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696B1 - 써레 장착구조물 - Google Patents

써레 장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696B1
KR101141696B1 KR1020110105283A KR20110105283A KR101141696B1 KR 101141696 B1 KR101141696 B1 KR 101141696B1 KR 1020110105283 A KR1020110105283 A KR 1020110105283A KR 20110105283 A KR20110105283 A KR 20110105283A KR 101141696 B1 KR101141696 B1 KR 10114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horizontal axis
mounting structure
clamp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for ploughs or like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써레 장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횡축의 직경에 대응하여 하부횡축고정구를 이동시키면서 상부횡축고정구에 결합하여 횡축에 체결할 수 있는 써레 장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로타리 횡축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써레프레임이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횡축고정구와, 상기 상부횡축고정구를 서로 연결하고 중앙부에 실린더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상부횡축고정구의 하부 일측에 횡축의 직경변화에 따라 대응하도록 일측이 장착핀을 매개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횡축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며 받쳐주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부횡축고정구를 포함하는 써레 장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횡축의 직경변화에 따라 대응하도록 하부횡축고정구를 설치하는 구조는, 상기 상부횡축고정구의 하부 일측에 상기 장착핀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일정길이의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횡축의 직경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가이드공과 상호 소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횡축고정구의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핀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하부횡축고정구의 타측은 상기 상부횡축고정구에 설치된 크램핑수단에 의해 상부로 끌어올려져 고정되거나 또는 그 고정력이 해제되도록 록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써레 장착구조물{MOUNTING STRUCTURE FOR HARROW}
본 발명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횡축의 직경에 대응하여 하부횡축고정구를 상부횡축고정구에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클램핑수단을 통해 횡축에 손쉽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고, 트랙터의 후진으로 써레가 무논에 충돌하더라도 써레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써레 장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을 경작하는 경우에는 모내기에 앞서 쟁기나 로타리로 갈아 놓은 무논을 평탄하게 고르기 위하여 로타리에 장착한 트랙터용 써레를 이용하여 써레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상기 써레를 로타리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0001445호에 기재된 써레는 신축실린더의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하측이 개방된 오목홈이 형성되어 이 오목홈에 의하여 로타리의 횡축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이동브라켓과, 상기 로타리의 횡축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부에는 상기 이동브라켓이 연결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이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에는 상기 로타리 횡축이 상기 오목홈의 개방부를 통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오목홈의 일측에 상측이 개방되어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브라켓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오목홈의 타측에는 고리가 형성된 토글 클램프가 결합되며, 상기 토글 클램프의 고리가 상기 체결브라켓에 형성된 걸림턱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로타리 횡축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로타리의 규격 및 제조회사마다 상이한 횡축의 직경에 대응하여 써레 장착구조물을 체결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해당 제조사의 로타리와 함께 써레를 구입하여야 하거나 횡축의 직경에 맞추어 부품을 따라 구비하여야 하는 등 제반 비용의 부담을 가져왔다. 또한 써레의 상승 및 하강을 제한하는 구성이 없어 써레의 상승 및 하강을 제한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써레의 파손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횡축의 직경에 대응하여 하부횡축고정구를 이동시킨 후 회동시켜 상부횡축고정구에 결합할 수 있고, 탄성부재를 갖는 클램핑수단을 통해 로타리 횡축에 작은 힘으로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어 용이하고 편리하게 취급 및 사용할 수 있으며, 상부제한스토퍼와 하부제한스토퍼의 설치로 써레의 상승/하강동작을 제한하여 써레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부주의로 인한 써레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써레 장착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써레 장착구조물은 로타리 횡축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써레프레임이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횡축고정구와, 상기 상부횡축고정구를 서로 연결하고 중앙부에 실린더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상부횡축고정구의 하부 일측에 횡축의 직경변화에 따라 대응하도록 일측이 장착핀을 매개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횡축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며 받쳐주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부횡축고정구를 포함하는 써레 장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횡축의 직경변화에 따라 대응하도록 하부횡축고정구를 설치하는 구조는, 상기 상부횡축고정구의 하부 일측에 상기 장착핀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일정길이의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횡축의 직경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가이드공과 상호 소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횡축고정구의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핀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하부횡축고정구의 타측은 상기 상부횡축고정구에 설치된 크램핑수단에 의해 상부로 끌어올려져 고정되거나 또는 그 고정력이 해제되도록 록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램핑수단은, 상기 상부횡축고정구로부터 상하 회동되고 클램프가이드가 설치된 레버와, 상기 클램프가이드에 상/하 이동되게 관통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와 결합 및 분리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제어구와, 상기 탄성체제어구와 클램프가이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는 '∪'자 형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상기 탄성체제어구가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클램프는 양단에 볼트부가 형성된 ∪'자 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부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탄성체제어구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써레프레임이 설치된 쪽의 상부횡축고정구 상부 및 하부에는 써레프레임의 상승/하강을 제한하도록 각각 상승제한스토퍼와 하강제한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은 하부횡축고정구의 이동은 물론 상기 안착홈에 용이하게 삽입 안착시키도록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가 설치된 방향의 수용홈 일측은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횡축의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핀이 설치된 방향의 수용홈 타측은 완만하게 경사져 횡축의 측면부를 감싸지 않은 채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써레를 상승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트랙터 후진으로 상기 써레프레임에 연결된 써레가 무논에 박힐 경우, 그 압력에 의해 상기 장착핀이 절단되면서 상기 수용홈의 타측이 횡축 상면을 타고 넘어가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써레 장착구조물에 따르면, 횡축의 직경에 대응되는 위치로 하부횡축고정구의 일측을 이동시킨 후 회동시켜 상부횡축고정구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직경의 횡축에 손쉽게 체결할 수 있고, 원터치방식의 클램링수단을 통해 로타리 횡축에 체결함으로써 부품의 분실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승제한스토퍼와 하강제한스토퍼의 설치로 써레의 상승/하강이 제한됨으로써 써레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부주의로 인한 써레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에서 상부횡축고정구와 하부횡축고정구가 서로 결합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에서 직경이 작은 횡축에 대응하여 하부횡축고정구를 이동시켜 체결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에서 직경이 큰 횡축에 대응하여 하부횡축고정구를 이동시켜 체결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을 로타리에 체결한 상태에서 써레를 상승시킨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을 로타리에 체결한 상태에서 써레를 하강시킨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을 횡축에 체결하여 써레를 연결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을 보인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가 마련된 써레 장착구조물을 보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에서 상부횡축고정구와 하부횡축고정구가 서로 결합된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 장착구조물을 횡축에 체결하여 써레를 연결한 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써레 장착구조물은 로타리 횡축(S)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고 일측에 써레프레임(150)이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횡축고정구(100)와,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를 서로 연결하고 중앙부에 실린더(250)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200)과,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에 일측이 장착핀(350)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횡축(S)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며 받쳐주는 하부횡축고정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200)에는 상기 실린더(250)의 장착을 위해 중앙부에 실린더브래킷(21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실린더브래킷(210)은 트랙터 후방에 결합되는 로타리의 상부와 지지로드(260)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의 일측에는 써레(500)와 연결되는 써레프레임의 연결을 위해 부싱(160)이 마련되어 있고, 그 부싱(160)을 매개로 써레프레임이 연결되어져 상기 실린더(250)의 작동에 의해 써레프레임이 상부횡축고정구(100)에서 상/하 힌지회동되면서 써레(500)를 상승/하강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는 로타리 횡축(S)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도록 하부에 호형의 수용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수평프레임(200)을 끼워 관통시켜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결합 고정하도록 수평프레임브래킷(17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는 상기 수평프레임브래킷(17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수평프레임(200) 상에서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횡축고정구(300)는 상기 상부횡축고정구에 결합되는 경우 로타리 횡축(S)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도록 호형의 수용홈(310)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은 상기 장착핀(350)으로 상부횡축고정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후술되는 록킹부(320)가 형성되어 클램핑수단에 의해 상부횡축고정구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와 하부횡축고정구(300)는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결합공간(330)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의 로타리 횡축에 대응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횡축(S)의 직경변화에 따라 대응하도록 하부횡축고정구(300)를 설치하는 구조는,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의 하부 일측에 상기 장착핀(35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일정길이의 가이드공(120)이 관통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장착핀(350)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130)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하부횡축고정구(300)의 타측은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에 설치된 크램핑수단(400)에 의해 상부로 끌어올려져 고정되거나 또는 그 고정력이 해제되도록 록킹부(32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체결하고자 하는 횡축의 직경에 대응하는 결합공간(330)을 갖도록 상기 가이드공(120)을 따라 하부횡축고정구의 위치를 변경시키면 됨으로써 결합공간(330)의 직경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의 횡축에 대응하여 써레 장착구조물을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횡축에 써레 장착구조물을 장착시키는 실시예로서, 도 3은 로타리 횡축의 규격 중 가장 작은 횡축에 장착하는 경우이고, 도 4는 로타리 횡축의 규격 중 가장 큰 횡축에 장착하는 경우이다.
상기 안착홈(130)은 횡축의 직경에 대응하여 하부횡축고정구의 일측을 이동시키도록 한 후 삽입 안착되게 하여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나 가능하면 현재 생산되는 로타리 횡축의 규격에 맞는 갯수 만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횡축고정구의 삽입 안착 후 그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의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공(120)의 최하부는 그 자체로 하부횡축고정구가 안착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음으로써 횡축 중 가장 큰 직경의 횡축에 체결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게 가이드공의 길이를 형성하면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공(120)은 하부횡축고정구의 원활한 이동은 물론 상기 안착홈에 용이하게 삽입 안착시키도록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최상부에서 최하부에 이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지그재그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안착홈과 서로 소통되게 형성하여 하부횡축고정구를 안착홈에 삽입 안착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부횡축고정구와 하부횡축고정구를 결합하기 위한 크램핑수단(400)은 원터치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상부횡축고정구로부터 상하 회동되고 클램프가이드(415)가 설치된 레버(410)와, 상기 클램프가이드(415)에 상/하 이동되게 관통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320)와 결합 및 분리되는 클램프(420)와, 상기 클램프(4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제어구(430)와, 상기 탄성체제어구(430)와 클램프가이드(41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4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440)가 록킹부(320)에 결합되는 클램프(42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레버를 회동동작시켜 상부횡축고정구에 하부횡축고정구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의 회동으로 클램프(420)가 록킹부(320)에 결합된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440)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클램프(420)를 탄성체제어구(430)의 방향으로 당기도록 동작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420)는 '∪'자 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에 상기 탄성체제어구(430)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440)가 클램프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클램프(420)는 양단에 볼트부(421)가 형성된 ∪'자 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볼트부(421)에는 탄성체제어구(430)가 나사 결합되어 위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체제어구는 볼트부에 나사결합하기 위해 너트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써레프레임(150)이 설치된 쪽의 상부횡축고정구(100) 상부 및 하부에는 써레프레임(150)의 상승/하강을 제한하도록 각각 상승제한스토퍼(140)와 하강제한스토퍼(14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승제한스토퍼(140)는 실린더(250)의 작동으로 써레의 상승시 상기 써레프레임의 상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으로, 써레의 상승이 제한됨은 물론 써레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어 도로 주행시 써레가 출렁이면서 상/하 유동으로 발생될 수 잇는 써레의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강제한스토퍼(145)는 실린더의 작동으로 써레의 하강시 써레프레임의 하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으로, 써레의 하강을 제한하여 써레가 논 바닥의 너무 깊게 박히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로타리 상승시 하강제한스토퍼에 써레프레임이 접촉되면서 써레가 들려지도록 하여 로타리를 상승시켜 트랙터를 후진하는 경우 써레가 처짐으로써 무논에 박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써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주의로 인해 써레 또는 로타리를 상승시키지 않은 채 트랙터를 후진시키는 경우, 써레가 무논에 박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써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장착핀(350)이 압력에 의해 절단되면서 수용홈(110)이 횡축의 상면을 타고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핀(350)이 설치된 방향의 수용홈(110) 타측은 완만하게 경사져 횡축(S)의 측면부에 밀착되지 않은 채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핀(35)은 어느 정도의 압력 이상으로 압력발생시 절단되도록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110)의 타측이 완만하게 경사지게 되면 횡축에 밀착되는 부분이 적어짐에 따라 상기 레버(410)가 설치된 방향의 수용홈(110) 일측은 하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횡축(S)의 측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횡축고정구(300)는 압력발생으로 상기 장착핀(35)의 절단시 하부횡축고정구(30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횡축고정구에 와이어 등의 연결부재(340)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써레 장착구조물을 로타리에 설치한 후, 써레를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써레(500)와 연결된 써레프레임(150) 전단을 상부횡축고정구(100)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고, 실린더(250)의 전단을 수평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된 실린더브래킷(210)에 힌지 결합하여 써레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상승/하강 및 기타 기능이 구현될 수 있게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써레 장착구조물은 별도의 공구 없이 상부횡축고정구에 형성된 가이드공에서 하부횡축고정구를 위치이동시켜 해당 횡축에 대응하는 결합공간을 갖도록 하여 크램핑수단을 이용하여 원터치방식으로 횡축에 체결할 수 있으며, 횡축에의 체결작업시 탄성부재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레버를 손쉽게 회동시킬 수 있어 어려움 없이 용이하게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등 작업성이 매우 좋은 발명이다.
100: 상부횡축고정구 110: 수용홈
120: 가이드공 130: 안착홈
140: 상승제한스토퍼 145: 하강제한스토퍼
150: 써레프레임 160: 부싱
170: 수평프레임브래킷 200: 수평프레임
210: 실린더브래킷 250: 실린더
260: 지지로드 300: 하부횡축고정구
310: 수용홈 320: 록킹부
330: 결합공간 340: 연결부재
350: 장착핀 400: 크램핑수단
410: 레버 415: 클램프가이드
420: 클램프 430: 탄성체제어구
440: 탄성부재 500: 써레
S: 횡축

Claims (8)

  1. 로타리 횡축(S)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수용홈(110)이 형성되고 일측에 써레프레임(150)이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횡축고정구(100)와,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를 서로 연결하고 중앙부에 실린더(250)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200)과,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의 하부 일측에 횡축의 직경변화에 따라 대응하도록 일측이 장착핀(350)을 매개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횡축(S)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며 받쳐주는 수용홈(310)이 형성된 하부횡축고정구(300)를 포함하는 써레 장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횡축(S)의 직경변화에 따라 대응하도록 하부횡축고정구(300)를 설치하는 구조는,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의 하부 일측에 상기 장착핀(35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일정길이의 가이드공(120)이 관통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횡축의 직경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가이드공(120)과 상호 소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의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핀(350)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130)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하부횡축고정구(300)의 타측은 상기 상부횡축고정구(100)에 설치된 크램핑수단(400)에 의해 상부로 끌어올려져 고정되거나 또는 그 고정력이 해제되도록 록킹부(3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장착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램핑수단(400)은, 상기 상부횡축고정구로부터 상하 회동되고 클램프가이드(415)가 설치된 레버(410)와, 상기 클램프가이드(415)에 상/하 이동되게 관통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320)와 결합 및 분리되는 클램프(420)와, 상기 클램프(4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제어구(430)와, 상기 탄성체제어구(430)와 클램프가이드(41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4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장착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20)는 '∪'자 형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상기 탄성체제어구(430)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장착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20)는 양단에 볼트부(421)가 형성된 ∪'자 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부(421)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탄성체제어구(430)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장착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410)가 설치된 방향의 수용홈(110) 일측은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횡축(S)의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핀(350)이 설치된 방향의 수용홈(110) 타측은 완만하게 경사져 횡축(S)의 측면부에 밀착되지 않은 채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트랙터 후진으로 상기 써레프레임(150)에 연결된 써레(500)가 무논에 박힐 경우, 그 압력에 의해 상기 장착핀(350)이 절단되면서 상기 수용홈(110)의 타측이 횡축 상면을 타고 넘어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장착구조물.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120)은 하부횡축고정구(300)의 이동은 물론 상기 안착홈(130)에 용이하게 삽입 안착시키도록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장착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써레프레임(150)이 설치된 쪽의 상부횡축고정구(100) 상부 및 하부에는 써레프레임(150)의 상승/하강을 제한하도록 각각 상승제한스토퍼(140)와 하강제한스토퍼(14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 장착구조물.
KR1020110105283A 2011-10-14 2011-10-14 써레 장착구조물 KR10114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283A KR101141696B1 (ko) 2011-10-14 2011-10-14 써레 장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283A KR101141696B1 (ko) 2011-10-14 2011-10-14 써레 장착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696B1 true KR101141696B1 (ko) 2012-05-04

Family

ID=4627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283A KR101141696B1 (ko) 2011-10-14 2011-10-14 써레 장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69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278B1 (ko) * 2013-05-30 2014-11-03 제트스타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구비한 써레 장착구조물
KR101482546B1 (ko) * 2013-08-12 2015-01-19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20150122818A (ko) * 2014-04-23 2015-11-03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20150122817A (ko) * 2014-04-23 2015-11-03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20170088325A (ko) * 2015-12-08 2017-08-01 대호 (주)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20180129264A (ko) * 2017-05-26 2018-12-05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하중 저감장치
KR20200057580A (ko) * 2018-11-16 2020-05-26 제트스타 주식회사 흙 튀김 차단장치
KR20200065429A (ko) * 2018-11-30 2020-06-09 제트스타 주식회사 흙 튀김 차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702B1 (ko) 2001-10-24 2003-09-19 대호농업기계(주)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101028127B1 (ko) 2008-07-28 2011-04-08 오대석 써레 장착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702B1 (ko) 2001-10-24 2003-09-19 대호농업기계(주)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101028127B1 (ko) 2008-07-28 2011-04-08 오대석 써레 장착용 구조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278B1 (ko) * 2013-05-30 2014-11-03 제트스타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구비한 써레 장착구조물
KR101482546B1 (ko) * 2013-08-12 2015-01-19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20150122818A (ko) * 2014-04-23 2015-11-03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20150122817A (ko) * 2014-04-23 2015-11-03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101638015B1 (ko) 2014-04-23 2016-07-11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101668674B1 (ko) 2014-04-23 2016-10-28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20170088325A (ko) * 2015-12-08 2017-08-01 대호 (주)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102292388B1 (ko) * 2015-12-08 2021-08-25 대호 (주)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20180129264A (ko) * 2017-05-26 2018-12-05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하중 저감장치
KR101951626B1 (ko) * 2017-05-26 2019-02-25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하중 저감장치
KR20200057580A (ko) * 2018-11-16 2020-05-26 제트스타 주식회사 흙 튀김 차단장치
KR102185802B1 (ko) * 2018-11-16 2020-12-02 제트스타 주식회사 흙 튀김 차단장치
KR20200065429A (ko) * 2018-11-30 2020-06-09 제트스타 주식회사 흙 튀김 차단장치
KR102193836B1 (ko) * 2018-11-30 2020-12-22 제트스타 주식회사 흙 튀김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696B1 (ko) 써레 장착구조물
KR101472066B1 (ko) 트랙터용 써레
US9279297B2 (en) Stabilizer for pipe handling equipment
KR101456278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써레 장착구조물
CN206100815U (zh) 履带式耕作机械的三点挂接装置
KR20140144626A (ko) 트랙터용 써레
KR100737390B1 (ko)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EP3057393B1 (en) Depth adjustment device for a plough skimmer
CN211064414U (zh) 一种园林绿化工程用树木支撑
KR20130137280A (ko) 자동차 엔진 리프트 장치
KR101399600B1 (ko)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 제한장치
KR101347330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1482546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CN102845161B (zh) 带有开沟犁的联合收割机
US9909373B2 (en) Well rod string penetration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2388048B1 (ko) 농업용 작업차의 톱 링크기구
KR20200064311A (ko) 로터베이터용 흙 이동장치
KR20120118869A (ko) 트랙터용 써레 장착대
KR200426488Y1 (ko) 써레 안전장치
KR20170000237U (ko) 병원 침대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150107463A (ko) 트랙터용 써레
KR102292388B1 (ko)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101951626B1 (ko) 써레 하중 저감장치
KR101163849B1 (ko) 트랙터용 써레
CA2942495C (en) Tubing ro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