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835Y1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9835Y1 KR200249835Y1 KR2020010018524U KR20010018524U KR200249835Y1 KR 200249835 Y1 KR200249835 Y1 KR 200249835Y1 KR 2020010018524 U KR2020010018524 U KR 2020010018524U KR 20010018524 U KR20010018524 U KR 20010018524U KR 200249835 Y1 KR200249835 Y1 KR 20024983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tractor
- connecting rod
- bracket
- ro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기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그 구성 또한 간단함은 물론 제작사마다 각기 다른 사양의 작업기에도 적용이 쉬운 것이다.
본 고안은 트랙터(T)의 제1브래킷(B1)에 상하로 회전되게 연결되며 터언버클몸체(11)의 양쪽에 나사 결합된 나사로드(12,13) 중에서 한쪽의 나사로드(13)에 유형의 걸고리받침(13a)이 형성된 상부링크(10); 제2브래킷(B2)의 제2연결핀(TP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트랙터(T)측 유압모터(M)의 출력회전축에 장착된 선회레버(21)와 이 선회레버(21)의 끝단에 연결된 연결로드(22)로 연결되고 제3브래킷 (B3)에서 중간부분에 이르기까지 체크체인(23)으로 연결되며 끝단에 유형의 걸고리받침(20a)이 형성된 하부링크(20); 상기 상/하부링크(10,20)가 서로 연결되며 배면에서 보았을 때 ∧형을 이루도록 연결 설치되는 링크연결로드(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후방의 상/하부링크를 연결로드 및 수평연결로드로 연결하여 작업기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되는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에는 로터리, 쟁기, 써레 등의 작업기를 트랙터의 3점 지지링크인 상/하부링크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상부링크는 트랙터후단의 제1브래킷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제1연결핀에 의해 연결 설치되며 양단에 연결구멍을 갖는 나사로드가 터언버클몸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출몰되게 터언버클 타입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링크는 상부링크 하부양쪽위치의 제2브래킷에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좌우 및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중간부분과 트랙터의 유압모터의 출력회전축에 장착된 선회레버의 끝단이 연결로드로 연결되고 중간부분에서 트랙터의 뒷바퀴허브의 제3브래킷에 이르기까지 길이조정이 가능한 터언버클 타입의 체크체인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작업기를 연결하는 과정은 작업기 선단의 상/하부연결구멍에 상/하부링크의 연결구멍을 일치시켜 각각 핀으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그 일치과정이 너무 어렵고 번거로운 것이었다.
특히,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연결 설치되어 사용되는 작업기는 그 자체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연결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안전사고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보다 쉽게 연결 설치하기 위한 장치들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욕구에 의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86-5474호에는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연결되며 ∧형의 안내레일의 상단에 탄력적인 걸이구를 갖는 조작레버가 구비된 삼각대와, 이 삼각대의 외부에서 씌워져 결합되도록 작업기의 선단에 장착되며 안내레일의 외부에 씌워지는 디귿자형단면의 앵글이 삼각대와 동일형상으로 형성된 안내삼각대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개실용신안공보는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삼각대를 설치하고 작업기의 선단에 안내삼각대를 설치한 다음 트랙터의 상/하부링크를 내려 안내삼각대의 앵글에 걸리도록 삼각대를 하부에서 부로 걸어 올려 소정의 작업을 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상기의 공개실용신안공보에 있어서는 상/하부링크엔 삼각대를, 작업기엔 안내삼각대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구성 및 제작이 복잡하고 자재소요의 많음은 물론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없으며, 특히 작업기의 제작사마다 연결부분의 사이즈가 달라 각기 다른 삼각대와 안내삼각대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182655호에는 트랙터의 상/하부링크 중에서 하부링크 간격을 조정하는 체크체인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몸체의 전방상부엔 소정위치에서 고정을 위한 위치고정부를 갖는 가동관이 삽입된 고정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 하부의 몸체엔 가동관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가동관과 유압실린더의 로드 사이에 링크부를 형성하여 이 링크부와 가동관의 고정구 사이에 스프링이 탄력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있어서는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그 로드가 신축됨에 따라 가동관의 길이가 가변되므로 소비자가 갖고 있는 작업기에하부링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공보 또한 상부링크의 지지하거나 구동시키는 수단이 없어 별도의 작업기연결기가 필요하므로 작업기의 연결작업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으며, 좌우양쪽의 하부링크마다 유압실린더가 구비된 체크체인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체크체인의 구성이 복잡하고 이로 인하여 제작의 곤란함은 물론 결국 원가상승의 요인으로 대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후단에 각각 유형의 걸고리받침이 형성된 상/하부링크를 2개의 링크연결로드와 하나의 수평연결로드로 연결함으로써 작업기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그 구성 또한 간단함은 물론 제작사마다 각기 다른 사양의 작업기에도 적용이 쉬운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링크커넥터가 적용된 트랙터의 후단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링크커넥터가 적용된 상/하부링크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부링크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부링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링크커넥터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링크 11: 터언버클몸체 12,13: 나사로드
13a,20a: 걸고리받침 13b,24: 장공 20: 하부링크
21: 선회레버 22: 연결로드 23: 체크체인
30: 링크연결로드 31: 체결부재 40: 수평연결로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랙터의 제1브래킷에 상하로 회전되게 연결되며 터언버클몸체의 양쪽에 나사 결합된 나사로드 중에서 한쪽의 나사로드에 유형의 걸고리받침가 형성된 상부링크; 제2브래킷의 제2연결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트랙터측 유압모터의 출력회전축에 장착된 선회레버와 이 선회레버의 끝단에 연결된 연결로드로 연결되고 제3브래킷에서 중간부분에 이르기까지 체크체인으로 연결되며 끝단에 유형의 걸고리받침이 형성된 하부링크; 상기 상/하부링크가 서로 연결되며 배면에서 보았을 때 ∧형을 이루도록 연결 설치되는 링크연결로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이다.
또 상기 하부링크는 상부링크와 각각 연결된 링크연결로드에 대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수평연결로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링크에는 이들의 상하 및 좌우간격 보정이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공은 상/하부링크에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연결로드 및 수평연결로드에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고안의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링크커넥터가 적용된 트랙터의 후단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링크커넥터가 적용된 상/하부링크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상부링크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T)후단의 제1브래킷(B1)에는 상부링크(10)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제1연결핀(TP1)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이 상부링크(10)는 양쪽에 다른 방향의 암나사가 형성된 터언버클몸체(11)와 이 터언버클몸체(11)의 한쪽에 나사 결합되고 연결구멍을 갖는 나사로드(12) 및 상기 터언버클몸체(11)의 다른 한쪽에 나사 결합되고 유형의 걸고리받침(13a)을 갖는 나사로드(1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링크(10)하부위치의 트랙터(T) 양쪽의 제2브래킷(B2)에는 제2연결핀(TP2)으로 연결되고 끝단에 유형의 걸고리받침(20a)을 갖는 하부링크(20)가 좌우및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하부링크(20)는 그 중간부분과 트랙터(T)측 유압모터(M)의 출력회전축에 장착된 선회레버(21)의 끝단이 연결로드(22)로 연결되어 있다.
또 하부링크(20)는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중간부분에서 트랙터(T)의 뒷바퀴허브(H)의 제3브래킷(B3)에 이르기까지 길이조정이 가능한 터언버클 타입의 체크체인(23)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링크(10)와 2개의 하부링크(20)에는 배면에서 보았을 때 ∧형을 이루도록 링크연결로드(30)가 체결부재(31)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링크(10,20)에는 이들의 상하 및 좌우간격 보정이 가능하도록 장공(13b,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3b,21)은 상부링크(10)의 나사로드(13) 및 하부링크(2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링크연결로드(30)에 형성하여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는 트랙터(T)의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유압모터(M)를 작동시키되 상/하부링크(10,20)가 하부로 내려지도록 한 다음 상부링크(10)를 이루는 나사로드(13)의 걸고리받침(13a)이 작업기 선단의 상부연결핀에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트랙터(T)의 유압모터(M)를 작동시키면 그 출력회전축에 장착된 선회레버(21)가 상부로 회전하게 되고 이 선회레버(21)에 연결된 연결로드(22)를 통해 하부링크(20)를 끌어당기므로 하부링크(20)가 상부로 선회된다. 이와 동시에하부링크(20)와 링크연결로드(30)로 연결된 상부링크(10) 또한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렇게 상/하부링크(10,20)가 들어올려지기 시작하면 상부링크(10)측 나사로드(13)의 걸고리받침(13a)으로 들어가 안착되기 시작한다. 상기 상/하부링크 (10,20)에 장공(13b,21)이 형성되어 있어 상/하부링크(10,20)가 상하로 연동 회전될 때 발생되는 상하 및 좌우간격의 유격이 보상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링크(10)측 나사로드(13)의 걸고리받침(13a)이 작업기 선단의 상부연결핀에 걸리도록 하여 들어 올리기 시작하면 작업기의 상부연결핀은 상부링크(10)끝단의 걸고리받침(13a)을 따라 하부로 안내되므로 하부링크(20)끝단의 걸고리받침(20a)에 하부연결핀이 안내되어 안착되게 된다. 이때, 작업기는 상/하부링크 (10,20)의 걸고리받침(13a,20a)에 각각 안착되면서 트랙터(T)의 상/하부링크 (10,20)에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상부링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부링크(10)의 걸고리받침(13a)에 그 내부로 수용된 작업기(도시되지 않음)의 상부연결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해제레버(14)가 스프링(15)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 예의 구성에 의하면 상부링크(10)의 걸고리받침(13a)에 작업기의 상부연결핀이 삽입된 후 스프링(15)의 탄력에 의해 잠금/해제레버(14)를 돌리면 스프링(15)의 탄력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렇게 복귀되면 걸고리받침(13a)내에서 작업기의 상부연결핀이 분리 이탈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의 염려가 없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부링크(10)와 링크연결로드(30)로 연결된 양쪽의 하부링크(20)에는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수평연결로드(40)가 연결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구성에 의하면 상/하부링크(10,20)는 링크연결로드(30)로 연결됨과 아울러 양쪽의 하부링크(20)가 수평연결로드(40)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하부링크(10,20)의 강도가 더욱 보강되고 유동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부링크엔 삼각대를, 작업기엔 안내삼각대를 설치하여야 하나 작업기의 제작사마다 연결부분의 사이즈가 달라 각기 다른 삼각대와 안내삼각대를 구비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의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는 후단에 각각 유형의 걸고리받침이 형성된 상/하부링크를 2개의 링크연결로드와 하나의 수평연결로드로 연결함으로써 작업기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그 구성 또한 간단함은 물론 제작사마다 각기 다른 사양의 작업기에도 적용이 쉬운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 트랙터(T)의 제1브래킷(B1)에 상하로 회전되게 연결되며 터언버클몸체(11)의 양쪽에 나사 결합된 나사로드(12,13) 중에서 한쪽의 나사로드(13)에 유형의 걸고리받침(13a)이 형성된 상부링크(10); 제2브래킷(B2)의 제2연결핀(TP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트랙터(T)측 유압모터(M)의 출력회전축에 장착된 선회레버(21)와 이 선회레버(21)의 끝단에 연결된 연결로드(22)로 연결되고 제3브래킷(B3)에서 중간부분에 이르기까지 체크체인(23)으로 연결되며 끝단에 유형의 걸고리받침(20a)이 형성된 하부링크(20); 상기 상/하부링크(10,20)가 서로 연결되며 배면에서 보았을 때 ∧형을 이루도록 연결 설치되는 링크연결로드(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링크(20)는 상부링크(10)와 각각 연결된 링크연결로드(30)에 대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수평연결로드(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링크(10,20)에는 그 상하 및 좌우간격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장공(13b,2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결로드(30) 및 수평연결로드(40)에는 상/하부링크(10,20)의 상하 및 좌우간격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8524U KR200249835Y1 (ko) | 2001-06-20 | 2001-06-20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8524U KR200249835Y1 (ko) | 2001-06-20 | 2001-06-20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9835Y1 true KR200249835Y1 (ko) | 2001-11-16 |
Family
ID=7310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8524U KR200249835Y1 (ko) | 2001-06-20 | 2001-06-20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9835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2816A (ko) | 2017-11-09 | 2019-05-1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
KR20200046433A (ko) | 2018-10-24 | 2020-05-0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
KR102167151B1 (ko) * | 2020-05-15 | 2020-10-19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농업용 트랙터의 작업기 부착 보조장치 |
KR20220086010A (ko) | 2020-12-16 | 2022-06-23 | 정경식 | 트랙터용 농기계 연결장치 |
-
2001
- 2001-06-20 KR KR2020010018524U patent/KR20024983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2816A (ko) | 2017-11-09 | 2019-05-1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
KR20200046433A (ko) | 2018-10-24 | 2020-05-0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
KR102167151B1 (ko) * | 2020-05-15 | 2020-10-19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농업용 트랙터의 작업기 부착 보조장치 |
KR20220086010A (ko) | 2020-12-16 | 2022-06-23 | 정경식 | 트랙터용 농기계 연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49835Y1 (ko)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
KR100398702B1 (ko) | 써레 장착용 구조물 | |
KR102237530B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 지지구 | |
WO2018043389A1 (ja) | 角度可変式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 |
RU2634944C2 (ru) | Навесной оборотный плуг с ограничителем складывания | |
KR20100116418A (ko) | 트랙터용 써레 | |
CN106982706A (zh) | 一种园林种植物的固定装置 | |
CN205284075U (zh) | 农用拖拉机的拖挂装置 | |
KR200393311Y1 (ko) |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 |
KR200214870Y1 (ko) | 트랙터용 절첩식 보조 써레 | |
JP5093826B1 (ja) | トラクタ前方の上部ブラケットと農作業アタッチメントの上部ブラケットを連結するトップリンク構造 | |
KR200243391Y1 (ko) | 트랙터용 써레 | |
JPH11103609A (ja) | 作業機装着装置 | |
CN215244192U (zh) | 一种用于步行式牵引车的牵引装置 | |
KR200458229Y1 (ko) |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
CN208269434U (zh) | 转动支架结构及镜面转动架 | |
KR200242347Y1 (ko) | 트랙터용 절첩식 보조 써레 | |
KR200237357Y1 (ko) | 트랙터용 써레 | |
KR200182648Y1 (ko) | 광각굴절죠인트가 구비된 원형결속기 | |
CN2419793Y (zh) | 手扶机牵引偏挂犁 | |
KR200182649Y1 (ko) | 트랙터용 반전쟁기 | |
JPS5817856B2 (ja) | ケンセツキカイノユアツホ−スレンケツコウゾウ | |
JP4157808B2 (ja) | 耕耘ロータリのスタンド装置 | |
JPH0621286Y2 (ja) | クイックヒッチ装置 | |
JP2000291261A (ja) | 鉄塔建設用ブー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9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