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391Y1 -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391Y1
KR200243391Y1 KR2020010013678U KR20010013678U KR200243391Y1 KR 200243391 Y1 KR200243391 Y1 KR 200243391Y1 KR 2020010013678 U KR2020010013678 U KR 2020010013678U KR 20010013678 U KR20010013678 U KR 20010013678U KR 200243391 Y1 KR200243391 Y1 KR 200243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coupling
rod
fixed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동
Original Assignee
정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동 filed Critical 정길동
Priority to KR2020010013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391Y1/ko

Links

Landscapes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용 로타리의 후방에 설치되어 논바닥을 고르는 써레의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써레의 상,하 운동과 전,후,좌,우 방향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써레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 써레의 중앙상부에 결합봉을 결합핀으로 결합시키되 결합봉의 하단에 회동이 가능한 회동구를 끼우고 상기 회동구가 결합핀으로 장홈에 끼워지게 하는 한편 그 일측에 스프링에 탄지된 텐션 조절봉을 형성시킴으로써 써레가 장홈을 타고 상,하 이동되게 하고, 회동구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하며, 고정써레의 양측에는 쇠사슬을 걸어주되 쇠사슬이 V자 형태로 걸리게 하여 이동시 요동을 방지해 주는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Tractor harrow}
본 고안은 트랙터용 로타리의 후방에 설치되어 논바닥을 고르는 써레의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써레의 상,하 운동과 전,후,좌,우 방향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써레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논바닥을 고르는데 사용되고 좌,우 길이를 신축시켜가며 사용하는 트랙터용 써레는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에 실용신안등록 제 189797 호로 등록되어 있으나, 상기 선 등록된 트랙터용 써레는 양쪽이 쇠사슬에 의해 걸려있는 형태이므로 논바닥의 흙을 적절하게 끌고 가기 어려웠으며, 이로 인하여 논바닥이 평탄치 못할 경우 작업의도대로 써레질을 할 수 없었고, 특히 써레 이동시 쇠사슬에 매달려 있는 써레가 진동에 의해 전,후,좌,우로 흔들리게 되어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은 것이었다.
본 고안은 트랙터용 써레의 중앙부를 받쳐주되 써레가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써레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좌,우 방향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써레를 매달게 되는 쇠사슬을 V자 형태로 걸어주어 이동시 움직임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써레의 중앙 상부에 결합봉을 결합핀으로 결합시키되 결합봉의 하단에 회동이 가능한 회동구를 끼우고 상기 회동구가 결합핀으로 장홈에끼워지게 하는 한편 그 일측에 스프링에 탄지된 텐션 조절봉을 결합시킴으로써 써레가 장홈을 타고 상,하 이동되게 하고, 회동구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고정틀에 써레를 매달게 되는 쇠사슬을 V자 형태로 걸어주어 이동시 움직임을 줄이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 써레의 중앙상부에 결합봉을 결합핀으로 결합시키되 결합봉의 하단에 회동이 가능한 회동구를 끼우고 상기 회동구가 결합핀으로 장홈에 끼워지게 하는 한편 그 일측에 스프링에 탄지된 텐션 조절봉을 형성시킴으로써 써레가 장홈을 타고 상,하 이동되게 하고, 회동구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하며, 고정써레의 양측에는 쇠사슬을 걸어주되 쇠사슬이 V자 형태로 걸리게 하여 이동시 요동을 방지해 주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써레 들림을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보조 써레를 펼친 상태도
도 8 은 본 고안의 회동구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써레 10 : 고정써레 11,12 : 가변써레
15 : 고정돌기 20 : 유압실린더 25 : 쇠사슬
30 : 결합돌기 28 : 고정날개 31 : 장홈
32 : 결합핀 40 : 결합봉 41 : 회동구
50 : 텐션조절봉 51 : 스프링 52 : 결합핀
53 : 회동구 55 : 회동링
본 고안은 고정써레(10)에 끼워진 가변써레(11)(12)가 고정써레(10)에 고정된 유압실린더(20)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신축되게 구성된 써레(1)에 있어서, 상기 고정써레(10)의 상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장홈(31)이 뚫린 결합돌기(30)를 고정시키고, 상기 장홈(31)에 결합봉(40)을 결합핀(32)으로 결합시키되 결합봉(4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된 회동구(41)를 통하여 결합되게 하고, 상기 결합돌기(30)와 결합봉(40) 사이에는 스프링(51)에 탄지된 텐션 조절봉(50)을 설치하되 상기 텐션 조절봉(50)의 하부에도 회동구(53)를 삽입시켜 결합핀(52)으로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써레(10)의 양측 상부는 고정돌기(15)를 형성시켜 쇠사슬(25)을 걸어주되 상기 쇠사슬(25)을 고정봉(27)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날개(28)의 양단에 결합되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봉(27)은 고정틀(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써레(10)의 양측으로 결합된 보조써레(11)(12)는 유압실린더(20)의 신축에 의하여 고정써레(10)에 끼워진채 좌,우로 신축되어지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사실로써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써레(11)(12)를 신축시키는 유압실린더(20)의 유압배관(21)은 유압실린더(20)의 연결부(23)에 일치되게 상측으로 꺽어 주고, 유압배관(21)에는 어느 한쪽의 보조써레(11)(12)가 늦게 펼쳐지거나 늦게 접혀지는 감압밸브(24)를 설치하며, 고정써레(10)와 보조써레(11)(12)에는 함몰부(16)를 설치하는 한편 보조써레(11)(12)의 측면을 개방시켜 써레 작업시 밀려들어간 흙이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결합봉(40)과 텐션조절봉(50)을 결합돌기(30)에 결합시키는 회동구(41)(53)는 중앙이 볼형태로 돌출되어 결합되게 되므로 결합봉(40)과 텐션조절봉(50)이 끼워진 채로 전,후,좌,우 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회동구(41)(53)는 측방향으로 결합핀(32)(52)이 끼워지게 관통되어 진다.
텐션조절봉(50)은 스프링(51)이 외삽되어지며 상부는 회동링(55)에 끼워져 전,후 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며, 또한 고정핀(56)을 이용하여 스프링(51)의 텐션을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텐션 조절봉(50)을 들어올려 고정시킬수록 써레(1)의 밑바닥이 평편해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결합봉(40)을 결합시키는 회동구(41)는 결합핀(32)에 끼워지게 되나 상기 결합핀(32)은 결합돌기(30)에 형성된 장홈(31)에 끼워져 결합돌기(30)가 장홈(31)을 타고 상,하 이동되게 된다.
고정써레(10)를 걸어주는 쇠사슬(25)은 고정틀(2)에 착탈되는 고정봉(27)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날개(28)의 양단에 끼워지는 한편 그 선단은 고정돌기(15)에 결합되게 하여 쇠사슬(25)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V자 형태를 갖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써레(1)를 이용하여 써레질을 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써레질은 고정써레(10)에서 보조써레(11)(12)를 펼친채로 하게 되며, 논바닥이 고르지 못하여 써레(1)가 진행되는 쪽의 전방이 들릴 경우는 결합봉(40)은 고정된 상태에서 써레(1)의 전방이 들려 결합돌기(30)가 장홈(31)을 타고 상부로 이동되며 들려지게 된다.
그리고 써레(1)의 후방이 들릴 경우는 텐션 조절봉(50)이 상부로 이동되면서 들려지게 되는 것으로 이 때 회동구(53)와 회동링(55)에 의한 링크 결합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써레(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봉(40)이 고정써레(10)에 부착된 결합돌기(30)에 결합되어 있어 써레(1)를 하방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써레 작업시 논바닥의 흙을 밀어가며 평탄화 작업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써레(1)의 좌측 또는 우측이 들릴 경우 써레의 중앙부에 결합 된 회동구(41)(53)가 결합된 채로 회동하여 좌측 또는 우측이 들려지게 되며, 이렇게 써레(1)의 좌측 또는 우측이 바닥면 상황에 따라 들려지지 않으면 논두렁 등에 걸렸을 때 써레(1)가 망가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써레(1)를 V자 형태의 쇠사슬(25)로 결합시켜 써레(1)를 들어 이동시킬 때 써레(1)의 좌우 유동폭을 제한시키는 한편 고정날개(28)의 양쪽에서 써레(1)를 잡아주게 되므로 써레(1)를 이동할 때 써레의 좌우 유동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고정 써레(10)의 중앙 상단부에 고정된 결합돌기(30)에 결합봉(40)을 결합시키는 한편 텐션 조절봉(50)을 결합시킴에 있어서, 결합봉(40) 또는 텐션 조절봉(50)의 하단부에 회동구(53)가 끼워지게 하고, 상기 회동구(53)는 중앙통공에 결합핀(32)(52)이 끼워지게 하므로써 결합봉(40)과 텐션 조절봉(50)이 회동구(41)(53)를 중심으로 전,후,좌,우로 요동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봉(40)의 선단을 결합시키는 결합핀(32)에 장홈(31)에 끼워져 있어 결합돌기(30)의 상,하 이동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트랙터용 써레가 결합봉으로 높이 조절되게 하여 논바닥을 고를 때 많은 흙을 끌을 수 있도록 하고, 써레가 회동구에 의해 결합되어 전,후,좌,우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고정써레(10)의 양측으로 보조써레(11)(12)가 끼워지고, 상기 고정써레(10)에 고정된 유압실린더(20)를 작동시켜 상기 보조써레(11)(12)를 고정써레(10)의 좌,우측으로 신축시키는 트랙터용 써레(1)에 있어서,
    상기 고정써레(10)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장홈(31)이 형성된 결합돌기(30)를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돌기(30)의 장홈(31)에는 결합봉(40)에 끼워진 회동구(41)를 결합핀(32)으로 결합시키며,
    상기 결합돌기(30)의 후방으로 스프링(51)이 외삽된 텐션 조절봉(50)의 하부에 끼워진 회동구(53)를 결합핀(52)으로 결합시키며,
    상기 텐션 조절봉(50)의 스프링(51)은 상부에서 회동링(55)에 의해 압착되고 상기 회동링(55)은 결합봉(40)의 일측에 회동되게 끼워지며,
    상기 고정써레(10)의 양측으로는 쇠사슬(25)을 V자 형태로 결합시키되 상기 쇠사슬(25)은 고정봉(27)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날개(28)의 선단에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2. 제 1 항에서, 결합봉(40)과 텐션 조절봉(50)의 하부에 결합된 회동구(41)(53)는 볼 형태로 구성하여 결합봉(40)과 텐션 조절봉(50)에 끼워진 채로 사방으로 회동되게 하고, 상기 회동구(41)(53)의 중앙은 관통시켜결합핀(32)(52)으로 결합돌기(30)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KR2020010013678U 2001-05-10 2001-05-10 트랙터용 써레 KR200243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78U KR200243391Y1 (ko) 2001-05-10 2001-05-10 트랙터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78U KR200243391Y1 (ko) 2001-05-10 2001-05-10 트랙터용 써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391Y1 true KR200243391Y1 (ko) 2001-10-15

Family

ID=7310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678U KR200243391Y1 (ko) 2001-05-10 2001-05-10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3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922B1 (ko) * 2005-06-13 2007-03-30 김명수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KR101065303B1 (ko) * 2008-11-03 2011-09-16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KR102481916B1 (ko) * 2022-09-22 2022-12-26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922B1 (ko) * 2005-06-13 2007-03-30 김명수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KR101065303B1 (ko) * 2008-11-03 2011-09-16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KR102481916B1 (ko) * 2022-09-22 2022-12-26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8545A (en) Agricultural implement with foldable wing
US6684962B1 (en) Folding agricultural implement
US3948327A (en) Wingfold configuration
KR200243391Y1 (ko) 트랙터용 써레
KR101532596B1 (ko) 트랙터 후방에 작업기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장치
US5632106A (en) Tiller with adjustable depth cutter and snow comb entry angle
KR100451135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0393311Y1 (ko)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KR100849176B1 (ko)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KR101186977B1 (ko) 트랙터용 써래
CN210986944U (zh) 一种水田打浆机的悬挂装置
KR20110083173A (ko) 트랙터용 써래
JPH06141602A (ja) ロータリ耕耘装置の耕深調節連動リアカバー
JP6974188B2 (ja) 農業用整地機
KR20220086010A (ko) 트랙터용 농기계 연결장치
KR200239952Y1 (ko) 트랙터의 로터리
KR200249835Y1 (ko)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JP3974831B2 (ja) 畝立装置
KR200324385Y1 (ko) 로터리용 써레절첩장치
KR200215739Y1 (ko) 로타베이터 장착용 써레
KR100424917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0374288Y1 (ko) 트랙터용 써레
CA1056194A (en) Folding tool bar for agricultural implements
TWM549503U (zh) 附掛式水田整平機
KR200311291Y1 (ko) 트랙터용 평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