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921B1 -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921B1
KR100701921B1 KR1020050108851A KR20050108851A KR100701921B1 KR 100701921 B1 KR100701921 B1 KR 100701921B1 KR 1020050108851 A KR1020050108851 A KR 1020050108851A KR 20050108851 A KR20050108851 A KR 20050108851A KR 100701921 B1 KR100701921 B1 KR 100701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flow
tractor
fram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05010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preventing or limiting side-play of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사용하는 써레에서 써레 작업을 완료하거나 또는 써레 작업 등을 하기 위해 트랙터에 의해 이동(주행)하는 경우 써레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서 상기 로터리 본체(R)에 구성된 로터리 지지축(S)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 레버 프레임(1)(1a)과 상기 레버 프레임(1)(1a)의 전방 선단부에 횡 방향으로 고정 설치한 횡간 프레임(2)과 상기 횡간 프레임(2)의 양측 수직 방향으로 수직 프레임(3)(3a)을 고정 설치한 지지틀체(G)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지지틀체(G)와 연결 설치되는 써레(H)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써레(H)와 로터리 본체(R) 간에는 써레(H)가 이동 시 써레(H)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장치(W)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써레 작업을 완료하거나 또는 써레 작업 등을 하기 위해 트랙터에 의해 이동(주행)하는 경우 와이어 장치(W)에 의해 써레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로써 유동힌지장치(U)에 의해 써레(H)를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보다 넓은 범위로 원활하게 유동되게 하여 논두렁이나 기타 장애물에 부딛치더라도 원활하게 벗어나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효율적인 평탄 작업을 할 수 있다.
셋째, 트랙터 본체가 기울어져도 써레(H)는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으며, 실린더(33)와 피스톤 로드(34)에 의해 써레(H)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논바닥의 평탄도에 따라 써레(H)가 논바닥에의 밀착도를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넷째, 장애물에 써레(H)가 전진하다가 걸리면 유동연결수단(A)과 상, 하측 유동연결수단(B)(C)에의해 상측으로 회동하여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되고, 써레(H)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 선단부가 논두렁 등의 장애물에 걸리더라도 써레(H)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린 논두렁 등의 장애물로부터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다.
다섯째, 써레(H)의 양측 선단부에 완충기능을 갖는 판 스프링(50)에 의해 보조 써레 날개(H1)를 연결 결합함에 따라 써레(H)의 폭을 보다 광폭으로 늘릴 수 있어 써레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상기 보조 써레 날개(H1)가 장애물 등에 부딪치더라도 상하로 텐션에 의해 절곡되었다가 즉시 복원되므로 완충효과를 가질 수 있어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써레의 본체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섯째,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틀체(G)에 유동기능을 갖는 써레(H)와 베토기(V)를 겸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별도 틀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Harrow for tractor preventive sha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발췌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 발췌 확대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장치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장치에 대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측 유동연결수단에 대한 요부 발췌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측 유동연결수단에 대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연결수단에 대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힌지장치에 대한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힌지장치에 대한 작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측 유동연결수단에 대한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장치에 대한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틀체에 써레(H)와 베토기(V)를 겸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 유동연결수단 B: 상측 유동연결수단
C: 하측 유동연결수단 G: 지지틀체
H: 써레 H1: 보조 써레 날개
R: 로터리 U: 유동힌지장치
V: 배토기 W: 와이어장치
1,1a: 레버 프레임 2: 횡간 프레임
3,3a: 수직 프레임 4: 메인 실린더
5: 피스톤 로드 6: 연결 바
7: 유동힌지하우징 8: 연결용 유동축
9: 제1 핀공 10: 핀공부재
11: 제2 핀공 12: 지지부
13: 제3 핀공 14,14a: 지지리브
15: 제1 회동핀 16: 제4 핀공
17: 핀공부재 18: 제2 회동핀
20: 지지리브 21: 횡축
23: 회동용 가로 중공체 24: 수직축
25: 회동용 세로 중공체 26: 길이조절용 나사축
27: 지지리브 28: 제1 롤러
29: 롤러설치부재 30: 제2 롤러
31: 와이어 32: 코일 스프링
33: 실린더 34: 피스톤 로드
35: 지지리브 36: 횡축
37: 결합핀 38: 중공체
39: 수직축 40: 회동용 세로 중공체
41: 너트 42: 지지리브
43: 횡축 44: 결합핀
45: 회동용 가로 중공체 46: 수직축
47: 회동용 세로 중공체 48: 너트
50: 판 스프링 51: 볼트
a: 고정구 b: 회동축
f: 지지프레임 f1: 유볼트
f2: 결합부재
본 발명은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사용하 는 써레에서 써레 작업을 완료하거나 또는 써레 작업 등을 하기 위해 트랙터에 의해 이동(주행)하는 경우 써레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는 써레 작업 완료 후 또는 써레 작업을 위해 트랙터에 의해 이동하는 써레는 이동 시 써레의 흔들림이 발생하여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한 것이어서 항상 위험성에 노출된 상태에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흙을 밀면서 진행하는 도중 논두렁이나 큰 돌덩어리 등의 장애물에 부딪치게 되면 완충 유동되지 못하여 써레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이었으며, 또한 써레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면 고가의 실린더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써레에는 완충 및 유동기능이 없어 논바닥의 평탄작업 시 논바닥의 평탄효율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랙터용 써레가 안출된 바 있으나, 장애물에 써레가 걸렸을 경우에 써레가 장애물로부터 벗어나가 위한 경사각의 범위가 넓지 못하여 큰 장애물을 만났을 경우에는 원활하게 벗어나지 못하였고, 또한 조립 부품수가 늘어나 코스트가 높아지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 할 때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에서 써레 작업을 완료하거나 또는 써레 작업 등을 하기 위해 트랙터에 의해 이동(주행)하는 경우 써레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에 지지틀체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지지틀체와 써레 사이에 트랙터에 의해 이동(주행)하는 경우 써레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장치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서 상기 로터리 본체(R)에 구성된 로터리 지지축(S)에 지지틀체(G)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지지틀체(G)와 연결 설치되는 써레(H)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틀체(G)와 써레(H) 간에는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유동되는 유동힌지장치(U)를 양측으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틀체(G)는 상기 로터리 지지축(S)의 양측으로 고정구(a)의 회동축(b)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 레버 프레임(1)(1a)과 상기 레버 프레임(1)(1a)의 전방 선단부에 횡 방향으로 고정 설치한 횡간 프레임(2)과 상기 횡간 프레임(2)의 양측 수직 방향으로 수직 프레임(3)(3a)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횡간 프레임(2)에는 메인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5)를 회동가능하게 연결 결합하고 상기 메인 실린더(4)는 트랙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바(6)에 결합한다.
상기 유동힌지장치(U)는 좌우로 유동되는 유동 힌지 하우징(7)과 상하로 유동되는 연결용 유동축(8)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동 힌지 하우징(7)은 후면에 제1 핀공(9)을 형성한 핀공부재(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핀공(9)의 전방 하측에는 제2 핀공(11)을 형성하며 상기 유동 힌지 하우징(7)의 밑면에는 지지부(12)를 형성한다.
상기 유동 힌지 하우징(7)은 상기 수직 프레임(3)(3a)에 좌우로 유동 되게 연결 결합하되, 결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수직 프레임(3)(3a)의 전방 상, 하측에 제3 핀공(13)을 형성한 지지리브(14)(14a)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유동 힌지 하우징(7)의 후면에 형성한 제1 핀공(9)과 제3 핀공(13)에 제1 회동핀(15)으로 결합하여 연결 구성한다.
상기 연결용 유동축(8)은 중간부에 제4 핀공(16)을 형성한 핀공부재(17)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하고 후방 선단에는 연결공(8a)을 형성하며, 전방 선단부에는 상기 써레(H)와 유동연결수단(A)에 의해 좌우상하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한다.
상기 연결용 유동축(8)은 상기 유동 힌지 하우징(7)과 상하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되, 결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유동 힌지 하우징(7)에 연결용 유동축(8)을 삽입한 다음 유동 힌지 하우징(7)의 제2 핀공(11)과 연결용 유동축(8)의 제 4핀공(16)을 제2 회동핀(18)으로 결합하여 연결 구성한다.
상기 써레(H)와 연결용 유동축(8) 간에 연결 구성되는 유동연결수단(A)은 도1 및 도8에서와 같이 써레(H)의 상측부에 지지리브(2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리브(20)에는 횡방향으로 횡축(21)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횡축(21)의 일측 선단에 는 결합핀(22)을 결합 설치한다.
상기 횡축(21)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용 가로 중공체(23)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회동용 가로 중공체(23)에는 상측으로 수직축(24)을 결합 설치하며 상기 수직축(24)에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용 세로 중공체(25)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수직축(24)의 상단에는 너트(24a)를 체결하여 상기 회동용 세로 중공체(2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동용 세로 중공체(25)에는 후방으로 상기 연결용 유동축(8)과 연결되는 길이조절용 나사축(26)을 연결 결합한다.
상기 유동힌지장치(U)와 로터리 본체(R) 간에는 본 발명의 특징인 트랙터에 의해 이동하는 써레(H)가 이동 시 써레(H)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장치(W)를 구성한다.
즉, 상기 와이어 장치(W)는 도2 내지 도4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3)(3a)의 후방에 지지리브(27)를 형성하여 이에 제1 롤러(28)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로터리 본체(R)의 상측면에 롤러설치부재(29)에 의해 제2 롤러(3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 구성하며, 상기 제1 롤러(28)에는 와이어(31)로써 일측단을 코일스프링(32)에 의해 연결하고 아울러 상기 와이어(31)의 타측단은 상기 제2 롤러(30)와 상기 제1 롤러(28)를 경유하여 상기 연결용 유동축(8)의 후방 선단부에 형성한 연결공(8a)에 연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와이어 장치(W)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상기 로터리 본체(R)의 상측면에 구성된 제2 롤러(30)는 도5에서와 같이 상기 레버 프레임(1)(1a)의 회동 기점인 회동축(b)의 높이 보다 소정의 높이(h) 차로 낮게 구성한다.
상기 써레(H)의 중앙부와 횡간 프레임(2) 사이에는 실린더(33)와 피스톤 로드(34)를 상측 유동연결수단(B)과 하측 유동연결수단(C)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상측 유동연결수단(B)은 도1, 도6 및 도7에서와 같이 상기 횡간 프레임(2) 밑에 지지리브(35)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리브(35)에는 횡방향으로 횡축(36)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횡축(36)의 일측 선단에는 결합핀(37)을 결합 설치한다.
상기 횡축(36)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용 가로 중공체(38)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회동용 가로 중공체(38)에는 하측으로 수직축(39)을 결합 설치하며, 상기 수직축(39)에는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회동용 세로 중공체(40)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수직축(39)의 하측단에는 너트(41)를 체결하여 상기 회동용 세로 중공체(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동용 세로 중공체(40)는 상기 실린더(33)의 후방 외측 선단부와 연결 결합한다.
상기 하측 유동연결수단(C)은 도1 및 도6에서와 같이 써레(H)의 상측부에 지지리브(42)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리브(42)에는 횡방향으로 횡축(43)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횡축(43)의 일측 선단에는 결합핀(44)을 결합 설치한다.
상기 횡축(43)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용 가로 중공체(45)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회동용 가로 중공체(45)에는 상측으로 수직축(46)을 결합 설치하며 상기 수직축(46)에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용 세로 중공체(47)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수직축(46)의 상단에는 너트(48)를 체결하여 상기 회동용 세로 중공체(4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동용 세로 중공체(47)에는 후방으로 상기 실린더(33)에 결합 된 피스톤 로드(34)를 연결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측 유동연결수단(C)은 도8의 유동연결수단(A)과 같은 구성이다.
상기 써레(H)의 양측 선단부에는 도1에서와 같이 완충기능을 갖는 판 스프링(50)을 용접으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판 스프링(50)에는 보조 써레 날개(H1)를 볼트(51)와 너트(보조 써레 날개의 저면에서 볼트와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를 생략하였슴)에 의해 연결 결합한다.
한편, 본 발명은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틀체(G)에 유동기능을 갖는 써레(H)와 베토기를 겸용으로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13에서와 같이 상기 써레(H)를 분리해 낸 다음 레버 프레임(1)(1a)의 전방 선단부에 지지 프레임(f)을 횡 방향으로 유볼트(f1) 등에 의해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f)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부재(f2)에 의해 배토기(V)를 결합 고정하여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지틀체(G)의 횡간 프레임(2)과 연결 바(6) 간에 연결 설치한 메인 실린더(4)를 작동시켜 레버 프레임(1)(1a)을 하측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횡간 프레임(2)을 하측으로 하강시킨다.
이 경우 써레(H)는 평탄 작업 등을 하고자 하는 논 바닥에 닿게 되고 또한 양측 와이어 장치(W)의 와이어(31)가 이완되고 동시에 양측 유동힌지장치(U)의 유동 하우징(7)은 좌우로 유동되고 연결용 유동축(8)은 상하로 유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동 하우징(7)은 제1 회동핀(15)을 기점으로 좌우 유동이 이루어지고, 연결용 유동축(8)은 제2 회동핀(18)을 기점으로 상하 유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또한 써레(H)와 연결용 유동축(8) 간에 결합 구성된 유동연결수단(A)과, 써레(H)의 중앙부와 횡간 프레임(2) 사이에는 실린더(33)와 피스톤 로드(34)를 결합 구성한 상, 하측 유동연결수단(B)(C)의 유동에 의해 써레(H)는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유동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도9에서와 같이 트랙터에 연결되어 로터리 본체(R)로 흙덩어리를 부수고 흙탕으로 된 논 바닥을 써레{보조 써레 날개(H1)도 포함한다, 이하 써레라 통칭한다}(H)에 의해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하는 것으로, 논 바닥의 평탄 작업 중 큰 돌덩어리 등의 장애물에 써레(H)가 걸릴 경우에는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써레(H)는 연결용 유동축(8)이 제2 회동핀(18)을 기점으로 상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측으로 제쳐지면서 장애물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써레(H)는 물론 써레(H)와 지지틀체(G)에 다수로 구성되는 피스톤 로드나 실린더 등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써레(H)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 선단부가 논두렁 등에 걸릴 경우에는 도10에서와 같이 제1 회동핀(15)을 기점으로 유동힌지장치(U)인 유동힌지하우징(7)과 연결용 유동축(8)이 유동하여 써레(H)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린 논두렁 등의 장애물로부터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써레(H)는 물론 피스톤 로드나 실린더 등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동 힌지 하우징(7)의 지지부(12)는 써레의 하중으로 인한 연결용 유동축(8)을 지지하여 제2 회동핀(18)이나 유동연결수단(A) 또는 실린더(33)와 피스톤 로드(34) 등의 주변 결합 부분 등을 수명 단축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준다.
그리고, 도11a 및 도11b에서와 같이 상기 유동연결수단(A)과 상, 하측 유동연결수단(B)(C)은 장애물에 써레(H)가 전진하다가 걸리면 상기 유동연결수단(A)과 상, 하측 유동연결수단(B)(C)에서 회동용 가로 중공체(23)(38)(45)는 횡축(21)(36)(43)을 기점으로 상측으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장애물에 걸린 써레(H)는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되는 것이고, 써레(H)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 선단부가 논두렁 등의 장애물에 걸릴 경우에는 써레(H)는 상기 유동연결수단(A)과 상, 하측 유동연결수단(B)(C)에서 회동용 세로 중공체(25)(40)(47)는 수직축(24)(39) (46)을 기점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써레(H)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린 논두렁 등의 장애물로부터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유동연결수단(A)과 상, 하측 유동연결수단(B)(C)에 의해 써레(H)가 장애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동힌지장치(U)에 의해 벗어나는 장애물의 크기가 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연결수단(A)과 상, 하측 유동연결수단(B)(C)에 의해 써레(H)가 장애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동힌지장치(U)에 의해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동힌지장치(U)는 써레(H)가 보다 큰 장애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어 그 범위가 확대된 것이며 또한 충격 완화를 극대화하여 써레(H)는 물론 피스톤 로드나 실린더 등을 파손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써레(H)의 중앙부와 횡간 프레임(2) 사이에는 실린더(33)와 피스톤 로드(34)를 상측 유동연결수단(B)과 하측 유동연결수단(C)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여 구성함에 따라 실린더(33)를 작동시켜 피스톤 로드(34)를 당기면 하측 유동연결수단(C)에 의해 써레(H)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게 되고 이 경우 논 바닥의 많은 흙을 이동시킬수 있고, 상기 실린더(33)를 작동시켜 피스톤 로드(34)를 밀어내면 하측 유동연결수단(C)에 의해 써레(H)는 수평방향으로 눕혀지게 되며 이 경우 평탄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써레 작업을 완료하거나 또는 써레 작업 등을 하기 위해 트랙터에 의해 이동(주행)하는 경우 와이어 장치(W)에 의해 써레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 장치(W)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도12에서와 같이{작용을 이해하기 위한 필요한 구성은 도4, 도5 및 도9를 참조한다} 메인 실린더(4)의 작동에 의해 지지틀체(G)인 레버 프레임(1)(1a)과 횡간 프레임(2) 및 수직 수레임(3)(3a)이 하측(즉, 지면)으로 하강하면 제2 롤러(28)와 제1 롤러(30) 거리가 작아져 와이어 장치(W)의 와이어(31)는 이완된 상태로 되고, 이 경우 상기 연결용 유동축(8)은 상기 수직 프레임(3)(3a)으로부터 이탈되어 유동이 자유롭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써레 또한 유동이 자유롭게 되어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써레 작업은 물론 장애물로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게 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 실린더(4)를 역으로 작동시켜 지지틀체(G)인 레버 프레임(1)(1a)과 횡간 프레임(2) 및 수직 수레임(3)(3a)을 도12와 같이 상측으로 상승시키면, 상기 제2 롤러(28)와 제1 롤러(30) 간의 거리가 위에서 하강시켰을 때보다 커지게 된다.
그 이유는 도5 및 도12에서와 같이 레버 프레임(1)(1a)의 회동 기점인 회동축(b)의 높이가 제2 롤러(30)의 높이 보다 소정의 높이(h)로 높게 위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 프레임(1)(1a)이 하측으로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면 제2 롤러(30)와 제1 롤러(28) 간의 거리는 빗변의 거리로 늘어난 상태에다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 프레임(1)(1a)의 회동 기점인 회동축(b)이 제2 롤러(30)보다 소정의 높이(h)로 높게 위치하고 있어 상기 제2 롤러(30)와 제1 롤러(28) 간의 거리는 더욱 늘어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와이어(31)는 제1 롤러(28)와 제2 롤러(30)를 경유하여 당겨지게 되고 이때 와이어(31)의 일측단과 연결된 상기 연결용 유동축(8) 또한 제2 회동핀(18)을 기점으로 회동시키면서 후방부를 상측으로 당기게 되어 수직 프레임(3)(3a) 밑에 당접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와이어(31)의 타측단과 제1 롤러(28) 간에 연결한 코일 스프링(32)이 늘어나 인장력이 발생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3)(3a) 밑에 당접된 연결용 유동축(8)의 밀착력을 높여준다.
따라서, 상기 유동힌지장치(U)의 상하좌우로의 유동이 정지되어 트랙터의 이동(주행) 시 상기 와이어 장치(W)에 의해 써레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써레(H)의 양측 선단부에는 도1에서와 같이 완충기능을 갖는 판 스프링(50)을 용접으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판 스프링(50)에는 보조 써레 날개(H1)를 볼트(51)와 너트에 의해 연결 결합함에 따라 써레(H)의 폭을 보다 광폭으로 늘릴 수 있어 써레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써레 날개(H1)가 장애물 등에 부딪치더라도 상하로 텐션에 의해 절곡되었다가 즉시 복원되므로 완충효과를 가질 수 있어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설령 파손이 되더러도 써레의 본체는 손상이 방지되므로 상기 판 스프링(50)만을 용이하게 교체 수리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틀체(G)에 유동기능을 갖는 써레(H)와 베토기(V)를 겸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별도 틀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도13에서와 같이 상기 써레(H)를 분리해 낸 다음 레버 프레임(1)(1a)의 전방 선단부에 지지 프레임(f)을 횡 방향으로 유볼트(f1) 등에 의해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f)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부재(f2)에 의해 배토기(V)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단일의 지지틀체(G)에 써레는 물론 배토기(V)를 겸용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와이어 장치(W)를 로터리 본체(R)와 써레(H) 간에 유동힌지장치(U) 없이 직접 연결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써레 작업을 완료하거나 또는 써레 작업 등을 하기 위해 트랙터에 의해 이동(주행)하는 경우 와이어 장치(W)에 의해 써레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로써 유동힌지장치(U)에 의해 써레(H)를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보다 넓은 범위로 원활하게 유동되게 하여 논두렁이나 기타 장애물에 부딛치더라도 원활하게 벗어나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셋째, 트랙터 본체가 기울어져도 써레(H)는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으며, 실린더(33)와 피스톤 로드(34)에 의해 써레(H)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논바닥의 평탄도에 따라 써레(H)가 논바닥에의 밀착도를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넷째, 장애물에 써레(H)가 전진하다가 걸리면 유동연결수단(A)과 상, 하측 유동연결수단(B)(C)에의해 상측으로 회동하여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되고, 써레(H)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 선단부가 논두렁 등의 장애물에 걸리더라도 써레(H)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린 논두렁 등의 장애물로부터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다.
다섯째, 써레(H)의 양측 선단부에 완충기능을 갖는 판 스프링(50)에 의해 보조 써레 날개(H1)를 연결 결합함에 따라 써레(H)의 폭을 보다 광폭으로 늘릴 수 있어 써레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상기 보조 써레 날개(H1)가 장애물 등에 부딪치더라도 상하로 텐션에 의해 절곡되었다가 즉시 복원되므로 완충효과를 가질 수 있어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써레의 본체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섯째,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틀체(G)에 유동기능을 갖는 써레(H)와 베토기(V)를 겸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별도 틀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서 상기 로터리 본체(R)에 구성된 로터리 지지축(S)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 레버 프레임(1)(1a)과 상기 레버 프레임(1)(1a)의 전방 선단 수직 방향으로 수직 프레임(3)(3a)을 고정 설치한 지지틀체(G)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지지틀체(G)와 연결 설치되는 써레(H)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틀체(G)와 써레(H) 간에 유동힌지장치(U)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유동힌지장치(U)와 로터리 본체(R) 간에 써레(H)가 이동 시 써레(H)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장치(W)를 연결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장치(W)는 수직 프레임(3)(3a)의 후방에 제1 롤러(28)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로터리 본체(R)의 상측면에는 제2 롤러(3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 구성하며, 상기 제1 롤러(28)에는 와이어(31)로써 일측단을 코일스프링(32)에 의해 연결하고 아울러 상기 와이어(31)의 타측단은 상기 제2 롤러(30)와 상기 제1 롤러(28)를 경유하여 유동힌지장치(U)와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
KR1020050108851A 2005-11-15 2005-11-15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 KR10070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851A KR100701921B1 (ko) 2005-11-15 2005-11-15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851A KR100701921B1 (ko) 2005-11-15 2005-11-15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921B1 true KR100701921B1 (ko) 2007-03-30

Family

ID=4156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851A KR100701921B1 (ko) 2005-11-15 2005-11-15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49A (ko) 2017-06-28 2019-01-07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의 써레판 무게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391A (ko) * 2000-12-04 2002-06-10 정기관 가시철망 제조장치
KR20030019098A (ko) * 2001-08-27 2003-03-06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터빈 날개부 및 노즐의 필렛 영역의 냉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391A (ko) * 2000-12-04 2002-06-10 정기관 가시철망 제조장치
KR20030019098A (ko) * 2001-08-27 2003-03-06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터빈 날개부 및 노즐의 필렛 영역의 냉각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433910000
200319098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49A (ko) 2017-06-28 2019-01-07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의 써레판 무게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920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101293878B1 (ko) 트랙터용 수평조절이 가능한 제설장치
US20090166048A1 (en) Soil-working implement with crank protection
KR101472066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1492613B1 (ko) 트랙터용 써레
US2775830A (en) Reversible trip blade snow plow
US6695069B2 (en) Spring rockflex bearing arm
KR101263728B1 (ko) 전후로 기울어지는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KR100701921B1 (ko) 흔들림을 방지하는 트랙터용 써레
JP6224116B2 (ja) 内旋回制限付きの直装回転プラウ
KR100398597B1 (ko)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US5785128A (en) Field marker
KR101456200B1 (ko) 차량연결용 제설 그레이더
KR101065303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US10849284B2 (en) Stump grinder with cutting wheel moving and stabilizing assembly
KR100228261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888414B1 (ko) 자동 수평 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20010044234A (ko) 트랙터 로우더 탈부착형 제설장치
US20220112674A1 (en) Side panel assembly for a snow plow
JP4498944B2 (ja) 杭打機
CN104563039B (zh) 一种洗扫车吸盘越障机构及洗扫车
JPS6235723B2 (ko)
KR200244205Y1 (ko) 정지판의 수평조절장치가 구비된 트랙터 착탈형 로터베이터
KR102193836B1 (ko) 흙 튀김 차단장치
JP2000300001A (ja) 農業用馬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