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핸들러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본 발명은 프레임역할을 하는 본체(20)의 일측(도면상 우측)에 테스트할 디바이스가 담겨진 트레이(22)를 로딩스택커(21)로부터 순차적으로 1개씩 분리하여 로딩포지션(23)으로 이동시키는 로딩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딩스택커(21)에 적재된 트레이는 최하단에 설치된 록킹수단(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자유낙하가 방지되어 있고 록킹수단의 해제로 로딩스택커의 저면으로부터 트레이가 순차적으로 1개씩 분리되어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풀리에 감겨진 타이밍벨트(도시는 생략함)가 일정 궤도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로딩포지션(23)까지 이송되는데, 상기 트레이는 구동 프로그램에 의해 로딩 포지션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24)의 반대편에는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중 양품으로 판정된 디바이스가 언로딩포지션(25)에 위치된 빈 트레이(22a)내에 가득 담겨짐에 따라 이를 언로딩스택커(26)에 차례로 적재하는 언로딩부(2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언로딩부(27)의 언로딩스택커(26)에는 로딩부(24)의 로딩스택커(21)와는 달리 테스트 완료되어 양품으로 판정된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진 트레이가 타이밍벨트에 의해 이송되어와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로딩부(24) 및 언로딩부(27)의 후방에 빈 트레이(22a)가 적재되는 트레이 적재스택커(28)(29)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는, 로딩포지션(23)에서 디바이스를 전부 로딩하고 난 트레이를 로딩부(24)의 후방에 위치된 트레이 적재스택커(28)내에 차례로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언로딩포지션(25)에 위치된 빈 트레이(22a)내에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져 언로딩스택커(26)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언로딩부(27)의 트레이 적재스택커(29)로부터 빈 트레이를 분리하여 언로딩 포지션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로딩부(24)의 트레이 적재스택커(28)와 언로딩부(27)의 트레이 적재스택커(29)사이에 로딩포지션(23)에서 디바이스를 전부 로딩하고 난 빈 트레이를 홀딩하여 언로딩부(27)측으로 운반하기 위한 트랜스퍼수단(30)을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언로딩 트레이 적재스택커(28)에 빈 트레이를 적재시켜 놓지 않고도 언로딩부(27)에서 빈 트레이내에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계속적으로 언로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딩포지션(23)과 언로딩포지션(25)의 직상부에 X축 주축(3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X축 주축의 직하방에는 로딩포지션(23)의 트레이(22)로부터 복수개의 디바이스가 이송됨에 따라 디바이스의 DC 테스트를 실시하는 DC 테스트부(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X축 주축(31)상에는 로딩포지션(23)과 DC 테스트부(32)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로딩포지션(23)에 위치된 디바이스를 DC 테스트부(32)의 테스트 소켓측으로 운반하는 로딩 픽커(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딩 픽커(33)에 설치되어 디바이스를 홀딩하는 픽업(35)의 피치는 로딩포지션(23)의 직상부에 위치되어 있을 때, 트레이(22a)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피치와 일치되도록 좁게 조절되고, 이와는 반대로 DC 테스트부(32)의 직상부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테스트 소켓의 피치와 같아지도록 넓게 조절된다.
상기 동작은 픽업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로딩 픽커(33)의 이송간에 이루어지는데, 픽업 간격조절수단의 구성은 여러 가지형태로 적용가능하여 한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디바이스를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에 로딩하기 전, 디바이스의 DC 테스트를 실시하는 DC 테스트부(32)의 일측에는 DC 테스트 결과 DC 불량이 발생되면 불량 디바이스를 소팅(sorting)할 수 있도록 DC 테스트부(32)를 소팅 포지션(38)과 일치시키는 DC 테스트부 가변수단(39)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0)의 중앙부 후방, 즉 상기 DC 테스트부(32)의 일측에 개구부를 통해 번인보드(36)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작업공간(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20)의 직하방에는 디바이스의 로딩 및 언로딩작업시 번인보드(36)를 X - Y 방향으로 1스탭씩 이송시켜 테스트 소켓(42)이 작업공간(41)의 일정위치에 노출되도록 하는 X - Y - θ 테이블(4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X - Y - θ 테이블(43)은 랙 엘리베이터부(55)의 랙(44)으로부터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테스트 소켓에 꽂혀있는 번인보드(36)를 꺼내거나, 번인 테스트할 디바이스가 테스트 소켓에 삽입된 번인보드를 랙의 내에 넣어주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또한, 상기 DC 테스트부(32)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작업공간(41)의 일측에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으로부터 꺼낸 디바이스를 얹어 놓는 버퍼(45)가 X축 주축(31)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X축 주축(31)에는 DC 테스트부(32)와 버퍼(45)사이의 구간을 왕복 이동하면서 DC 테스트부(32)상의 디바이스를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42)에 넣어 주거나, 번인보드의 테스트 소켓으로부터 디바이스를 꺼내 버퍼(45)에 얹어 놓는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가 슬라이더(48)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의 간격은 작업공간(41)으로부터 DC 테스트부(32)사이의 간격과, 작업공간(41)으로부터 버퍼(45)사이의 간격과 일치되게 설정되어 있다.
이는, 번인보드에 디바이스를 동시에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는 동시는 물론 개별동작이 가능하도록 시퀀스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X축 주축(31)의 일측(도면상 좌측)에는 버퍼(45)와 언로딩부(27)사이를 이동하면서 테스트 완료되어 버퍼(45)에 얹혀져 있던 양품의 디바이스를 홀딩하여 언로딩 포지션(25)에 위치된 빈 트레이(22a)에 언로딩하는 언로딩 픽커(4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언로딩 픽커(49)의 구성은 로딩 픽커(33)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스택커(21)(26)사이인 본체(20)의 전면에 DC 테스트 또는 번인 테스트 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디바이스를 등급별로 분류하여 담는 빈 트레이(22a)가 인라인(in-line)으로 위치하는 소팅부(5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소팅부(50)의 직상부에는 X - Y축(5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X - Y축에는 DC 테스트 또는 번인 테스트 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디바이스를 소팅부(50)의 빈 트레이(22a)내에 언로딩하는 소팅 픽커(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팅부(50)에 위치되는 빈 트레이(22a)는 스택커(52)에 다단으로 적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소팅부(50)의 일측에는 적재된 빈 트레이(22a)를 소팅부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빈 트레이 적재스택커(53)가 구비되어 있으며 소팅포지션(38)으로부터 디바이스를 소팅부(50)측으로 소팅하는 소팅 픽커(37)의 일측에는 빈 트레이 적재스택커(53)상의 빈 트레이(22a)를 홀딩하여 소팅부(50)의 스택커(52)에 넣어주는 홀딩수단(54)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는,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 중 불량 판정된 디바이스를 소팅부(50)에 소팅함에 따라 트레이내에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지더라도 작업자가 트레이를 교체하지 않고 빈 트레이를 상측으로 적층하여 계속적인 디바이스의 소팅이 가능해지도록 하여 트레이의 교체에 따른 장비의 구동이 중단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언로딩부(27)의 일측에는 랙(44)내의 번인보드(36)를 순차적으로 1스탭씩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부(55)가 장착되어 있어 X - Y - θ 테이블(43)이 상기 랙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X - Y - θ 테이블에 설치된 별도의 인출수단(도시는 생략함)이 랙으로부터 번인보드(36)를 꺼내거나, 넣어주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로딩부(24)의 일측에 DC 테스트부(32)를 구비하고 언로딩부(27)의 일측에는 버퍼(34)만을 구비하도록 예시 하였으나, 상기 언로딩부측에 로딩부(24)와 마찬가지로 DC 테스트부 및 DC 테스트부 가변수단을 대향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42)에 디바이스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번인 테스트할 디바이스를 테스트 소켓내에 계속적으로 삽입하거나, 반대로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번인보드로부터 꺼내 등급별로 분류하는 작업만을 수행할 경우, 포킹 픽커(46)와 언포킹 픽커(47)가 디바이스의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작업공간(41)에 번인보드가 없는 상태에서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X - Y - θ 테이블(43)이 X - Y축(56)을 따라 본체(20)의 후방으로 이동한 다음 랙(44)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X - Y - θ 테이블(43)상에 설치된 별도의 인출수단에 의해 랙(44)으로부터 1개의 번인보드(36)를 인출하여 X - Y - θ 테이블의 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X - Y - θ 테이블(43)이 작업공간(41)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번인보드(36)가 작업공간을 통해 본체(2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데, 상기 번인보드(36)의 각 테스트 소켓(42)에는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랙(44)으로부터 인출된 번인보드(36)가 전술한 바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작업공간(41)에 도달하면 상기 번인보드의 일측에 형성된 패턴이 콘트롤부와 연결된 컨넥터(도시는 생략함)에 삽입되어 핸들러의 콘트롤부와 전기적으로 통하여지게 되므로 테스트 결과가 콘트롤부에 입력되어 테스트 결과에 따라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언로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번인보드(36)가 X - Y - θ 테이블(43)이 정위치에 도달하여 작업공간(41)측으로 이동하는 동안과, 테스트할 디바이스가 로딩된 번인보드(36)가 랙(44)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디바이스의 로딩 및 언로딩작업이 일시적으로 중단된 휴식상태가 된다.상기 번인보드(36)가 작업공간(41)에 도달하고 나면 X축 주축(31)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언포킹 픽커(47)가 구동하여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42)으로부터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꺼내 버퍼(45)내에 얹어 놓게 되므로 상기 X축 주축(31)상에 버퍼와 언로딩부(27)의 언로딩포지션(25)구간을 왕복 이동하게 설치된 언로딩 픽커(49)가 버퍼상의 디바이스를 홀딩하여 빈 트레이(22a)내에 언로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로딩부(24)의 로딩포지션(23)에 테스트할 디바이스가 채워진 트레이(22)가 위치된 상태에서 픽업(35)의 간격이 트레이의 수납공간, 즉 디바이스의 수납 간격과 일치되게 조절된 상태에서 로딩 픽커(33)가 X축 주축(31)을 따라 이송되어 픽업(35)의 하강으로 트레이로부터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홀딩하고 나면 상기 로딩 픽커(33)는 DC 테스트부(32)측으로 이송되는데, 상기한 동작시 상기 로딩 픽커(33)의 픽업(35) 간격은 DC 테스트부(32)에 설치된 테스트 소켓의 간격과 일치되게 벌어지게 된다.
즉, 번인보드(36)에 설치된 테스트 소켓(42)의 간격과 동일하게 조절된다.그 후, 상기 X축 주축(31)을 따라 이동하는 로딩 픽커(33)가 DC 테스트부(32)의 직상부에 정지된 상태에서 홀딩하고 있던 디바이스를 테스트 소켓내에 로딩하고 상기 DC 테스트부(32)에 새로운 디바이스를 홀딩하기 위해 로딩포지션(23)측으로 되돌아 오는 동안 DC 테스트부(32)에서는 번인보드(36)에 로딩될 디바이스의 DC 테스트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딩 픽커(33)가 로딩포지션(23)으로 환원되는 동안 DC 테스트부(32)에서는 DC 테스트가 이루어지게 되고,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는 X축 주축(31)을 따라 로딩 픽커(33)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포킹 픽커(46)는 DC 테스트부(32)의 직상부에 위치되고 언포킹 픽커(47)는 번인보드(36)상의 테스트 소켓(42) 직상부에 위치된다.
그 후, 상기 로딩포지션(23)으로 복귀한 로딩 픽커(33)가 상기 DC 테스트부(32)에 로딩할 새로운 디바이스를 홀딩하기 위해 하강하면 상기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도 동시에 하강하게 되므로 로딩 픽커(33)에 DC 테스트할 로딩포지션(23)상의 디바이스가 홀딩되고, 포킹 픽커(46)에는 DC 테스트 완료되어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42)에 로딩될 디바이스가 홀딩되며, 언포킹 픽커(47)에는 번인 테스트 완료된 번인보드(36)상의 디바이스가 홀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포킹 픽커(46)에 번인 테스트할 디바이스가 홀딩되고, 언포킹 픽커(47)에는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홀딩되고 나면 상기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는 슬라이더(48)의 구동으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포킹 픽커(46)는 번인보드(36)의 빈 테스트 소켓의 직상부에 위치되고, 언포킹 픽커(47)는 버퍼(45)의 직상부에 위치된다.
그 후,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의 동시 구동으로 상기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에 홀딩된 디바이스가 하강한 다음 상기 디바이스의 홀딩상태를 해제하고 상사점까지 상승하면 포킹 픽커(46)에 홀딩되어 있던 디바이스는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42)에 로딩되고, 언포킹 픽커(47)에 홀딩되어 있던 디바이스는 버퍼(45)내에 얹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42)으로부터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언로딩한 다음 번인 테스트할 디바이스가 로딩되고 나면 번인보드(36)는 X - Y - θ테이블(43)에 의해 X축 또는 Y축으로 1스탭 이동하게 되므로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삽입된 테스트 소켓이 작업공간(41)을 통해 본체(20)의 상부로 노출된다.
이와 동시에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가 설치된 슬라이더(48)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초기 상태, 즉 포킹 픽커(46)는 DC 테스트부(32)의 직상부에, 그리고 언포킹 픽커(47)는 번인보드(36)의 직상부에 위치되게 X축 주축(3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동작시 버퍼(45)의 상면에 얹혀진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는 언로딩 픽커(47)에 의해 언로딩 포지션(25)에 위치된 빈 트레이(22a)내에 언로딩되는데, 이를 위해 언로딩포지션(25)에 위치되어 있던 언로딩 픽커(49)가 버퍼(45)측으로 X축 주축(31)을 따라 이동하면서 픽업의 피치를 버퍼의 피치와 일치되게 가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버퍼(45)의 상측으로 이동된 언로딩 픽커(49)가 디바이스를 홀딩하여 언로딩포지션(25)에 위치된 빈 트레이(22a)내에 언로딩하게 된다.
그러나 버퍼(45)에 얹혀진 디바이스 중 번인 테스트 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디바이스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언로딩 픽커(49)가 양품으로 판정된 디바이스만을 홀딩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언로딩 픽커(49)가 홀딩된 양품의 디바이스를 언로딩 포지션(25)으로 언로딩하기 위해 X축 주축(31)을 따라 이동시 언로딩 포지션(25)과 일치되어 있던 버퍼(45)는 구동수단(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소팅포지션(38)으로 가변되므로 소팅 픽커(37)가 X - Y축(51)을 따라 이동하여 소팅포지션(38)에 위치된 버퍼(45)로부터 불량 디바이스를 홀딩한 다음 소팅부(50)에 위치된 빈 트레이(22a)내에 등급별로 분류하여 소팅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계속되는 동작으로 로딩부(24)에 위치되어 있던 트레이(22)로부터 번인 테스트할 디바이스를 DC 테스트부(32)로 전부 로딩하고 나면 빈 트레이는 로딩부를 따라 이동하여 로딩부의 후방에 위치된 트레이 적재스택커(28)내에 적재된다.
한편, 언로딩부(27)에 위치된 빈 트레이(22a)내에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지고 나면 상기 트레이를 언로딩부(27)의 전면에 설치된 언로딩 스택커(26)에 차례로 적재함과 동시에 언로딩부(27)의 후방에 위치된 트레이 적재스택커(29)로부터 빈 트레이를 분리하여 언로딩포지션(25)으로 이송시키게 되므로 빈 트레이내에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계속적으로 언로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로딩부(24)에서 디바이스를 전부 로딩하고 난 빈 트레이를 로딩부의 트레이 적재스택커(28)에 적재시키지 않고 X축 주축(31)의 후방에 설치된 트랜스퍼수단(30)에 의해 빈 트레이를 언로딩부(27)측으로 이송시켜 대기시켰다가 언로딩부의 빈 트레이내에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짐에 따라 이를 언로딩 포지션(25)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작업자가 언로딩부(27)의 트레이 적재스택커(29)내에 빈 트레이를 적재시키지 않고도 디바이스의 언로딩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은 로딩부(24)의 트레이(22)내에서 DC 테스트부(32)로 로딩되는 디바이스와,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 중 일부의 디바이스가 불량으로 판정되어 소팅부(50)로 소팅되므로 인해 로딩부(24)에 위치된 트레이(22)내의 디바이스를 DC 테스트부(32)에 전부 로딩하더라도 언로딩부(27)에 위치된 트레이에는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지지 않으므로 언로딩부에 위치된 트레이의 나머지 수납공간내에 디바이스를 언로딩하는 시간동안 로딩부(24)에 있던 빈 트레이를 언로딩부(27)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므로 디바이스의 계속적인 언로딩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계속되는 작업으로 소팅부(50)에 위치된 빈 트레이(22a)내에 불량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지고 나면 소팅 픽커(37)가 X - Y축(51)을 따라 빈 트레이 적재스택커(53)의 직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하강한 다음 홀딩수단(54)이 빈 트레이 적재스택커(53)에 적재된 최상측의 트레이를 홀딩한 후, 이를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진 트레이의 상면에 적재되게 스택커(52)내에 위치시키므로 불량 디바이스를 계속해서 소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홀딩수단(54)에 의해 빈 트레이가 이송되어 디바이스가 가득 채워진 트레이의 상면에 얹혀지고 나면 상기 트레이는 공지의 승강수단에 의해 트레이의 두께만큼 1스탭 하강하게 되므로 소팅 픽커(37)가 동일 위치에 불량 디바이스를 소팅할 수 있게 된다.
반복되는 동작으로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42)으로부터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전부 언로딩함과 동시에 상기 번인보드에 번인 테스트할 디바이스를 전부 로딩하고 나면 상기 번인보드(36)가 얹혀진 X - Y - θ테이블(43)이 X - Y축(56)을 따라 랙(44)측으로 이동하여 최초 인출한 지점에 번인보드를 삽입하고 랙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X - Y - θ테이블(43)이 랙(44)으로부터 빠져 나오고 나면 상기 랙이 1스탭 상승함과 동시에 최초의 동작과 동일하게 X - Y - θ테이블(43)에 장착된 인출수단이 랙으로부터 새로운 번인보드를 인출하여 X - Y - θ테이블상에 안착시키게 되므로 계속적인 디바이스의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42)으로부터 꺼내 언로딩 포지션(25)에 위치된 빈 트레이(22a)내에 언로딩함과 동시에 로딩포지션(23)에 위치되어 있던 디바이스를 로딩 픽커(33)가 홀딩하여 DC 테스트를 실시한 다음 이를 포킹 픽커(46)가 번인보드(36)의 테스트소켓(42)내에 차례로 로딩하여 번인보드내에 번인 테스트할 디바이스가 전부 로딩되고 나면, 이를 엘리베이터부(55)의 랙(44)내에 삽입하는 동작을 설명한 것으로, 랙내에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가 삽입된 번인보드가 위치되고 로딩부(24)의 로딩스택커(21)에 번인 테스트할 디바이스가 담겨진 트레이가 적재되어 있는 한 핸들러는 계속적으로 반복 동작하게 된다.
한편, 작업공간(41)의 양측에 DC 테스트부(32)를 구비하고 로딩 및 언로딩포지션(23)(25)에는 번인 테스트할 디바이스가 담겨진 트레이를 위치시킨 다음 로딩 및 언로딩포지션(23)(25)에 위치되어 있던 디바이스를 동시에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42)에 로딩하는 작업시에는 DC 테스트부(32)에서 디바이스의 DC 테스트를 실시한 후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를 이용하여 번인보드의 테스트 소켓내에 디바이스를 동시에 로딩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와는 반대로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를 이용하여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번인보드(36)의 테스트 소켓(42)으로부터 언로딩하는 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경우에는 DC 테스트를 실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로딩 및 언로딩포지션(23)(25)에 버퍼(34)(45)를 일치시킨 다음 포킹 및 언포킹 픽커(46)(47)에 의해 번인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버퍼(34)(45)내에 언로딩하게 되므로 디바이스의 로딩 및 언로딩에 따른 작업시간을 1/2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