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518Y1 -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518Y1
KR200238518Y1 KR2020010011085U KR20010011085U KR200238518Y1 KR 200238518 Y1 KR200238518 Y1 KR 200238518Y1 KR 2020010011085 U KR2020010011085 U KR 2020010011085U KR 20010011085 U KR20010011085 U KR 20010011085U KR 200238518 Y1 KR200238518 Y1 KR 200238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hydraulic cylinder
fixed
auxiliar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식
정길동
Original Assignee
박노식
정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식, 정길동 filed Critical 박노식
Priority to KR2020010011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518Y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서, 주써레의 양측에 설치된 보조써레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접고 펼수 있도록 하되 작업시 유압실린더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는 한편 써레의 이동시 써레가 고정되어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회동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대의 상부에 양측으로 실린더축이 빠지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축에 고정되어 가이드편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편에 보조써레의 작동봉을 결합시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보조써레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하며, 상기 보조써레의 접힘시 고정편이 가이드봉을 밀어 가이드봉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편으로 회동프레임과 고정대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조써레를 펼치거나 접어주는 동작이 간단하고 써레의 이동시 충격에 의하여 써레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유압실린더가 상부에 설치되어 써레 작업시 유압실린더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Harrow for tractor}
본 고안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서, 주써레의 양측에 설치된 보조써레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접고 펼수 있도록 하되 작업시 유압실린더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 고장을 방지하는 한편 써레의 이동시 써레가 고정되어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다.
써레는 무논을 평탄화 시키는 장치로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기존 써레는 그 폭이 트랙터의 폭과 같은 길이 밖에 되지 않아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지금은 써레의 양측으로 보조써레를 장착시켜 사용시에는 보조써레를 펼쳐서 넓은 면적의 평탄화 작업이 가능하게 하고, 이동시에는 보조써레를 접어주어 그 폭을 줄임으로써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트랙터용 써레의 보조써레를 펼치고 접는 방식은 주써레의 양측으로 보조써레가 내삽되게 하여 보조써레가 주써레에 내삽된 채로 펼치거나 접어주도록 하거나, 주써레의 양측에 보조써레가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되게 하므로써 보조써레를 펼치거나 접어 주도록 하고 있으며, 보조써레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힘은 인력에 의존하는 경우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로 구분되어지나, 현재는 작업의 편리함을 이유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 작업자가 트랙터에서 유압실린더를 조작하여 보조써레를 펼치거나 접어주게 되므로, 보조써레의 펼침이나 접음 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져야 하고, 특히 구조적으로 충격에 의한 고장등이 발생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을 갖추어야 하며, 특히 작업시 유압실린더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야만 고장의 원인을 해소 시킬수 있다.
한편 트렉터에 써레를 연결하여 이동시키는 경우 보조써레는 접은채로 써레를 세워서 이동시키게 되나 이때 써레를 세우게 되므로 무게중심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트랙터로 이동시킬때 발생되는 약간의 충격에 의하여 트랙터와 써레의 연결부분에서 써레를 잡아주지 못하고 써레가 앞쪽으로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위와같이 써레가 이동시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사람이 다치거나 재산손실을 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써레의 이동시 써레를 트랙터에 별도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점을 감안하여 주써레의 양측에 설치된 보조써레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거 펼치거나 접어주도록 하되 상기 유압실린더가 작업시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 유압실린더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보조써레를 접어줄때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써레를 고정시키게 하므로써 써레의 이동시 충격에 의하여 써레가 쓰러지는 경우를 없애 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회동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대의 상부에 양측으로 실린더축이 빠지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축에 고정되어 가이드편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편에 보조써레의 작동봉을 결합시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보조써레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하며, 상기 보조써레의 접힘시 고정편이 가이드봉을 밀어 가이드봉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편으로 회동프레임과 고정대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조써레를 펼치거나 접어주는 동작이 간단하고 써레의 이동시 충격에 의하여 써레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유압실린더가 상부에 설치되어 써레 작업시 유압실린더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보조써레를 접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보조써레를 펼친 상태의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결합편 이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써레 작업상태 설명도
도 8 은 본 고안 써레에 확장써레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확장써레 접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랙터 2 : 로타리
3 : 지지프레임 10 : 회동프레임
11 : 고정대 13 : 고정판
14 : 힌지 20 : 주써레
21,22 : 보조써레 23 : 안전핀
30 : 유압실린더 31,32 : 실린더축
40 : 가이드봉 41 : 스프링
45 : 결합편 50 : 확장써레
본 고안은 트랙터(1)의 후방에 체결되는 로타리(2)에 결합되고 주써레(20)의 양측에 상하로 회동되는 보조써레(21)(22)가 구비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로타리(2)의 상부에 유압실린더(5)의 작동에 따라 상하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프레임(3)과, 상기 지지프레임(3)에 체결된 베토기프레임(4)과, 상기 베토기프레임(4)에 결합되는 고정판(13)에 힌지(14)로 결합되는 회동프레임(10)과, 상기 회동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봉(18)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주써레(20)가 고정되는 고정대(11)와, 상기 상기 고정대(11)의 상측으로 주써레(20)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0)와, 상기 유압실린더(30)에 의해 빠지는 실린더축(31)(32)의 선단에 고정되고 하부가 가이드편(60)에 끼워지는 고정편(38)과, 상기 고정편(38)의 측방향에 유니버설 조인트(33)로 결합되는 연결대(35)와, 상기 연결대(35)가 끼워지고 주써레(20)의 측면에 작동봉(25)으로 결합된 보조써레(21)를 회동시키는 지지구(27)와, 상기 고정대(11)의 하측에 결합되어 고정편(38)이 당겨질때 밀리고 스프링(41)에 탄지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봉(40)과,상기 가이드봉(4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10)과 고정대(11)을 체결하는 결합편(45)을 구비하므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3)은 유압실린더(5)의 작동에 의해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지게 되며, 상기 지지프레임(3)에는 베토기프레임(4)을 결합시키고 상기 베토기 프레임(4)에 회동프레임(10)을 결합시키도록 하되 베토기 프레임(4)이 결합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지지프레임(3)에 회동프레임(10)을 직접 결합시키도록 한다.
즉 베토기를 사용하는 경우 베토기 프레임(4)의 부착이 필수적이므로 이경우는 베토기날을 제거한후 베토기 프레임(4)에 회동프레임(10)을 결합시키고 베토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지지프레임(3)에 직접 회동프레임(10)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회동프레임(10)은 고정판(13)을 베토기 프레임(4)에 끼운후 볼트를 조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고정판(13)에는 회동프레임(10)을 힌지(14)로 결합시켜 회동프레임(10)이 힌지(14)를 중심으로 양측이 위아래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며, 회동프레임(10)의 배면에는 고정판(13)과의 사이에 스프링(15)을 연결하여 회동프레임(10)의 좌우가 상하로 이동할때 복귀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회동프레임(10)의 상부에는 고정봉(18)을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봉(18)의 양측으로 고정대(11)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대(11)는 회동프레임(10)에 고정된 받침판(19)에 받쳐지도록 하고, 상기 고정대(11)의 하부는 주써레(20)의 상부를 고정시킴으로서 주써레(20)는 회동프레임(10)보다 뒷쪽으로 회동되지 못하고 앞쪽으로만 회동되게 된다.
상기 주써레(20)의 양측에는 보조써레(21)(22)가 체결되는 것으로 보조써레(21)에 고정된 작동봉(25)은 주써레(20)의 상부에 힌지(28)로 결합되고 상기 작동봉(25)에 직립되게 지지봉(26)을 고정시키며, 상기 지지봉(26)의 선단에는 회동가능한 지지구(27)를 결합시키되 상기 지지구(27)에는 연결대(35)가 스프링(37)과 함께 끼워지게 하고, 상기 작동봉(25)의 선단에는 스톱퍼(63)를 설치하여 보조써레(21)(22)가 접혔을때 직각을 이루도록 잡아주게 한다.
여기서 작동봉(25)에는 안전핀(23)을 꼿아주어 보조써레(21)가 작업시 밀리게 되는 경우 안전핀(23)이 부러지면서 보조써레(21)가 밀리게 하여 보조써레(21)및 주써레(20)가 휘거나 부러지는 경우를 없애게 한다.
한편 고정대(11)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실린더축(31)(32)이 빠지는 유압실린더(30)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축(31)의 선단은 고정편(38)을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편(38)의 일측은 주써레(20)에 형성된 가이드편(60)을 타고 좌우이동 되게 하여 실린더축(31)(32)이 회전하지 않으면서 좌우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편(38)의 측면에는 유니버설 조인트(33)로 연결대(35)를 결합시키도록 하며, 이때 유니버설 조인트(33)에서 연결대(35)가 회동하는 방향은 측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회동될수 있도록 유니버설 조인트(33)의 방향을 고려하여 설치하며, 상기 유압실린더(30)는 실린더축(31)(32)을 한쪽이 빠진후 다른쪽이 빠지도록 하는것을 사용하되 상기된 유압실린더(30)는 공지된 제품이다.
한편 고정대(11)에는 가이드봉(40)을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봉(40)의 일측에는 고정편(38)으로 밀리는 한편 회동프레임(10)과 고정대(11)를 체결하는결합편(45)을 형성시키고 가이드봉(40)의 타측에는 가이드봉(40)의 밀림이 해제되었을때 가이드봉(40)을 원위치시키는 스프링(41)이 탄지된다.
본 고안의 유압실린더(30)는 고정대(11)에서 최대한 상부로 설치하여 써레 작업시 물이 유압실린더(30)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확장써레(50)는 보조써레(21)의 선단에 결합되어지며 확장써레(50)와 보조써레(21)에 결합대(51)(52)를 형성시켜 힌지(53)로 결합시키되 확장써레(50)와 보조써레(21)사이에는 스프링(54)을 설치하여 확장써레(50)가 충격을 받았을때 스프링(54)의 탄성력으로 보조써레(21)의 윗쪽으로 접히도록 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트랙터(1)에서 유압실린더(5)를 작동시키면 지지프레임(3)이 상부로 들어올려 지거나 하부로 내려지게 되는 것으로 이는 공지의 사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 지지프레임(3)에 고정판(13)을 직접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베토기프레임(4)을 결합시킨후 상기 베토기프레임(4)에 고정판(13)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베토기프레임(4)을 사용하는 이유는 베토기를 사용하는 경우 베토기프레임(4)을 해체시키지 않고 베토기날만 제거한후 베토기프레임(4)을 이용하기 위함이다.
이같이 고정판(13)을 이용하여 회동프레임(10)을 결합시킨후 주써레(20)에서 보조써레(21)(22)를 펼쳐주는 과정을 살펴본다.
트랙터(1)에 연결된 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키면 실린더축(31)(32)이 빠져나오면서 고정편(38)를 밀게 되고, 상기 고정편(38)은 유니버설조인트(33)를 매개로 하여 지지봉(26)을 밀어내게 되므로 결합봉(25)이 힌지(28)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보조써레(21)(22)가 펼쳐지게 된다.
이때 지지구(27)는 회전하면서 실린더축(31)의 밀림에 의해 연결대(35)가 지지구(27)를 밀어주게 되고, 지지구(27)가 밀리면 지지봉(26)이 작동봉(25)을 밀되 상기 작동봉(25)이 힌지(28)를 중심으로 밀리게 되어 보조써레(21)가 펼쳐지게 되며, 이때 보조써레(21)가 펼쳐지면서 연결대(35)와 실린더축(31)이 약간의 축어긋남이 발생되나 이는 유니버설조인트(33)에서 잡아주게 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30)는 도면의 우측 실린더축(32)을 먼저 빠지게 하고 우측실린더축(32)이 빠지고 난후 좌측 실린더축(31)이 빠지게 하며, 보조써레(21)(22)를 접을때도 좌측이 먼저 접히고 우측이 접히도록 하게 되나 이는 공지의 기술이다.
이같이 보조써레(21)(22)를 펼친후에는 써레작업을 하게 되며 써레 작업시 논바닥이 평편치 못하여 좌우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은 회동프레임(10)이 힌지(14)로 결합되어 있어 좌우가 들리면서 써레작업을 하게 되고, 그때의 복원력은 스프링(15)에 의해 제공되므로 써레의 양측이 상하로 들리면서 편탄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써레 작업시 흙을 밀고 갈때 써레가 밀리게 되는 것은 회동프레임(10)에 결합된 고정대(11)가 고정봉(18)에 회동가능 하게 결합되어 있어 써레 작업시 써레가 전후방으로 밀리면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작업시 써레는 고정봉(18)를 중심으로 흙무게에 의해 약간 밀린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 지게 된다.
따라서 논 바닥이 편평치 못할 경우 써레를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리게 하며 써레질을 하므로써 논바닥에 관계없는 써레질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보조써레(21)(22)를 펼쳐주는 유압실린더(30)가 고정대(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써레작업시 물이 유압실린더(30)에 닿지 않게 되므로 유압실린더(30)가 고장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보조써레(21)의 선단에 확장써레(50)를 설치하는 경우 확장써레(50)를 손으로 펼치게 되면 확장써레(50)는 보조써레(21)의 측면에 펼쳐지게 되고 스프링(54)은 늘어나게 되나 확장써레(5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어 작업폭을 넓히게 되며, 작업시 확장써레(5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는 확장써레(50)가 일부 들리게 되고 그러면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확장써레(50)를 접히게 하므로써 충격으로 부터 써레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보조써레(21)를 접어주는 경우는 유압실린더(30)에서 실린더축(31)(32)을 당기게 되고 그러면 지지구(27)에 끼워진 연결대(35)가 당겨지게 되어 지지봉(26)을 당기게 되므로 작동봉(25)이 당겨지면서 보조써레(21)가 접혀지게 된다.
이때 지지구(27)는 연결대(35)가 당겨질때 회전하게 된다.
이같이 보조써레(21)(22)를 접어주는 동작은 유압실린더(5)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0)을 들어올린후 이루어지게 되며 보조써레(21)(22)가 완전히 접힌후에는 트랙터(1)를 운전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면 되나, 이때 써레가 들어 올려져 있어 써레 자체의 무게 때문에 써레가 트랙터(1)쪽으로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같이 써레가 쓰러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조써레(21)(22)가 접힐때 회동프레임(10)에서 고정대(11)가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편(44)을 이용하여 잠가 주도록 하므로써 써레 이동시 써레가 쓰러지는 경우를 원천적으로 없애게 된다.
즉 유압실린더(30)에서 실린더축(31)(32)을 당기게 되면 고정편(38)이 가이드편(60)을 타고 유압실린더(30)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편(38)이 어느정도 이동하면 가이드봉(40)에 고정된 결합편(45)을 밀어주게 되어 결합편(45)이 회동프레임(10)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써 ㄱ 자형 결합편(45)이 회동프레임(10)과 고정대(11)를 감싸게 된다.
따라서 보조써레(21)를 접어주면 자동적으로 결합편(45)이 이동되고 결합편(45)이 회동프레임(10)과 고정대(11)를 감싸고 있는 동안(보조써레가 접혀져 있는동안)에는 고정대(11)가 써레의 자중에 의해 쓰러지는 경우가 없게 된다.
이러한 잠금상태는 보조써레(21)(22)를 펼칠때 자연히 해제된다.
즉 유압실린더(30)에서 실린더축(31)(32)을 밀어내면 고정편(38)이 가이드편(60)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고정편(38)에 의해 눌려졌던 결합편(45)은 스프링(41)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결합편(45)에 의해 고정되었던 회동프레임(10)과 고정대(11)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그러면 회동프레임(10)에서 고정대(11)의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써레작업이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보조써레(21)(22)를 펼쳤을때 보조써레(21)(22)에 전방으로 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안전핀(23)을 부러지게 하여 보조써레(21)(22)가 밀리게 하므로써 보조써레(21)(22)가 부서지거나 휘어지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유압실린더로 보조써레를 펼치거나 접어줄수 있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이동시 써레가 쓰러지지 않도록 잠금장치로 써레를 고정시킴으로써 써레의 쓰러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써레를 펼쳐주는 유압실린더가 고정대의 상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써레 작업시 물이 유압실린더에 들어가지 않게 되어 고장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Claims (1)

  1. 트랙터(1) 후방에 체결된 로타리(2)에 유압실린더(5)로 이동되는 지지프레임(3)을 결합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에 주써레(20)를 결합시키되 상기 주써레(20)의 양측에 상하로 회동되는 보조써레(21)(22)가 구비된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에 볼트로 체결되는 고정판(13)과,
    상기 고정판(13)에 힌지(14)로 결합되고 스프링(15)으로 복원력이 제공되는 회동프레임(10)과,
    상기 회동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봉(18)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하부에 주써레(20)가 고정되며 회동프레임(10)의 받침판(19)에 걸쳐지는 고정대(11)와,
    상기 고정대(11)의 상부에 주써레(20)와 같은 방향으로 고정되는 유압실린더(30)와,
    상기 유압실린더(30)의 실린더축(31)(32)선단에 고정되고 하부가 주써레(20)에 형성된 가이드편(60)에 끼워지는 고정편(38)과,
    상기 고정편(38)의 측면에 유니버설조인트(33)로 연결되고 회전되는 지지구(27)에 끼워지는 연결대(35)와,
    상기 지지구(27)가 결합된 지지봉(26)이 고정되고 주써레(20)에 힌지(28)로 결합되며 보조써레(21)에 고정되는 작동봉(25)과,
    상기 고정대(11)에 설치되고 일측에 스프링(41)으로 탄지시킨 가이드봉(40)과,
    상기 가이드봉(40)에 일측에 고정되고 고정편(38)에 의해 이동되며 고정대(11)와 회동프레임(10)을 감싸는 ㄱ 자 형상의 결합편(4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KR2020010011085U 2001-04-18 2001-04-18 트랙터용 써레 KR200238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085U KR200238518Y1 (ko) 2001-04-18 2001-04-18 트랙터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085U KR200238518Y1 (ko) 2001-04-18 2001-04-18 트랙터용 써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518Y1 true KR200238518Y1 (ko) 2001-10-11

Family

ID=7306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085U KR200238518Y1 (ko) 2001-04-18 2001-04-18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5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26B1 (ko) * 2020-07-13 2021-01-11 정길동 무논 정지기의 보조날 고정장치
KR102220859B1 (ko) * 2020-07-29 2021-02-26 정수남 폭조절 가능한 무논 정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26B1 (ko) * 2020-07-13 2021-01-11 정길동 무논 정지기의 보조날 고정장치
KR102220859B1 (ko) * 2020-07-29 2021-02-26 정수남 폭조절 가능한 무논 정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2971B2 (ja) 折畳み代掻き装置
KR200238518Y1 (ko) 트랙터용 써레
JP2008005796A (ja) 耕耘装置の整地板作動リンク機構
JP3486250B2 (ja) クラッチ装置
KR100451135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390696B1 (ko) 절첩식 써레장치
JP4416308B2 (ja) 折り畳み農作業機
JP3502464B2 (ja) 砕土作業機
KR200230285Y1 (ko) 트랙터용 써레
KR200278600Y1 (ko) 이단 굴절이 가능한 확장써레
KR100452184B1 (ko) 로터리용 써레
JP2004194587A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2793122B2 (ja) 農作業機
JPH08191610A (ja) 農作業機
KR200324385Y1 (ko) 로터리용 써레절첩장치
JPH08191611A (ja) 農作業機
JP2519082Y2 (ja) トラクタ用作業機
JP6076674B2 (ja) 代かき作業機
KR200173228Y1 (ko) 트랙터를 이용한 농기구의 써레제어장치
KR200278603Y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860870B1 (ko) 롤링이 가능한 무논 정지기
JP2007117030A (ja) 折畳み砕土装置
KR200410355Y1 (ko) 트랙터용 써레
KR20190129597A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JPH0729779Y2 (ja) 農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