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264A - 써레 하중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써레 하중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264A
KR20180129264A KR1020170065039A KR20170065039A KR20180129264A KR 20180129264 A KR20180129264 A KR 20180129264A KR 1020170065039 A KR1020170065039 A KR 1020170065039A KR 20170065039 A KR20170065039 A KR 20170065039A KR 20180129264 A KR20180129264 A KR 20180129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fixing part
harrow
vertical bracket
ten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1626B1 (ko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62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써레 하중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논의 평탄작업 시 무논의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의 무게 즉 하중을 줄여 평탄작업 효율을 개선시키도록 하는 써레 하중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타리(100)의 횡축에는 수직브라켓(111)과 수평프레임(112)으로 된 써레 장착구조물(110)이 고정되고,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전단이 힌지결합되는 써레프레임(210)을 매개로 써레(200)가 연결되며,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의 일부분에는 제1고정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상기 써레프레임(210) 또는 그 써레프레임과 연결되는 써레판(220)에는 제2고정부(240)가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간에는 양측이 연결되어 승강실린더(230)에 의한 상기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시 탄성동작되면서 무논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의 하중을 점차적으로 저감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3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써레 하중 저감장치{Apparatus for reducing weight of harrow}
본 발명은 써레 하중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논의 평탄작업 시 무논의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의 무게(하중)를 저감시켜 평탄작업 효율을 개선시키도록 하는 써레 하중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레는 일자형의 써레판을 지면에 접촉시켜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무논의 바닥을 평평하게 고르는 기계장치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지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과 이동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써레는 써레판이 트랙터에 연결된 로타리 폭보다 넓어야 효율적으로 평탄작업을 하게 되나, 이동 시 써레판의 폭이 너무 넓어 불편하므로 통상적으로 중앙써레판과 그 중앙써레판의 양단에 접철되도록 외측써레판을 구비하여 평탄작업 시에 외측써레판을 펼쳐 사용하고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를 신장동작시켜서 써레판을 하강동작시키면 써레판이 무논의 바닥에 접촉하게 되고, 이때부터 써레판의 무게로 무논의 바닥을 누르면서 평탄작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써레의 원재료에서 금속 소재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데, 써레판의 승강과 외측써레판의 접철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써레의 사용 중 논두렁 등 외부의 충격에 의한 써레의 파손방지를 위하여 써레의 강도 향상을 꾀하다 보니, 써레의 제품 무게가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무거운 써레로 평탄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무거운 써레판이 무논의 바닥에 더 잠기게 되어 써레의 진행방향으로 물과 흙이 밀리다가 결국 써레판의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게 되므로, 써레판이 지나간 자리가 깊어지는 등 평탄작업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무논의 바닥이 높으면 써레판이 흙을 누르면서 긁어 가고, 무논의 바닥이 낮은 곳이면 써레판이 덜 누르면서 평탄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승강실린더의 신축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미숙한 사용자에게는 더욱 어려운 일이었다. 즉, 종래의 써레는 무논 바닥의 높낮이와 관계없이 운전석에서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는 한 항상 일정한 무게로 누르면서 평탄작업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3079호(2007.02.28,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특허등록공보 제10-0452184호(2004.10.01, 로터리용 써레)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탄작업 시 무논의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의 하중을 줄여주어 써레판이 무논에 덜 잠기게 함으로써 써레판에 의해 무논의 물과 흙이 덜 밀려나가도록 하여 써레의 평탄작업 효율을 개선시키도록 한 써레 하중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의 설치위치 변경으로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현장여건에 따라 써레판의 하중을 적절하게 저감시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를 2개의 단위브래킷으로 형성하고 이를 힌지볼트와 안전볼트로 연결함으로써 써레판의 후방충돌 등의 충격발생시 안전볼트가 절단되면서 인장스프링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한 써레 하중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는 로타리(100)의 횡축에는 수직브라켓(111)과 수평프레임(112)으로 된 써레 장착구조물(110)이 고정되고,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전단이 힌지결합되는 써레프레임(210)을 매개로 써레(200)가 연결되며,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의 일부분에는 제1고정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써레프레임(210) 또는 그 써레프레임과 연결되는 써레판(220)에는 제2고정부(240)가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간에는 양측이 연결되어 승강실린더(230)에 의한 상기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시 탄성동작되면서 무논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의 하중을 점차적으로 저감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3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300)는,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지지대(310)와, 상기 지지대(310)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 또는 일단이 연결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써레판(220)의 승하강동작시 압축 및 인장되는 인장스프링(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은 1개 이상 구비되어 1열로 연결되어 지되,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써레판(220)의 상승동작시 연결부위가 하방으로 꺾여지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은 서로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인장스프링(320)이 연결되는 지지대(310)의 타단에는 상기 인장스프링(320)의 인장력 조절을 위해 인장력 조절수단(33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어느 하나는 2개의 단위브래킷으로 형성되어 그 중 하나는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탄성부(30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2개의 단위브래킷은 일측이 힌지볼트(125)로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안전볼트(126)로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300)의 탄성한도를 초과하는 충격 발생시 상기 안전볼트(126)가 절단되면서 힌지볼트(125)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는 로타리(100)의 횡축에는 수직브라켓(111)과 수평프레임(112)으로 된 써레 장착구조물(110)이 고정되고,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전단이 힌지결합되는 써레프레임(210)을 매개로 써레(200)가 연결되며,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에는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써레의 하강동작시 써레프레임(210)의 하면에 접촉되면서 써레프레임을 지지하는 받침대(400)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400)와 수직브라켓(111) 간에는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승강실린더(230)에 의한 상기 써레(200)의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시 탄성동작되면서 무논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의 하중을 점차적으로 저감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써레 하중 저감장치에 따르면, 무논의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의 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물과 흙의 밀림이 감소하여 평탄효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무논의 바닥이 높은 곳이 낮은 곳에 비해 써레판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진 상태임에 따라 흙을 긁으면서 평탄작업을 할 수 있고, 무논의 바닥이 낮은 곳에서는 인장스프링에 의해 써레판의 하중이 더 가벼워진 상태임에 따라 무논의 바닥을 덜 누른 상태로 평탄작업을 하게 됨으로써 흙이나 물의 밀림을 최소화하면서 평탄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를 쉽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고, 인장스프링의 인장력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현장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쉽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가 설치된 트랙터용 써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에 설치된 제1고정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측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에 설치된 제1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 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의 설치예를 보인 트랙터용 써레의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보인 트랙터용 써레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가 설치된 트랙터용 써레를 하강시킨 상태도,
도 7은 도 6에서 써레를 상승시킨 상태의 써레 하중 저감장치를 보인 측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장력 조절수단으로 턴버클이 설치된 써레 하중 저감장치를 보인 트랙터용 써레의 측면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에 설치된 2개의 단위브래킷으로 구성된 제1고정부를 보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를 보인 발췌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써레판을 하강시킨 상태에서의 써레 하중 저감장치를 보인 측면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에서 탄성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의 설명에 앞서, 써레(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 후방에 설치되는 로타리(100)에 써레 장착구조물(110)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것이고, 그 세부 구성으로는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에 전단이 연결되는 써레프레임(210) 및 승강실린더(230)와, 상기 써레프레임(210) 및 승강실린더(230)의 후단과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되는 써레판(2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은 써레, 배토기 등의 농기계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로타리(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로타리 상부 횡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브라켓(111)과, 이 수직브라켓(111)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12)이 구비되어 일체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중간부 후단에 상기 써레프레임(210)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중앙부에 상기 승강실린더(230)가 힌지연결되어 써레판(22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수직브라켓(111)은 보통 상기 로타리(100)의 횡축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수평프레임(112)과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상단 내측 횡방향으로 별도의 지지결합부가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은 종래에 이미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써레(200)를 이루는 상기 써레프레임(210)은 서로 나란하게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게 하여 설치되어 있고, 서로 나란하게 마련된 써레프레임(210)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횡대가 마련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써레프레임(210)은 중앙써레판과 연결되는 '││' 형태이거나, 횡방향으로 1개 또는 2개의 횡대가 결합되어 중앙써레판과 연결되는 '
Figure pat00001
' 또는 '
Figure pat00002
'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써레판(220)은 상기 써레프레임(210) 및 승강실린더(230)와 결합되는 중앙써레판과, 그 중앙써레판의 좌우 외측에는 중앙써레판에 접어지게 설치되는 외측써레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230)는 트랙터의 운전석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승강실린더의 승강제어를 통하여 써레판(2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실린더(230)는 후단이 상기 써레프레임의 횡대에 힌지 결합되어 써레프레임을 매개로 써레판(220)과 연결되게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써레판(220)의 중앙부 정확하게는 중앙써레판의 중앙부에 직접 힌지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구조로 된 공지의 써레를 이용하여 평탄화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실린더(230)를 신장시켜 써레판(220)을 하강시켜 무논의 바닥에 접촉시키게 되고, 무논의 바닥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써레판(220)의 무게만으로 무논의 바닥을 누르면서 평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써레는 본 출원인을 포함하여 다수가 이미 출원하여 공개 및 등록받은 특허공보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평탄작업원리 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평탄화작업시 무논의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의 하중을 저감시켜 주기 위한 장치로서, 써레판의 하중을 줄여 평탄작업 효율을 개선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는 써레 장착구조물(110)의 일부분에 제1고정부(1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과 연결되는 써레(200)의 써레프레임(210) 또는 써레판(220)에는 제2고정부(240)가 설치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간에는 양측이 연결되어 승강실린더(230)에 의한 상기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시 탄성동작되면서 무논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220)의 하중을 저감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300)는 전체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인장스프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일부분만을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나머지는 일정 길이의 봉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300)가 일부분은 스프링 나머지 일부분이 봉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써레판(220)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승동작시에 제1고정부(120)나 제2고정부(240)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되도록 설치하여 탄성부(300)를 포함한 부품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탄성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으로 구성하여 1열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0)는 일정길이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양 단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인장스프링(320)에 끼워 연결하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대(310)는 환봉, 강선, 여러 겹의 와이어, 평철과 같이 납작한 금속편, 체인, 로프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인장스프링(320)과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320)은 상기 지지대(31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것이고, 타단이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써레판(220)의 승하강동작시 압축되거나 인장되어 진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제1고정부(120)에 인장스프링(320)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240)에 지지대(310)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300)는 상기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시 탄성력으로 인해 써레판의 하중을 저감시키게 됨으로써 무거운 써레판에 의해 무논의 흙이 깊게 패이는 등 최근 무거워진 써레판에 의해 평탄작업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평탄효율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스프링(320)은 통상의 인장스프링 뿐만 아니라 번데기 형상의 이형 인장스프링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외압에 의해 인장될 수 있는 구조로 된 스프링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는 각각 브래킷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지지대(310)나 인장스프링(320)의 연결을 위해 구멍(121)이나 걸림홈(122)이 형성되는데, 이 구멍(121) 또는 걸림홈(122)은 인장스프링(320)의 인장력 조절을 위해 2개 이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논의 토양이나 써레의 작업속도, 기타 조건이 지역의 특성이나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서 다양하므로 그러한 조건에 맞춰서 상기 인장스프링(320)의 인장력을 조절하거나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멍(121)은 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지지대(310)나 인장스프링(320)의 단부가 특정한 방향이나 각도에서만 삽입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대(310)나 인장스프링(320)의 단부는 '
Figure pat00003
' 또는 '
Figure pat00004
' 등의 형상으로 형상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22)은 브래킷의 상부에 일정 깊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절개된 일부분에는 상기 걸림홈(122)으로 인입된 상기 지지대(310) 또는 인장스프링(320)의 단부가 쉽게 인출되지 않도록 걸림돌기(123)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대(310)나 인장스프링(320)의 단부를 일측이 개구된 '
Figure pat00005
' 또는 '
Figure pat00006
' 등의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일측이 개구되지 않은 고리형태로 형성하여 볼트나 핀 등을 이용하여 상기 구멍이나 삽입홈에 끼워 고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은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1열로 연결되어 진다. 연결부위는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써레판(220)의 상승동작시 연결부위가 하방으로 꺾여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위를 하방으로 꺾여지게 구비함에 따라 써레판(220)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후술한 바와 같이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한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져 있는 상태임에 따라 상호 이탈가능성 및 분리가능성이 최소화된다.
상기 연결부위는 서로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거나 서로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310)의 단부에는 고리형태로 된 링이나 샤클 등의 연결링(311)을 구비하거나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볼트와 너트 또는 핀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300)의 탄성력 조절, 정확하게는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술한 구조 외에도 인장스프링의 인장력 조절을 위해 상기 지지대(310)의 단부에는 별도로 인장력 조절수단(3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장력 조절수단(330)은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 간에 설치되는 턴버클, 상기 인장스프링(320)을 끼움결합하기 위해 지지대(31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링, 상기 지지대(310)의 타단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
Figure pat00007
)이나 홈(
Figure pat00008
)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은 현장상황이나 여건에 따라 인장력을 조절하거나 원하는 위치 및 결합방법으로 서로 연결하여 설치되는 것이며, 인장스프링과 지지대의 개수도 1개 또는 그 이상 구비하여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써레에 1개의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탄성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중앙부분 즉, 승강실린더의 하부에 근처에 위치되게 설치하도록 하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탄성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승강실린더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 중 어느 하나는 2개 이상 구비되어 나머지 하나와 연결되게 하고,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는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할 수 있다.
예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를 구성하는 인장스프링을 2개 구비하고, 이를 연결하는 제1고정부를 2개 구비하도록 하며, 지지대와 제2고정부를 1개 구비하여 본 발명의 하중 저감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5b와는 반대로 인장스프링과 제1고정부를 1개 구비하고, 지지대와 제2고정부를 2개 구비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1고정부(120)는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00)의 수평프레임(112)에 설치되어 지되,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그 이유는, 상기 수직브라켓(111)과 상기 써레프레임(210)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탄성부(300)의 전단이 설치되는 것이 상방으로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높이와 비슷하여야 상기 탄성부(300)가 효과적으로 탄성동작되면서 하강상태의 써레판의 하중을 저감시키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탄성부(300)의 전단이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에 연결되면, 상기 써레프레임(210)의 전단과 비슷한 높이에서는 하강된 써레판(220)에 대해 효과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어느 하나는 2개의 단위브래킷으로 형성되어 그 중 하나는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탄성부(300)와 연결되도록 구비하고, 힌지볼트(125)와 안전볼트(126)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탄성부(300)의 탄성한도를 초과하는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2개의 단위브래킷은 일측이 힌지볼트(125)로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안전볼트(126)로 결합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안전볼트(126)가 절단되면서 힌지볼트(125)를 중심으로 탄성부의 탄성력이 작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의 탄성한도가 초과되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힌지볼트(125)와 안전볼트(126)는 같은 소재와 굵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나, 정확한 동작을 위해 안전볼트의 소재, 굵기 등을 힌지볼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도록 하고, 안전볼트의 경우 볼트 대신 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시 써레판이 계속해서 하강되어 지면 상기 인장스프링(320)의 탄성한도가 초과되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의 수직브라켓(111)과 상기 써레프레임(210)의 사이 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써레판(220)의 하강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하강제한수단(13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강제한수단(130)을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써레프레임(210)의 하면을 받쳐주는 받침대로 구성하면 되고, 상기 수직브라켓(111)과 써레프레임(210)의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상부 일측에 일단을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써레프레임(210)의 상부 일측을 관통한 채로 걸려지게 일정길이의 로드로 구성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서 탄성부(300)는 써레판을 하강동작시키면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의 사이거리가 점점 멀어지게 됨으로써 탄성력이 발휘되면서 써레판의 하중을 점차적으로 저감시키게 되며, 그로 인해 물과 흙의 밀림현상을 감소시켜 평탄효율을 개선시키게 된다.
이때, 무논의 바닥이 다른 곳에 비해 높은 곳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써레판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탄성부(300)의 탄성력이 윗문단에서 설명한 것에 상대적으로 적게 발휘되면서 써레판의 하중을 더 조금 저감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써레판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여 높은 곳의 흙을 누르면서 긁어가게 된다.
따라서, 바닥의 높이에 따라 써레판의 하중이 선택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높은 곳의 흙은 많이 누르면서 평탄작업을 함에 따라 쉽게 긁어 이동시키게 되고, 낮은 곳의 흙은 상대적으로 적게 누르면서 평탄작업을 함에 따라 흙이 적게 긁어가거나 거의 긁어가지 않게 되어 효과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써레판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로타리를 상승시키게 되면 무논의 바닥에 접촉된 써레판이 상대적으로 더 하강하게 되므로, 써레판의 하중을 더욱 저감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상기 탄성부(300)는 분리결합이 가능함에 따라 탄성부의 파손으로 인한 수리 또는 교체시 뿐아니라 로타리로부터 써레를 분리하는 경우에 탄성력의 저하없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300)는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토양의 특징이나 현장여건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탄성력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2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는 써레 장착구조물(110)의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써레의 하강동작시 써레프레임(210)의 하면에 접촉되면서 써레프레임을 지지하는 받침대(4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400)와 수직브라켓(111) 간에는 양측이 연결되어 승강실린더(230)에 의한 상기 써레(200)의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시 탄성동작되면서 무논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의 하중을 점차적으로 저감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500)가 설치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써레 하중 저감장치는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써레 장착구조물(110)의 수직브라켓(111)에 설치되어 써레프레임이 접촉되면서 써레판의 하중이 저감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제1실시예의 써레 하중 저감장치와 설치위치가 상이하다.
제2실시예의 써레 하중 저감장치에도 로타리(100)의 횡축에는 수직브라켓(111)과 수평프레임(112)으로 된 써레 장착구조물(11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전단이 힌지결합되는 써레프레임(210)을 매개로 써레(200)가 연결되어 진다.
상기 받침대(400)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힌지결합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써레의 써레판 하강동작에 따라 써레프레임의 하면에 접촉된 채로 회동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탄성부(500)의 탄성력이 상기 써레프레임에 작용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써레프레임(210)과 연결된 써레판(220)은 하강시 점차적으로 큰 탄성력을 받게 됨으로써 하강되면 될수록 써레판의 하중이 저감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받침대(400)에 설치되는 탄성부(500)는 써레판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는 탄성력도 제로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탄성부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400)는 상기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시 써레프레임(210)을 지지한 채로 회동됨에 따라 탄성부(500)의 탄성한계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파손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수직브라켓(111)에는 상기 받침대(400)의 힌지 결합위치보다 전방에 위치되게 안내홀(450)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400)에는 상기 안내홀(450) 상에서 이동되면서 받침대(400)의 회동각도가 제한되도록 안내돌기(452)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돌기(452)가 안내홀(450) 상에서만 이동되면서 받침대의 회동각도를 제한해줌으로써 탄성부(5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여기에 더하여 안내홀(450)의 하한점에서는 써레판이 더이상 하강되지 않게 됨으로써 별도로 하강제한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써레판의 하강제한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홀(450)과 안내돌기(452)는 서로 반대가 되게 즉, 안내홀을 받침대에 형성하고, 안내돌기를 수직브라켓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탄성부(500)는 통상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는데, 도 11과 같이 인장스프링을 사용하거나 도 12와 같이 압축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을 사용한 경우,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받침대(400)의 타측과 수직브라켓(111)의 상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부(510)와, 상기 스프링고정부(510)에 양측이 연결되는 인장스프링(511)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511)은 상기 받침대(400)의 타측과 수직브라켓(111)의 상부 일측에 양측을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에 따른 상기 받침대(400)의 하방회동시 인장력을 발휘하면서 상기 써레판(220)의 하중을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장스프링(511)은 써레프레임(210)의 내측이나 외측 또는 양측에 모두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고정부(510)는 상기 인장스프링(511)의 고정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수직브라켓(111)과 받침대(400)에 돌기나 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축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받침대(400)의 타측 하부와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에 양측이 연결되는 스프링가이드(520)와, 상기 스프링가이드(520)에 관통된 채로 그 스프링가이드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400)의 타측 하부와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에 각각 지지되는 압축스프링(521)과, 상기 써레판의 하강동작에 따른 받침대(400)의 회동시 상기 스프링가이드(5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받침대(400) 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형성되는 가이드이동안내수단(522)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써레판의 하강동작시 받침대(400)의 타측이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521)을 압축시키게 되어 써레판의 하중이 저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대(400)의 타측이 하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가이드(5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되는 상기 가이드이동안내수단(522)는 상기 받침대(400) 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스프링가이드(520)의 설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방형의 가이드안내구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2에서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가이드안내구멍을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힌지회동되게 일정길이의 금속편 등의 회동부재를 구비하고, 그 회동부재에 상기 스프링가이드(520)의 단부를 연결하여 압축스프링(521)의 압축력에 따라 스프링가이드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은 받침대가 돌출된 방향으로 일정 길이 더 돌출되게 형성하거나 별도로 지지부재 등을 수직브라켓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구조 외에도 상기 탄성부(500)는 수직브라켓(111)의 후방쪽이 아닌 전방쪽에 구비하여 상기 받침대(400)와 수직브라켓(111)의 일측을 서로 연결되게 스프링을 설치하여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써레 하중 저감장치는 수직브라켓(111)에 설치하여 써레판의 하강동작에 따라 써레프레임(210)이 접촉되면서 써레프레임에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결국 써레판의 하중을 저감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이상 종합하여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써레 하중 저감장치는 써레 사용 시 무논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의 하중을 탄성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감시키도록 함으로써 써레판에 의한 물과 흙의 밀림을 감소시켜서 써레의 평탄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고, 편리하게 탈부착으로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로타리 110: 써레 장착구조물
111: 수직브라켓 112: 수평프레임
120: 제1고정부 120a, 120b : 단위브래킷
121: 구멍 122: 걸림홈
123: 걸림돌기 125: 힌지볼트
126: 안전볼트 130: 하강제한수단
200: 써레 210: 써레프레임
220: 써레판 230: 승강실린더
240: 제2고정부 300, 500: 탄성부
310: 지지대 311: 연결링
320: 인장스프링 330: 인장력 조절수단
400: 받침대 450: 안내홀
452: 안내돌기 500: 탄성부
510: 스프링고정부 511: 인장스프링
520: 스프링가이드 521: 압축스프링
522: 가이드이동안내수단

Claims (18)

  1. 로타리(100)의 횡축에는 수직브라켓(111)과 수평프레임(112)으로 된 써레 장착구조물(110)이 고정되고,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전단이 힌지결합되는 써레프레임(210)을 매개로 써레(200)가 연결되며,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의 일부분에는 제1고정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상기 써레프레임(210) 또는 그 써레프레임과 연결되는 써레판(220)에는 제2고정부(240)가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간에는 양측이 연결되어 승강실린더(230)에 의한 상기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시 탄성동작되면서 무논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의 하중을 점차적으로 저감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3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00)는,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지지대(310)와, 상기 지지대(310)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 또는 일단이 연결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써레판(220)의 승하강동작시 수축 및 인장되는 인장스프링(3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는 각각 브래킷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탄성부(300)의 일측 고정위치 조정을 통해 상기 인장스프링(320)의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구멍(121) 또는 걸림홈(122)이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121)은 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122)은 상기 브래킷의 상부에 일정 깊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그 절개된 일부분에는 상기 걸림홈(122)으로 인입된 상기 지지대(310) 또는 인장스프링(320)의 단부 인출을 차단하도록 걸림돌기(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은 1개 이상 구비되어 1열로 연결되어 지되,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써레판(220)의 상승동작시 연결부위가 하방으로 꺾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은 서로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인장스프링(320)이 연결되는 지지대(310)의 타단에는 상기 인장스프링(320)의 인장력 조절을 위해 인장력 조절수단(3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조절수단(330)은,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 간에 설치되는 턴버클, 상기 인장스프링(320)을 끼움결합하기 위해 지지대(31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링, 상기 지지대(310)의 타단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 중 어느 하나는 2개 이상 구비되어 나머지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는 상기 지지대(310)와 인장스프링(320)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및 탄성부(300)는 상기 승강실린더(230)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20)는 상기 수평프레임(112)에 설치되어 지되,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240) 중 어느 하나는 2개의 단위브래킷으로 형성되어 그 중 하나는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탄성부(30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2개의 단위브래킷은 일측이 힌지볼트(125)로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안전볼트(126)로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300)의 탄성한도를 초과하는 충격 발생시 상기 안전볼트(126)가 절단되면서 힌지볼트(125)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브라켓(111)과 상기 써레프레임(210)의 사이 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써레판(220)의 하강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하강제한수단(1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14. 로타리(100)의 횡축에는 수직브라켓(111)과 수평프레임(112)으로 된 써레 장착구조물(110)이 고정되고, 상기 써레 장착구조물(110)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전단이 힌지결합되는 써레프레임(210)을 매개로 써레(200)가 연결되며,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에는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써레의 하강동작시 써레프레임(210)의 하면에 접촉되면서 써레프레임을 지지하는 받침대(400)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400)와 수직브라켓(111) 간에는 양측이 연결되어 승강실린더(230)에 의한 상기 써레(200)의 써레판(220)의 하강동작시 탄성동작되면서 무논 바닥에 접촉되는 써레판의 하중을 점차적으로 저감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브라켓(111)에는 상기 받침대(400)의 힌지 결합위치보다 전방에 위치되게 안내홀(450)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400)에는 상기 안내홀(450) 상에서 이동되면서 받침대(400)의 회동각도가 제한되도록 안내돌기(4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받침대(400)의 타측과 수직브라켓(111)의 상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부(510)와, 상기 스프링고정부(510)에 양측이 연결되는 인장스프링(51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받침대(400)의 타측 하부와 상기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에 양측이 연결되는 스프링가이드(520)와, 상기 스프링가이드(520)에 관통된 채로 그 스프링가이드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400)의 타측 하부와 수직브라켓(111)의 하부 일측에 각각 지지되는 압축스프링(521)과, 상기 써레판의 하강동작에 따른 받침대(400)의 회동시 상기 스프링가이드(5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받침대(400) 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형성되는 가이드이동안내수단(52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이동안내수단(522)은, 상기 받침대(400) 또는 상기 수직브라켓(111)에 스프링가이드(520)의 설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방형의 가이드안내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의 하중 저감장치.
KR1020170065039A 2017-05-26 2017-05-26 써레 하중 저감장치 KR10195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039A KR101951626B1 (ko) 2017-05-26 2017-05-26 써레 하중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039A KR101951626B1 (ko) 2017-05-26 2017-05-26 써레 하중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264A true KR20180129264A (ko) 2018-12-05
KR101951626B1 KR101951626B1 (ko) 2019-02-25

Family

ID=6474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039A KR101951626B1 (ko) 2017-05-26 2017-05-26 써레 하중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378A (ko) * 2021-01-18 2022-07-26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안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84B1 (ko) 2002-06-18 2004-10-12 장균식 로터리용 써레
KR20070023079A (ko) 2005-08-23 2007-02-28 대호 (주)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KR101141696B1 (ko) * 2011-10-14 2012-05-04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장착구조물
KR20130077676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 웰스텍 수평조절이 가능한 트랙터용 써레
KR101456278B1 (ko) * 2013-05-30 2014-11-03 제트스타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구비한 써레 장착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84B1 (ko) 2002-06-18 2004-10-12 장균식 로터리용 써레
KR20070023079A (ko) 2005-08-23 2007-02-28 대호 (주)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KR101141696B1 (ko) * 2011-10-14 2012-05-04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장착구조물
KR20130077676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 웰스텍 수평조절이 가능한 트랙터용 써레
KR101456278B1 (ko) * 2013-05-30 2014-11-03 제트스타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구비한 써레 장착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378A (ko) * 2021-01-18 2022-07-26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626B1 (ko) 201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224B2 (en) Implement coupling assembly
US6892480B1 (en) Load reliever for plow moldboard
WO2015129929A1 (ja) 作業車両の昇降ステップ
JP2006044948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US20090050340A1 (en) Scarifier
KR101951626B1 (ko) 써레 하중 저감장치
US6487741B2 (en) Multi-position releasable lip latch for a dock leveler
US20040040101A1 (en) Multi-position releasable lip latch for a dock leveler
EP2130976A2 (en) Working machine with structure for assembling boom thereof
EP1116682A2 (en) Hoist assembly
KR20140100610A (ko)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KR102599053B1 (ko) 변압기용 추락방지시스템
KR101450099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101921054B1 (ko) 써레 안전장치
KR20070023079A (ko)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KR101163849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2504916B1 (ko) 써레 안전장치
KR101074289B1 (ko) 이동 작업차용 로더에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KR101809406B1 (ko) 굴삭기용 다기능 집게장치
KR20080082860A (ko) 그레이더
KR101610302B1 (ko) 굴착기용 집게발의 안전 고정장치
KR101999379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써레판 무게 지지장치
CN219012458U (zh) 露天钻机及其爬梯
CN218953261U (zh) 一种重负荷吊卡安全助力辅助装置
KR100853824B1 (ko) 트랙터용 보조작업기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