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642Y1 - 농용트랙터 로타베이터의 다기능 프래임 구조 - Google Patents

농용트랙터 로타베이터의 다기능 프래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642Y1
KR200347642Y1 KR20-2003-0038029U KR20030038029U KR200347642Y1 KR 200347642 Y1 KR200347642 Y1 KR 200347642Y1 KR 20030038029 U KR20030038029 U KR 20030038029U KR 200347642 Y1 KR200347642 Y1 KR 200347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ssembled
link
rotar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석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20-2003-0038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6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의 작업기중 가장 핵심적인 흙을 파쇄하고 정지하는 로타리에 관련하여 후방에 다양한 작업기를(배토,써래작업,비닐피복 등등)설치하도록 하는 승하강회동 프래임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프래임은 사용상의 불편함과 조작시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다양한 작업기를 소화하지 못하였고 다수개의 시린더 부착으로 원가의 상승등 문제가 있었다.
본고안은 로타리(100)의 전동 파이프(120)에는 프래임 회동용 장착브라켓(330)이 조립되고 회동핀(331)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좌우 한쌍에 어깨프래임(320)에 수평프래임(311)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승하강프래임과,한 쌍에 어깨프레임(320)후단에 핀(324)으로 각각 연결후 회동되게 조립되고 어깨프래임(320)직각으로 조립되어 한쌍에 어깨프래임을 연결하는 회동메인프래임(400)과,로타리전동 파이프(120)에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고 상단에 조립홀과 로타리의 상부링크 브라켓(211)에 융착한 브라켓과 조절가능한 링크(210)로 서로연결 구성된 상부 프래임(200)과,상부프래임(200)에 회동핀(230)으로 조립된 수평회동시린더(800)가 조립되고 시린더 로드 선단과 링크1(510)에 회동핀으로 조립된 수평회동시린더(800)와,상부프래임(200)과 회동프래임(400) 회동점에 회동핀(410)으로 조립되어 프래임의 하강을 억제하는 억제로드(700)와,회동시린더(800) 로드 선단에 핀으로 조립되고 수평프래임(310)과 회동프래임(400)에 각각의 회동핀(530)으로 조립되어 회동이 끝나면 링크에 회동점들이 서로 직선상에 일치하면 고정되는 고정링크(50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의 다기능 작업기 프래임 으로써
본 고안은 한번의 시린더 조작으로도 승하강,회동,고정,문짝개폐등 연동으로 실행하여 운전자에 편리함을 추구하고 후방충격시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써래,비닐피복기등 다양한 작업기를 장착이 가능하고 규격이다른 모든 로타리에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많은 조립위치를 설치하여 프래임의 효율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농용트랙터 로타베이터의 다기능 프래임 구조{ Multi function frame of an agriculture tractor rotovator}
본 고안은 트랙터의 작업기중 가장 핵심적인 흙을 파쇄하고 정지하는 로타리에 관련하여 후방에 다양한 작업기를(배토,써래작업,비닐피복 등등)설치하도록 하는 승하강회동 프래임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많은 기술들이 보급 되고 사용되 왔다. 특히 파쇄후 동시에 두둑을 성형하는 배토기에 있어서는 2가지 방식을 사용하며 그용도나 특징 문제점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첫째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승하강용 시린더를 설치하고 프래임 끝단 파이프에 다수개의 배토판을 설치하여 배토하는 방식으로 배토를 하지 않을 경우는 회동시린더에 의해 프래임을 상승위치에서 파쇄나 정지 작업을 하며 배토 작업시는 회동시린더 작동하여 프래임이 회동하면 배토기가 지면에서 배토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이런 기술은 수많은 보안을하고 안전장치등을 확보하는등 부단한 노력을 해 왔다 하지만 이같은 방법은 문짝 후부에 배토판이 설치되어 성형판이 없으면 두둑을 다시 사람이 다시 다듬거나 성형판을 추가 장착해야하는 것을 국내 2002년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5833에서 보면 잘 알 수 있다. 또한 로타리와 배토기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작업 선회 반경이커서 하우스 내부같은 좁은 작업장이나 굴곡이 심한 환경에서는 사용이 어려웠다.
두번째 기술로는 앞에서 서술한 첫번째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문짝 내부에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을 용접하고 메인 파이프를 조립후 다수개의 배토판를 배열하여 원하는 개수와 폭을 만족하는 두둑을 성형하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은 배토부와 로타리간의 거리가 짭고 문짝이 성형판 역할을 하게되 배토 성형은 잘 되고 비좁은 환경에서도 수월하지만 배토부를 탈.부착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다수의 사람이 동원되어 탈부착 해야하고 로타리의 정지.파쇄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다시 분해하는 반복작업을 해야 했다.
이런 두번째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는 국내2003년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8889호에서와 같이 프래임의 승하강을 회동시린더에 의해 하고 다시 프래임과 일축으로 회동점을 설치 수평프래임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각각의 회동시린더를 사용하는 것을 잘 알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단순하게 각각의 회동 시린더를 부착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게 되어 다수개의 시린더부착으로 원가가 상승되고 불합리한 구조로 인해 수평회동시린더의 내,외부 오일누유가 발생 할 경우는 조정위치가 변하는 구조로 항상 운전자가 확인하고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과 운전자는 작동레버를 순차적으로 작동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수 있을 뿐 아니라 초보자가 작동 레버를 반대로 조작하게되면 충돌이 발생 할 수 있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작동 하기에 전에는 반듯이 문짝을 배토기가 선회하는 괘적에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미리 올려 놓아야 하며 다시 삽입된 후에는 문짝을 내려야하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방법과 장치로 이를 극복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실행되는것에서도 잘 알 수 있듯이 로타리 작업기 프레임의 설치는 꼭 필요한 사안임에 틀림이 없을 것으며 서술한 두가지 방법을 모두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하는 프래임이 개발 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보안하기 위해 한개의 회동 시린더로 승하강 및 회동,고정,문짝 개폐 등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링크의 복잡한 작동원리를 응용하며 또한 모든 로타리의 서로다른 규격에 대응하기위해 각사의 로타리의 통일된 치수를 찾는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자기의 취향과 작업 환경에 맞추어 조정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조립 위치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후진시에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도 1는 본고안의 요소별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2은 본고안의 속배토기가 장착되어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고안의 하강 삽입된 상태의 링크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a는 본고안의 하강이 완료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3c는 본고안의 최대 상승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고안의 문짝 개폐링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본고안의 어깨프래임의 상세 분해도
도 6a는 본고안의 문짝 개폐링크의 삽입 과정 작동도
도 6b는 본고안의 문짝 개폐링크의 상승 하강시 작동도
도 7은 본고안의 써래 장착한 측면 작동도
도 8은 본고안의 써래 장착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로타베이터 200: 상부 프래임
300: 승강 프래임 400: 회동 메인프래임
500: 회동 고정 링크 600: 문짝 개폐링크
700: 승하강 억제 로드 800: 수평회동 시린더
900: 배토기 1000: 써래
상가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c는 최대 상승된 상태이며 도 3b은 최대 하강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 에서 보면 회동시린더(800)가 확장되면서 프래임이 하강 완료되어 회동하기 직전이며 억제 로드(700)에 조절너트(721)가 브라켓(710)에의해 멈추게 되면 승하강 프래임은 더이상 하강이 정지되고 회동시린더(800)의 남은 행정(S)은 더욱 신장 되면서 고정링크1(510)을 회동 시키고 고정링크1(510)과 연결된 링크2(520)가 억제스프링(530)에 의해 억제 되어 있는 회동프래임(400)이 회동점(a)에서 회동되면서 회동프래임(400)에 부착된 배토기가 삽입 된다. 회동시린더(800)의 행정이 완료되면 고정링크1(510)과 링크2(520)의 회동점(b,c,d)이 직선상에 일치 하게 되어 회동 프래임 더이상 움직이지 못하는 고정된 상태가 지속 된다. 상기의 고정링크(500)는 회동시린더의 자연 수축(내,외부 누설)과는 관계없이 항상 회동프래임(400)과 수평프래임(310)에 지지축이 형성되어 움직이지 못하며 회동시린더(800)가 작동 되면 링크1(510)이 일치된 고정선에 이탈되면서 회동 복귀가 시작된다. 회동 복귀는 회동 인장된 억제스프링(530)에 의해 회동 복귀가 먼져 이루어지고 회동프래임의 복귀가 완료되면 계속해서 승강 프래임은 상승을 하게되고 억제로드(700)도 수축 되면서 상승이 진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일 시린더 작동으로도 승하강,회동,고정이 연동작동됨을 잘 알수 있다.
본고안의 후방 안전 시스템을 도 3b,c 함께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트랙터의 후진시 발생하는 작업기의 보호를위한 것으로 회동 프래임이 복귀된 상승 하강 어떤 구간에서도 후진도중 장애물에 걸리면 회동 프레임(400)의 회동 축(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스프링(530)에 의해 다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후방 충격을 완충하는 구조로 프래임에 장착된 모든 작업기(배토기,써래,비닐피복기..)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도 7,8는 본 고안에 써레를 장착한 실시예로써 회동 프래임의 회동 각도를 알맞게 유지하여 작업을 하게되면 다양한 토양 특성에서도 대응 할 수 있고회동을 더 진행하면 도 7에서와 같이 흙끌기 상태가 되어 평탄작업을 손쉽게 실핼 할 수가 있다.
다음은 문짝을 개폐하는 구성 및 작동을 도6a,b 의 그림으로 설명하면 회동시린(800)가 확장되면(하강) 승하강프래임(300)이 하강하고 회동시린더(800)가 확장된 거리만큼 연결선(620)가 시린더회동지점에 설치된 롤러(621)와 연결된 문짝(110)은 상승하게되고 하강억제로드(700)의 끝지점에서 더이상 하강이 정지된 프래임(300)은 회동메인프래임(400)을 연동해서 회동하게 된다 이때 고리브라켓(610)을 고정플래이트(601) 고정되 있어 더욱 와이어를 문짝 상승 방향으로 상승하면 배토판(900)이 문짝에 걸리지 않고 삽입과정을 거친다 이때 고정 플래이트는 수평프래임(310)과 연결된 로드(624)의 너트(622)가 고정 플래이트(601)를 억제하게되고 회동이 끝까지 진행 되면서 고정 플래이트(601)가 연결선(620)를 잡고있는 고리플래이트(610)을 해제시켜 고정 브라켓이 문짝의 중량에 의해 앞쪽으로 회동하여 문짝이 내려오게 된다. 이로써 배토판(900)의 삽이이 완료되고 작업이 진행된다. 작업이 끝나면 시린더(800)를 상승시키면(수축) 수평프래임과 메인프래임사이에 연결된 스프링(530)에 의해 메인 프래임(400)이 회동을 우선 복귀하게되고 복귀가 완료하는 지점에 고정플래이트(601)가 수평프래임(310)에 연결된 로드의 스프링(623)에 의해 복귀되어 고리플래이트(601)가 고정되게된다. 더욱 시린더가 수축을 진해하면 프래임(300)이 상승되고 수축된 시린더행정 만큼 문짝(110)이 하강하여 다시 로타리 작업을 가능하게되 운전자가 내와서 문짝을 올리고 내리는 불편함을 해소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트랙터 로타리(100)의 다기능 프래임에 관한 것으로 회동 시린더 한개로 승하강 및 회동의 연속 동작을 실현하고 또한 문짝 개페,회동 고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다양한 작업기 장착이 가능고 후진시의 충격안전에도 기여한다. 특히 내장형(속) 배토기를 장착하게 되는 경우에는 문짝의 개폐가 연동 동작되어 운전자가 간편하게 작동할 뿐만 아니라 써래를 장착하는 경우는 써래의 각도를 조절 하여 평탄작업을 쉽게 하고 그외 외장배토기(겉배토기),비닐피복기(도시하지 않음)등을 필요에 따라 부착 할 수 있어 작업기의 효율을 높여 비용이 절감되고 손쉬운 작동으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규격이 다른 모든 로타리에도 적용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로타리(100)의 전동 파이프(120)에는 프래임 회동용 장착브라켓(330)이 조립되고 회동핀(331)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좌우 한쌍에 어깨프래임(320)에 수평프래임(311)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승하강프래임과,
    한 쌍에 어깨프레임(320)후단에 핀(324)으로 각각 연결후 회동되게 조립되고 어깨프래임(320)직각으로 조립되어 한쌍에 어깨프래임을 연결하는 회동메인프래임(400)과,
    로타리전동 파이프(120)에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고 상단에 조립홀과 로타리의 상부링크 브라켓(211)에 융착한 브라켓과 조절가능한 링크(210)로 서로연결 구성된 상부 프래임(200)과,
    상부프래임(200)에 회동핀(230)으로 조립된 수평회동시린더(800)가 조립되고 시린더 로드 선단과 링크1(510)에 회동핀으로 조립된 수평회동시린더(800)와,
    상부프래임(200)과 회동프래임(400) 회동점에 회동핀(410)으로 조립되어 프래임의 하강을 억제하는 억제로드(700)와,
    회동시린더(800) 로드 선단에 핀으로 조립되고 수평프래임(310)과 회동프래임(400)에 각각의 회동핀(530)으로 조립되어 회동이 끝나면 링크에 회동점들이 서로 직선상에 일치하면 고정되는 고정링크(50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의 다기능 작업기 프래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프레임(320)의 브라켓(321)에는 길이를 조정하는 다수개의 조립용 구멍이있고 파이프(322)의 선단의 구멍과 브라켓(321)의 다수개의 구멍중 하나에 볼트(323)로 체결고정하여 어깨프래임(320)에 길이를 조정하도록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의 다기능 작업기 프래임.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링크(500)은 수평프래임(310)의 중앙에 용접된 한쌍의 브라켓구멍에 링크1을 회동되게 핀으로 조립하고 링크1(510)과 링크2(520)와 서로 회동 되게 조립되며 링크2(520)는 메인프래임(400) 중앙에 용접된 한쌍의 브라켓(410)과 회동 가능한 핀으로 조립되며 회동시린더로드(800)의 선단과 링크1(510)을 핀으로 조립하여 메인프레임(400)이 완전 회동되면 링크1(510)과 링크2(520)가 일직선으로 되도록 링크1(510)과 링크2(520)의 길이를 일정 분배하게 구성되어 회동이 고정됨을 특징으로하는 로타리의 다기능 작업기 프래임.
  5. 제1항에 있어서 억제로드(700)은 상부프래임(200)의 브라켓(20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로드(701)후단에는 메인프래임(400)의 중앙의 브라켓(401)에 회동점(a)과 일축으로 회동되게 조립되는 로드와
    로드브라켓(710)의 로드(720)가 왕복 회동 되도록 끼워지고 로드의 선단에는 거리 조정이 가능한 너트(721)로 조립되어 승하강프레임(300)의 하강을 억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로타리의 다기능 작업기 프래임.
  6. 제1항에 있어서 회동메인프래임(400)에 다수개의 장착플래이트(1010)를 조립하고 한상에 볼링크(1020)을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핀으로 고정하여 써래(1000)의 상하좌우에 회동이됨을 특징으로하는 로타리의 다기능 작업기 프래임.
KR20-2003-0038029U 2003-12-05 2003-12-05 농용트랙터 로타베이터의 다기능 프래임 구조 KR200347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029U KR200347642Y1 (ko) 2003-12-05 2003-12-05 농용트랙터 로타베이터의 다기능 프래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029U KR200347642Y1 (ko) 2003-12-05 2003-12-05 농용트랙터 로타베이터의 다기능 프래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642Y1 true KR200347642Y1 (ko) 2004-04-17

Family

ID=4934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029U KR200347642Y1 (ko) 2003-12-05 2003-12-05 농용트랙터 로타베이터의 다기능 프래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64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390B1 (ko) 2005-08-23 2007-07-09 대호 (주)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KR100932653B1 (ko) 2008-12-22 2009-12-21 이세원 두둑 성형기의 동력 전달장치
KR101026844B1 (ko) 2008-05-19 2011-04-06 김준환 해로우와 로터베이터가 구비된 경운장치
KR20190004041A (ko) 2017-07-03 2019-01-11 트랙터월드 주식회사 로타리 커버 일체형 배토기
US20220346308A1 (en) * 2021-04-29 2022-11-03 Andrew Florence Beet scalp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390B1 (ko) 2005-08-23 2007-07-09 대호 (주)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KR101026844B1 (ko) 2008-05-19 2011-04-06 김준환 해로우와 로터베이터가 구비된 경운장치
KR100932653B1 (ko) 2008-12-22 2009-12-21 이세원 두둑 성형기의 동력 전달장치
KR20190004041A (ko) 2017-07-03 2019-01-11 트랙터월드 주식회사 로타리 커버 일체형 배토기
US20220346308A1 (en) * 2021-04-29 2022-11-03 Andrew Florence Beet scalper
US11925138B2 (en) * 2021-04-29 2024-03-12 Andrew Florence Beet scal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1001390A (es) Rastrillo de heno en forma de v ajustable y plegable.
US9265243B2 (en) Bi-directional break-away boom with torsion springs and rotary damper
KR200347642Y1 (ko) 농용트랙터 로타베이터의 다기능 프래임 구조
US4588128A (en) Folding boom for agricultural sprayers
KR20120007245A (ko) 트랙터용 써레의 안전장치
EP2868179B1 (en) Tractor counterweight mounting
EP0807376B1 (de) Anfahrschutz für ein an ein Fahrzeug anschliessbares Mähwerk
EP3811766B1 (en) Improved agricultural implement
WO2002011518A3 (en) Harrow for tractor
EP1937052B1 (en) Agricultural machine with a centre section and on either side thereof folding wing sections
DE202005021554U1 (de) Mähmaschine
US7178605B2 (en) Agricultural toolbar float system
KR102251919B1 (ko) 휴립피복기용 복토기 유지장치
KR102112992B1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US6523619B1 (en) Dirt grading implement
DE10239717C1 (de) Rollstuhl mit gelenkten Rädern
KR102332116B1 (ko) 차량부착식 공간자유형 다목적 작업대
JP2019110774A (ja) 農作業機
KR102366878B1 (ko) 트랙터 부착형 복토 정지기
DE3644019C2 (ko)
KR101193094B1 (ko) 트랙터용 쟁기장치
CA3022705A1 (en) Plow conversion kit
US10668960B1 (en) Plow conversion kit
KR102346542B1 (ko) 차량부착식 공간자유형 다목적 작업대
CN218814003U (zh) 一种微型挖掘机的防护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