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331B1 - 이지 사이펀 파우치 - Google Patents

이지 사이펀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331B1
KR100387331B1 KR10-2001-0011758A KR20010011758A KR100387331B1 KR 100387331 B1 KR100387331 B1 KR 100387331B1 KR 20010011758 A KR20010011758 A KR 20010011758A KR 100387331 B1 KR100387331 B1 KR 100387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film
folded
siphon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568A (ko
Inventor
안호성
Original Assignee
안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성 filed Critical 안호성
Priority to KR10-2001-001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331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에 형성된 소정 패턴의 절첩부를 절첩되게 함으로써, 수축 작용 메커니즘에 따라 내용물을 쉽게 흡음토록 한 이지 사이펀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흡음과 동시에 발생되는 진공화 현상을 수축작용 시스템으로 순차적으로 변환시키면서 수장부 용적을 점차 줄어들게 하여, 바로 세운 상태에서 완벽하게 흡음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수직주관로 절첩부(10)와 상·하측경사관로 절첩부(11)(12)를 전면필름(7)에, 수직부관로 절첩부(16)와 상·하측역경사관로 절첩부(17)(18)를 후면필름(8)의 정해진 위치에 각각 가압 성형시키고, 두 필름을 대응 히트 실링시켜 사각형으로 절형시킴에 따라, 6조의 절첩부들에 의해 수축협착 되가는 멀티크로스형 유체관로가 형성되도록 했다. 따라서 파우치를 눌러 짜거나 훑어 올리며 음용할 필요가 없이, 혁신적 방법으로 사용가능하고, 추가 원가 코스트 발생 없이 자동화 연속 제조공정도 가능하여 신규 수요 창출은 물론, 병용입 제품군도 대체시킬 수 있는, 자원절약의 친환경 발명제품으로서의 역할도 다할 것이다.

Description

이지 사이펀 파우치{Easy Siphon pouch}
본 발명은 액상이나 겔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파우치 포장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절첩선들이 사전 가압 성형된 전후면 필름면부를 짝힘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슬립 시키면, 멀티크로스 패턴의 절첩선부에 의해 절접되어 수축되어 가는 유체관로가 형성됨에 따라 흡음시 수축작용 메커니즘에 의한 사이펀 작용이 발생됨으로써, 내용물을 전혀 유실시키지 않으면서도 위생적이고 용이하게 흡음할 수 있도록 한, 사이펀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상이나 겔상 등(이하, 내용물이라 칭함)의 포장은, 알루미늄박 혹은 은박 등과 같은 순수한 비산화성 금속 박지, 금속 라미네이션 복합필름, 또는 연질 필름에 알루미늄이나 은 등을 진공증착한 비산화성 금속코팅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소위 파우치 포장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도9a 내지 도9c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 포장대의 구조와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우치는 전후면 필름 사방 측단부를 히트 실링한 구조로 되어 있고, 그 상단의 수평 절취선을 따라 주출구를 절취 개봉하여 내용물을 흡음한다.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파우치는 내용물 흡음시 주출구의 전후면 필름들의 밀착이 가중되어 폐구되어 버리고, 파우치 포장대가 흡입력에 의해 스스로 수축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파우치 내의 압력조절을 할 수 없어, 흡음과 동시에 파우치 내부는 바로 진공 상태로 변해 버리므로, 부득이 주출구에 입을 대고 거꾸로 세워 파우치를 눌러 짜면서 흡음하거나, 또는 일측 손을 파우치 하단측을 파지하고, 타측 손의 손가락 사이에 파우치를 위치시켜 입안으로 훑어 내리는 방법으로 내용물을 음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음용 중 내용물이 쏟아져 나와 입 주위와 의복, 그리고 손가락 등을 오염시키게 되어 매우 비위생적이기도 했다.
더욱이 내용물 중 일부는 파우치 내에 잔존될 수밖에 없으므로 적량이 중요시되는 약액의 경우 그 유실되는 양은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며, 또한 흡음이 미숙한 노약자나 어린이일 경우 보호자 등이 스트로를 파우치에 꽂아 흡음을 도와주거나 컵에 따라 음용시켜 주어야 하는 등의 귀찮고 번거로움이 많았었다.
따라서 다소나마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제한적인 몇몇 개량들이 제시되었으나 여러 문제점의 노출로 상용화되지 못하였다.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로 손가락대신 별도의 클립기구로 내용물을 훑어 올리며 음용토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제조원가 상승만을 초래할 뿐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또 다른 예로서 파우치 양 필름 사이에 스트로를 삽설 융착시키거나, 스트로 대신 유출공간을 확보키 위해 스트로 형상의 공간을 필름에 직접 성형하여 배출구를 형성시킴으로써 그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흡음해보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그러나, 제조 공정상 복합필름 소재는 성형가공 파열임계강도 범위가 극도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단지 노치(Notch)정도로 밖에 성형할 수 없고, 선 형태의 가공이라 할지라도 매우 미세한 초정밀 성형가공기술(3㎛이내 오차범위)을 필요로 하므로, 함부로 복합필름 소재에 스트로 형상의 공간 등의 임의적인 성형가공을 할 경우에는, 그 파열임계범위를 넘게 되어 바로 파열돼 버리기 때문에, 스트로 형상의 배출구를 필름에 직접 성형 가공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실현 불가능한 아이디어에 머물고 있다.또한, 설령 스트로 형상을 필름에 성형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배출구를 입에 물고 흡음을 시도할 때, 동시적으로 파우치내 수장부가 외부 대기압과 차단되어 바로 진공화 현상이 발생되므로, 필름 소재에 어떠한 스트로 형상을 성형하더라도 내용물을 흡음하는 데 전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었다.즉, 필름에 스트로 형상을 직접 성형한다고 하는 종래의 제안은, 단순하게 컵안의 물을 스트로로 흡음하듯이 대기압이 파우치 내·외부에 상존했을 때나 적용되는 원리를, 이미 대기압이 차단된 파우치 내의 내용물 흡음 과정에도 그대로 도입시킨 것으로써, 과학적 원리가 철저히 무시된 모순된 제안에 불과하였다.
본 발명은, 최근 사회적 환경변화와 경제활동 등의 활성화로 인해, 휴대용 파우치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파우치는 단지 내용물의 단순 충진 포장 이외에 흡음을 위한 어떠한 기능성 포장수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파우치 필름 소재의 정해진 성형가공 임계범위 내에서 초정밀 미세 가공공법으로, 각 조별 쌍으로 형성되는 절첩부의 절첩선들을 아코디언 주름과 같이 상·하향 혹은 내·외향의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가압 성형시켜 형성된 파우치를, 일측 손의 엄지와 잔여 손가락으로 각각 슬립요철면부를 파지하여 서로 엇갈리게 슬립 시키면, 멀티크로스형으로 절첩된 절첩부가 흡음시 더욱 그 절접선을 기점으로 수축·협착되어 감에 따라 멀티크로스 유체관로와 주출구부의 유출관로들로 변화하게 되어, 즉 절첩 가능한 여섯조의 절첩부의 메커니즘이 흡입을 통해 유출되는 내용물만큼 바로바로 원활하게, 파우치 전 표면에 걸쳐 분포된 보형성을 유지하려 하는 표면력을 순차적으로 제거시키고, 파우치 내의 압력변화를 유도 조절시켜, 진공화 현상을 수축작용 벡터량으로 변환시키고 제거토록 하여, 흡음시 사이펀 작용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따라서 바로 세운 상태에서도 별도의 스트로를 사용하지 않고 파우치 내에 잔존하는 극미량의 내용물까지 적정의 흡입력만으로, 완벽하고 편리하게 흡음할 수 있도록 한 이지 사이펀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사이펀 파우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사이펀 파우치의 전후 필름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파우치의 주출융착부를 양손으로 파지하여 파절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 예시도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파우치의 내용물을 흡음하기 적당하도록, 유체관로의 형태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전면부 설명 예시도
도4b, 4c, 및 4d는 사용자의 흡음조건에 맞게 이중 오버랩된 파절 주출구의 발췌 설명 예시도
도5는 도4a와 연관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파우치의 후면부 설명 예시도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파우치에서 내용물이 진공 흡입됨과 같이 유출되는 멀티크로스 관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 예시도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크로스 관로의 사이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유체역학 계통도.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파우치의 흡음전 주출구부 상태를 보여주는 주출구 발췌 확대 설명 예시도
도6d는 도6c의 주출구를 통한 흡음시 밀착 폐구되지 않고, 유출관로를 통해 흡음 가능함을 나타낸 확대 설명 예시도
도7a는 본 발명의 도 6a의 X-X선 횡단면 사시도.
도7b는 본 발명의 도 6a의 Y-Y선 종단면 사시도.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사이펀 파우치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8b는 도8a의 수직주관로들의 사이펀 작용 설명을 위한 유체역학 계통도.
도9a는 종래 파우치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9b는 종래 파우치의 흡음전의 주출구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9c는 도9b의 주출구를 흡음시 완전 밀착 폐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삼각절취편 2a, 2b: 절취요홈3a, 3b: 절취안내 절개선 4a, 4b: 절취가압선
5: 주출구 6: 사방측단 열융착부
7: 전면필름 8: 후면필름9a, 9b: 슬립요철면부 10: 수직주관로 절첩부
11: 하측경사관로 절첩부 12: 상측경사관로 절첩부
13: 파우치 14a: 전면유출관로14b: 후면유출관로 16: 수직부관로 절첩부
17: 하측역경사관로 절첩부 18: 상측역경사관로 절첩부
19a: 수직전면관로 절첩부 19b: 수직후면관로 절첩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내용물을 충진 포장하도록 전후면 필름의 측단을 융착시켜 형성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필름을 엇갈리게 슬립시키면, 절첩되면서 조합되는 각 절첩부들이 오버랩 됨에 따라,상기 파우치의 주출구로 이어지는 유체관로가 형성되므로써, 흡입시 상기 절첩부들이 수축작용 메커니즘의 변환에 의해, 진공화 현상이 제거되어 내용물이 흡음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절첩선들이 가공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사이펀 파우치가 제공된다.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내용물을 충진 포장하도록 전후면 필름의 사방측단을 융착시켜 형성한 파우치에 있어서, 전면필름 일측의 수직주관로 절첩부는 직선상 하향절첩선과 호형상 상향절첩선을 한조로 하고, 상기 수직주관로 절첩부가 임의의 삼등분으로 나눠지는 두 지점으로부터 연접하여 각기 소정 방향으로, 상측경사관로 절첩부와 하측경사관로 절첩부를 형성시킴에 있어, 각기 상·하측의 호형상 하향절첩선과 직선상 상향절첩선으로 한조가 이루어지게 하며, 후면필름의 수직부 관로절첩부는 직선상 내향절첩선과 호형상 외향절첩선을 한조로 하고, 상기 전면필름과 역대칭되게 상측역경사관로 절첩부와 하측역경사관로 절첩부를 형성시킴에 있어, 각기 상·하측의 호형상 내향절첩선과 직선상 외향절첩선으로 한조가 이루어지게 가압 성형시키고, 이로써 상기 전후면 필름을 서로 엇갈리게 슬립시켜 상기 절첩부들이 절첩되어진 상태로 내용물을 흡입하면, 상기 절첩부들의 수축작용에 의한 멀티크로스형 유체관로가 형성되고, 그 수축작용 메커니즘의 변환에 따라 진공화 현상이 제거되므로써, 내용물을 흡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사이펀 파우치가 제공된다.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내용물을 충진 포장하도록 전후면 필름의 사방측단을 융착시켜 형성한 파우치에 있어서, 파우치의 주출구로 향하여 수직전면관로 절첩부와 수직후면관로 절첩부가 적정 거리 서로 이격 형성되도록 전후면 필름에 각기 한쌍의 절첩선이 가압 성형되어 있고, 상기 전후면 필름을 서로 엇갈리게 슬립시켜 상기 절첩부들이 절첩 되어진 상태로 내용물을 흡입하면, 상기 절첩부들의 수축작용에 의한 유체관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출구에 전면유출관로와 후면유출관로가 형성되어, 그 수축작용 메커니즘의 변환에 따라 진공화 현상이 제거되므로써 내용물을 흡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사이펀 파우치가 제공된다.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파우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파우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 필름(7)(8)의 사방측단 열융착부(6)를 초음파, 고주파 또는 히트실링 등으로 서로 대응 열융착시켜 파우치(13)를 형성시킴에 있어, 그 상단 일측코너에 45°사선 방향으로 주출구(5)를 위치케 하여, 그 삼각절취편(1)의 절취요홈(2a)(2b)의 중심폭에는 절취안내 절개선(3a)(3b)과, 연이어 절취가압선 (4a)(4b)을 연설시켜 파절 개봉 가능토록 하고, 전면필름(7) 일측의 수직주관로 절첩부(10)는 사방측단 열융착부(6)와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시켜, 직선상 하향절첩선 (10a)과 호형상 상향절첩선(10b)을 가압 성형하여 한조를 이루게 하고, 그 호형상 상향절첩선(10b)이 임의의 삼등분으로 나누어지는 두 지점으로부터 연접하여, 각기 방사선 방향으로, 즉 사방측단 열융착부(6)의 상·하단 모서리 방향으로, 상측경사관로 절첩부(12)와 하측경사관로 절첩부(11)를 형성시킴에 있어, 상측의 호형상 하향절첩선(12b)과 직선상 상향절첩선(12a)이 한조로, 또한 하측의 호형상 하향절첩선(11b)과 직선상 상향 절첩선(11a)이 한조로 이루어지게 가압 성형시키며, 후면필름(8)의 각 절첩부 또한 전면필름(7)에 가압 성형된 각 절첩부와 유사하나, 단지 Y축으로 180°회전되어 좌우면이 바뀐 역대칭 형상으로 대응된 구조이므로, 수직부관로 절첩부(16)는 직선상 내향절첩선(16a)과 호형상 외향접첩선(16b)을 가압 성형하여 한조를 이루게 하고, 역시 그 호형상 외향절첩선(16b)이 임의의 삼등분으로 나누어지는 두 지점으로부터 연접하여 각기 방사선 방향으로 상측역경사관로 절첩부(18)와 하측역경사관로 절첩부(17)를 형성시킴에 있어, 하측은 호형상 내향절첩선(17b)과 직선상 외향절첩선(17a)이 한조로, 또한 상측은 호형상 내향절첩선(18b)과 직선상 외향절첩선(18a)이 한조로 이루어지게 가압 성형시킴에 따라, 멀티크로스형 절첩부에 의한 유체관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전후면 필름(7)(8)에 균형 있게 분포되어, 직선상과 호형상의 접선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6조의 절첩부들에 있어서, 주출구(5)측과 연계되는 전면필름(7)의 수직주관로 절첩부(10)의 일측단과 후면필름(8)의 상측역경사관로 절첩부(18)의 일측단의 두 접선간에 임의의 간격 폭을 두어, 꼭지점들로 맞닿지 않게 하고, 전면필름(7)에 형성될 전면유출관로(14a)와 엇갈리게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유출관로(14b)가 대응되게 하여, 각각 이중 오버랩으로 절첩됨에 따라 사이펀 유출관로들이 형성되게 한다.
또한 파우치(13)의 각 절첩부들을 원활하게 절첩하고자, 슬립요철면부 (9a)(9b)를 각각 전후면 필름(7)(8)에 가압 성형시킴에 있어, 수직주관로 절첩부 (10)와 수직부관로 절첩부(16) 좌우로는 각기 임의 간격을 두어 근접시키고, 상하로는 그 중앙 임의의 지점에 위치시켜, 좌우로 서로 엇갈리게 슬립이 원활하도록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각 기능에 따른 주요 구성 요소에 따라, 형성된 파우치(13)의 주출구 (5)를 통해 흡음을 시도하면,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로 절첩부들이 정해진 방향으로 각기 절첩되면서 멀티크로스형 유체관로가 형성됨에 따라, 수축작용 시스템에 의한 사이펀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5a)는 주출 융착부이고 (5b)는 주출구부이다.
본 발명의 이지 사이펀 파우치(13)는,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복합화 필름의 연속 롤타입 비산화성 금속코팅필름, 또는 알루미늄 포일 라미네이션 적층필름 등을 일정한 크기로 절형하고, 사각형상의 전후면 필름(7)(8)을 서로 대응 열융착하여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내용물 수장부(15)가 멀티크로스 타입(Multy Cross Type)으로 구획되고, 그 절첩부들의 절첩으로 인한 수축작용 메커니즘에 의해 유체관로들이 형성됨으로서 사이펀 작용이 발생되는 것으로, 파우치 (13)는 단지 평면상의 두 필름이 사방측단 융착으로 형성되는 평면구조 형상이기 때문에 각 절첩선의 절첩으로 유체관로가 형성될 때, 가능한 한 3차원(3D)적인 입체 구조의 유체관로가 될 수 있도록 직선상과 호형상의 절첩선들로 한조를 이루게 한 절첩부들을, 기본형 파우치와의 용량에 따른 사이즈 변화폭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와 폭·각도·깊이 등을 산정하여 설계하고 양산한다.
파우치 필름 소재상에 일정의 패턴으로 가공 성형되는 절첩선은, 반드시 파열임계 강도 범위 내에서 노치(Notch)형태의 가압선이어야 하며, 그 폭과 깊이는 실험하고 검증된 실증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정해진 해당 필름의 두께·복합 소재·용도·형상에 부합되게 설계하여, 초정밀 미세 성형가공(3㎛ 오차범위 이내)으로 처리하여 필름의 파열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상용화함에 있어 특수 공정을 위한 부가장치시스템으로 완성할 수 있으며, 기존 4면 액상 파우치 포장기의 주요 공정장치, 즉 4열 또는 8열 타입의 연속롤링 또는 단속롤링 방식으로 공급되는 포장필름을 사이드 실링(Side Sealing)과 탑·바톰 실링(Top Button Sealing), 사이드커터(Side Cutter)와 앤드커터 (End Cutter)등의 4-5단계의 주요 공정으로 생산케 되는 파우치 포장기에 있어서, 연속롤링으로 공급되는 필름이 초기 첫 단계 공정처리 되기 바로 전 단계에서 별도의 엠보싱 롤러(Embossing Roller) 장치에 우선적으로 공정 처리케 하여, 전후면 필름에 절첩선을 열가압 또는 압축가압으로 선가공 한 뒤, 연이어 기존 공정을 거치도록 하여 이지 사이펀 파우치를 생산하는 것으로, 이는 장기간 다양한 방법 등을 국내외 연구진을 통해 연구 개발 제작하여 완료된, 4면 액상자동 이지파우치 포장기의 자동포장 공정의 일부 내용이며, 본 장치에 따른 양산 시스템은 별도로 특허출원 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손으로 파우치(13) 주출구부(5b)를 파지하고, 타측 손으로 삼각절취편(1)을 가압 파지하여, 각기 짝힘 방향으로 순간적인 힘을 주어 사선방향으로 절취시키면, 절취요홈(2a)을 기점으로 파절되면서 절취안내 절개선(3a)(3b)과 연이어진 절취가압선(4a)(4b)을 따라 일시에 파절되어 주출구(5)가 형성되고, 도4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흡음하고자 할 때에는 일측 손의 엄지손가락을 전면필름(7)의 슬립요철면부(9a)에 그리고 잔여 손가락은 후면필름(8)의 슬립요철면부(9b)에 각기 파지 위치케 하여, 일 방향을 화살표 방향으로, 또한 동시에 타 방향은 역 방향으로 전후면 필름(7)(8)의 내용물 수장부(15) 내측면을 협착시키면서 엇갈리게 슬립시키면, 도6a 내지 도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주관로 절첩부(10)와 상·하측경사관로 절첩부(11)(12), 그리고 수직부관로 절첩부(16)와 상·하측역경사관로 절첩부(17)(18)가 서로 맞대응 되어 각각의 절첩선들이 절첩되는 방향에 따라, 상·하향 또는 내·외향으로 절첩되면서 진공화 현상을 수축작용 메커니즘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흡음 전 초기 준비상태가 갖춰지게 되어, 멀티크로스 타입의 절첩부에 의한 유체관로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입과의 접촉이 안정된 45°사선으로 파우치(13) 상단 일측코너에 형성되어 절취 개봉된 주출구(5)에 입을 대고 흡음하면, 수축작용에 의한 사이펀 작용이 발생되어 파우치(13)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도 내용물을 일정하고 완벽하게 흡음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이펀 파우치의 수축작용 메커니즘은 제품이 생산되고 유통되어 각 해당 매장에서 보관되고, 그리고 소비자들에게 판매될 때까지는 기존 파우치와 동일한 평면 형태로 존재하다가 최종 소비자가 흡음코자 할 때, 마치 원터치 캔을 오픈시킬 때와 같이, 사이펀 파우치 전·후면 슬립요철면부를 잡고 살짝 비틀 때 비로소 3차원(3D)적인 입체구조 형태의 이지 사이펀 파우치로 변형되어 흡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파우치에 있어서는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필름이 약간의 연신률과 플렉시블(Flexible)한 특성을 갖고 있다고는 하지만, 단지 민자형 주출구 (21)의 파우치에 입을 대고 흡음을 시도하면, 그 흡입력에 의해 파우치 필름 전 표면에 걸쳐 고유 형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보형성에 의한 표면력의 작용을 제거할 수 없어, 필름의 어떠한 수축 작용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흡입력 강약에 관계없이 파우치 내부의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여 흡입과 동시에 그대로 진공 상태로 변해 버리고, 또한 도9b와 같이 절취 개봉된 민자형 주출구(21)는 더 더욱 흡음과 동시에 도9c와 같이 그 흡입력으로 인해 즉시 밀착 가중되어 폐구되 버리기 때문에, 흡입력만으로는 내용물의 불규칙적인 난류성 유체 흐름조차 기대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파우치에 강제적인 외부 압력을 주어 눌러 짜거나, 손가락으로 훑어 내리며 거꾸로 세운 파우치의 주출구(21)에 입을 대고, 입안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음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본 발명의 이지 사이펀 파우치와 상대적으로 비교된다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파우치(13)의 사이펀 작용의 실증적 결과는 반복된 오랜 연구 실험 결과로 얻게 된 것이며, 그 유체 흐름의 역학적 기능 수행 과정을 순차적으로 부연하면 도6c와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 개봉된 주출구 (5)에 입을 대고 흡음하더라도, 수직주관로 절첩부(10)와 상측역경사관로 절첩부 (18)에 의해 이미 해당 주출구부(5b)필름이 서로 충분히 이중으로 오보랩(Over Wrap)되어 두 개의 전·후면유출관로(14a), (14b)가 형성되어 절첩되 있으므로, 흡음 중에도 그 관로들이 밀착되더라도 절대 폐구는 되지 않는 면상 유체 이동 현상에 따라 원활하게 완벽한 흡음이 가능한 것이며, 또한 그 관로의 크기도 도4a, 도4b,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흡입력 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부들에 의한 유체관로들은 내용물수장부(15)의 전후면에 걸쳐 가장 이상적인 수축작용을 통해, 유체 흐름을 가질 수 있도록 멀티크로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즉 좌우측을 기준으로 수직 주·부관로가 상하측으로는 각기 더블 크로스형(Double Cross Type) 경사관로가 서로 관통되고 연계되어, 단일 회로와도 같이 유체흐름 역학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주출구(5)로 흡음을 시작하면, 각 절첩부의 절첩선들이 흡입력에 의해 각기 정해진 방향으로 절첩되면서, 그 절첩 각도들이 좁혀 듦에 따라 유체흐름이 발생하게 되는데, 즉 수축작용의 벡터량으로 변환됨과 동시에 진공화 현상이 제거되게 되어, 계속적으로 파우치(13)가 수축되는 내부 용적만큼 내용물을 흡음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 때 수축작용 메커니즘의 주요 역할을 하게 되는 각 절첩부의 좁혀드는 필름면상 사이의 간극이 유체관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파우치(13)의 저면부에서 고면부에 이르기까지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은 각 유체관로들의 정해진 방향의 유체흐름 유도에 따라, 즉 화살표 방향과 같이 마치 유체가 단일 통로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서서히 혹은 빠르게 흡입력의 강약에 따라 유량과 유속을 조절하며, 즉 가장 이상적인 원활한 유체흐름을 조절해 가며, 최종 그 필름면상끼리 완전 협착되어 면상유체 이동 현상이 사라지는 순간까지, 즉 파우치 수장부(15)의 내부 용적이 제로(Zero)상태가 될 때까지 내용물을 흡음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파우치에 수용된 아무리 적은 양의 내용물이라도 흡입되는 유체의 시간차와 벡터(Vector)량을 감안하여, 계산된 설계에 의한 유체흐름 역학 시스템을 적용시켜, 즉 파우치(13) 전 표면에 걸쳐 고유 형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보형성에 의한 표면력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제거시켜, 내용물이 흡음됨과 동시에 흡입된 내용물만큼 파우치의 내용물 수장부(15)를 수축시킬 수 있는 시스템으로, 파우치(13)내에 발생되는 진공상태를 바로바로 제거 시켜주지 못하면, 절대로 사용자의 단순 흡입력만으로는 흡음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강제적인 외부 압력을 줄 수밖에 없는, 기존 파우치 사용의 단점을 근원적으로 일거에 해소해 줄 수 있는 기능성 팩키지 시스템인 것이다.
도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기본 원리가 동일한 구조이지만, 파우치 상단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주출구(5)를 형성시키고, 전후면 필름(7)(8)의 주출구(5)측에 각기 수직전면관로 절첩부(19a)와 수직후면관로 절첩부 (19b)를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시켜 형성시킴에 있어, 그 하단의 절첩선들은 한 꼭지점으로 서로 맞닿게 하여 한조를 이루게 하고, 그 상단의 절첩선들은 적정의 간격을 갖도록 하여, 주출구(5)를 절취 개봉시켜, 전·후면유출관로(14a)(14b)가 좌우로 엇갈리게 형성되게 하면, 흡음시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흐름 역학 계통도의 방향을 따라 유체가 시간차와 벡터량을 가지며, 원활한 사이펀 작용이 가능하도록 한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파우치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도 그 저면부에 잔존하는 극미량의 내용물까지도 완벽하고 편리하게 흡음할 후 있어, 파우치를 거꾸로 입에 대고 눌러 짜거나 손가락 등으로 훑어 내리며 사용할 필요가 없어, 내용물 유실도 방지하며 정결하고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국내외 적으로 거세게 요구되는 친 환경문화 정책 추세에 따라, 기존 상품군에 새로운 좌표를 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액상 또는 겔상의 식음료 및 의약품류 등을 주로 용입하여 판매되는 병용입 제품군들 중, 상당량을 본 이지 파우치의 친 환경제품으로 사전 예방 차원의 수요관리 측면을 고려한 대체 수요로서 발생시킬 수 있어, 자원절약과 환경보호 정책, 그리고 휴대의 간편성과 사용상 혁신성이라는 명제들을 해결해 나갈 수 있고, 더 나아가 추가 원가 코스트 발생 없는 자동화 연속생산 시스템을 통한, 본 발명의 양산으로 실증적 상품가치도 갖추게 됨에 따라, 국내외 해당 시장에서의 대다수 마켓쉐어를 선점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 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수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즉 파우치 필름의 일정 부위들을 접철시켜 발생되는 수축 작용 시스템을 통해 유체관로들을 형성시키고, 그에 따라 파우치내의 내용물을 쉽게 흡음케 하는 역할을 수행하면, 그 형태 및 구조의 변형 실시예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전면필름 일측의 수직주관로 절첩부는 직선상 하향절첩선과 호형상 상향절첩선을 한조로 하고, 상기 수직주관로 절첩부가 임의의 삼등분으로 나눠지는 두 지점으로부터 연접하여 각기 소정방향으로, 상측경사관로 절첩부와 하측경사관로 절첩부를 형성시킴에 있어 각기 상·하측의 호형상 하향절첩선과 직선상 상향절첩선으로 한조가 이루어지게 하며, 후면필름의 수직부관로 절첩부는 직선상 내향절첩선과 호형상 외향절첩선을 한조로 하고, 상기 전면필름과 역대칭되게 상측역경사관로 절첩부와 하측역경사관로 절첩부를 형성시킴에 있어 각기 상·하측의 호형상 내향절첩선과 직선상 외향절첩선으로 한조가 이루어지게 가압 성형시키고, 이로써 상기 전후면 필름을 서로 엇갈리게 슬립시켜 상기 절첩부들이 절첩되어진 상태로 흡입하면, 수축작용에 의한 멀티크로스형 유체관로가 형성되고, 그 수축작용 메커니즘의 변환에 따라 진공화 현상이 제거되므로써 내용물을 흡음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절첩선들이 가공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사이펀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주출구 측과 연계되는 상기 전면필름의 수직주관로 절첩부의 일측단과, 상기 후면필름의 상측역경사관로 절첩부의 일측단의 두 접선간에 소정의 간격 폭을 주어, 각각 이중 오버랩으로 절첩될 수 있음에 따라, 전면유출관로와 후면유출관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사이펀 유출관로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사이펀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필름에 상기 수직주관로 절첩부와 상기 수직부관로 절첩부에 대하여, 좌우로는 임의 간격을 두고 상하로는 그 중앙 지점에 각각 슬립요철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사이펀 파우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에 주출구를 형성시킴에 있어 삼각절취편의 절취요홈 중심폭에 절취안내 절개선과 절취가압선을 연설시켜 손으로 파절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사이펀 파우치.
  5. 전후면 필름의 측단을 융착시켜 형성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주출구로 향하여 수직전면관로 절첩부와 수직후면관로 절첩부가 적정 거리 서로 이격 형성되도록 전후면 필름에 각기 한쌍의 절첩선이 가압 성형되어 있고, 상기 전후면 필름을 서로 엇갈리게 슬립시켜, 상기 절첩부들이 절첩되어진 상태로 흡입하면, 상기 절첩부들의 수축작용에 의한 유체관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출구에 전면유출관로와 후면유출관로가 형성되어, 그 수축작용 메커니즘의 변환에 따라 진공화현상이 제거되므로써 내용물을 흡음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절첩선들이 가공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사이펀 파우치.
  6. 전후면 필름의 측단을 융착시켜 형성한 파우치 있어서, 상기 전후면 필름을 엇갈리게 슬립시키면, 절첩되면서 조합되는 각 절첩부들이 오버랩 됨에 따라, 상기 파우치의 주출구로 이어지는 유체관로가 형성되므로써, 흡입시 상기 절첩부들이 수축작용 메커니즘의 변환에 의해, 진공화 현상이 제거되어 흡음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절첩선들이 가공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사이펀 파우치.
KR10-2001-0011758A 2001-03-07 2001-03-07 이지 사이펀 파우치 KR100387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758A KR100387331B1 (ko) 2001-03-07 2001-03-07 이지 사이펀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758A KR100387331B1 (ko) 2001-03-07 2001-03-07 이지 사이펀 파우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683U Division KR200183329Y1 (ko) 2000-01-11 2000-01-11 이지사이펀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568A KR20010044568A (ko) 2001-06-05
KR100387331B1 true KR100387331B1 (ko) 2003-06-18

Family

ID=1970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758A KR100387331B1 (ko) 2001-03-07 2001-03-07 이지 사이펀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3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755A (ja) * 1989-08-28 1991-04-10 Nec Corp 光磁気記録媒体
US5451179A (en) * 1992-04-08 1995-09-19 Vonco Products, Inc. Inflatable flexible pouch with inner inflatable structure
KR200175447Y1 (ko) * 1999-10-11 2000-03-15 최희진 파우치 타입 화장품 용기 구조
KR200183329Y1 (ko) * 2000-01-11 2000-05-15 안호성 이지사이펀파우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755A (ja) * 1989-08-28 1991-04-10 Nec Corp 光磁気記録媒体
US5451179A (en) * 1992-04-08 1995-09-19 Vonco Products, Inc. Inflatable flexible pouch with inner inflatable structure
KR200175447Y1 (ko) * 1999-10-11 2000-03-15 최희진 파우치 타입 화장품 용기 구조
KR200183329Y1 (ko) * 2000-01-11 2000-05-15 안호성 이지사이펀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568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2923B (zh) 液体排出嘴及其制造方法
JP6859018B2 (ja) 包装物品
JP2002362591A (ja) 流体包装袋
JP6031885B2 (ja) 詰め替え袋
KR100387331B1 (ko) 이지 사이펀 파우치
JP6892817B2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
JP4902423B2 (ja) スパウト付容器の製造方法
JP6973418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
JP4220073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H11245959A (ja) プラスチック袋
JP2011073692A (ja) 詰め替え袋
KR200183329Y1 (ko) 이지사이펀파우치
JPH01501056A (ja) 自己封止可能液体分配容器
JP5712270B2 (ja) 液体流出防止機能付バッグ
JP4852944B2 (ja) 液体用紙容器
JP3819188B2 (ja) 液体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3932807B2 (ja) ノズル付き液体収納容器
JP5059736B2 (ja) 液体包装袋
JP4736178B2 (ja) 自立袋
JP4139638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2975834B2 (ja) 流動性物質包装体、該包装体の製造方法、該包装体用包装袋並びに該包装袋の製造方法
JP2005280770A (ja) 内容物を収納した軟質容器体
JP6907532B2 (ja) 注出口を備えたパウチ
JP2017222390A (ja) 詰替え容器
KR200427808Y1 (ko) 리필용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