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531Y1 -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531Y1
KR200397531Y1 KR20-2005-0019583U KR20050019583U KR200397531Y1 KR 200397531 Y1 KR200397531 Y1 KR 200397531Y1 KR 20050019583 U KR20050019583 U KR 20050019583U KR 200397531 Y1 KR200397531 Y1 KR 200397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er
tractor
vertical
horizont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랑규
Original Assignee
진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랑규 filed Critical 진랑규
Priority to KR20-2005-0019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5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5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7622Scraper equipment with the scraper blade mounted on a frame to be hitched to the tractor by bars, arms, chains or the like, the frame having no ground supporting means of its own, e.g. drag 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80Component parts
    • E02F3/815Blades; Levelling or scarifying tools
    • E02F3/8157Shock absorbers; Supports, e.g. skids, rollers; Devices for compensating wear-and-tear,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그레이더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와 그레이더의 중앙힌지부를 서로 연결하되, 유격보장을 위한 장공을 연결부재 쪽에 마련하여 장공의 손상에 따른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그레이더의 회전 복귀용 스프링을 그레이더의 좌, 우 양측에 마련하여 그레이더의 복귀력이 균형적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랙터용 그레이더에 있어서, 그레이더의 복귀 스프링(145)을 그 축받침부(146)와 그레이더 본체(140a)간에 연결하되, 유압 실린더(142)의 연결부분보다 폭 방향으로 더 벌려서 연결하고, 상기한 그레이더의 중앙 힌지부(141)에는 원형 구멍(141a)을 형성하고, 상기한 센터 연결부재(125)에는 상기 원형 구멍(141a) 보다 큰 직경의 결합 구멍(125a)을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GRADER JOINT UNIT FOR TRACTOR}
본 고안은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특허출원 제10-2002-0053175호(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와 특허출원 제10-2003-0004218호(트랙터용 그레이더)에서 그레이더의 중앙 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근래에는 그레이더를 약식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트랙터의 전방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트랙터용 그레이더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트랙터용 그레이더들은 일부 개량된 형태이기 때문에 온전한 모터 그레이더와 달리 연결구조에 문제가 있으며, 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완충장치가 미흡하기 때문에 땅고르기를 하는 도중에 지면으로 일부가 노출된 돌뿌리에 블레이드가 걸릴 경우, 그 충격이 메인 프레임을 통해 차체 전체에 전달되므로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연결 및 설치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되는 트랙터에서의 신속한 분해 조립이 어렵다.
선출원 발명인 특허출원 제10-2002-0053175호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레이더 본체(140a)와, 상기 본체의 후방 중앙에 구비한 중앙 힌지부(141), 그 좌, 우 양측에 마련한 로드 연결부(144), 상기한 각각의 로드 연결부에 연결한 한 쌍의 유압 실린더(142)를 포함하는 그레이더(140)를 준비하고, 상부에서 가로부재(111)들과 세로부재(112)들로써 형성한 수평 프레임(110), 그리고 이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서 아래로 연결하되, 여기 가로부재(121)들과 세로부재(122)들로써 형성한 수직 프레임(1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수평 프레임(110)은 그 상부에 수직단부(113)를 형성하여 트랙터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실린더(131)의 로드(132)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선단 하부에는 연결핀(115)을 가진 좌, 우 각각의 수직봉(114)을 구비하여 트랙터(130)의 좌, 우 체결편(133)에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수직 프레임(120)은 그 가로부재(121)들의 중단에 종간부재(123)를 형성한 후, 이 종간부재(123)의 내측으로는 센터 연결부재(125)를 형성하고, 후방 외측으로는 실린더 연결편(124)을 형성하여, 상기 센터 연결부재(125)는 그레이더 본체(140a)의 중앙 힌지부(141)에 연결하고, 상기 실린더 연결편(124)에는 상기한 유압 실린더(142)의 후단을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 발명이 갖는 미비점은 상기한 중앙 힌지부(141)에 센터 연결부재(125)를 연결하였을 때 좌, 우 유격이 없어서 바닥의 돌출물이 걸렸을 때 그 충격이 매우 크다는 점이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03-0004218호를 개발하였다.
이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레이더(140)의 연결부분인 중앙 힌지부(141)에 장공(141b)을 형성하여 좌측 또는 우측에서 바닥의 돌출물이 걸렸을 때, 그 장공의 유격만큼 움직이도록 하여 충격을 완화 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그레이더(140)의 힘이 연결부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중앙 힌지부(141)의 장공(141b)이 손상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견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또 한, 상기한 그레이더(140)는 그 뒷편에 회전 복귀용 스프링(145)들이 설치되어 있는 바, 중앙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좌, 우 끝단쪽에서 발생하는 충격에는 바람직한 복귀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그레이더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와 그레이더의 중앙힌지부를 서로 연결하되, 유격보장을 위한 장공을 연결부재 쪽에 마련하여 장공의 손상에 따른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그레이더의 회전 복귀용 스프링을 그레이더의 좌, 우 양측에 마련하여 그레이더의 복귀력이 균형적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그레이더 본체와, 그 배면에서 축받침부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구비한 회동용 횡축과, 상기 횡축과 상기 본체 사이에 연결하여 회동 상태가 복귀되도록 한 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후방 중앙에 구비한 중앙 힌지부와, 그 좌, 우 양측에 마련한 로드 연결부와, 상기한 각각의 로드 연결부에 연결한 한 쌍의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그레이더, 상부에서 가로부재들과 세로부재들로써 형성한 수평 프레임과, 이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서 아래로 연결하되, 여기 가로부재들과 세로부재들로써 형성한 수직 프레임, 상기한 수평 프레임은 그 상부에 수직단부를 형성하여 트랙터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실린더의 로드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선단 하부에는 연결핀을 가진 좌, 우 각각의 수직봉을 구비하여 트랙터의 좌, 우 체결편에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수직 프레임은 그 가로부재들의 중단에 종간부재를 형성한 후, 이 종간부재의 내측으로는 센터 연결부재를 형성하고, 후방 외측으로는 실린더 연결편을 형성하여, 상기 센터 연결부재는 그레이더 본체의 중앙 힌지부에 연결하고, 상기 실린더 연결편에는 상기한 유압 실린더의 후단을 연결하여서 구성한 트랙터용 그레이더에 있어서, 상기한 그레이더의 복귀 스프링은 그 축받침과 그레이더 본체 사이에 연결하되, 상기한 유압 실린더의 연결부분보다 폭 방향으로 더 벌려서 연결하고, 상기한 그레이더의 중앙 힌지부에는 원형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한 센터 연결부재에는 상기 원형 구멍 보다 큰 직경의 결합 구멍을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트랙터용 그레이더는 본원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03-0004218호에서와 같이 그레이더 본체(140a)와, 그 배면에서 축받침부(146)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구비한 회동용 횡축(147)과, 상기 횡축과 상기 본체 사이에 연결하여 회동 상태가 복귀되도록 한 스프링(145)과, 상기 본체의 후방 중앙에 구비한 중앙 힌지부(141)와, 그 좌, 우 양측에 마련한 로드 연결부(144)와, 상기한 각각의 로드 연결부에 연결한 한 쌍의 유압 실린더(142)를 포함하는 그레이더(140), 그리고 상부에서 가로부재(111)들과 세로부재(112)들로써 형성한 수평 프레임(110)과, 이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서 아래로 연결하되, 여기 가로부재(121)들과 세로부재(122)들로써 형성한 수직 프레임(120), 상기한 수평 프레임(110)은 그 상부에 수직단부(113)를 형성하여 트랙터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실린더(131)의 로드(132)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선단 하부에는 연결핀(115)을 가진 좌, 우 각각의 수직봉(114)을 구비하여 트랙터(130)의 좌, 우 체결편(133)에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수직 프레임(120)은 그 가로부재(121)들의 중단에 종간부재(123)를 형성한 후, 이 종간부재(123)의 내측으로는 센터 연결부재(125)를 형성하고, 후방 외측으로는 실린더 연결편(124)을 형성하여, 상기 센터 연결부재(125)는 그레이더 본체(140a)의 중앙 힌지부(141)에 연결하고, 상기 실린더 연결편(124)에는 상기한 유압 실린더(142)의 후단을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서의 새로운 구성은 상기한 그레이더의 복귀 스프링(145)을 그 축받침부(146)와 그레이더 본체(140a) 사이에 연결하되, 상기한 유압 실린더(142)의 연결부분보다 폭 방향으로 더 벌려서 연결한 것이다.
또, 본고안에서의 새로운 구성은 상기한 그레이더의 중앙 힌지부(141)에는 원형 구멍(141a)을 형성하고, 상기한 센터 연결부재(125)에는 상기 원형 구멍(141a) 보다 큰 직경의 결합 구멍(125a)을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레이더를 사용하면서 진행중일 때, 그레이더 본체(140a)의 양쪽 끝단중 어느 한 쪽에서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그 충격이 그레이더 본체(140a)의 끝단부분에 설치한 해당 스프링(145) 때문에 충격 흡수가 용이하게 되고, 복귀력도 좋아진다.
또, 상기와 같이 그레이더 본체(140a)에 가해진 충격이 횡축(147) 및 유압 실린더(142)로 전달되었을 때, 유압실린더(142)가 흡수하지 못하는 충격이 센터 연결부재(125)로 전달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중앙 힌지부(141)의 원형구멍(141a)을 연결핀에 맞게 형성하고, 센터 연결부재(125)의 결합구멍(125a)을 연결핀 보다 비교적 크게 하였기 때문에 중앙힌지부(141) 보다 센터 연결부재(125)에 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때의 센터 연결부재(125)는 새로이 만들어진 중앙 힌지부(141)에 비하여 통상적으로 굵고 더 크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충격 및 마모로 인한 수명 단축이 적어진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그레이더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와 그레이더의 중앙힌지부를 서로 연결하되, 유격보장을 위한 장공을 연결부재 쪽에 마련하였기 때문에 연결부분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 한, 그레이더의 회전 복귀용 스프링을 가능한 그레이더의 좌, 우 양측 끝단부분에 마련하였기 때문에 중앙에만 스프링이 설치되던 종래에 비하여 충격 흡수효과가 상승되고, 복귀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수평 프레임 111 : 가로부재
112 : 세로부재 113 : 수직단부
114 : 수직봉 115 : 연결핀
120 : 수직 프레임 121 : 가로부재
122 : 세로부재 123 : 종간부재
124 : 실린더 연결편 125 : 센터 연결부재
130 : 트랙터 131 : 메인 실린더
132 : 로드 133 : 체결편
140 : 그레이더 140 : 본체
141 : 중앙 힌지부 141a : 장공
142 : 회동용 유압실린더 143 : 로드
144 : 로드 연결부 145 : 스프링
146 : 축받침부 147 : 횡축

Claims (1)

  1. 그레이더 본체(140a)와, 그 배면에서 축받침부(146)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구비한 회동용 횡축(147)과, 상기 횡축과 상기 본체 사이에 연결하여 회동 상태가 복귀되도록 한 스프링(145)과, 상기 본체의 후방 중앙에 구비한 중앙 힌지부(141)와, 그 좌, 우 양측에 마련한 로드 연결부(144)와, 상기한 각각의 로드 연결부에 연결한 한 쌍의 유압 실린더(142)를 포함하는 그레이더(140),
    상부에서 가로부재(111)들과 세로부재(112)들로써 형성한 수평 프레임(110)과, 이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서 아래로 연결하되, 여기 가로부재(121)들과 세로부재(122)들로써 형성한 수직 프레임(120), 상기한 수평 프레임(110)은 그 상부에 수직단부(113)를 형성하여 트랙터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실린더(131)의 로드(132)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선단 하부에는 연결핀(115)을 가진 좌, 우 각각의 수직봉(114)을 구비하여 트랙터(130)의 좌, 우 체결편(133)에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수직 프레임(120)은 그 가로부재(121)들의 중단에 종간부재(123)를 형성한 후, 이 종간부재(123)의 내측으로는 센터 연결부재(125)를 형성하고, 후방 외측으로는 실린더 연결편(124)을 형성하여, 상기 센터 연결부재(125)는 그레이더 본체(140a)의 중앙 힌지부(141)에 연결하고, 상기 실린더 연결편(124)에는 상기한 유압 실린더(142)의 후단을 연결하여서 구성한 트랙터용 그레이더에 있어서,
    상기한 그레이더의 복귀 스프링(145)은 그 축받침부(146)와 그레이더 본체(140a) 사이에 연결하되, 상기한 유압 실린더(142)의 연결부분보다 폭 방향으로 더 벌려서 연결하고, 상기한 그레이더의 중앙 힌지부(141)에는 원형 구멍(141a)을 형성하고, 상기한 센터 연결부재(125)에는 상기 원형 구멍(141a) 보다 큰 직경의 결합 구멍(125a)을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KR20-2005-0019583U 2005-07-06 2005-07-06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KR200397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83U KR200397531Y1 (ko) 2005-07-06 2005-07-06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83U KR200397531Y1 (ko) 2005-07-06 2005-07-06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531Y1 true KR200397531Y1 (ko) 2005-10-05

Family

ID=4369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83U KR200397531Y1 (ko) 2005-07-06 2005-07-06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5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909B1 (ko) 2007-03-09 2008-09-29 정인호 그레이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909B1 (ko) 2007-03-09 2008-09-29 정인호 그레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9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CZ133999A3 (cs) Odpružené zavěšení tělesa nápravy, výkyvně uložené
KR20100019847A (ko) 보조 써레용 안전장치
JPS606829B2 (ja) 装軌式車両の懸架装置
KR200397531Y1 (ko)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KR100599471B1 (ko) 현가 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KR100398597B1 (ko)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JP6106702B2 (ja) 揺動型車両
KR970068804A (ko) 트랙터용 써레
KR20070021443A (ko) 캡 리어 마운팅장치
KR100908865B1 (ko) 왕복식 압축스프링 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낙교방지장치
KR101398588B1 (ko)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CN113696687B (zh) 一种耐久性能好的后拉杆悬置支架
CN113565159A (zh) 挖掘机铲斗油缸防护机构
KR200238344Y1 (ko) 안전장치를 갖는 절첩식 써레
JPH10292426A (ja) 油圧シリンダの保護装置
KR102050742B1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CN215669813U (zh) 挖掘机铲斗油缸防护机构
KR200176955Y1 (ko) 트랙터용써레판구조
CN215630310U (zh) 挖掘机铲斗油缸防护机构
CN217892997U (zh) 一种地下铲运机前车架
KR200355075Y1 (ko)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KR102649309B1 (ko) 펜스 연결 브라켓 구조체
KR100666366B1 (ko)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마운팅구조
CN204608865U (zh) 一种小型轮式装载机前后车架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