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374B1 - 무한궤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한궤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374B1
KR100390374B1 KR10-2001-0014983A KR20010014983A KR100390374B1 KR 100390374 B1 KR100390374 B1 KR 100390374B1 KR 20010014983 A KR20010014983 A KR 20010014983A KR 100390374 B1 KR100390374 B1 KR 10039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elt
core member
rubber
li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717A (ko
Inventor
타케노히로유키
나카지마마사히로
니와키요카주
타카기마코토
니이츠히로카츠
요시다이사오
코이시아키히로
Original Assignee
토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Belt Conveyo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생산성의 향상과 내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무한궤도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쌍의 링크(13)를 포함하는 링크유닛(12)을 복수 연결한 연결링크유닛(11)과, 상기 연결링크유닛(11)의 각 링크유닛(12)의 한쌍의 링크(13)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연결링크유닛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16)로 이루어지는 철제 링크벨트(10)와, 철제 링크벨트(10)의 각 플레이트(16)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6)의 수만큼의 코어부재(21)와, 이 코어부재(21)를 접지면측으로부터 덮도록 코어부재(21)에 가황성형되어 모든 코어부재(21)에 걸쳐서 연속하여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25)를 가진 단일 고무벨트(24)로 이루어지는 연속패드(20)와, 철제 링크벨트(10)와 연속패드(2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으로 이루어지는 무한궤도 (100)와 그 제조방법. 단, 플레이트(16)와 박육부(25)의 한쪽 또는 양쪽은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Description

무한궤도 및 그 제조방법{AN ENDLESS TRAC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접지면을 고무제로 한 무한궤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용 차량의 무한궤도에는, 노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접지면을 고무제로 한 것이 있다. 종래의, 접지면을 고무제로 한 무한궤도에는, 다음의 3종류의 것이 있다.
① 철제 링크벨트(1)+철제 슈(2)+고무패드(A타입)(3) (도 14)
철제 링크벨트(1)에, 철제 링크벨트(1)과는 별체의 철제 슈(2)를 설치하고, 각 철제 슈(2)에 착탈가능하게 각 고무패드(A타입)(3)를 설치한 것. 고무패드(A타입)(3)는 철판(3a)에 고무(3b)를 가황접착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드」는 「패트」로도 불리운다(이하, 동일).
② 철제 링크벨트(1)+고무패드(B타입)(4) (도 15)
철제 링크벨트(1)의 각 쌍의 링크에 용접된 플레이트(4c)에, 코어부재(플레이트)(4a)에 고무(4b)를 가황접착한 고무패드(B타입)(4)를 볼트 등으로 연결고정한다. 고무패드(B타입)(4)는 철제 슈를 끼우지 않고 직접 철제 링크벨트(1)에 고정된다. 따라서, 철제 슈를 가지지 않는다.
③ 고무크롤러(5) (도 16)
복수의 철제 코어부재(5a)가, 각 철제 코어부재(5a)의 일부를 노출시켜서,단일 고무벨트(5b) 내에 매입되어서 고무와 가황성형되어 있고, 고무벨트(5b)가 무단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철제 코어부재(5a)의 노출부에서 스프로킷과 결합한다. 철제 링크벨트와 철제 슈를 가지지 않는다.
이하, 상기 ①을 고무패드방식(A타입), 상기 ②를 고무패드방식(B타입), 상기 ③을 고무크롤러방식으로 칭한다.
그러나, 종래의 접지면을 고무제로 한 무한궤도에는 다음의 문제가 있었다.
① 고무패드방식(A타입)의 문제점
각 고무패드에 대해서, 철판에 고무를 가황접착해야만 하므로, 가황접착에 아주 많은 시간과 작업이 걸리고, 생산성이 나쁘다.
또한,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 ③의 고무크롤러방식에 비해서, 부품점수가 많고, 비용이 높다.
② 고무패드방식(B타입)의 문제점
각 고무패드에 대해서, 코어부재(플레이트)에 고무를 가황접착해야만 하므로, 가황접착에 아주 많은 시간과 작업이 걸리고, 생산어이 나쁘다.
또한, ③의 고무크롤러방식에 비해서, 부품점수가 많고, 비용이 높다.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에 비해서 슈를 가지지 않는만큼 부품점수는 감소하지만, 고무패드 전체로서의 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은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과 거의 동일한 레벨이다.
③ 고무크롤러방식의 문제점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 및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에 비해서 부품점수가 적고 싼가격이지만, 인장력을 고무벨트만으로도 가한 것이므로, 내구성이 나쁘고, 주행 중에 잘려나갈 우려가 있을뿐만 아니라, 탈륜하기 쉬운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황성형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지면을 고무제로 한 무한궤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무한궤도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무한궤도의 일부의, 접지면과 반대측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무한궤도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무한궤도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무한궤도의 일부의, 접지면과 반대측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무한궤도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의 무한궤도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의 무한궤도의 일부의, 접지면과 반대측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무한궤도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4의 무한궤도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4의 일부의, 접지면과 반대측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4의 무한궤도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한, 무한궤도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고무패드식(A타입)의 무한궤도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고무패드방식(B타입)의 무한궤도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고무크롤러방식의 무한궤도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한궤도 10 … 철제 링크벨트
11 … 연결링크유닛 12 … 링크유닛
13 … 링크 14 … 부싱
15 … 핀 16 … 플레이트
17 … 용접부 18 … 볼트구멍
19 … 진흙배출구멍 20 … 연속패드
21 … 코어부재 22 … 볼트구멍
23 … 진흙배출구멍 24 … 고무벨트
25 … 박육부 26 … 진흙배출구멍
30 … 연결수단 31 … 볼트
32 … 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한쌍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유닛을 복수 연결한 연결링크유닛을 보유하는 철제 링크벨트와,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각 링크유닛에 고정되는, 링크유닛의 수만큼의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를 접지면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코어부재에 가황성형되어 모든 상기 코어부재에 걸쳐서 연속하는 단일 고무벨트로 이루어지는 연속패드와,
상기 철제 링크벨트와 상기 연속패드를 상기 링크유닛과 상기 코어부재 간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무한궤도.
(2) 상기 한쌍의 링크의 각 링크가 판굽힘 링크 또는 단조링크인 (1)에 기재된 무한궤도.
(3) 상기 연결수단이 볼트ㆍ너트 또는 용접인 (1)에 기재된 무한궤도.
(4) 상기 연결수단이 볼트ㆍ너트이고, 이 볼트ㆍ너트의 한쪽은 상기 코어부재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무벨트의 고무로 덮여 있는 (3)에 기재된 무한궤도.
(5) 상기 철제 링크벨트는,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링크유닛의 수만큼의 플레이트를 보유하고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고무벨트는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철제 링크벨트와 상기 연속패드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코어부재 간의 부위에서 연결수단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1)에 기재된 무한궤도.
(6)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직접,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고무벨트는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가지고 있는 (1)에 기재된 무한궤도.
(7) 상기 철제 링크벨트는,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링크유닛의 수만큼의 플레이트를 보유하고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고무벨트는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가지지 않고,
상기 철제 링크벨트와 상기 연속패드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코어부재 간의 부위에서 연결수단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1)에 기재된 무한궤도.
(8)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직접,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고무벨트는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가지지 않는 (1)에 기재된 무한궤도.
(9) 한쌍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유닛을 복수 연결하여 연결링크유닛을 제작하여 철제 링크벨트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링크벨트의 수만큼의 코어부재에, 이 코어부재를 접지면측으로부터 덮도록, 또한 모든 상기 코어부재에 걸쳐서 연속하는 단일 고무벨트를 한번에 가황성형하여,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을 보유하는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0) 상기 한쌍의 링크의 각 링크를 판굽힘 또는 단조에 의해 제작하는 (9)에 기재된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1) 상기 철제 링크벨트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상기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를 용접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코어부재를 상기 링크유닛에 고정하지 않는 단계에서 상기 고무벨트를 가황성형하고, 이 가황성형 시에 상기 고무벨트에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후, 상기 철제 링크벨트와 상기 연속패드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코어부재 간의 부위에서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하는 (9)에 기재된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2) 상기 연결수단이 볼트, 너트를 포함하고, 이 볼트, 너트의 한쪽을 상기 고무벨트의 가황성형 전에 상기 코어부재에 용접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연속고무벨트의 가황성형 시에 상기 고무벨트의 고무로 덮어두는 (11)에 기재된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3)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코어부재를, 직접, 용접으로 고정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고정에서, 상기 고무벨트의 가황성형 시에 상기 고무벨트에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형성하는 (9)에 기재된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4) 상기 철제 링크벨트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상기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를 용접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보다 전에,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각 링크유닛의 상기 각 플레이트에 코어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코어부재를 덮도록 상기 고무벨트를 가황성형하고, 이 가황성형 시에는 상기 고무벨트에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는 (9)에 기재된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5)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코어부재를, 직접, 용접으로 고정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고무벨트의 가황성형 시에는 상기 고무벨트에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는 (9)에 기재된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6) 상기 가황성형공정보다 후에, 상기 고무벨트를 인접하는 코어부재 간에 절단하여 1구씩 분할하는 공정을 보유하는 (14) 또는 (15)에 기재된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상기 (1) 내지 (8)의 무한궤도 및 상기 (9) 내지 (16)의 무한궤도의 제조방법에서는, 일련의 코어부재를 매입한 연속고무벨트를 한번에 가황성형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 및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과 같이 각 코어부재(플레이트)에 고무를 가황성형하는 것을 고무패드의 개수만큼 실행하는 경우에 배해서,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단일 고무벨트에 일련의 코어부재가 매입되는 것이므로, 종래의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 및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과 같이 고무패드(고무부착 코어부재)가 복수개 제작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점수가 적게 된다.
상기 한번이 가황성형에 의한 생산성의 향상과, 부품점수의 감소에 의해, 종래의 고무크롤러방식에 가까운 레벨까지, 무한궤도의 비용감소가 꾀해진다.
또한, 철제 링크벨트로 무한궤도의 장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③의 고무크롤러방식의 내구성의 문제를 완전히 제거되고, 종래의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 및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마다의 내구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1은, 플레이트를 보유하고, 박육부를 보유하는 무한궤도와 그 제조방법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2, 3, 4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을 일부 변경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2는 플레이트가 없고, 박육부를 보유하는 무한궤도와 그 제조방법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 실시예3은 플레이트를 보유하고, 박육부가 없는 무한궤도와 그 제조방법으로, 도 7 내지 도 9에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 실시예4는 플레이트가 없고, 박육부가 없는 무한궤도와 그 제조방법으로,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체 실시예에 걸쳐서 공통의 구성부분에는 본 발명의 전체 실시예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전체 실시예에 걸쳐서 공통의 부분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한궤도(100)는, 철제 링크벨트(10)와, 연속패드(20)와, 연결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철제 링크벨트(10)는, 한쌍의 링크(13)를 포함하는 링크유닛(12)을 복수 연결한 연결링크유닛(11)을 보유한다.
연결링크유닛(11)은, 링크유닛(12)을, 복수, 핀(15)과 부싱(14)으로 연결한 것이다.
링크(13)는, 압연강판을 구부려서 제작한 것(이하, 판굽힘링크라함)이어도 좋고, 또는 단조로 제작한 것(이하, 단조링크라함)이어도 좋다.
판굽힘링크에서는, 링크(13)의 중간부는 링크(13)의 양단부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연속패드(20)는, 철제 링크벨트(10)의 각 링크유닛(12)에 고정되는, 링크유닛(12)의 수만큼의 코어부재(21)와, 코어부재(21)를 접지면측으로부터 덮도록 코어부재(21)에 가황성형되어 모든 코어부재(21)에 걸쳐서 연속하는 단일 고무벨트(24)로 이루어진다. 고무벨트(24)이, 폭방향에는 중앙부에서, 고무벨트(24)의 길이방향에는 인접하는 링크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링크(13)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구멍(슬릿)(27)을 설치하여도 좋다.
연결수단(30)은, 철제 링크벨트(10)와 연속패드(20)를 링크유닛(12)과 코어부재(21)의 사이에서 연결한다.
연결수단(30)은 볼트ㆍ너트(31, 32) 또는 용접이다. 연결수단(30)이 볼트ㆍ너트(31, 32)인 경우, 이 볼트ㆍ너트의 한쪽은, 코어부재(21)에 용접으로 고정되어있고, 또한 고무벨트(224)의 고무로 덮여져 있다.
본 발명의 무한궤도(100)의 제조방법은, 한쌍의 링크(13)를 포함하는 링크유닛(12)을 복수 연결하여 연결링크유닛(11)을 제작하여 철제 링크벨트(10)를 제작하는 공정과, 철제 링크벨트(10)의 링크유닛(12)의 수만큼의 코어부재(21)에, 코어부재(21)를 접지면측으로부터 덮도록, 또한 모든 코어부재(21)에 걸쳐서 연속하는 단일 고무벨트(24)를 한번에 가황성형하여, 연속패드(20)를 제작하는 공정을 보유한다.
한쌍의 링크(13)의 각 링크는 판굽힘 또는 단조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의 무한궤도(100) 및 그 제조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일련의 코어부재(21)를 매입한 연속고무벨트(24)를 한번에 가황성형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 및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과 같이 각 코어부재(플레이트)에 고무를 가황성형하는 것을 고무패드의 개수만큼 실행하는 경우에 비해서,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단일 고무벨트(24)에 일련의 코어부재(21)가 매입되는 것이므로, 종래의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 및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과 같이 고무패드(고무부착 코어부재)가 복수개 제작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점수가 적게 된다.
고무벨트(24)의 한번의 가황성형에 의한 생산성의 향상과, 부품점수의 감소에 의해, 종래의 고무크롤러방식(C타입)에 가까운 레벨까지, 무한궤도의 비용감소가 꾀해진다.
또한, 철제 링크벨트(10)에서 무한궤도의 장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③의 고무크롤러방식의 내구성의 문제를 완전히 제거되고, 종래의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 및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마다의 내구성이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특유한 부분의 구성,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의 크롤러벨브(100)와 그 제조방법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제 링크벨트(10)는, 플레이트(16)를 보유하고, 고무벨트 (24)는 박육부(25)를 보유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철제 링크벨트(10)는, 연결링크유닛(11)과 플레이트(16)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6)는, 연결링크유닛(11)의 각 링크유닛(12)의 한쌍의 링크 (13)에 용접(17)으로 고정되어 있고, 연결링크유닛(11)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의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6)는 링크유닛(12)의 수만큼이다. 플레이트(16)의 한쌍의 링크(13)의 외측의 부위에는 볼트구멍(18)이 각 측에 2개씩 뚫여져 있다. 플레이트(16)의 중앙부에는 진흙배출구멍(19)이 뚫여져도 좋다. 단, 진흙배출구멍(19)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연속패드(20)는, 코어부재(21)와 고무벨트(24)로 이루어진다. 코어부재(21)는,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철제 링크벨트(10)의 각 플레이트(16)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링크유닛(12) 플레이트(16)의 수만큼 설치된다. 코어부재(21)에는, 플레이트 (16)의 볼트구멍(18)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구멍(22)이 뚫여져 있다. 또한, 코어부재(21)의 중앙부에는 진흙배출구멍(23)이 설치되어도 좋다. 단, 진흙배출구멍 (23)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고무벨트(24)는, 플레이트(16)의 수만큼인 코어부재(21)의 모든 코어부재(21)에 걸쳐서 연속하고, 인접 코어부재(21) 간에 박육부(25)(박육부(25)는 연속고무벨트(2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를 가진 단일 벨트로 이루어진다. 박육부(25)에는 코어부재(21)는 없고 박육부(25)에 있어서의 연속패드의 두께는 코어부재(21)가 있는 부분(통상 두께부)의 연속패드(20)의 두께보다 얇은(통상 두께부의 두께의 3/1이하, 바람직하게는 1/4이하). 무한궤도(10)를 직선형상으로 한 상태에서, 박육부(25)는 연속고무벨트(24)의 신장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하고 있어도 좋다(파형상으로 느슨하게 하여도 좋다). 코어부재(21)의, 플레이트(16)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은 고무벨트(24)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코어부재(21)는 플레이트 (16)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고무벨트(24)의, 코어부재(21)의 진흙배출구멍(23)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진흙배출구멍 (26)이 설치되어도 좋다. 단, 진흙배출구멍(26)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고무벨트(24)의, 폭방향에는 중앙부에서, 고무벨트 (24)의 길이방향에는 인접하는 링크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링크(13)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구멍(슬릿)(2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육부(25)를 설치하는 이유는, 무한궤도(10)가 무한궤도벨트로서 건설기계에 장착되었을 때, 직선부에 있을 때에는 철제 링크길이와 고무벨트길이는 동일하지만, 스프로킷 주위에 회전하는 때에는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철제 링크길이보다 고무벨트길이의 쪽이 길게 되는 것이므로, 그 길이의 차를 무리없이 흡수하기 위하여, 박육부(25)를 고무벨트(24)가 신장하기 쉽게 하기 때문이다. 무한궤도(10)를 직선형상으로 한 경우, 박육부(25)가 느슨함을 가지고 있으면, 스프로킷 주위에 다가왔을 때에 느슨함이 팽팽해져서 보다 용이하게 철제 링크길이와고무벨트길이의 차를 무리없이 흡수할 수 있다.
연결수단(30)은, 철제 링크벨트(10)와 연속패드(20)를, 플레이트(16)와 코어부재(21) 간의 부위에서 연결하는 수단으로, 볼트(31), 너트(32)로 이루어진다. 볼트(31), 너트(32) 중 한쪽(도시예에서는 볼트(31))은, 코어부재(21)에 고무벨트 (24)의 고무가황성형 전에 용접부착되어 있고, 가황성형 시에 고무로 덮여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1의 무한궤도의 제조방법은, 철제 링크벨트(10)를 제작하는 공정과, 연속패드(20)를 제작하는 공정과, 철제 링크벨트(10)와 연속패드(20)를 연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제 링크벨트(10)를 제작하는 공정과, 연속패드 (20)를 제작하는 공정은, 어느것이 먼저 행해져도 좋다.
철제 링크벨트(10)를 제작하는 공정에서는, 연결링크유닛(11)의 각 링크유닛 (12)의 한쌍의 링크(13)에, 연결링크유닛(11)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16)를 용접한다.
연속패드(20)를 제작하는 공정에서는, 코어부재(21)를 링크유닛(12)에 고정하지 않는 단계에서 고무벨트(24)를 가황성형하고, 이 가황성형 시에 고무벨트(24)에 인접 코어부재(21) 간에 박육부(25)를 형성한다.
연속패드(20)를 제작 후, 철제 링크벨트(10)와 연속패드(20)를 플레이트(16)와 코어부재(21) 간의 부위에서 연결수단(30)에 의해 연결한다.
연결수단(30)이 볼트(31), 너트(32)를 포함하고, 볼트(31), 너트(32)의 한쪽 (도시예에서는 볼트(31))을 고무벨트(24)의 가황성형 전에 코어부재(21)에 용접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연속고무벨트(24)의 가황성형 시에 고무벨트(24)의 고무로 덮어 둔다. 철제 링크벨트(10)와 연속패드(20)와의 연결시에, 볼트(31)를 플레이트 (16)의 볼트구멍(18)에 통하여, 볼트(31)에 너트(32)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플레이트(16)와 코어부재(21)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작용에 관해서는, 연속패드(20)가 박육부(25)를 보유하는 것이므로, 무한궤도(100)가 건설차량의 직선부로부터 스프로킷 주위의 반원부에 이행하였을 때의, 연속패드(20)와 철제 링크벨트(10)의 길이의 변화를, 원활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무벨트(24)에 큰 인장변형과 인장응력이 생기지 않는 것이므로, 우수한 내구성이 얻어진다. 또한, 한쌍의 링크(13)에 플레이트(16)를 용접하고, 플레이트(16)와 코어부재(21)를 연결수단(30)으로 고정하는 것이므로, 철제 링크벨트(10)와 연속패드(20)를 각각 제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철제 링크벨트(10)와 연속패드(20)의 제작공정은, 어느쪽을 먼저 제작하여도 좋고, 공정의 자유도가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2의 무한궤도(100)와 그 제조방법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제 링크벨트(10)는, 플레이트(16)를 보유하지 않고, 고무벨트(24)는 박육부(25)를 보유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철제 링크벨트(10)의 연결링크유닛(11)의 각 링크유닛(12)의 한쌍의 링크(13)는, 연속패드(20)의 코어부재(21)에 용접(17)으로 고정되어 있다.
연속패드(20)는, 코어부재(21)와 고무벨트(24)로 이루어진다. 코어부재(21)는, 연결링크유닛(11)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의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코어부재(21)는, 링크유닛(12)의 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코어부재 (21)의 중앙부에는 진흙배출구멍(23)이 설치되어도 좋다. 단, 진흙배출구멍(23)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고무벨트(24)는, 링크유닛(12)의 수만큼인 코어부재(21)의 모든 코어부재 (21)에 걸쳐서 연속하고, 인접 코어부재(21) 간에 박육부(25)(박육부(25)는 연속고무벨트(2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를 보유하고, 단일 벨트로 이루어진다. 박육부(25)에는 코어부재(21)는 없고 박육부(25)에 있어서의 연속패드의 두께는 코어부재(21)가 있는 부분(통상 두께부)의 연속패드(20)의 두께보다 얇다(통상 두께부의 두께의 1/3이하, 바람직하게는 1/4이하). 무한궤도(10)를 직선형상으로 한 상태에서, 박육부(25)는 연속고무벨트(24)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하고 있어도 좋다(파형상을 느슨하게 하여도 좋다). 코어부재(21)의, 링크유닛 (12)에 대응하는 측의 표면은 고무벨트(24)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코어부재(21)는 링크(13)에 직접 접촉하여 용접된다. 고무벨트(24)의 코어부재(21)의 진흙배출구멍 (23)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진흙배출구멍(26)이 설치되어도 좋다. 단, 진흙배출구멍 (26)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박육부(25)를 설치하는 이유는, 무한궤도(10)가 무한궤도벨트로서 건설기계에 장착되었을 때, 직선부에 있을 때에는 철제 링크길이와 고무벨트길이와는 동일하지만, 스프로킷 주위에 회전할 때에는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철제 링크길이보다 고무벨트길이의 쪽이 길게 되는 것이므로, 박육부(25)에서 신장하여 그 길이의 차를 무리없이 흡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2의 무한궤도의 제조방법은, 철제 링크벨트(10)를 제작하는 공정과, 연속패드(20)를 제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제 링크벨트(10)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연결링크유닛(11)의 각 링크유닛 (12)의 한쌍의 링크(13)에, 연속패드(20)의 도구(21)를 용접한다.
연속패드(20)의 고무벨트(24)를 제작하는 공정에서는, 고무벨트(24)를 가황성형하고, 이 가황성형 시에 고무벨트(24)에 인접 코어부재(21) 간에 박육부(25)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작용에 관해서는, 연속패드(20)가 박육부(25)를 보유하는 것이므로, 무한궤도(100)가 건설차량의 직선부로부터 스프로킷 주위의 반원부에 이행한 때의, 연속패드(20)와 철제 링크벨트(10)의 길이의 변화를, 원활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무벨트(24)에 큰 인장변형과 인장응력이 생기지 않는 것이므로, 우수한 내구성이 얻어진다. 또한, 한쌍의 링크(13)에 코어부재(21)를 용접하는 것이므로, 철제 링크벨트(10)의 플레이트(16)를 폐지할 수 있고, 부품점수저감, 비용감소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3의 무한궤도(100)와 그 제조방법에서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제 링크벨트(10)는, 플레이트(16)를 보유하고, 고무벨트 (24)는 박육부(25)를 보유하지 않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철제 링크벨트(10)는, 연결링크유닛(11)과 플레이트(16)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6)는, 연결링크유닛(11)의 각 링크유닛(12)의 한쌍의 링크 (13)에 용접(17)으로 고정되어 있고, 연결링크유닛(11)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6)는 링크유닛(12)의 수만큼이다. 플레이트(16)의 한쌍의 링크(13)의 외측의 부위에는 볼트구멍(18)이 각 측에 2개씩 뚫여져 있다. 플레이트(16)의 중앙부에는 진흙배출구멍(19)이 뚫여져 있어도 좋다. 단, 진흙배출구멍(19)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연속패드(20)는, 코어부재(21)와 고무벨트(24)로 이루어진다. 코어부재(21)는,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철제 링크벨트(10)의 각 플레이트(16)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링크유닛(12) 플레이트(16)의 수만큼 설치된다. 코어부재(21)에는, 플레이트 (16)의 볼트구멍(18)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구멍(22)이 뚫여져 있다. 또한, 코어부재(21)의 중앙부에는 진흙배출구멍(23)이 설치되어도 좋다. 단, 진흙배출구멍 (23)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고무벨트(24)는, 플레이트(16)의 수만큼인 코어부재(21)의 모든 코어부재 (21)에 걸쳐서 연속하고, 인접 코어부재(21) 간에 박육부(25)를 가지지 않는 단일 벨트로 이루어진다. 박육부를 가지지 않는 것은, 통상 두께부를 가진다라는 의미이다. 코어부재(21)의, 플레이트(16)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은 고무벨트(24)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코어부재(21)는 플레이트(16)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고무벨트(24)의, 코어부재(21)의 진흙배출구멍(23)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진흙배출구멍(26)이 설치되어도 좋다. 단, 진흙배출구멍(26)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연결수단(30)은, 철제 링크벨트(10)와 연속패드(20)를, 플레이트(16)와 코어부재(21) 간의 부위에서 연결하는 수단으로, 볼트(31), 너트(32)로 이루어진다. 볼트(31), 너트(32) 중 한쪽(도시예에서는 볼트(31))은, 코어부재(21)에 고무벨트(24)의 고무가황성형 전에 용접부착되어 있고, 가황성형 시에 고무로 덮여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3의 무한궤도의 제조방법에서는, 철제 링크벨트(10)를 제작하는 공정에서는, 연결링크유닛(11)의 각 링크유닛(12)의 한쌍의 링크(13)에 연결링크유닛(11)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16)를 용접하고,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보다 전에, 철제 링크벨트(10)의 각 링크유닛(12)의 각 플레이트(16)에 코어부재(21)를 고정하고, 연속패드(20)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코어부재(21)를 덮도록 고무벨트(24)를 가황성형하고, 이 가황성형 시에는 고무벨트 (24)에 인접 코어부재(21) 간에 박육부(25)를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플레이트(16)와 코어부재(21)와의 고정은 연결수단(30)에 의한다. 연결수단 (30)은 볼트(31)를 포함하고, 볼트(31)를 코어부재(21)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3의 작용에 관해서는, 박육부(25)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므로, 고무벨트(24)가 건설차량의 스프로킷에 다가왔을 때에, 고무벨트(24)는 코어부재(21) 간 부위에서 신장하는 것에 본 발명의 실시예1, 2에 비해서 큰 힘을 요한다.
또한, 고무벨트(24)를 전체 코어부재(21)에 걸쳐서 연속하도록 가황성형 후, 고무벨트(24)를 코어부재(21) 간에서 절단하여도 좋다. 그 경우는, 각 코어부재 (21)에 대해서 고무패드를 가황성형하는 경우에 비해서, 고무벨트(24)를 전체 코어부재(21)에 걸쳐서 연속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조의 효율상승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4의 무한궤도(100)와 그 제조방법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제 링크벨트(10)는, 플레이트(16)를 보유하지 않고, 고무벨트(24)는 박육부(25)를 보유하지 않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철제 링크벨트(10)의 연결링크유닛(11)의 각 링크유닛(12)의 한쌍의 링크(13)는, 연속패드(20)의 코어부재(21)에 용접(17)으로 고정되어 있다.
연속패드(20)는, 코어부재(21)와 고무벨트(24)로 이루어진다. 코어부재(21)는, 연결링크유닛(11)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의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코어부재(21)는, 링크유닛(12)의 수만큼 설치된다. 코어부재(21)의 중앙부에는 진흙배출구멍(23)이 설치되어도 좋다. 단, 진흙배출구멍(23)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고무벨트(24)는, 링크유닛(12)의 수만큼인 코어부재(21)의 모든 코어부재 (21)에 걸쳐서 연속하고, 단일 벨트로 이루어진다. 고무벨트(24)는, 인접 코어부재 (21) 간에 박육부(25)를 보유하지 않는다. 박육부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은, 통상 두께부를 가진다라는 의미이다. 코어부재(21)의, 링크유닛(12)에 대응하는 측의 표면은 고무벨트(24)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코어부재(21)는 링크(13)에 직접 용접된다. 고무벨트(24)의, 코어부재(21)의 진흙배출구멍(23)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진흙배출구멍(26)이 설치되어도 좋다. 단, 진흙배출구멍(26)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4의 무한궤도의 제조방법은, 철제 링크벨트(10)를 제작하는 공정과, 연속패드(20)를 제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제 링크벨트(10)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연결링크유닛(11)의 각 링크유닛 (12)의 한쌍의 링크(13)에, 연결패드(20)의 도구(21)를 용접한다.
연속패드(20)의 고무벨트(24)를 제작하는 공정에서는, 고무벨트(24)를 가황성형한다. 가황성형 시, 고무벨트(24)에는, 인접 코어부재(21) 간에 박육부(25)를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4의 작용에 관해서는, 박육부(25)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므로, 고무벨트(24)가 건설차량의 스프로킷에 다가왔을 때에, 고무벨트(24)는 코어부재(21) 간 부위에서 신장하는 것에 본 발명의 실시예1, 2에 비해서 큰 힘을 요한다.
또한, 고무벨트(24)를 전체코어부재(21)에 걸쳐서 연속하도록 가황성형후, 고무벨트(24)를 코어부재(21) 간에 절당하여도 좋다. 그 경우는, 각 코어부재(21)에 대해서 고무패드를 가황성형하는 경우에 비해서, 고무벨트(24)를 전체코어부재 (21)에 걸쳐서 연속성형함에 의한 제조의 효율상승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1 내지 8의 무한궤도 및 청구항 9 내지 16의 무한궤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일련의 코어부재에 대해서 단일 연속고무벨트를 한번에 가황성형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 및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과 같이 각 코어부재(플레이트)에 고무를 가황접착하는 것을 고무패드의 개수만큼 실행하는 경우에 비해서,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단일 고무벨트에 일련의 코어부재가 가황접착되는 것이므로, 종래의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 및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과 같이 고무패드(고무부착 코어부재)가 복수개 제작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점소가 적게 된다.
상기 생산성의 향상과 부품점수의 감소에 의해, 종래의 고무크롤러방식에 가까운 레벨까지, 무한궤도의 비용감소가 꾀해진다.
또한, 철제 링크벨트로 무한궤도의 장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③의 고무크롤러방식의 내구성의 문제를 완전히 제거되어 있고, 종래의 ①의 고무패드방식(A타입) 및 ②의 고무패드방식(B타입)마다의 내구성이 얻어진다.
또한, 고물벨트에 박육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무한궤도가 스프로킷 주위에 회전함과 아울러, 고무벨트에 무리한 인장력이 걸리지 않고, 고무벨트의 내구성이 유지된다.

Claims (16)

  1.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유닛을 복수 연결한 연결링크유닛을 보유하는 철제 링크벨트와,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각 링크유닛에 고정되는, 링크유닛의 수만큼의 코어부재와, 이 코어부재를 접지면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코어부재에 가황성형되어 모든 상기 코어부재에 걸쳐서 연속하는 단일 고무벨트로 이루어지는 연속패드와,
    상기 철제 링크벨트와 상기 연속패드를 상기 링크유닛과 상기 코어부재 사이에서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링크의 각 링크가 판굽힘 링크 또는 단조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볼트ㆍ너트 또는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볼트ㆍ너트이고, 이 볼트ㆍ너트의 한쪽은 상기 코어부재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무벨트의 고무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제 링크벨트는,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링크유닛의 수만큼의 플레이트를 보유하고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고무벨트는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철제 링크벨트와 상기 연속패드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코어부재 간의 부위에서 연결수단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직접,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고무벨트는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제 링크벨트는,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링크유닛의 수만큼의 플레이트를 보유하고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고무벨트는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가지지 않고,
    상기 철제 링크벨트와 상기 연속패드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코어부재 간의 부위에서 연결수단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직접,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속패드의 상기 고무벨트는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9. 한쌍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유닛을 복수 연결하여 연결링크유닛을 제작하여 철제 링크벨트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링크벨트의 수만큼의 코어부재에, 이 코어부재를 접지면측으로부터 덮도록, 또한 모든 상기 코어부재에 걸쳐서 연속하는 단일 고무벨트를 한번에 가황성형하여,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링크의 각 링크를 판굽힘 또는 단조에 의해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철제 링크벨트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상기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를 용접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코어부재를 상기 링크유닛에 고정하지 않는 단계에서 상기 고무벨트를 가황성형하고, 이 가황성형 시에 상기 고무벨트에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후, 상기 철제 링크벨트와 상기 연속패드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코어부재 간의 부위에서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볼트, 너트를 포함하고, 이 볼트, 너트의 한쪽을 상기 고무벨트의 가황성형 전에 상기 코어부재에 용접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연속고무벨트의 가황성형 시에 상기 고무벨트의 고무로 덮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코어부재를, 직접, 용접으로 고정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고무벨트의 가황성형 시에 상기 고무벨트에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철제 링크벨트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상기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를 용접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보다 전에,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각 링크유닛의 상기 각 플레이트에 코어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코어부재를 덮도록 상기 고무벨트를 가황성형하고, 이 가황성형 시에는 상기 고무벨트에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철제 링크벨트의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각 링크유닛의 한쌍의 링크에, 상기 연결링크유닛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코어부재를, 직접, 용접으로 고정하고,
    상기 연속패드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고무벨트의 가황성형 시에는 상기 고무벨트에 인접 코어부재 간에 박육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황성형공정보다 후에, 상기 고무벨트를 인접하는 코어부재 간에 절단하여 1구씩 분할하는 공정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제조방법.
KR10-2001-0014983A 2000-03-22 2001-03-22 무한궤도 및 그 제조방법 KR100390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79997 2000-03-22
JP2000079997 2000-03-22
JP2000-173699 2000-06-09
JP2000173699 2000-06-09
JP2001042920A JP2002059876A (ja) 2000-03-22 2001-02-20 履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42920 2001-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717A KR20010092717A (ko) 2001-10-26
KR100390374B1 true KR100390374B1 (ko) 2003-07-07

Family

ID=2734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983A KR100390374B1 (ko) 2000-03-22 2001-03-22 무한궤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60945B2 (ko)
EP (1) EP1136348B1 (ko)
JP (1) JP2002059876A (ko)
KR (1) KR100390374B1 (ko)
DE (1) DE6011981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472A (ko) 2022-09-21 2024-03-28 신재원 3d프린터를 이용한 프라모델용 무한궤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9549B2 (ja) * 2001-06-21 2011-11-09 福山ゴム工業株式会社 脱着式クローラ
KR100506416B1 (ko) * 2001-12-22 2005-08-05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지 배출장치
KR100806020B1 (ko) * 2004-05-11 2008-0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노면보호를 위한 굴삭기 스틸 트랙용 착탈식 일체형 고무트랙 무한궤도
US20110148187A1 (en) * 2009-12-18 2011-06-23 Scott Francis Lyons Replaceable Track Pad and Mounting Plate
US20150158536A1 (en) * 2012-08-14 2015-06-1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rawler belt
US20160297487A1 (en) * 2015-04-13 2016-10-13 Caterpillar Inc. Boltless Track Shoe
US9885543B2 (en) 2015-10-01 2018-0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chanically-adaptive, armor link/linkage (MAAL)
JP6568767B2 (ja) * 2015-10-26 2019-08-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履帯シュー用芯金、弾性履帯シュー及び履帯シュー用芯金の製造方法
US20160194039A1 (en) * 2016-03-11 2016-07-07 Caterpillar Inc. Link assembly for a track
US10288148B2 (en) * 2017-05-31 2019-05-14 Deere & Company Feed conveyor belt and coupler
US10670375B1 (en) 2017-08-14 2020-06-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daptive armor system with variable-angle suspended armor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35389A1 (ko) * 1956-09-08
US3857617A (en) * 1973-04-30 1974-12-31 Caterpillar Tractor Co Split chevron track shoes for track belts
US4452495A (en) * 1982-04-23 1984-06-05 Deere & Company Drive sprocket and track configuration
US5630657A (en) * 1993-11-20 1997-05-20 Bridgestone Corporation Crawler
DE69816750T2 (de) * 1997-10-29 2004-06-03 Bridgestone Corp. Laufkette aus Gummi
US5988776A (en) * 1997-12-02 1999-11-23 Loegering Mfg. Inc. Soft bottom flexible track belt assembly
US6080493A (en) * 1998-03-20 2000-06-27 Kent; Howard Daniel Rubber to metal bonding method
DE19820175C1 (de) * 1998-04-29 1999-12-30 Diehl Remscheid Gmbh & Co Gleiskettenglied
US6299265B1 (en) * 1999-12-27 2001-10-09 Ronald J. Hoffart Replaceable tire gripping system for endless tr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472A (ko) 2022-09-21 2024-03-28 신재원 3d프린터를 이용한 프라모델용 무한궤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59876A (ja) 2002-02-26
EP1136348A3 (en) 2003-11-12
EP1136348A2 (en) 2001-09-26
US20010026099A1 (en) 2001-10-04
DE60119813D1 (de) 2006-06-29
US6460945B2 (en) 2002-10-08
DE60119813T2 (de) 2006-12-28
KR20010092717A (ko) 2001-10-26
EP1136348B1 (en)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374B1 (ko) 무한궤도 및 그 제조방법
KR100492448B1 (ko) 무한궤도 및 그 제조방법
US5362142A (en) Combination linkage type rubber crawler
KR100383456B1 (ko) 탄성체무한궤도판및무한궤도대
KR100315077B1 (ko) 무한궤도용플랜지부착링크와그제조방법
US5676436A (en) Positive drive endless rubber belted track
JP4078078B2 (ja) ゴムクローラ
US20030122423A1 (en) High stiffness track assembly for undercarriage noise reduction
JP3326649B2 (ja) 連結リンク式ゴムクローラの補修方法及び連結リンク式ゴムクローラ
JP4215460B2 (ja) 履帯用リンク
JP2002166860A (ja) 無限軌道帯用弾性体付き鉄履帯
JPH08104262A (ja) 無限軌道履帯
JP3447020B2 (ja) 弾性体履板
JP2546654Y2 (ja) ゴムクローラ
JPH0532272U (ja) セグメント式ゴムクローラ
JP3081313B2 (ja) ゴムクロ−ラユニットの構造
JP2003112673A (ja) 弾性体履板
JPH04133878A (ja) 装軌車両のゴム履帯
JP5145058B2 (ja) 履帯用弾性パッド
JP2000072054A (ja) 履 帯
JP2828305B2 (ja) ゴムクローラ
JPS646394Y2 (ko)
JPH10151901A (ja) 車輪リム装着用セグメント
JPH06316280A (ja) 連結リンク式ゴムクローラ
JPH0495592A (ja) 履帯用ゴム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