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305B1 -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305B1
KR100388305B1 KR10-2000-0055979A KR20000055979A KR100388305B1 KR 100388305 B1 KR100388305 B1 KR 100388305B1 KR 20000055979 A KR20000055979 A KR 20000055979A KR 100388305 B1 KR100388305 B1 KR 100388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in
stopper
rail
guide block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585A (ko
Inventor
김왕태
Original Assignee
내일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일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일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3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디바이스(Device)를 검사 분류하는 테스터 핸들러(Tester Handler)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출부에 위치된 슬리브내에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짐에 따라 스토퍼핀을 슬리브의 삽입공내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항상 일정방향이 유지되게 순차적으로 1개씩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토퍼핀(9)의 머리(9a)가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레일(12)을 따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바이브레이터(11)와, 상기 레일의 끝단에 설치되어 스토퍼핀의 이송경로를 바꾸어주는 가이드블럭(15)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설치되어 핑거실린더(16)의 구동에 따라 스토퍼핀(9)의 이송을 제어하는 한 쌍의 핑거(17)와, 상기 가이드블럭에 설치되어 핑거실린더의 구동직전에 레일(13)의 최하단으로부터 2번째 위치하는 스토퍼핀(9b)을 홀딩하는 스토퍼 실린더(18)와, 상기 레일의 최하단에 위치되게 스토퍼핀이 이송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핑거실린더(16) 및 스토퍼 실린더(18)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싱수단과, 상기 가이드블럭(15)의 통공(15a)에 연결되어 스토퍼핀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관(20)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Stopper pin feeding device for tester hardler}
본 발명은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디바이스(Device)를 검사 분류하는 테스터 핸들러(Tester Handler)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송출부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선별된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짐에 따라 슬리브의 개구부측으로 스토퍼핀을 자동으로 1개씩 공급하는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조공정에서 제조된 디바이스를 검사 분류하는 테스터 핸들러는 도 1과 같은 형태로서, 이를 크게 분류하면 제조된 디바이스가 채워진 슬리브를 차례로 쌓아 놓는 적재부(1)와, 상기 적재부에 쌓여져 있던 슬리브를 하단으로부터 1개씩 순차 분리하여 공급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와, 이송부에서 이송되어온 슬리브를 경사지게 회동시켜 슬리브내에 채워져 있던 디바이스를 1개씩 테스트부로 공급하는 공급부(3)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디바이스의 리드를 테스트부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설정된 시간동안 테스트를 실시하는 헤드부(4)와, 상기 헤드부에서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테스트 결과에 따라 송출트랙(5)으로 분류하는 분류부(6)와,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디바이스를 언로딩부에 위치된 슬리브(8)의 내부로 송출시키는 송출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 완료된 디바이스가 양품인지 불량품인지를 테스트하는 테스터 핸들러에서 디바이스가 채워진 상태로 로딩되는 적재부(1)에는슬리브(8)의 일측(공급부에서 경사지게 회동될 때 상측)에 형성된 삽입공(8a)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토퍼핀(9)이 삽입되어 폐쇄되어 있고 반대측은 디바이스의 송출을 위해 개방되어 있다.
한편, 송출부(7)에 위치되어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채워지는 슬리브(8)는 상측이 개방되어 있고 하측은 폐쇄되어 있어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송출트랙(5)을 따라 자유 낙하됨에 따라 슬리브(8)내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한 동작으로 슬리브(8)내에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지고 나면 이송수단에 의해 슬리브(8)를 언로딩부의 스택커(10)내에 차례로 적재하였다가 일정량의 테스트가 진행되고 나면 언로딩부의 스택커로부터 슬리브를 꺼낸 다음 슬리브(8)의 이송 및 보관시 슬리브에서 디바이스가 빠지지 않도록 개구되어 있던 부위의 삽입공(8a)에 스토퍼핀(9)을 끼워야 된다.
그러나 종래의 테스터 핸들러에는 스토퍼핀(9)을 슬리브(8)의 삽입공(8a)측으로 자동 공급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언로딩부의 스택커(10)내에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진 슬리브(8)가 적재됨에 따라 작업자가 언로딩 스택커로부터 슬리브(8)를 꺼낸 다음 수작업에 의해 스토퍼핀(9)을 삽입하여야만 되었으므로 디바이스 테스트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고가 장비인 테스터 핸들러의 자동화 실현이 불가능하여 1사람의 작업자가 여러대의 장비를 동시에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고가의 인건비가 많이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송출부에 위치된 슬리브내에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짐에 따라 스토퍼핀을 슬리브의 삽입공내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항상 일정방향이 유지되게 순차적으로 1개씩 자동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스토퍼핀의 머리가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레일의 끝단에 설치되어 스토퍼핀의 이송경로를 바꾸어주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설치되어 핑거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스토퍼핀의 이송을 제어하는 한 쌍의 핑거와, 상기 가이드블럭에 설치되어 핑거실린더의 구동직전에 레일의 최하단으로부터 2번째 위치하는 스토퍼핀을 홀딩하는 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레일의 최하단에 위치되게 스토퍼핀이 이송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핑거실린더 및 스토퍼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싱수단과, 상기 상기 가이드블럭의 통공에 연결되어 스토퍼핀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수직식 핸들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디바이스가 채워지는 슬리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 A 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의 평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바이브레이터 12 : 호퍼
13 : 레일 15 : 가이드블럭
15a : 통공 16 : 핑거실린더
17 : 핑거 18 : 스토퍼 실린더
19 : 포토센서 20 : 이송관
21 : 니플 23 : 스피드 콘트롤러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 선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호퍼(12)내에 여러개의 스토퍼핀(9)이 채워지는 바이브레이터(11)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에 따라 호퍼(12)가 일정 범위내에서 반복적으로 승강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호퍼의 중심부에는 호퍼가 승강운동함에 따라 호퍼내에 담겨져 있던 스토퍼핀(9)의 위치가 교정되어 머리(9a)가 상측을 향하도록 끼워져 하강하는 레일(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의 직상부에는 레일상에 스토퍼핀(9)이 정확히 위치하지 않을 때, 레일(13)로부터 스토퍼핀을 제거하거나, 위치를 교정하는 브러쉬(1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11)는 레일(13)이 일정경사를 이루도록 테스터 핸들러상에 설치되는데, 설치위치는 장비의 구조에 따라 상이하므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토퍼핀(9)이 위치를 교정하여 하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레일(13)은 스토퍼핀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반복적으로 진동하는데, 상기한 바이브레이터(11)의 구조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13)의 끝단에는 레일(13)을 따라 이송된 스토퍼핀(9)의 이송경로를 바꾸어주는 가이드블럭(15)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블럭의 일측에는 핑거실린더(16)의 구동에 따라 벌어지거나, 오므러져 스토퍼핀(9)의 이송을 제어하는 한 쌍의 핑거(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블럭(15)의 상측에는 핑거실린더(16)의 구동직전에 레일(13)의 최하단으로부터 2번째 위치하는스토퍼핀(9b)을 홀딩하는 스토퍼 실린더(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럭(15)에는 레일(13)의 최하단에 위치되게 스토퍼핀(9)이 이송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핑거실린더(16) 및 스토퍼 실린더(18)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싱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블럭(15)의 통공(15a)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지점에 포토센서(19)를 대향되게 설치하여 상기 포토센서가 스토퍼핀(9)의 이송을 감지함에 따라 핑거실린더(16)가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블럭(15)의 통공(15a)에는 핑거실린더(16)의 구동으로 핑거(17)가 양측으로 벌어져 스토퍼핀(9)의 홀딩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스토퍼핀(9)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관(20)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이송관은 우레탄 또는 테프론재질의 투명관으로 되어 있다.
이는, 작업자가 이송관(20)을 따라 송출부(7)측으로 이송되는 스토퍼핀(9)의 위치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비교적 마찰계수가 큰 스토퍼핀이 이송관상에 걸려 이송되지 않을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가이드블럭(15)에 형성된 통공(15a)의 직상부에 핑거실린더(16)의 구동시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니플(21)을 설치하고 상기 니플과 핑거실린더(16)의 핑거 오픈포트(a)사이에는 에어호스(22)를 연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바이브레이터(11)의 설치위치에 따라 스토퍼핀(9)의 이송경로가 길어질 경우 스토퍼핀(9)이 송출부(7)측으로 자유 낙하되지 못하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공기의 토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호스(22)상에 스피드 콘트롤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이브레이터(11)의 호퍼(12)내에 스토퍼핀(9)을 채워 넣은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하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호퍼(12)가 상사점까지 상승하였다가 하사점으로 복원되므로 여러개의 스토퍼핀(9)이 레일(13)상에 위치되는데, 레일상에 위치하는 스토퍼핀(9)의 일부는 머리(9a)가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진동하는 레일(13)을 따라 하강하지만, 머리(9a)가 상측을 향하지 않는 스토퍼핀은 레일을 따라 이송되지 못하고 레일상에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일(13)상에 존재하는 스토퍼핀(9)은 호퍼(12)가 하사점까지 복귀시 브러쉬(14)가 회동하게 되므로 브러쉬에 의해 레일(13)에서 제거된다.
상기 호퍼(12)의 승강운동으로 복수개의 스토퍼핀(9)이 경사지게 설치된 레일(13)을 따라 이송되면 레일(13)의 끝단에 설치된 핑거(17)에 의해 이송이 제어되는데, 이 때 핑거(17)는 핑거실린더(16)의 오프동작으로 상호 오므러진 상태이다.
이와 같이 스토퍼핀(9)이 하강을 완료하면 통공(15a)과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가이드블럭(15)에 설치된 포토센서(19)가 스토퍼핀(9)의 이송을 감지하여 스토퍼 실린더(18)를 구동하여 레일(13)의 최하단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된 스토퍼핀(9b)의 하강이 제어되도록 눌러주게 됨과 동시에 핑거실린더(16)의 오픈 포트(a)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도 5a 및 도 6a와 같이 오므러져 있던 핑거(17)가 양측으로 벌어져 스토퍼핀(9)의 홀딩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핀(9)은자유 낙하되어 가이드블럭(15)의 통공(15a) 및 이송관(20)을 통해 송출부(7)측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을 제어하고 있던 핑거(17)를 벌리기 위해 핑거실린더(16)의 오픈 포트(a)측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될 때 에어호스(22)를 통해 니플(21)측으로 동시에 고압의 압축공기가 분사되므로 홀딩상태가 해제된 스토퍼핀(9)을 송출부(7)측으로 보다 정확히 이송시켜 대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이송되어 송출부(7)측에서 대기하고 있는 스토퍼핀(9)은 슬리브(8)내에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짐에 따라 별도의 삽입장치(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슬리브의 삽입공(8a)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스토퍼핀(9)을 송출부(7)측으로 이송시키고 나면 크로스 포트(b)측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벌어져 있던 핑거(17)를 내측으로 오므러지도록 한 다음 스토퍼 실린더(18)를 구동하여 레일(13)의 끝단으로부터 2번째 위치된 스토퍼핀(9b)의 홀딩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스토퍼핀(9b)이 하강하여 핑거(17)에 의해 이송이 제어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바이브레이터(11)내에 스토퍼핀(9)을 무작위로 넣어 놓기만 하면 스토퍼핀(9)의 위치가 자동으로 정렬되어 순차적으로 1개씩 송출부(7)측으로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호퍼(12)내에 스토퍼핀(9)이 적재되고 테스터 핸들러가 가동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토퍼핀의 머리가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를 정렬하여 송출부측으로 순차 공급하였다가 슬리브내에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짐에 따라 스토퍼핀을 슬리브의 삽입공으로 삽입하여 언로딩부의 스택커내에 적재하므로 슬리브의 이송간에 채워져 있던 디바이스가 빠지지 않게 됨은 물론 고가 기기의 자동화 실현이 가능해지게 되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5)

  1. 부품의 이송경로상에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의 끝단에는 스토퍼 실린더를 설치하여 스토퍼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부품의 이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스토퍼핀의 머리가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레일의 끝단에 설치되어 스토퍼핀의 이송경로를 바꾸어주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설치되어 핑거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스토퍼핀의 이송을 제어하는 한 쌍의 핑거와, 상기 가이드블럭에 설치되어 핑거실린더의 구동직전에 레일의 최하단으로부터 2번째 위치하는 스토퍼핀을 홀딩하는 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레일의 최하단에 위치되게 스토퍼핀이 이송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핑거실린더 및 스토퍼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싱수단과, 상기 상기 가이드블럭의 통공에 연결되어 스토퍼핀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가이드블럭의 통공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지점에 대향되게 설치된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에 형성된 통공의 직상부에 핑거실린더의 구동시 압축공기를토출하는 니플을 설치하고 상기 니플과 핑거실린더의 핑거 오픈포트사이에는 에어호스를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호스상에 스피드 콘트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이 투명재질의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KR10-2000-0055979A 2000-09-23 2000-09-23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KR100388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979A KR100388305B1 (ko) 2000-09-23 2000-09-23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979A KR100388305B1 (ko) 2000-09-23 2000-09-23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585A KR20020023585A (ko) 2002-03-29
KR100388305B1 true KR100388305B1 (ko) 2003-06-19

Family

ID=1969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979A KR100388305B1 (ko) 2000-09-23 2000-09-23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3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515A (ja) * 1985-06-22 1987-01-21 Hitachi Electronics Eng Co Ltd 部品の供給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515A (ja) * 1985-06-22 1987-01-21 Hitachi Electronics Eng Co Ltd 部品の供給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585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245Y1 (ko) 핸들러의 디바이스 자동 송출장치
KR102101228B1 (ko) Led 모듈 검사 및 포장 시스템
CN110125029B (zh) 销轴装配装置及其装配方法
KR100388305B1 (ko)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US4878801A (en) Machine for handling circuit package storage tubes
KR100295774B1 (ko) 번인테스터용 소팅 핸들러
JP5688710B2 (ja) 選果システム
JP2017065748A (ja) 容器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7065883A (ja) 容器供給装置
KR100555066B1 (ko) 메모리 모듈 오토 로딩/언로딩 장치
JPH11281544A (ja) 分析前処理システム
JP2861078B2 (ja) Icハンドラのデバイス供給装置
KR960006764B1 (ko) 핸들러의 튜브 자동공급장치
JP2004195635A (ja) 部品供給装置
KR100295775B1 (ko) 번인 테스터 소팅 핸들러용 소팅부의 트레이 적재장치
KR102132562B1 (ko)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KR100365134B1 (ko)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삽입장치
KR0144597B1 (ko) 건전지 이재장치
KR19980056228A (ko) 수직식핸들러의 튜브 로딩 및 언로딩장치
KR0143332B1 (ko) 반도체소자 검사기용 벌크 로더
CN210230687U (zh) 销轴长度检测机构
KR0165972B1 (ko) 건전지 이재장치
JP7493758B2 (ja) 検出装置、検体処理装置及び検体処理方法
KR100267512B1 (ko) 펠릿 정렬 시스템
KR20020029503A (ko) 리드프레임 자동몰딩장치의 펠릿 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