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909B1 - 그레이더 - Google Patents

그레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909B1
KR100860909B1 KR1020070023711A KR20070023711A KR100860909B1 KR 100860909 B1 KR100860909 B1 KR 100860909B1 KR 1020070023711 A KR1020070023711 A KR 1020070023711A KR 20070023711 A KR20070023711 A KR 20070023711A KR 100860909 B1 KR100860909 B1 KR 10086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er
support plate
rod
rotation contro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860A (ko
Inventor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정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호 filed Critical 정인호
Priority to KR102007002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909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80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80Component parts
    • E02F3/815Blades; Levelling or scarifying tools
    • E02F3/8157Shock absorbers; Supports, e.g. skids, rollers; Devices for compensating wear-and-tea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1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mounted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1Bulldozers, Graders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이나 토질의 상태에 관계없이 승강 실린더를 이용하여 그레이더 날의 각도를 상, 하방향으로 조절하고, 일정 압력을 지지판에 가함으로써 적은 압력으로 지면을 고르게 다듬어 평탄화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그레이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을 고르거나 다듬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 그레이더 날과, 상기 그레이더날에 회동제어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견인수단의 후방에 고정시키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그레이더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부재는, 상기 연결대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단면형상이 사다리꼴 형태를 갖도록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판(30)과;상기 지지판(30)에 고정봉(45)을 매개로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그레이더날(10)이 결합되는 연결판(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레이더, 연결장치, 그레이더판, 고정봉, 회동제어봉

Description

그레이더 {GRAD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 장착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다른 장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또 다른 장착 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에 그레이더바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에 그레이더바가 장착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전진시 힘의 분배를 나타낸 상태 측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후진시 힘의 분배를 나타낸 상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동선을 나타낸 상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회동제어봉의 회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그레이더날 20: 연결대
21: 승강실린더 22: 제1브라켓
30: 지지판 31: 회동제어판
32: 회동제어볼트 33: 제2브라켓
34: 통공 40: 연결판
41: 날개부 42: 회동제어봉
45: 고정봉 46: 고정홀
47: 고정핀 55: 상부유도봉
56: 하부유도봉 57: 이동연결부재
65: 제3브라켓
본 발명은 그레이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이나 토질의 상태에 관계없이 승강실린더를 이용하여 그레이더 날의 각도를 상, 하방향으로 조절하고, 일정 압력을 지지판에 가함으로써 적은 압력으로 지면을 고르게 다듬어 평탄화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그레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더는 땅을 고르게 다듬어 평탄화 작업을 하는 장치이며, 지면과 맞다는 부분인 그레이더 날을 일정각도로 유지함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연결장치가 구비되고, 땅을 분쇄해서 지면을 고르는 작업은 그레이더날을 써레판으로 교체 후 작업할 수 있게 구비된다.
또한, 그레이더는 그레이더판을 들어올리거나 일정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그레이더의 연결대에 무리한 하중이 부가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일정한 힘이 지면에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평탄화 작업을 하도록 구성 된다.
그러나 종래의 그레이더는 상기의 연결대에 무리한 하중이 부가되어 연결대를 파손하거나 휘게 만들어 작업을 지연시키게 되고, 그레이더 날의 회동이 불가능한 고정식이거나 복잡한 구조를 이용하여 회동을 가능하게 하였지만, 그 작동 각이 미비하고, 트랙터와 같은 견인수단에 무리를 주게 되는 등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시된 공개특허공보 0069781호(2001. 07. 25, 발명의 명칭: 트랙터용 써레)를 보게 되면, 상기 써레판은 그 일면에 상기 승강실린더와 힌지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연결링크의 후단에 결합된 써레판과, 상기 써레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로 구성된다.
여기서, 승강실린더를 통해 써레판을 상하로 유동시킴으로 상, 하부 스톱퍼에 고정되어 멈추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써레가 전, 후진시 회동 되는 써레판이 상, 하스톱퍼에 의해 멈추게 됨에 따라 힘의 방향이 상기 연결링크에 가해지면서 상기 연결링크의 길이방향에 직교 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전해지면서, 상기 연결링크를 파손시키거나 휘어지게 하여 원활한 작업이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은 그레이더의 각도와 위치를 지면에 대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특히, 그레이더날을 지면으로부터 큰 각도로 상승 및 하강 시킬 수 있게 하며, 그레이더를 전, 후 이동시 지면의 마찰력에 따른 가압력이 지지판의 경사면에 안내되면서 분배되어 부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회동부위가 고정봉을 매개로 연결대와 그레이더날이 연결되어 회동이 자유로우며, 이로 인한 유지보수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그레이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레이더 자체 하중으로도 지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승강실린더 등의 부품에 무리를 줄이고, 무리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연결대와 그레이더날을 연결하는 고정봉이 파손됨에 따라 연결대와 그레이더날이 분리되어 작업을 더이상 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파손 또는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이에 따른 유지비용을 절감시킬수 있는 그레이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만들 뿐만 아니라, 고정봉이 파손되지 않고 가압력이 계속 가해지게 된다면 다른 중요 부품에 이차적인 부품 파손을 초래하여 더 큰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용을 절감하여 작업 또한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그레이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지면을 고르거나 다듬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 그레이더날와, 상기 그레이더날에 회동제어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견인수단의 후방에 고정시키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그레이더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부재는, 상기 연결대(20)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단면형상이 사다리꼴형태를 갖도록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 지게 형성된 지지판(30)과; 상기 지지판(30)에 고정봉(45)을 매개로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그레이더날(10)가 결합되는 연결판(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그레이더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 장착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다른 장착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또 다른 장착 상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상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에 그레이더바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에 그레이더바가 장착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전진시 힘의 분배를 나타낸 상태 측면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후진시 힘의 분배를 나타낸 상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동선을 나타낸 상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더의 회동제어봉의 회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그레이더의 구조는 지면을 고르거나 다듬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 그레이더날(10)과, 상기 그레이더날(10)에 회동제어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견인수단의 후방에 고정시키는 연결대(2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제어 부재는 상기 연결대(20)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단면형상이 사다리꼴형태를 갖도록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판(30)과, 상기 지지판(30)에 고정봉(45)을 매개로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그레이더날(10)가 결합되는 연결판(40)으로 구성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판(40)의 양측에 직교 되는 상, 하측은 일정 높이로 날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41)에는 상기 연결대(20)의 회동간격을 제어하도록 상기 지지판(30)의 타측 단부에 간섭되게 회동제어봉(42)이 각각 구비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제어봉(42)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의 상, 하측에 간섭되게 위치하며, 일정 각도의 범주를 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지면의 상태에 따른 각도에 변화를 주며, 상기 회동제어봉(42)의 위치를 조절하여 각도에 가변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제어봉(4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34)을 제2브라켓에 두어, 도 5와 도 6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통공(34)의 위치는 고정봉(45)의 상, 하측과 상기 고정봉(45)이 삽입되어있는 일측면과 회동제어봉(42) 양측으로 대칭되게 통공(34)을 두어 회동각도를 자유롭게 가변 할 수 있게 하여 부유물과 지면의 상태에 따라 각도와 힘을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45)과 회동제어봉(42)은 통공(34)의 위치에 따라 결합되며, 상기 연결판(40)과 지지판(30)이 첩촉시 연결판(40)의 접촉 부위를 대신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통공(34)의 위치에 맞게 위치시키면 최대 회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30)은 전, 후 이동시 고정봉(45)을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되며, 승강실린더(21)의 일측에 결속된 제2브라켓(34)을 통해 일정 힘과 회동제어봉(42)에 의해 멈추게 되고, 일정 각도를 갖게 되어 전, 후 이동시 유동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때, 그레이더는 그레이더날(10)과 지면에 접촉되면서 발생된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연결판(40)에 연결된 그레이더날(10)을 들어올려 상승시키는 압력이 발생 되는데, 이 경우 발생된 압력은 회동제어봉(42)에 간섭되는 상기 지지판(30)의 회동제어봉(42)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그레이더의 상승을 방지하여 평탄화 작업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고정봉(45)에는 상기 연결대(20)를 고정시켜 상기 지지판(30)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 대(20)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정홀(46)이 형성되어 고정핀(47)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홀(46)은 그레이더날(1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거나, 지면의 부유물 상태가 매우 불균일하여 큰 힘이 가해지게 되어서, 일정 힘의 과부하가 발생 되면, 고정홀(46)을 중심으로 고정봉(45)부분이 파괴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홀(46)은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날개부(41)의 폭이 가변함에 따라 적정 위치를 조절하게 하여 일정 힘이 연결판(40)에 전달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30)은 상기 연결대(20)의 단부 양측에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30)과 지지판(30)의 사이에는 상기 회동제어봉(42)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판(30)이 고정된 연결대(20)의 회동간격을 제어하도록 상기 지지판(30) 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33)에 너트결합되어 상기 회동제어봉(42)에 간섭되 는 회동제어볼트(32)가 더 구비된다.
즉, 회동제어볼트(32)는 회동제어봉(42)과 간섭되어 함께 유동하는 연결판(40)에 미세한 가변각도를 갖게 되는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대(20)에 대항 되는 지지판(30)의 타측면은 가해진 외력을 연결대(20)와 직교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그레이더 또는 상기 그레이더가 결합되는 트렉터의 후방에 별도의 분쇄기 등의 작업기를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그레이더의 전, 후진 동작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트렉터와 같은 견인수단을 통해서 그레이더를 전, 후진시킨 연결대(2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힘의 유동방향을 도 7a와 도 7b를 통해 힘의 방향을 표시하였다.
상기 견인수단의 후진시 일정 힘이 제2브라켓(34)에 가해지며 연결판(40)은 하측으로 회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상기 그레이더바(10)에 가해진 힘은 회동제어봉(42)과 지지판(30)과 고정봉(45)에 힘이 분산되어지며, 분산된 힘은 연결대(20)에 최종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여기서, 최종적으로 가해진 힘은 연결대(20)에 일직선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연결대(20)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수단의 전진시 일정 힘이 후진시와 동일하게 제2브라켓(34) 에 가해지게 되며, 연결판(40)은 상측으로 회동할려는 힘을 받게 되고, 상기 그레이더바(10)에 가해진 힘은 회동제어봉(42)과 지지판(30)과 고정봉(45)에 힘이 분산되어지며, 분산된 힘은 연결대(20)에 최종 가해지게 된다.
여기서, 최종 가해진 힘은 연결대(20)와 연결판(40)과 동일한 힘의 방향을 가짐과 아울러 후방측으로 힘이 분산되어 상기 연결대(20)에 무리를 주지 않고 용이하게 그레이더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브라켓(65)을 통해 연결된 경우 승강실린더(21)의 가변에 따른 그레이더날(10)의 각도를 지면에 맞게 평평하게 할 수 있으며, 상승과 하강에 따른 각도조절이 자유로워 작업시 주위 환경에 따른 대처 능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지면을 더욱더 세밀하게 평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20)를 한 개 또는 2개 이상을 장착하여 지면의 넓이나, 폭에 따라 연결대(20)를 추가 장착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2개 이상의 연결대(20)를 장착시 제1브라켓(22)과 연결된 승강실린더(21) 일측의 힌지 부위가 일축에 형성되지 않아 제1브라켓(22)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45)에 고정홀(46)을 두어 좌/우 방향을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과 도 2의 이동연결부재(57)를 매게로 상부유도봉(55)과 하부유도봉(56)으로 연결되고, 승강실런더(21)와 연결대(20)의 위치를 가변할수 있어, 그레이더 장착시 더욱더 자유롭게 장착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도 2에서 넓은 면적을 평탄화 할시 그레이더날(10)을 추가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더날(10)의 각도를 0~180° 까지 자유롭게 가변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 측면도를 도 3에 도시하였으며 승강실린더(21)와 연결대(20)를 추후에 가변시켜 더 큰 각도와 변형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그레이더는 견인수단의 전, 후진시 힘을 분산시킴에 따라 연결대(20)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며, 종래의 복잡한 프레임 구조와 구성요소를 간략하게 하여 원가 비용을 절감시킴과 아울러 유지관리가 용이한 유용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그레이더의 각도와 위치를 지면에 대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전, 후 이동시 부유물로 인한 그레이더 연결대와의 마찰력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작업에 따른 힘의 분배와 부품 파손을 최소화하며, 이로 인하여 비용의 절감과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지면을 고르거나 다듬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 그레이더날과, 상기 그레이더날에 회동제어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견인수단의 후방에 고정시키는 연결 대를 포함하는 그레이더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부재는, 상기 연결대(20)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단면형상이 사다리꼴형태를 갖도록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판(30)과;
    상기 지지판(30)에 고정봉(45)을 매개로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그레이더날(10)가 결합되는 연결판(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40)의 길이방향 양측에 직교 되는 상, 하측은 일정 높이로 날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41)에는 상기 연결대(20)의 회동간격을 제어하도록 상기 지지판(30)의 타측 단부에 간섭되게 회동제어봉(42)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45)에는 상기 연결대(20)를 고정시켜 상기 지지판(30)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대(20)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정홀(46)이 형성되어 고정핀(47)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0)은 상기 연결대(20)의 단부 양측에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30)과 지지판(30)의 사이에는 상기 회동제어봉(42)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판(30)이 고정된 연결대(20)의 회동간격을 제어하도록 상기 지지판(30) 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33)에 너트결합되어 상기 회동제어봉(42)에 간섭되는 회동제어볼트(3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더.
KR1020070023711A 2007-03-09 2007-03-09 그레이더 KR100860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711A KR100860909B1 (ko) 2007-03-09 2007-03-09 그레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711A KR100860909B1 (ko) 2007-03-09 2007-03-09 그레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860A KR20080082860A (ko) 2008-09-12
KR100860909B1 true KR100860909B1 (ko) 2008-09-29

Family

ID=4002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711A KR100860909B1 (ko) 2007-03-09 2007-03-09 그레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950A (ko) 2013-10-28 2015-05-11 (주)태성공업 농기계 탈착용 그레이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2597A (zh) * 2018-01-04 2018-05-11 梅州市绿鹰机械设备有限公司 草坪用多功能推耙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7601U (ko) 1975-04-10 1976-10-15
JPH0184351U (ko) * 1987-11-24 1989-06-05
JPH0198257U (ko) * 1987-12-15 1989-06-30
KR100228261B1 (ko) 1997-08-14 1999-11-01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10069781A (ko) * 2001-05-11 2001-07-25 김중호 트랙터용 써레
KR200397531Y1 (ko) 2005-07-06 2005-10-05 진랑규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7601U (ko) 1975-04-10 1976-10-15
JPH0184351U (ko) * 1987-11-24 1989-06-05
JPH0198257U (ko) * 1987-12-15 1989-06-30
KR100228261B1 (ko) 1997-08-14 1999-11-01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20010069781A (ko) * 2001-05-11 2001-07-25 김중호 트랙터용 써레
KR200397531Y1 (ko) 2005-07-06 2005-10-05 진랑규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의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950A (ko) 2013-10-28 2015-05-11 (주)태성공업 농기계 탈착용 그레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860A (ko)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909B1 (ko) 그레이더
AT515190A2 (de) Ferseneinheit mit Bremsanordnung
US20140326472A1 (en) Support apparatus for securing a material moving wing plow relative to a vehicle
DE2527692A1 (de) Schlepper-anbaugeraet fuer erdarbeiten
KR102488452B1 (ko) 트랙터의 견인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
DE19504420A1 (de) Ausleger- und Abdeckungsanordnung
DE2035066A1 (de) An ein Zugfahrzeug kuppelbares Gerat fur den Unterhalt oder Bau von wassergebun denen Straßen
KR20070023079A (ko)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US3002300A (en) Bulldozer with laterally adjustable blade
KR101368466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트랙터용 써레
KR20140018063A (ko)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 제한장치
EP3093420B1 (de) Feststellvorrichtung für türen
EP2390417A2 (en) End plate for a screed unit of a paver finisher
KR101163849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1951626B1 (ko) 써레 하중 저감장치
KR101848355B1 (ko) 트랙터용 써레
CN105144869A (zh) 一种调幅液压翻转犁架
DE3427432C2 (de) Vorrichtung zum fahrzeugseitigen Anschluß mindestens einer Stabilisierungsstrebe für die Seitenstabilisierung der Unterlenker eines Dreipunktgestänges
KR102504916B1 (ko) 써레 안전장치
DE2605355A1 (de) Bremsanordnung
JP7249905B2 (ja) 作業車両
JP3605013B2 (ja) 農作業機
AT11644U1 (de) Schneepflug
DE1076424B (de) Geraeteanbauvorrichtung fuer Ackerschlepper
DE102004015375B3 (de) Formsteinverlege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