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802B1 - 흙 튀김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흙 튀김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802B1
KR102185802B1 KR1020190008726A KR20190008726A KR102185802B1 KR 102185802 B1 KR102185802 B1 KR 102185802B1 KR 1020190008726 A KR1020190008726 A KR 1020190008726A KR 20190008726 A KR20190008726 A KR 20190008726A KR 102185802 B1 KR102185802 B1 KR 10218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or
coupled
trac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580A (ko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트스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5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또는 로터베이터에 장착되는 흙 튀김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로터베이터 간의 사이공간에 설치되어 경운작업 중 트랙터의 후방 상측으로 튀는 흙을 차단해 주도록 함으로써 트랙터의 후방시야를 확보해주어 운전자가 보다 편리하게 경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흙 튀김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흙 튀김 차단장치는 트랙터(100)의 PTO축과 로터베이터(150)의 구동축에 양단이 연결되는 동력전달샤프트(110)의 상측에 위치되어 트랙터(100)와 로터베이터(150)간의 사이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구비되며, 일측에 연결브라켓(210)이 결합된 일정 면적의 흙받이판(200); 상기 흙받이판(200)의 연결브라켓(210)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지지부재(300); 상기 지지부재(300)의 타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트랙터(100)의 후면 또는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선택된 부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400);로 이루어지고, 상기 흙받이판(20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결합 고정을 위해 흙받이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프레임(225)이 구비되며, 상기 흙받이판(2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25)에 결합 고정되어 트랙터(100)의 후방 양측과 로터베이터(150) 간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도록 연장판(230)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장판(230)의 외측단부에는 트랙터 바퀴와의 사이 틈새를 커버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고무판 또는 복수개의 브러쉬로 된 틈새커버부재(233)가 구비된다.

Description

흙 튀김 차단장치{Blocking apparatus for a scattering of soil}
본 발명은 흙 튀김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와 로터베이터 간의 사이공간에 설치되어 무논에서 경운작업 중 트랙터의 후방 상측으로 튀는 흙을 차단해줌으로써 트랙터의 후방시야를 확보해주어 편리하게 경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흙 튀김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여러 가지 농작업기를 연결하여 동력을 공급하며, 주행 또는 정지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농업기계로서, 경운작업 시 트랙터 후방의 상부링크와 복수개의 하부링크로 로터베이터를 3점 연결하여 논이나 밭의 바닥을 잘게 부순다.
또한,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로터베이터는 로터베이터 본체의 내부 하측에 흙을 파쇄하기 위해 다수개의 경운날을 갖는 경운날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운날부는 트랙터의 변속기에 장착된 PTO 축에 연결되어 엔진에 의해 구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로터베이터 본체의 후단에는 논이나 밭의 바닥을 파쇄한 후 굴곡이 없는 평탄한 상태를 만들기 위해 커버가 상하 회동하며 가압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무논에서 로터베이터를 이용한 경운작업 시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운날에 의해 물에 젖은 흙이 튀면서 트랙터의 후방 유리에 부착되고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차단하여 경운작업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흙튀김 방지를 위해 로터베이터의 전면에 브러쉬, 고무 또는 철판 등이 결합된 흙받이판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로서, 실용신안공개 제20-2018-0001067호, 특허등록 제10-1756236호에 흙받이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흙받이판은 모두 흙의 튐 현상을 방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어 로터베이터 본체 전면에 직접 결합된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8-0057297호는 흙받이판의 높이와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경운 중 로터베이터 본체의 전방에 흙이 많을 경우에 흙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흙받이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흙받이판은 파손 시 교체는 가능하나, 흙이나 지푸라기 등이 흙받이판의 브러쉬, 고무 또는 철판에 쌓이면, 흙의 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향하거나 회동하게 되어 로터베이터 본체 내부에서 경운날에 의하여 파쇄되어 고속으로 날아오는 흙이나 돌 등이 원활하게 빠져나가지 못하여 로터베이터에 부하가 가중되거나, 날아오는 흙이나 돌 등에 부딪혀 브러쉬, 고무 또는 철판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로터베이터에 흙받이판이 설치된 경우라도, 경운작업 중 파쇄된 흙이 트랙터의 후방유리창으로 직접 또는 논의 바닥에 부딪힌 후 튀어서 후방유리창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이 여전히 발생하여 트랙터의 운전자가 후방을 관찰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56236호(2017. 7. 4. 로터리용 흙받기 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1067호(2018. 4. 18. 트랙터용 로터리의 흙받이 커버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전달샤프트의 상측에 흙받이판이 배치되어 트랙터와 로터베이터 간의 사이공간을 커버해 줌으로써 로터베이터를 하강시키더라도 흙받이판에 흙이나 지푸라기가 쌓이지 않게 되고, 트랙터의 후방 유리창을 향하여 튀는 흙이 차단되어 트랙터의 후방시야를 확보해주어 운전자가 후방을 관찰하는데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흙 튀김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흙받이판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트랙터의 후방 정비작업 시 흙받이판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정비공간을 확보하고, 로터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시 흙받이판이 트랙터 후방의 다른 부분과 접촉될 경우에 흙받이판이 완충되어 손상이 방지되는 흙 튀김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운작업 중 트랙터의 PTO축, 동력전달샤프트, 로터베이터의 구동축 또는 다른 결합부위의 이탈 및 분리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부품이 트랙터의 운적석 방향으로 가지 않도록 차단해주어 보호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트랙터(100)의 PTO축과 로터베이터(150)의 구동축에 양단이 연결되는 동력전달샤프트(110)의 상측에 위치되어 트랙터(100)와 로터베이터(150)간의 사이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구비되며, 일측에 연결브라켓(210)이 결합된 일정 면적의 흙받이판(200); 상기 흙받이판(200)의 연결브라켓(210)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지지부재(300); 상기 지지부재(300)의 타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트랙터(100)의 후면 또는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선택된 부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400);로 이루어지고, 상기 흙받이판(20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결합 고정을 위해 흙받이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프레임(225)이 구비되며, 상기 흙받이판(2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25)에 결합 고정되어 트랙터(100)의 후방 양측과 로터베이터(150) 간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도록 연장판(230)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장판(230)의 외측단부에는 트랙터 바퀴와의 사이 틈새를 커버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고무판 또는 복수개의 브러쉬로 된 틈새커버부재(23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흙받이판(200)은 상기 지지부재(300)의 일단부가 상기 연결브라켓(210)에 힌지축(215)으로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흙받이판(200)이나 연결브라켓(210)의 하부 일측 또는 상기 지지부재(300)의 일단부 일측에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는 흙받이판(200)을 받쳐 지지하여 흙받이판(200)이 연직선에 대해 70 ~ 110도의 각도로 구비되도록 각도제한 스토퍼(2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21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25)에 끼워져 상기 연결브라켓이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끼움관(211)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210)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재(3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장판(23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25)에 끼워져 결속결합되고 지지프레임(225)상에서 위치 이동가능하게 1개 이상의 제2끼움관(231)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연장판(230)은 제2끼움관(231)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흙받이판(200)의 양측에 위치조절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연결브라켓(210)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지지편(310)과, 상기 제1지지편(31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2지지편(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편(310)과 제2지지편(320) 간에는 제1지지편(310)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브라켓(210)을 매개로 연결된 흙받이판(200)에 완충효과를 부여하도록 완충스프링(33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400)가 로터베이터(15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횡축(151)의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수용홈(411)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300)와 결합되는 제1횡축고정구(410)와,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의 타측에 일측이 장착핀(420)을 매개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횡축(151)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며 받쳐주는 수용홈(431)이 형성된 제2횡축고정구(430)와,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에 설치되어 제2횡축고정구(430)를 결속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수단(4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횡축고정구(430)의 타측에는 상기 클램프수단(440)에 의해 끌어당겨져 고정되거나 또는 반대로 고정력이 해제되도록 록킹부(432)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흙 튀김 차단장치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트랙터 또는 로터베이터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하고, 흙받이판이 동력전달샤프트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됨에 따라 로터베이터를 많이 하강시키더라도 흙받이판에 흙이나 지푸라기가 쌓이지 않게 되고, 트랙터의 후방 유리창을 향하여 튀는 흙을 차단하게 되어 운전자가 후방을 관찰하는데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흙받이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트랙터의 후방 정비 시 흙받이판을 상향 회동시키면 정비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어 불편함없이 작업할 수 있게 되며, 로터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시 흙받이판이 트랙터 후방의 다른 부분과 접촉될 경우에 흙받이판이 완충동작되어져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운작업 중 발생될 수 있는 부품 분리 및 이탈사고(트랙터의 PTO축, 동력전달샤프트, 로터베이터의 구동축, 기타 다른 결합부위의 분리 및 이탈사고) 시 분리 및 이탈된 해당 부품이 트랙터의 운적석 방향으로 가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베이터에 결합되는 흙 튀김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와 로터베이터의 사이공간에 흙 튀김 차단장치를 설치한 측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흙 튀김 차단장치를 로터베이터에 설치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흙받이판을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흙받이판의 지지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브라켓 및 연장판의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흙받이판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분리결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흙받이판과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 및 고정부를 보인 분리도,
도 10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결합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보인 상태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한 스토퍼에 의해 지지된 흙받이판을 보인 흙 튀김 차단장치의 측면도,
도 11b는 도 11a에서 흙받이판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놓은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과 지지부재 간에 완충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에 완충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횡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보인 측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측면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에 결합되는 흙 튀김 차단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7는 도 16의 흙 튀김 차단장치의 설치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 튀김 차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흙 튀김 차단장치는 트랙터 또는 로터베이터(150)에 장착된 상태로 트랙터(100)와 로터베이터(150)간의 사이공간을 일정하게 커버하여 로터베이터의 경운작업 시 경운날에 의해 파쇄되는 흙이 트랙터의 후방 유리창으로 튀는 것을 차단해주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흙 튀김 차단장치의 설명에 앞서, 로터베이터는 주지된 바와 같이 트랙터의 후방에 3점링크(1개의 상부링크, 2개의 하부링크)로 연결되는 것이며, 로터베이터의 구동축이 트랙터의 PTO축과 동력전달샤프트(110)로 연결되어 트랙터의 엔진구동력을 전달받아 경운날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로터베이터의 본체에는 경운날의 전방으로 경운날에 의해 파쇄되는 흙의 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흙받이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흙받이는 로터베이터의 제조사마다 그 형상 및 구조가 상이하고, 흙받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로터베이터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흙 튀김 차단장치는 로터베이터에 구비되는 흙받이의 존재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상측에 트랙터와 로터베이터 간의 사이공간을 일정하게 커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트랙터의 후방 유리창으로 튀는 흙을 차단하여 후방유리창 표면에 흙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경운작업 시 트랙터의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후방을 관찰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도와주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흙 튀김 차단장치는 크게 흙받이판(200), 지지부재(300), 고정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흙받이판(200)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일정 면적 및 길이를 갖는 판체로 형성되며,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흙받이판(200)의 길이는 무논에서 경운작업 시 경운날에 의해 파쇄되는 흙이 트랙터의 후방 유리창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것임에 따라, 트랙터의 양쪽 뒷바퀴 사이거리와 대응되거나 그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면 된다. 이때, 차단효과를 위해 최소 700㎜ 이상의 길이를 갖으면서도 200㎜ 이상의 폭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흙받이판(200)을 동력전달샤프트(110)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구비하는 이유는, 동력전달샤프트보다 낮게 설치된 경우에는 로터베이터의 상승하강 시 동력전달샤프트와 2개의 하부링크에 간섭되어 파손될 가능성이 있음은 물론 로터베이터의 상승하강 동작이 부자연스럽거나 원활하게 동작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경운작업 시 흙이나 지푸라기가 쌓일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흙받이판(200)은 동력전달샤프트(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임에 따라 상기 상부링크와 동력전달샤프트(110)의 사이공간 뿐만 아니라, 상부링크 위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흙받이판(200)을 지지해주어 트랙터와 로터베이터 사이공간의 허공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재(300)는 하나의 긴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과 같이 2개의 지지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2개의 지지편으로 구성된 지지부재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복수개 구비되어 흙받이판(200)의 중앙이나 양측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00)의 결합을 위해 상기 흙받이판(200)에는 연결브라켓(2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00)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과 결합되는데, 이러한 고정부(400)는 타측이 트랙터(100)의 후면이나 로터베이터(150)의 선택된 부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400)가 트랙터의 후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의 상부링크의 결합을 위해 설치된 상부링크브라켓(101)에 상부링크전단핀(102)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400)가 로터베이터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상면이나 전면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과 볼트 또는 핀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외에도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횡축(151)에 볼트 또는 클램프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에서는 로터베이터의 횡축(151)에 클램프수단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고정부를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흙 튀김 차단장치는 트랙터와 로터베이터의 사이공간에 동력전달샤프트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흙받이판이 설치됨으로써 로터베이터의 경운날에 의해 파쇄되는 흙이 지면이나 트랙터 바퀴 등에 부딪혀 상방으로 튀어오르더라도 흙받이판에 의해 트랙터의 후방 유리창으로 접근하는 것이 차단되며, 그로 인해 트랙터의 후방 유리창 표면에 흙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후방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음으로써 운전자가 후방을 관찰하는데 불편함 없이 경운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흙받이판(200)은 지지부재(300)의 일단부가 연결브라켓(210)에 힌지축(215)으로 힌지결합되어져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흙받이판(200)이나 연결브라켓(210)의 하부 일측 또는 상기 지지부재(300)의 일단부 일측에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는 흙받이판(200)을 받쳐 지지하도록 각도제한 스토퍼(220)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제한 스토퍼(220)는 흙받이판의 하방 회동각도를 제한해주기 위한 구성으로, 흙받이판(200)이 연직선(지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직선)에 대해 70~110도의 각도로 마련되게 흙받이판의 회동을 제한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흙받이판이 연직선에 80 ~ 100도의 각도로 마련되어 회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각도제한 스토퍼(220)를 연결브라켓(210)의 하부 일측에 힌지축(215)보다 아래쪽에 위치되게 구비하였으며, 예로서 지지부재(300)에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돌기를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흙받이판(20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구비한 이유는, 흙받이판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트랙터의 후방 정비작업 시 공간이 협소하여 정비를 함에 있어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정비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흙받이판을 상방으로 회동시켜주도록 함으로써 정비공간을 확보해주기 위함이다.
또한, 트랙터의 후방에 로터베이터를 연결하는 경우에 흙받이판에 의한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연결작업 중 발생될 수 있는 흙받이판의 파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흙받이판(200)은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흙받이판(200)의 설치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연결브라켓(210)과 지지부재(300) 및 고정부(400) 중 어느 하나에는 인접 구성과의 결합을 위한 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그 복수개의 홀 중 하나에 결합수단(핀, 볼트, 너트 등)이 결합되어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브라켓(210)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각도조절홀(213)을 형성하였으며, 복수개의 각도조절홀(213) 중 어느 하나에 결합수단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흙받이판(2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도제한 스토퍼(220)를 결합수단과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흙받이판(200)의 일측에는 흙받이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프레임(225)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브라켓(210)에는 지지프레임(225)에 끼워져 연결브라켓이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끼움관(211)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브라켓(210)이 흙받이판(20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연결브라켓에 결합되는 지지부재(3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브라켓(210)을 분리형으로 결합시키면서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브라켓(210)을 좌우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로터베이터의 전면이나 상면 또는 횡축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해당 장애물을 피해 고정부(400)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이동 후에는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상기 제1끼움관(211)을 지지프레임(225)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첨부 도면에서는 나비볼트를 사용하여 연결브라켓(210)을 고정하였다.
상기 지지프레임(225)은 상기 흙받이판(2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후술되는 연장판(23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지지프레임(225)은 제품포장 등을 위해 부피를 축소시키도록 분리결합되는 구조로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25)은 상기 흙받이판(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주프레임(226)과, 상기 주프레임(226)의 양측에 볼트 또는 핀으로 각각 끼움결합되고 상기 연장판(230)의 제2끼움관(231)이 끼워져 고정되는 보조프레임(227)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시 상기 보조프레임(227)을 주프레임(226) 양측에 끼워 결합하고, 보관 시 또는 제품을 포장하여 운반 시 주프레임(226)에 결합된 보조프레임(227)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흙받이판(200)은 대략 트랙터의 뒷바퀴 사이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데, 트랙터의 제조사 및 기종에 따라 차이가 있고 로터베이터에 의해 파쇄되는 흙이 흙받이판의 양측을 통해 트랙터의 후방 유리창으로 튀는 경우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흙받이판(2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연장판(2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230)의 결합을 위해, 상기 흙받이판(200)의 양측 표면과 연장판(230)의 표면에 복수개의 홀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나, 가공상의 문제 및 결합작업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간단하게 상기 지지프레임(225)에 끼워 결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25)에 끼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판(230)의 일측에는 1개 이상의 제2끼움관(231)이 형성되며, 제2끼움관(231)을 지지프레임(225)에 끼워줌으로써 연장판(230)을 흙받이판에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끼움관(231)은 지지프레임(225)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현장상황이나 트랙터의 기종에 따라 연장판(23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끼움관(231)을 1개 구비할 경우에는 제1끼움관(211)의 결합위치에 따라 제1끼움관(211)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되게 형성할 수 있고, 제2끼움관(231)을 2개 구비할 경우에는 연장판(230)의 양쪽에 각각 형성하여 제1끼움관(211)이 사이에 위치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장판(230)의 위치조절 후에는 제2끼움관(231)을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25)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판(230)의 외측단부에는 트랙터 바퀴와의 사이 틈새를 커버하도록 틈새커버부재(233)가 구비된다.
상기 틈새커버부재(233)는 유연한 재질의 고무판으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브러쉬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판을 틈새커버부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고무판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사이 틈새를 용이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트랙터 바퀴와 마주대하는 일부분을 소정간격 절개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흙받이판(200)은 일정 폭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사용 중 휨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휨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흙받이판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흙받이판(200)의 보강을 위해, 상기 흙받이판(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보강부재(235)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235)에 의해 흙받이판이 보강됨으로써 제작 중 또는 사용 중에 발생될 수 있는 휨현상이 방지되며, 특히 경운작업 중 저면에 부딪히는 흙 등의 이물질에 의한 휨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흙받이판의 보강을 위해 상기 흙받이판(200)의 타측의 단부가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향 또는 하향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흙 튀김 차단장치가 로터베이터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흙받이판(200)의 타측이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이고, 트랙터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흙받이판의 타측이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흙받이판의 타측 단부가 상향 또는 하향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보강기능 외에도 흙 차단각도가 커져 보다 넓은 범위를 커버하게 됨으로써 더욱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흙받이판(200)의 일측 단부도 상향 또는 하향절곡되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흙받이판(200)의 중앙부에는 일정 길이로 절개된 절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40)를 형성한 이유는, 상기 흙받이판(200)을 상방으로 회동동작시키는 경우에 트랙터의 상부링크가 절개부을 통과하면서 흙받이판이 상부링크에 접촉되지 않은 채 상방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개부(240)의 폭은 상부링크 지름 또는 로터베이터의 상부링크 고정브라켓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240)가 형성된 경우에는 절개부를 통해 튀는 흙이 통과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절개부(240)의 개구공간을 커버하도록 덮개부재(250)를 설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재(250)는 외부 가압부재(상부링크, 로터베이터의 상부구조물에 형성된 상부링크 고정브라켓 등)와의 접촉시 회동되거나 또는 형태가 변형되면서 개구공간을 개방시키도록 판체로 된 덮개로 구성하거나, 중앙부가 절개된 고무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로서,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덮개부재(250)가 판체로 된 덮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덮개부재(250)가 덮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덮개의 일측은 상기 절개부(240)를 형성하는 흙받이판(200)의 중앙부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덮개와 흙받이판(200) 간에는 덮개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덮개가 복원되면서 절개부(240)를 폐쇄시키도록 덮개용 스프링(25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용 스프링(255)의 설치를 위해, 상기 덮개와 흙받이판(200)에는 스프링고정브라켓(251,252)가 형성된다.
첨부 도면에서 상기 흙받이판(200)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브라켓(252)은 지지프레임(225)에 용접결합시켜 형성하였다.
상기 덮개의 힌지결합을 위해 흙받이판(200)의 중앙부에는 브라켓이 구비되는데, 이 브라켓은 흙받이판(200)의 절개부(240) 가장자리를 상방으로 절곡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브라켓은 덮개의 결합용도 외에도 상기 흙받이판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흙받이판의 보강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예로서, 덮개로 사용되는 상기 덮개부재(250)는 단면이 대략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 하부 가장자리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흙받이판(200)의 하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보강부재와 일체로 형성시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용 스프링(255)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흙받이판(200)을 하방으로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는 덮개부재(250)가 절개부(240)를 폐쇄한 상태에 있게 되고, 흙받이판(200)을 상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덮개부재(250)가 상부링크 일측 또는 로터베이터의 상부링크 고정브라켓(153)에 지지되고 그 상태로 흙받이판(200) 만이 더 회동되어 로터베이터의 상부구조물(152)에 지지되는 것이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부재(300)는 2개의 지지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2개의 지지편으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흙받이판(20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완충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연결브라켓(210)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지지편(310)과, 상기 제1지지편(31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2지편(320)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지지편(310)과 제2지지편(320) 간에는 제1지지편(310)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브라켓(210)을 매개로 연결된 흙받이판(200)에 완충효과를 부여하도록 완충스프링(33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흙받이판(200)의 상측이나 전방상측에서 외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완충스프링(330)이 신장되면서 흙받이판(200)이 하방이동될 수 있게 완충시켜 줌으로써 흙받이판(200)은 물론 연결브라켓과 등의 부품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외부 가압력이 모두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완충스프링(330)이 수축되면서 흙받이판(20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첨부 도면과 같이 흙받이판(200)의 양측에 연결브라켓(210)이 형성되고, 그 연결브라켓(210)에 지지부재(300)와 고정부(400)가 연결되게 설치된 경우에는 흙받이판(200)의 일측에 외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해당 위치에 설치된 완충스프링(330)이 신장되면서 흙받이판(200)을 완충시켜주게 되며, 이에 따라 흙받이판(200)을 포함한 다른 연결부품의 파손을 방지하여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흙받이판(200)의 완충동작 시 완충스프링의 신축범위를 넘어설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지지편(310) 또는 제2지지편(320)에는 완충스프링(330)의 손상 및 파손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상기 흙받이판(200)의 하방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범위제한 스토퍼(3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흙받이판(200)의 완충을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부재(300)를 2개의 지지편으로 분리하고, 완충스프링(330)을 설치하여 완충효과를 부여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0)에 구비하지 않고 상기 연결브라켓(210)이나 고정부(400)에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흙받이판(200)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연결브라켓(210)에 완충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연결브라켓(210)과 지지부재(300)의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완충기능을 부여하면 되고, 상기 고정부(400)에 완충수단을 구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부(400)를 2개의 부품으로 분리하여 상호 힌지연결한 후 스프링을 설치하여 완충기능을 부여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흙받이판(200)은 로터베이터의 기종이나 트랙터의 기종에 따라 위치조절을 통해 로터베이터와 트랙터의 사이공간에 위치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300) 또는 고정부(400)를 길이조절하거나 상기 지지부재(300)의 결합위치의 조절을 통해 흙받이판(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0)와 고정부(400)의 결합위치 조절은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에 로터베이터의 전방을 향하여 일정길이만큼 결합대(460)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대(460)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결합홀(461)을 형성하여 고정수단(핀,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위치 조절을 통해 길이조절하면서 지지부재(3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대(460)는 대략 50~60㎝ 이하의 길이로 형성하면 되고, 상기 고정부(400)에 볼트 결합되게 구비하거나 고정부(400)와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대(460)의 결합홀(461)에 상기 지지부재(300)의 타단부에 형성된 홀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결합대(460)의 상부에는 각각의 결합홀(461) 상측으로 결합위치 안내홈(46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00)의 타단부(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지지편(320)의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위치 안내홈(462)으로 인입되게 안내돌기(32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321)가 결합위치 안내홈(462)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00)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해 놓을 수 있어 손쉽게 결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결합위치 조절을 단시간내에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부(400)에 결합대(460)를 형성하여 길이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지지부재(300)(예로서, 제2지지편을 길게 형성)에 복수개의 홀을 형성한 후 고정부(4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300)와 고정부(400) 각각에 복수개의 홀을 형성하여 결합위치 조절을 통해 길이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흙 튀김 차단장치를 로터베이터에 장착한 상태에서 자중이나 외부압력 또는 진동 등으로 인해 고정부의 결합부위(예로서, 로터베이터의 횡축)를 기준으로 조금씩 하방으로 하강회동되거나 처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300)의 타단부 또는 고정부(400)의 일측에는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상면 일측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흙 튀김 차단장치를 받쳐주도록 받침수단(5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수단(500)은 로터베이터의 기종에 따라 흙 튀김 차단장치의 장착위치나 높이가 상이할 수 있음에 따라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수단(500)은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상면 일측에 하단부가 접촉되게 구비되고 표면에 복수개의 로드고정홀(511)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지지로드(510)와,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형의 높이조절홀(520)과, 상기 높이조절홀(520)의 선택된 위치에 지지로드(510)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로드고정수단(5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홀(520) 상에서 상기 지지로드(510)의 결합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고정부(40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로드(510)의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로터베이터의 기종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수단(500)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0)의 일측 하부에 너트 또는 부싱으로 된 고정관(550)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관(550)에 지지구(560)를 끼움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구(560)는 볼트나 일정 길이의 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5a와 같이 지지구(560)를 볼트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관(550)에 너트결합하거나 별도의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관(550)에 볼트로 된 지지구를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5b와 같이 상기 지지구(560)를 핀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고정관(550)과 지지구(560)에 복수개의 홀을 형성하고, 그 홀 중 하나에 고정핀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고정관(550)에 핀으로 된 지지구를 결합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구(560)는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상면에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있음으로써 유동이 발생될 수도 있고,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상면이 긁혀 손상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구(560)의 하단부에는 회동가능하게 받침플레이트(57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받침플레이트(570)의 설치로 인해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상면과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긁힘 등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400)를 로터베이터에 설치하는 경우, 로터베이터의 상면이나 전면 또는 횡축에 고정시킬 수 있는데, 고정부(400)를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횡축(151)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횡축(151)에 볼트나 클램프수단을 이용하여 손쉽게 탈부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400)가 로터베이터(150)의 횡축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횡축(151)의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수용홈(411)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300)와 결합되는 제1횡축고정구(410)와,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의 타측 하부에 일측이 장착핀(420)을 매개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횡축(151)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며 받쳐주는 수용홈(431)이 형성된 제2횡축고정구(430)와,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에 설치되어 제2횡축고정구(430)를 결속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수단(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횡축고정구(430)의 타측에는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에 설치된 클램프수단(440)에 의해 상부로 끌어당겨져 고정되거나 또는 반대로 그 고정력이 해제되도록 록킹부(43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의 수용홈(411)과 제2횡축고정구(430)의 수용홈(431)은 모두 횡축(151)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임에 따라 내측이 호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클램프수단(440)은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제1횡축고정구(410)와 제2횡축고정구(430)를 횡축(151)에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클램핑수단(4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의 타측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손잡이(441)와, 상기 손잡이(441)의 중간부분에 양측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게 설치되는 체결고리(442)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고리(442)는 손잡이(441)의 중간부분에 길이조절 없이 단순하게 또는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하거나, 별도의 탄성스프링(443)을 구비하여 체결고리에 탄성력을 부여해주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핑수단(440)의 손잡이(441)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체결고리(442)로 제2횡축고정구(430)를 끌어당겨주거나 당김상태를 해제하여 줌으로써 제2횡축고정구(430)를 쉽고 편리하게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로터베이터의 기종이나 제조사에 따라 횡축의 직경이 상이함에 따라 횡축(151)의 직경변화에 따라 대응하여 제1횡축고정구(410)와 제2횡축고정구(43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의 타측 표면에는 상기 장착핀(42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가이드공(45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45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횡축(151)의 직경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가이드공(450)과 상호 소통되도록 복수개의 안착홈(451)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상기 안착홈(451)은 상기 횡축의 단면 중심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안착홈(451) 중 결합하고자 하는 횡축의 직경과 대응되는 안착홈에 장착핀(420)이 삽입 안착되게 하여 제2횡축고정구(430)의 일측을 제1횡축고정구(410)에 연결하고, 제2횡축고정구(430)의 타측에 형성된 록킹부(432)에 클램프수단(440)으로 걸어 제1횡축고정구(410)와 제2횡축고정구(430)를 횡축(15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로터베이터의 기종이나 제조사가 상이하여 횡축의 직경이 상이하더라도 장착핀의 위치조절을 통해 제1횡축고정구와 제2횡축고정구에 의해 형성된 내경을 쉽게 조절하여 해당 횡축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전달샤프트의 상측에 흙받이판이 배치되어 트랙터와 로터베이터 간의 사이공간 일부분을 커버하게 됨으로써 경운작업 중 트랙터의 후방유리창을 향하여 직접 또는 논바닥에 부딪혀 튀어오르는 흙을 차단시켜 줄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후방유리창 표면에 흙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운전자가 후방을 불편함 없이 관찰할 수 있어 경운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흙받이판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구비됨으로써, 트랙터의 후방 정비작업 시 불편함 없이 정비할 수 있고, 로터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시 흙받이판이 트랙터 후방의 다른 부분과 접촉될 경우에 흙받이판이 완충동작되어져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흙받이판의 각도조절은 물론 설치위치를 임의적으로 조절해줄 수 있어 트랙터 및 로터베이터의 기종 및 제조사에 따라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적합하게 위치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트랙터 101: 상부링크브라켓
102: 상부링크전단핀 110: 동력전달샤프트
150: 로터베이터 151: 횡축
152: 상부구조물 153: 상부링크 고정브라켓
200: 흙받이판 210: 연결브라켓
211: 제1끼움관 213: 각도조절홀
215: 힌지축 220: 각도제한 스토퍼
225: 지지프레임 226: 주프레임
227: 보조프레임 230: 연장판
231: 제2끼움관 233: 틈새커버부재
235: 보강부재 240: 절개부
250: 덮개부재 251,252: 스프링고정브라켓
255: 덮개용 스프링 300: 지지부재
310: 제1지지편 320: 제2지지편
321: 안내돌기 330: 완충스프링
340: 범위제한 스토퍼 400: 고정부
410: 제1횡축고정구 411, 431: 수용홈
420: 장착핀 430: 제2횡축고정구
432: 록킹부 440: 클램프수단
441: 손잡이 442: 체결고리
443: 탄성스프링 450: 가이드공
451: 안착홈 460: 결합대
461: 결합홀 462: 결합위치 안내홈
500: 받침수단 510: 지지로드
511: 로드고정홀 520: 높이조절홀
530: 로드고정수단 550: 고정관
560: 지지구 570: 받침플레이트

Claims (17)

  1. 트랙터(100)의 PTO축과 로터베이터(150)의 구동축에 양단이 연결되는 동력전달샤프트(110)의 상측에 위치되어 트랙터(100)와 로터베이터(150)간의 사이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구비되며, 일측에 연결브라켓(210)이 결합된 일정 면적의 흙받이판(200);
    상기 흙받이판(200)의 연결브라켓(210)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지지부재(300);
    상기 지지부재(300)의 타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트랙터(100)의 후면 또는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선택된 부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400);로 이루어지고,
    상기 흙받이판(20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결합 고정을 위해 흙받이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프레임(225)이 구비되며,
    상기 흙받이판(2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25)에 결합 고정되어 트랙터(100)의 후방 양측과 로터베이터(150) 간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도록 연장판(230)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장판(230)의 외측단부에는 트랙터 바퀴와의 사이 틈새를 커버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고무판 또는 복수개의 브러쉬로 된 틈새커버부재(2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받이판(200)은 상기 지지부재(300)의 일단부가 상기 연결브라켓(210)에 힌지축(215)으로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흙받이판(200)이나 연결브라켓(210)의 하부 일측 또는 상기 지지부재(300)의 일단부 일측에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는 흙받이판(200)을 받쳐 지지하여 흙받이판(200)이 연직선에 대해 70 ~ 110도의 각도로 구비되도록 각도제한 스토퍼(2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1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25)에 끼워져 상기 연결브라켓이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끼움관(211)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210)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재(3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23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25)에 끼워져 결속결합되고 지지프레임(225)상에서 위치 이동가능하게 1개 이상의 제2끼움관(231)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연장판(230)은 제2끼움관(231)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흙받이판(200)의 양측에 위치조절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25)은 상기 흙받이판(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주프레임(226)과, 상기 주프레임(226)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상기 연장판(230)의 제2끼움관(231)이 끼워져 고정되는 보조프레임(22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받이판(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흙받이판(200)의 보강을 위해 전후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보강부재(235)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받이판(200)의 타측은 단부가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향 또는 하향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받이판(200)의 중앙부에는 일정 길이로 절개된 절개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240)에는 개구공간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외부 가압부재(상부링크, 로터베이터의 상부링크 고정브라켓)와의 접촉시 회동 또는 형태가 변형되면서 개구공간을 개방하도록 판체로 된 덮개 또는 중앙부가 절개된 고무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덮개부재(2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250)가 덮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덮개의 일측은 상기 절개부(240)를 형성하는 흙받이판(200)의 중앙부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덮개와 흙받이판(200) 간에는 덮개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덮개가 복원되면서 절개부(240)를 폐쇄시키도록 덮개용 스프링(25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받이판(200)은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흙받이판(200)의 설치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연결브라켓(210)과 지지부재(300) 및 고정부(400) 중 어느 하나에는 인접 구성과의 결합을 위한 홀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0)의 타단부와 고정부(400)의 일측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수단에 의한 지지부재(300)의 전후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홀(461)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연결브라켓(210)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지지편(310)과, 상기 제1지지편(31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2지지편(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편(310)과 제2지지편(320) 간에는 제1지지편(310)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브라켓(210)을 매개로 연결된 흙받이판(200)에 완충효과를 부여하도록 완충스프링(3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0)의 타단부 또는 고정부(400)의 일측에는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상면 일측에 접촉되면서 상기 흙받이판(200)이 횡축(151)을 기준으로 하향회동되지 않게 받쳐주도록 받침수단(5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500)은,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본체 상면 일측에 하단부가 접촉되게 구비되고 표면에 복수개의 로드고정홀(511)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지지로드(510)와,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형의 높이조절홀(520)과,
    상기 높이조절홀(520)의 선택된 위치에 지지로드(510)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로드고정수단(5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가 로터베이터(15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로터베이터(150)의 횡축(151)의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수용홈(411)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300)와 결합되는 제1횡축고정구(410)와,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의 타측에 일측이 장착핀(420)을 매개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횡축(151)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며 받쳐주는 수용홈(431)이 형성된 제2횡축고정구(430)와,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에 설치되어 제2횡축고정구(430)를 결속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수단(4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횡축고정구(430)의 타측에는 상기 클램프수단(440)에 의해 끌어당겨져 고정되거나 또는 반대로 고정력이 해제되도록 록킹부(4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횡축(151)의 직경변화에 따라 대응하여 제1횡축고정구(410)와 제2횡축고정구(43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1횡축고정구(410)의 타측 표면에는 상기 장착핀(42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가이드공(45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45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횡축(151)의 직경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가이드공과 상호 소통되고 상기 횡축(151)의 단면 중심부를 향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그 중 하나에 상기 장착핀(420)이 삽입 안착되도록 안착홈(4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튀김 차단장치.
KR1020190008726A 2018-11-16 2019-01-23 흙 튀김 차단장치 KR102185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592 2018-11-16
KR20180141592 2018-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580A KR20200057580A (ko) 2020-05-26
KR102185802B1 true KR102185802B1 (ko) 2020-12-02

Family

ID=7091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726A KR102185802B1 (ko) 2018-11-16 2019-01-23 흙 튀김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8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476B2 (ja) * 1991-12-20 2001-09-10 株式会社東芝 二分子膜作製基板
JP2005052067A (ja) * 2003-08-04 2005-03-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ロータリ耕耘装置におけるフロントカバーの取付構造
KR101141696B1 (ko) * 2011-10-14 2012-05-04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장착구조물
JP6029921B2 (ja) * 2012-10-05 2016-11-24 中国電力株式会社 取水設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921Y2 (ja) * 1983-09-22 1985-09-09 ニッポ−株式会社 簡易ジュ−サ−
JPH0297304A (ja) * 1988-10-03 1990-04-09 Iseki & Co Ltd 耕耘カバー
KR101756236B1 (ko) 2015-09-15 2017-07-10 국제스틸(주) 로터리용 흙받기 장치
JP3207476U (ja) * 2016-09-02 2016-11-10 関東農機株式会社 ロータリカバー装置
KR20180001067U (ko) 2016-10-10 2018-04-18 김영희 트랙터용 로터리의 흙받이 커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476B2 (ja) * 1991-12-20 2001-09-10 株式会社東芝 二分子膜作製基板
JP2005052067A (ja) * 2003-08-04 2005-03-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ロータリ耕耘装置におけるフロントカバーの取付構造
KR101141696B1 (ko) * 2011-10-14 2012-05-04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장착구조물
JP6029921B2 (ja) * 2012-10-05 2016-11-24 中国電力株式会社 取水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580A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9047C (en) Plow systems for non-highway vehicles
CA2505708C (en) Cutting edge for a v-blade snowplow
KR20180001067U (ko) 트랙터용 로터리의 흙받이 커버 장치
KR102185802B1 (ko) 흙 튀김 차단장치
US10849284B2 (en) Stump grinder with cutting wheel moving and stabilizing assembly
KR102193836B1 (ko) 흙 튀김 차단장치
KR102206110B1 (ko) 접이식 흙 튀김 차단장치
KR100408486B1 (ko) 트랙터 로우더 탈부착형 제설장치
JPH1014315A (ja) ロータリ耕耘具の均し板取付装置
JP3572846B2 (ja) ロータリ耕耘具のリヤカバー連結支持装置
KR20210067773A (ko) 흙 튀김 차단장치
JP3978281B2 (ja) ロータリ耕耘具の土均し装置
KR102555574B1 (ko) 로터베이터용 흙 이동장치
JP6951499B2 (ja) 耕耘作業機
JP4377701B2 (ja) 耕耘装置
JP6721210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6646951B2 (ja) 農作業機
KR100436986B1 (ko) 트랙터 후면 탈부착용 제설기의 설치장치
JPH07289003A (ja) 牽引型溝切装置
EP1973394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gricultural implements
JPH0728801Y2 (ja) ロータリカバーの補助カバー取付装置
JP3733681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6909490B2 (ja) 農作業機
JP4611188B2 (ja) 歩行型の管理機
JP6689181B2 (ja) 耕耘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