히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좌우 수평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써레는 넓은 면적의 작업과 이동의 용이함을 위하여 주써레의 양측에 보조써레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써레는 작업시 주써레의 양측에 펼친 상태로 놓이게 하여 작업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고, 이동시에는 주써레의 양쪽에 직각 방향으로 세워지게 접어주므로서 트랙터의 폭 넓이와 같게 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즉 주써레를 펼칠 경우는 주써레에 장착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주써레를 하강시키도록 하고, 주써레가 하강되면서 주써레의 좌우측에 장착된 보조써레가 자중에 의하여 주써레와 같은 방향으로 펼쳐지게 하므로서, 써레의 폭을 넓혀 사용할 수 있으며, 주써레를 접을 경우는 주써레를 유압 실린더로 들어주게 되면 주써레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한편 양측의 보조써레가 와이어의 당김으로 주써레와 직각 방향이 되게 접혀지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써레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제451,135호로 특허 받은 바 있다.
이 같이 주써레에 장착된 보조써레를 펼치거나 접어주어 작업과 이동의 용이함을 만족시키는 써레는 통상 트랙터 후방에 결합된 로타리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트랙터의 유압을 이용하여 들어 올리거나 펼쳐주게 되며, 상기 써레는 로타리의 상부에 설치된 축커버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나, 로타리의 제작회사별로 축커버의 높이가 다르고, 또한 로타리 양쪽의 체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체인커버의 높이가 서로 달라, 축커버가 낮거나 체인 커버가 높게 설치된 경우 주써레에 직각 방향으로 접히게 되는 보조써레가 상기 체인커버를 치게 되어 보조써레를 접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즉 로타리 상부의 축커버에 결합되는 써레는 축커버의 높이가 낮거나 체인커버의 높이가 높은 로타리를 사용할 경우 주써레에서 보조써레가 접혀질 때 보조써레가 로타리의 체인커버에 걸려 접혀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기존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써레를 로터리에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에서 연결대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주써레의 연결 브라켓에서 연결대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등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과 함께 그 높이 조절이 쉽지 않아, 써레의 장착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써레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트랙터를 우회전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써레의 우측이 좌측보다 하부로 쳐지게 되어 좌우 수평이 맞지 않게 되며, 이를 방치할 경우 써레가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하여 불안감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으나, 기존에는 사용에 의하여 써레의 좌우 수평이 틀어진 경우 이를 바로 잡아주기가 곤란한 것이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주써레의 양측에 결합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보조써레로 이루어진 써레에 있어서, 주써레의 높이를 간단히 조절하여 보조써레가 접힐 때 로타리의 체인커버에 보조써레가 닿지 않도록 하는 한편 써레의 좌우 수평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를 국내에 실용신안(출원번호 20-2005-0008432호)으로 출원한 바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출원된 실용신안은 써레의 높낮이와 스윙각도를 조절해 줄 수는 있으나, 연결대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윙 조절볼트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높이 조절 브라켓에 걸리는 하중에 취약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주써레의 양측에 결합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보조써레로 이루어진 써레에 있어서, 주써레의 높이와 써레의 좌우 수평을 조절하는 스윙 조절볼트를 를 간단히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써레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높이조절 브라켓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보조써레가 접힐 때 로타리의 체인커버에 보조써레가 닿지 않도록 하는 한편 써레의 좌우 수평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스윙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써레가 접히는 경사 각도와 수평각도를 조절하는 한편 써레의 부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로타리의 축커버에 결합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지지봉에 결합된 실린더 고정 브라켓과 주써레의 중앙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실린더 지지브라켓 사이에 유압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과 주써레의 양측에 설치된 높이 조절 브라켓 사이에 연결대를 결합한 써레에 있어서, 상기 주써레에 설치된 높이 조절 브라켓의 후단에 연결대를 결합시키되 연결대의 선단에 주써레의 상부를 향하여 조절 플레이트가 돌출되게 고정시키고, 상기 조절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판을 고정시켜 스윙 조절볼트를 고정시키며,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 사이에는 받침판과 받침봉을 고정시키되 상기 받침봉의 상부를 스윙 조절볼트가 닿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윙 조절볼트의 높이 조절에 따라 조절 플레이트의 높이가 달라 연결대의 높이가 달라지므로 보조 써레의 스윙 각도를 변화시키는 한편 스윙 조절볼트의 조작이 용이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트랙터(10)에 장착된 로타리(20)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주써레(110)의 양쪽에 접철되게 결합된 보조써레로 이루어진 써레(100)에 있어서, 상기 써레(100)의 접힘시 보조 써레의 회전 각도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써레(100)의 좌우 수평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써레(100)는 주써레(110)와 상기 주써레(110)의 양측에 결합된 보조 써레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써레(110)는 유압실린더(40)와 연결대(50)를 이용하여 로타리(20)의 축커버(22)에 결합된 지지 브라켓(25)과 상기 지지 브라켓(25) 사이에 결합된 지지봉(30)에 설치되는 실린더 고정 브라켓(31)에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선단과 연결대(50)의 선단은 각각 주써레(110)에 설치된 실린더 지지브라켓(111)과 높이조절 브라켓(60)에 힌지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써레(100)의 결합방식은 공지된 사실이다.
상기 유압실린더(40)와 결합되는 실린더 지지브라켓(111)은 주써레(110)의 중앙에 돌출되어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 지지브라켓(111)의 상부에서 유압실린더(40)와 힌지 결합되며, 연결대(50)와 결합되는 높이 조절 브라켓(60)은 주써레(110)의 양측에 고정된 폭조절 브라켓(68)의 조절구멍(69)에 끼움봉(61)을 관통하여 조절볼트(62)가 끼워지게 하여 설치되고, 상기 폭조절 브라켓(68)의 조절구멍(69)을 변경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대(50)와 유압실린더(40)의 타측은 로타리(20)의 축커버(22)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25)과 상기 지지 브라켓(25)에 고정된 지지봉(30)에 결합된 실린더 고정 브라켓(31)에 힌지 결합되게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높이 조절 브라켓(60)의 내측 중앙을 연결하는 받침판(63)과 받침봉(64)을 설치하고,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60)은 연결대(50)의 선단과 힌지(51)로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주써레(110)에 고정되는 폭조절봉(112)에 끼워져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대(50)의 선단에는 양측으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의 조절 플레이트(55)를 고정시키고, 상기 조절 플레이트(55) 사이에는 고정판(56)을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판(56)에는 스윙 조절볼트(70)를 결합시키되 고정판(56)의 상부에 너트(71)를 용접 고정시킨 후 상기 너트(71)에 스윙 조절볼트(70)를 끼우고, 너트(71)의 상부에는 스윙 조절볼트(7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움직임 방지용 너트(72)를 끼워주므로서, 움직임 방지용 너트(72)를 풀고 스윙 조절볼트(70)를 회전시켜 스윙조절 볼트(70)가 고정판(56)의 하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윙 조절볼트(70)의 두부는 써레(100)가 들릴 때 받침봉(64)에 받쳐질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조절 플레이트(55)는 대략 ㄱ자 형상을 갖고 연결대(50)의 선단 양측에 용접 고정되게 되고, 조절 플레이트(55) 사이에 고정된 고정판(56)에 끼워지는 스윙조절 볼트(70)는 두부가 하측을 향하게 하여 받침봉(64)에 두부가 닿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측에서 움직임 방지용 너트(72)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스윙 조절볼트(70)의 높이 조절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끼움봉(61)은 높이조절 브라켓(60)의 측면 외측에 용접 고정되고, 내측으로 조절볼트(62)가 끼워져 폭조절 브라켓(68)의 조절구멍(69)에 고정되는 것으로, 주써레(110)의 상부에 닿은 상태로 폭조절 브라켓(68)에 조절볼트(62)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끼움봉(61)은 높이조절 브라켓(60) 외측에 밀착 고정되고, 주써레(110)의 상부에 받쳐지게 되어 써레(100)가 들어 올려지더라도 주써레(110)에 받쳐지게 되어 휘어질 염려가 없으며, 또한 높이조절 브라켓(60)도 내측으로 받침판(63)이 용접 고정되어 있어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옆으로 벌어질 우려가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써레(100)를 유압실린더(40)로 올려주거나 내려주는 과정과, 주써레(110)에 결합된 보조써레를 좌우로 펼쳐주거나 접어주는 과정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선 특허 받은 특허 제451,135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고안의 경사각 조절과 좌우 수평각 조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써레(100)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40)를 작동시켜 주써레(110)에 고정된 실린더지지 브라켓(111)을 로타리(20) 쪽으로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주써레(110)가 연결대(50)의 선단에 결합된 힌지(51)를 중심으로 뒤로 회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연결대(50)의 선단에 설치된 조절 플레이트(55) 사이에 고정된 고정판(56)에 결합된 스윙 조절볼트(70)의 선단이 높이조절 브라켓(60) 사이에 고정된 받침봉(64)의 선단에 닿게 되면서 써레(100)가 높이 지지 브라켓(25)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써레(100)가 들어 올려지는 동시에 와이어를 당기게 되어 주써레(110)의 양측에 설치된 보조써레가 주써레(110)에 직각 방향이 되도록 접혀지게 된다.
그리고 써레(100)를 펼쳐주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40)로 주써레(110)를 밀어주게 되면 써레(100)는 연결대(50)의 회동에 따라 지면을 향하여 내려가는 동시에 보조써레는 자중에 의하여 펼쳐지게 되며, 주써레(110)가 지면에 닿게 되면 유압실린더(4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한편 보조써레는 주써레(110)의 양측에 펼쳐져 있는 상태가 되어 써레질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이 써레(100)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보조써레가 주써레(110) 쪽으로 접혀지거나 반대쪽으로 펼쳐지게 되며, 상기 보조써레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때 로타리(20)의 체인커버(21) 높이가 높을 경우 보조써레가 체인커버(21)에 걸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써레(100)의 장착 후 이를 조절해야 한다.
기존에는 장착 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써레 장착 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여 보조써레가 체인 커버(21)에 닿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상당히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들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간단히 스윙 조절볼트(70)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보조써레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체인커버(21)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써레(100)가 들려 올려질 때 받침봉(64)이 스윙 조절볼트(70)의 선단에 닿을 때까지 써레(100)가 회동한 후 받침봉(64)이 스윙 조절볼트(70)의 선단에 닿은 후부터 써레(100)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며 보조 써레가 접혀지게 되므로, 스윙 조절볼트(70)의 두부를 돌출시킬수록 보조 써레의 높이가 낮게 접혀지게 되고, 스윙 조절볼트(70)의 두부를 낮추어 줄수록 보조 써레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에서 접혀지게 된다.
따라서 스윙 조절볼트(70)의 두부를 높여줄 경우 보조 써레의 접힘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로타리(20)의 사양에 따라 움직임 방지용 너트(72)를 풀어준 후 스윙 조절볼트(70)를 돌출되게 하고, 다시 움직임 방지용 너트(72)를 조여 주어 스윙 조절볼트(70)의 두부를 돌출시킴으로서 보조 써레가 접힐 때 체인 커버(21)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은 써레(1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부에서 움직임 방지용 너트(72)를 풀고 스윙 조절볼트(7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움직임 방지용 너트(72)를 채우면 보조 써레의 접힘 각도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스윙 조절볼트(70)를 누구나 개방된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하여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스윙조절 볼트(70)의 두부가 받침봉(64)의 상단에 닿게 되어, 써레질을 할 때 흙 등의 이물질이 단면이 원형인 받침봉(64)의 상부에 쌓이지 않아 스윙조절 볼트(70)의 두부가 받침봉(64)을 받치는데 하등 문제가 없게 되며, 이는 받침봉(64)의 상부에 이물질이 쌓일 경우 보조써레의 접힘 각도가 틀어지게 되므로, 스윙조절 볼트(70)의 두부가 닿게 되는 받침봉(64)을 단면이 원형인 것을 사용하여 이물질이 스윙조절 볼트(70)와 받침봉(64) 사이에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써레(100)의 좌우 수평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써레(100)를 사용할 때 운전 습성상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에 따라 써레(100)의 우측에 많은 힘이 가해지게 되어 최초 써레(100)의 좌우측이 수평을 유지하게 장착시켜 놓았다 하더라도 사용 후 써레(100)의 우측이 하측으로 쳐지게 된다.
써레(100)의 우측이 하부로 쳐지더라도 무논을 평탄화시키는 써레 작업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써레(100)를 들어올려 이동하는 경우 써레(100)의 우측이 쳐지게 되면 한쪽으로 쏠리는 문제와 시각적으로 불안함을 느끼게 되어 사후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수리 인력을 별도로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써레(100)가 들어 올려질 때 스윙 조절볼트(70)의 두부가 받침봉(64)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 상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써레(100)의 우측이 쳐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우측에 설치된 스윙 조절볼트(70)의 두부 높이를 조절하여 써레(100)의 수평을 맞추어 줄 수 있다.
스윙 조절볼트(70)를 이용하여 써레(100)의 좌우 수평을 맞추어 줄 경우 별도의 수리요원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써레(100)를 내려놓고 스윙 조절볼트(7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작업을 하게 되면 간단히 써레(100)의 좌우 수평을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주써레의 양측에 보조써레를 결합시켜 보조 써레를 펼쳐서 작업을 하고 보조 써레를 접어서 이동하는 써레에 있어서, 개방된 상태로 설치된 스윙 조절볼트의 높이를 간단히 조절하여 보조 써레의 접혀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조 써레가 접혀질 때 로타리의 체인커버에 걸리게 되는 문제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써레의 좌우 수평이 틀어져 한 쪽이 밑으로 쳐질 경우에도 스윙 조절볼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써레의 좌우 수평을 간편하게 맞추어 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누구나 손쉽게 노출되어 있는 스윙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보조 써레의 경사각과 수평각을 조절할 수 있어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써레의 장착 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경사각 조절부위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윙 조절볼트가 받침봉에 닿지 않은 상태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윙 조절볼트가 받침봉에 닿은 상태 요부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요부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스윙 조절볼트가 받침봉에 닿지 않은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스윙 조절볼트가 받침봉에 닿은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로타리 21 : 축커버 31 : 실린더 고정 브라켓
40 : 유압 실린더 50 : 연결대 55 : 조절 플레이트
60 : 높이 조절 브라켓 64 : 받침봉 70 : 스윙 조절볼트
100 : 써레 110 : 주써레

Claims (2)

  1. 로타리(20)의 축커버(22)에 연결대(50)를 힌지 결합시키는 지지브라켓(25)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브라켓(25)에 고정시킨 지지봉(30)에 유압실린더(40)를 힌지 결합시키는 실린더 고정브라켓(31)을 설치하며, 상기 유압실린더(40)와 연결대(50)의 타측은 주써레(110)에 고정시킨 실린더 지지브라켓(111)과 높이 조절 브라켓(60)에 힌지 결합시키는 써레(100)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브라켓(60)은 양측으로 끼움봉(61)이 용접 고정되고, 상기 끼움봉(61)에는 조절볼트(62)를 끼워 폭조절 브라켓(68)의 조절구멍(69)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60)의 내측으로 받침판(63)을 고정시키는 한편 받침판(63)의 전면에 받침봉(64)을 설치하며,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60)에 힌지(51)로 결합되는 연결대(50)는 선단에 조절 플레이트(55)를 고정시키고, 상기 조절 플레이트(55) 사이에는 고정판(56)을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판(56)에는 스윙 조절볼트(70)를 결합시키되 상기 스윙조절 볼트(70)의 두부가 받침봉(64)에 닿게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판(56)에 끼워진 스윙조절 볼트(70)에는 두부가 고정판(56)의 하부에 위치하고, 고정판(56)의 상부에 고정된 너트(71)에 끼워지며 그 위쪽으로 움직임 방지용 너트(72)를 결합시키며, 상기 스윙조절 볼트(70)의 두부는 높이조절 브라켓(60) 사이에 고정되고 단면이 원형인 받침봉(64)의 상부에 닿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KR20-2005-0014338U 2005-05-20 2005-05-20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93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338U KR200393311Y1 (ko) 2005-05-20 2005-05-20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338U KR200393311Y1 (ko) 2005-05-20 2005-05-20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311Y1 true KR200393311Y1 (ko) 2005-08-22

Family

ID=4369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338U KR200393311Y1 (ko) 2005-05-20 2005-05-20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3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099B1 (ko) * 2006-04-13 2007-07-24 대호 (주) 트랙터용 써레
KR200445186Y1 (ko) 2008-03-11 2009-07-07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1029232B1 (ko) 2009-02-12 2011-04-18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099B1 (ko) * 2006-04-13 2007-07-24 대호 (주) 트랙터용 써레
KR200445186Y1 (ko) 2008-03-11 2009-07-07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1029232B1 (ko) 2009-02-12 2011-04-18 박기혁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066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0393311Y1 (ko)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KR100398702B1 (ko)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100701920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100737390B1 (ko)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KR101007323B1 (ko) 트랙터용 작업기의 연결 장치
KR200387571Y1 (ko)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KR100398597B1 (ko)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KR200410355Y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938849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741045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1482550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0309887Y1 (ko) 보조써래 고정구조
CN109454124B (zh) 一种立式助卷器
KR200249835Y1 (ko)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KR200417543Y1 (ko) 써레 연결 장치
KR101186977B1 (ko) 트랙터용 써래
KR200243391Y1 (ko) 트랙터용 써레
KR20110083173A (ko) 트랙터용 써래
KR200458229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240041430A (ko) 써레의 흙 밀림 가이드 장치
KR101788813B1 (ko)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KR102215038B1 (ko) 트랙터용 무논 정지기의 연결장치
KR100874959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1403995B1 (ko)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