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811B1 -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 Google Patents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811B1
KR100385811B1 KR10-2000-0060659A KR20000060659A KR100385811B1 KR 100385811 B1 KR100385811 B1 KR 100385811B1 KR 20000060659 A KR20000060659 A KR 20000060659A KR 100385811 B1 KR100385811 B1 KR 100385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piston
rod
cylinder
sid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333A (ko
Inventor
하라코지
타카다스스무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7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15/262Locking mechanisms using friction, e.g.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1/2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controlling several interacting or sequentially-opera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42Pitmans and connecting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헤드측 압력실(5A, 5B)로 공급된 압력유체에 의해 한 쪽의 피스톤(3A, 3B)이 전진단까지 이동했을 때 이 헤드측 압력실(5A, 5B)을 다른 쪽의 피스톤(3B, 3A)의 로드측 압력실(5B, 5A)에 연통시키는 두 개의 연통로(11A, 11B)와, 한 쪽의 피스톤로드(4A, 4B)가 전진 또는 후퇴의 이동도중에 있는 동안에는 한 쪽의 걸림부(21A, 21B)가 이 피스톤로드(4A, 4B)측면에 미끄럼접촉해서 요동이 규제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걸림부(21B, 21A)가 전진단에 있는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4B, 4A)의 오목부(25)에 걸려 그 복귀동작을 구속하는 로드유지부편(21)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ESCAPEMENT CYLINDER}
본 발명은 안정적인 동작을 행하는 이스케이프먼트용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본체에 병렬로 배치한 두 개의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압력유체의 작용에 의해 교대로 전후진시키고, 또한,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단의 근처에 도달했을 때에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를 후퇴시키도록 한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14783호 공보참조) 이 기존의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에 있어서는, 제1피스톤로드가 전진단에 도달했을 때에, 양 실린더사이에 설치한 연통로에 의해 상기 제1피스톤로를 전진시키기 위해 사용된 압력유체가 다른 쪽의 실린더에서의 피스톤로드를 후퇴시키는 측의 압력실로 도입되고, 그 압력유체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가 후퇴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에 있어서는, 상기 연통로에 의해 압력유체를 적절하게 전환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단 가까이에 도달했을 때에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를 후퇴시키는 소기의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단의 근처에 도달했을 때에, 그 피스톤로드를 전진시키고 있는 압력유체의 일부를 다른 쪽의 실린더에 도입하므로, 그 시점에서 일시적으로 피스톤로드를 전진시키는 측의 유체압력이 저하해서 피스톤로드의 추력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도중에 있는 동안에는, 다른 쪽의 실린더 피스톤로드에 유체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그 피스톤로드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그 외력에 의해 피스톤이 움직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82420호 공보에 개시된 것에서는,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 또는 후퇴의 이동도중에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를 기계적으로 로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공지예는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하고 있을 때, 그 구동용 유체압력이 전진단에 로크되어 있는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에도 이 다른 쪽 피스톤로드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 로크된 피스톤로드로부터 로크기구를 통해 작용력이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에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전진중의 피스톤로드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것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크기구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기술적 과제는 기본적으로는 구성이 간단하고 안정적인 동작을 행하도록 한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는, 피스톤로드가 전진단의 근처에 도달했을 때에 유체압력의 저하에 의한 일시적인 추력의 저하가 없고, 또,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가 외력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일이 없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가 기계적으로 로크되지만, 이때, 상기 일본국 특개평 11-8242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와 같이, 로크되어 있는 피스톤로드로부터 로크기구를 통해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에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로크기구가 매우 간단한 구성이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의 (1)∼(5)는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피스톤로드의 구조를 분해상태로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는, 한 개의 실린더본체내부에 병렬로 설치된 두 개의 피스톤;
상기 두 개의 피스톤으로부터 평행하게 연장해서 선단이 실린더본체의 외부로 돌출하고, 일부에 로크용 오목부를 갖는 두 개의 피스톤로드;
상기 각 피스톤의 양측에 각각 구획형성된 헤드측 압력실 및 로드측 압력실;
상기 두 개의 헤드측 압력실에 개별적으로 압력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포트;
상기 헤드측 압력실로의 압력유체의 공급에 의해 한 쪽의 피스톤이 전진단까지 이동했을 때 그 피스톤의 헤드측 압력실과 다른 쪽 피스톤의 로드측 압력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로; 및
상기 두 개의 피스톤로드 사이에 핀으로 요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각 피스톤로드의 측면과 마주 향하는 부분에 각각 걸림부를 보유하고,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 또는 후퇴의 이동 도중에 있는 동안에는 한 쪽의 걸림부가 이 피스톤로드의 측면에 미끄럼접촉해서 요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길림부가 전진단에 있는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의 오목부에 걸려 그 복귀동작을 구속하도록 기능하는 로드유지부편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로드유지부편이 삼각형을 이룬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꼭지각이 상기 걸림부를 이루고, 이들 꼭지각 사이의 부분에 상기 핀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각 피스톤로드는 피스톤에 연결되는 기단측의 제1부분과, 이 제1부분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유지부편이 미끄럼접촉하는 선단측의 제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제2부분의 외형치수를 제1부분보다 크게 함으로써 이들 양 부분의 연결부에 이들 치수차에 의해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피스톤로드는 그 제1부분이 원기둥형을 이루는 동시에 제2부분이 각기둥형을 이루고, 이들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제2부분의 기단부에 형성한 T자형 홈에 제1부분의 선단부에 형성한 T자형 돌기를 결합시킴으로써 플로팅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는 두 개의 피스톤로드를 압력유체를 공급함으로써 교대로 작동시켜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 또는 후퇴를 하고 있는 동안,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를 전진단에 로드유지부편에 의해 기계적으로 로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2피스톤로드가 전진단에 있고, 또한 제1피스톤로드가 후퇴단에 있는 상태에서 이 제1피스톤의 헤드측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하면, 이 제1피스톤로드가 전진한다. 이때, 상기 로드유지부편은 그 한 쪽의 걸림부가 이동중의 제1피스톤로드의 측면에 미끄럼접촉해서 요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걸림부가 전진단에 있는 제2피스톤로드의 오목부에 끼워맞춤되고, 걸려 그 복귀동작을 구속하고 있다.
상기 제1피스톤로드가 전진단까지 도달하면, 이 제1피스톤의 헤드측 압력실과 제2피스톤의 로드측 압력실이 연통로에 의해 서로 연통하므로, 이 로드측 압력실에 압력유체가 유입해서 상기 제2피스톤로드가 전진단으로부터 후퇴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로드유지부편은 상기 제1피스톤로드가 전진단까지 도달했을 때, 두 개의 걸림부가 각각 전진단에 있는 제1 및 제2피스톤로드의 오목부 안에 동시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요동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로크가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후퇴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제2피스톤로드가 후퇴를 개시하면, 상기 로드유지부편은 그 한 쪽의 걸림부가 이 제2피스톤로드의 측면에 미끄럼접촉해서 요동이 규제되고, 다른 쪽의 걸림부는 전진단에 있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오목부에 걸려 그 복귀동작을 구속한다.
후퇴단에 도달한 상기 제2피스톤로드를 전진시키는 경우에도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이렇게, 전진단에 도달한 피스톤로드는 전진단에 로크되므로, 종래품에 나타난 유체압력의 저하에 의한 일시적인 피스톤로드 추력의 저하가 없고, 또,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외력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일도 없다.
또한,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단에 로크되어 있는 경우에, 이 피스톤로드에는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단에 도달하지 않는 한 유체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이 로크된 피스톤로드에 의해 로크유지부편이 밀려져 전진중의 피스톤로드이 측면에 작용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로크기구의 구성이 매우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피스톤로드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는 한 개의 실린더본체(1) 내부에 제1 및 제2의 두 개의 실린더(2A, 2B)를 병렬로 설치한 것이다. 이들 실린더(2A, 2B)는 각각 실린더구멍의 내부를 슬라이딩하는 피스톤(3A, 3B)과, 이들 피스톤(3A, 3B)에서 평행하게 연장하여 각각 실린더본체(1)의 외부로 돌출하는 피스톤로드(4A, 4B)와, 상기 각 피스톤(3A, 3B)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헤드측 압력실(5A, 5B) 및 로드측 압력실(6A, 6B)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4A, 4B)는 상기 헤드측 압력실(5A, 5B)로 압력유체를 교대로 공급함으로써 교대로 전후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듯이, 제2피스톤로드(4B)가 전진단에 있을 때에는 다른 쪽의 제1피스톤로드(4A)가 후퇴하고, 반대로, 제1피스톤로드(4A)가 도시의 후퇴단에서 전진을 시작해서 전진단 또는 그 근처에 도달했을 때에는 전진단에 있는 제2피스톤로드(4B)가 후퇴하게 되어 있다.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에 있어서의 양 실린더(2A, 2B)는 각각의 헤드측 압력실(5A, 5B)에 외부로부터 압력유체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포트(10A, 10B)를 보유하고 있다. 또, 상기 실린더본체(1)에는 한 쪽의 피스톤(3A, 3B)이 전진단까지 이동했을 때에, 이 피스톤(3A, 3B)의 헤드측 압력실(5A, 5B)과 다른 쪽의 피스톤(3B, 3A)의 로드측 압력실(6B, 6A)를 서로 연통시키는 두 개의 연통로(11A, 11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연통로(11A, 11B)는 각각 이들의 제1구멍단이 한 쪽의 실린더구멍의 전단부근처에 개구하는 동시에, 반대측 제2구멍단이 다른 쪽의 실린더구멍의 전단부로부터 약간 후방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개구하고, 이 제2구멍단과 상기 피스톤(3A, 3B)이 도 1에 제2피스톤(3B)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피스톤(3A, 3B)이 전진을 시작해서 거의 전진단에 도달했을 때, 피스톤패킹(7A, 7B)이 상기 제2구멍단을 지나는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피스톤패킹(7A, 7B)이 연통로(11A, 11B)의 제2구멍단을 지나는 것에 의해, 그 피스톤(3A, 3B)의 헤드측 압력실(5A, 5B)과, 다른 쪽의 피스톤(3B, 3A)의 로드측 압력실(6B, 6A)이 서로 연통하고, 상기 헤드측 압력실(5A, 5B)의 압력유체가 연통한 로드측 압력실(6B, 6A)에 도입되어 피스톤로드(4B, 4A)가 복귀동작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양 실린더(2A, 2B)사이에는 각각의 피스톤로드(4A, 4B)가 전진 또는 후퇴의 이동중에, 전진단에 있는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4B, 4A)를 그 위치에 기계적으로 구속하는 로크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기구(20)는 삼각형의 플레이트형을 이룬 로드유지부편(21)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 로드유지부편(21)은 상기 실린더본체(1)에 있어서의 두 개의 피스톤로드(4A, 4B)사이의 위치에 중앙부에 부착한 핀(22)에 의해 요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로드유지부편(21)의 두개의 꼭지각은 걸림부(21A, 21B)가 되고, 각각이 두 개의 피스톤로드(4A, 4B)의 하나와 마주 보고 있다. 그리고, 한 쪽의 피스톤로드(4A, 4B)가 전진 또는 후퇴의 이동 도중에 있는 동안은 피스톤로드(4A, 4B)와 마주 향하는 한 쪽의 걸림부(21A, 21B)가 이 피스톤로드(4A, 4B)의 측면에 미끄럼접촉해서 로드유지부편(21)의 요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걸림부(21B, 21A)가 전진단에 있는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4B, 4A)의 오목부(25)에 걸려 그 복귀동작을 구속한다.
상기 각 피스톤로드(4A, 4B)는 피스톤(3A, 3B)에 연결되는 기단측의 제1부분(4a)과, 이 제1부분(4a)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유지부편(21)이 미끄럼접촉하는 선단측의 제2부분(4b)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제2부분(4b)의 폭방향의 외형치수를 제1부분(4a)보다 크게 함으로써, 이들 양 부분(4a, 4b)의 연결부에 이들 치수차에 의해 상기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부분(4a)과 제2부분(4b)은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 제1부분(4a)이 원형단면을, 또 제2부분(4b)이 직사각형단면을 갖고, 이들 제1부분(4a)과 제2부분(4b)이 도 3에 나타내듯이, 제2부분(4b)의 기단부에 형성한 T자형의 홈(26)안에 제1부분(4a)의 선단부에 형성한 T자형 돌기(27)를 결합시킴으로써, 플로팅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부분(4a)과 제2부분(4b)의 중심맞추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2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제1부분(4a)과 제2부분(4b)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는 두 개의 실린더(2A, 2B)에 있어서의 피스톤로드(4A, 4B)가 포트(10A, 10B)로부터 헤드측 압력실(5A, 5B)로 압축공기 등의 압력유체를 공급함으로써 교대로 전후진하고, 이때, 한 쪽의 피스톤로드(4A) 또는 피스톤로드(4B)가 전진 또는 후퇴의 이동 도중에 있는 동안은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4B) 또는 피스톤로드(4A)가 전진위치에 기계적으로 로크되는 것이다.
즉, 도 1에 나타내듯이, 제2피스톤(3B) 및 제2피스톤로드(4B)가 전진단에 있고 또한 제1피스톤(3A) 및 제1피스톤로드(4A)가 후퇴단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피스톤(3A)의 헤드측 압력실(5A)에 압축공기 등의 압력유체를 공급하면, 이 제1피스톤(3A) 및 제1피스톤로드(4A)가 전진한다. 이때 로드유지부편(21)은 그 한 쪽의 걸림부(21A)가 전진중의 제1피스톤로드(4A)의 제2부분(4b)의 측면에 미끄럼접촉해서 요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걸림부(21B)가 전진단에 있는 상기 제2피스톤로드(4B)의 오목부(25)안에 끼워져서 그 제2부분(4b)의 후단부에 걸리고, 상기 제2피스톤로드(4B)를 그 위치에 구속하고 있다.
상기 제1피스톤(3A) 및 제1피스톤로드(4A)가 전진단까지 도달해서 피스톤패킹(7A)이 연통로(11A)의 개구를 지나면, 이 제1피스톤(3A)의 헤드측 압력실(5A)과 제2피스톤(3B)의 로드측 압력실(6B)이 상기 연통로(11A)에 의해 서로 연통하므로, 이 로드측 압력실(6B)에 압력유체가 유입해서 상기 제2피스톤(3B) 및 제2피스톤로드(4B)가 전진단에서 후퇴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로드유지부편(21)은 상기 제1피스톤로드(4A)가 전진단까지 도달했을 때에 두 개의 걸림부(21A, 21B)가 각각 전진단에 있는 제1 및 제2피스톤로드(4A, 4B)의 오목부(25, 25)안에 동시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요동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상기 제2피스톤로드(4B)는 로크가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후퇴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제2피스톤로드(4B)가 후퇴를 개시하면, 상기 로드유지부편(21)은 그 한 쪽의 걸림부(21B)가 이 제2피스톤로드(4B)의 측면에 미끄럼접촉해서 요동이 규제되고, 다른 쪽의 걸림부(21A)는 전진단에 있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4A)의 오목부(25)에 걸려 이 제1피스톤로드(4A)를 그 위치에 로크한다.
후퇴단에 도달한 상기 제2피스톤로드(4B)를 다시 전진시키는 경우에도, 상술한 경우와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전진단에 도달한 피스톤로드는 로크되므로, 종래품에서와 같은 유체압력의 저하에 의한 일시적인 피스톤로드의 추력의 저하가 없고, 또,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외력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일도 없다.
게다가,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단에 로크되어 있는 경우에, 이 피스톤로드에는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단에 도달하지 않는 한 유체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이 로크된 피스톤로드에 의해 로드유지부편이 밀려 전진중의 피스톤로드의 측면에 작용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로크기구의 구성이 매우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피스톤로드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의 (1)∼(5)는 상술한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를 반송로(30)를 따라 하나씩 송출되는 공작물(31)의 동작제어에 이용한 이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1)은 제1실린더(2A)의 피스톤로드(4A)의 전진에 의해 그 선단에 부착한 스토퍼(32A)가 반송로(30)안으로 돌출해서 공작물(31)의 흐름을 정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도 2의 (2)는 공작물(31)의 정지위치를 바꾸기 위해 제2실린더(2B)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에 의해 제2피스톤로드(4B)가 전진해서, 그 선단의 스토퍼(32B)가 반송로(30)안으로 돌출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의 (3)은 상기 제2피스톤로드(4B)의 전진에 동반해서 제1피스톤로드(4A)가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고있다.
또, 도 2의 (4)는 제1실린더(2A)의 압력실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에 의해 피스톤로드(4A)가 전진해서 그 선단의 스토퍼(32A)가 반송로(30)안으로 돌출하고, 후속의 공작물(31)의 흐름을 억제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의 (5)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4A)의 전진에 동반해서 제2피스톤로드(4B)가 후퇴하여 스토퍼(32A, 32B)사이에 유지되어 있던 공작물(31)이 송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여기에 나타낸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의 이용예는 단지 하나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를 각종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고 안정적인 동작을 행하도록 한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단에 도달했을 때에 전술한 종래예와 같이, 유체압력의 저하에 의한 일시적인 피스톤로드의 추력 저하가 없고, 또, 한 쪽의 피스톤로드를 구동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외력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일도 없다.
또한, 한 쪽의 피스톤로드(4A 또는 4B)가 전진 또는 후퇴의 이동도중에서,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4B 또는 4A)가 로크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로크되어 있을 때에, 압력유체에 의한 작용력이 한 쪽의 피스톤로드(4B 또는 4A)로부터 로크기구를 통해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4A 또는 4B)에 대해서 그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이 없고, 피스톤로드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로크기구를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특히, 그 로크기구를 구성하는 로드유지부편을 피스톤에 의해 지지된 삼각형의 부편으로 구성함으로써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 피스톤로드와 그 확경부를 별체의 부재로 형성해서 양자를 플로팅상태로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로드와 그 확경부의 중심맞춤을 용이하게 행하는 동시에, 확경부단에 있어서의 유지부편의 모서리각부가 걸리는 부분의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한 개의 실린더 본체 내부에 병렬로 설치된 제1 및 제2의 두 개의 피스톤;
    상기 두 개의 피스톤으로부터 평행하게 연장해서 선단이 실린더본체의 외부로 돌출하고, 일부에 로크용 오목부를 갖는 제1 및 제2의 두 개의 피스톤로드;
    상기 각 피스톤의 양측에 각각 구획형성된 헤드측 압력실 및 로드측 압력실;
    상기 두 개의 헤드측 압력실에 개별적으로 압력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포트;
    상기 헤드측 압력실로의 압력유체의 공급에 의해 한 쪽의 피스톤이 전진단까지 이동했을 때, 그 피스톤의 헤드측 압력실과 다른 쪽 피스톤의 로드측 압력실을 연통시키는 2개의 연통로; 및
    상기 두 개의 피스톤로드 사이의 위치에 핀에 의해 요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각 피스톤로드의 측면과 마주 향하는 부분에 각각 걸림부를 보유하고, 한 쪽의 피스톤로드가 전진 또는 후퇴의 이동 도중에 있는 동안에는 한 쪽의 걸림부가 이 피스톤로드의 측면에 미끄럼접촉해서 요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걸림부가 전진단에 있는 다른 쪽의 피스톤로드의 오목부에 걸려 그 복귀동작을 구속하도록 기능하는 로드유지부편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유지부편이 삼각형을 이룬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꼭지각이 상기 걸림부를 형성하고, 이들 꼭지각 사이의 부분에 상기 핀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스톤로드는 피스톤에 연결되는 기단측의 제1부분과, 이 제1부분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유지부편이 미끄럼접촉하는 선단측의 제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제2부분의 외형치수를 제1부분보다 크게 함으로써 이들 양 부분의 연결부에 이들 치수차에 의해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스톤로드는 피스톤에 연결되는 기단측의 제1부분과, 이 제1부분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유지부편이 미끄럼접촉하는 선단측의 제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제2부분의 외형치수를 제1부분보다 크게 함으로써, 이들 양 부분의 연결부에 이들 치수차에 의해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스톤로드의 제1부분이 원기둥형을 이루는 동시에, 제2부분이 각기둥형을 이루고, 이들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제2부분의 기단부에 형성한 T자형의 홈에 제1부분의 선단부에 형성한 T자형의 돌기를 결합시킴으로써 플로팅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스톤로드의 제1부분이 원기둥형을 이루는 동시에, 제2부분이 각기둥형을 이루고, 이들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제2부분의 기단부에 형성한 T자형의 홈에 제1부분의 선단부에 형성한 T자형의 돌기를 결합시킴으로써 플로팅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KR10-2000-0060659A 1999-10-18 2000-10-16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KR100385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597099A JP3618264B2 (ja) 1999-10-18 1999-10-18 エスケープメントシリンダ
JP99-295970 1999-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333A KR20010067333A (ko) 2001-07-12
KR100385811B1 true KR100385811B1 (ko) 2003-06-02

Family

ID=1782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659A KR100385811B1 (ko) 1999-10-18 2000-10-16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87931B1 (ko)
JP (1) JP3618264B2 (ko)
KR (1) KR100385811B1 (ko)
CN (1) CN1189674C (ko)
DE (1) DE10051494C2 (ko)
TW (1) TW4606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8322B4 (de) * 2001-08-10 2004-01-29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Kolbenstangenanordnung
JP4886875B2 (ja) * 2010-03-26 2012-02-29 スチールプランテック株式会社 プッシャー
CN103334749B (zh) * 2012-02-24 2018-08-07 刘素华 一种高效冲击防掰别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高效冲击防掰别动力箱
EP3117962A1 (de) * 2015-07-17 2017-01-18 HILTI Aktiengesellschaft Handwerkzeugmaschine
CN105485087B (zh) * 2015-10-10 2018-07-13 湖北江山液压科技有限公司 一种中心偏摆锁止液压缸
JP6524033B2 (ja) * 2016-07-14 2019-06-05 Ckd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US10273955B2 (en) * 2016-11-15 2019-04-30 Caterpillar Inc. Piston cartridge for piston pump
JP6801041B2 (ja) * 2019-04-24 2020-12-16 Ckd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064Y2 (ko) * 1987-05-25 1993-03-01
JPH01182420A (ja) * 1988-01-14 1989-07-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ピン連結構造
JP2514783Y2 (ja) * 1988-04-15 1996-10-23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エスケープメント用シリンダ
JPH0742627Y2 (ja) * 1991-03-12 1995-10-04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ットのハンド交換装置
JPH06117368A (ja) * 1992-10-02 1994-04-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US5363741A (en) * 1992-12-24 1994-11-15 Smc Kabushiki Kaisha Slide actuator
US5988987A (en) * 1996-08-28 1999-11-23 Fia Solutions, Inc. Method for merging and/or ratio blending aliquant
JP4035193B2 (ja) * 1997-02-26 2008-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キシャルピストン機械
IL120609A0 (en) * 1997-04-06 1997-08-14 Nordip Ltd Hydraulic axial piston pumps
JP3781076B2 (ja) 1997-09-02 2006-05-31 Smc株式会社 エスケープメントシリン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3314A (zh) 2001-05-02
US6487931B1 (en) 2002-12-03
JP3618264B2 (ja) 2005-02-09
CN1189674C (zh) 2005-02-16
DE10051494C2 (de) 2003-04-24
KR20010067333A (ko) 2001-07-12
TW460662B (en) 2001-10-21
DE10051494A1 (de) 2001-07-19
JP2001116013A (ja) 200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811B1 (ko) 이스케이프먼트 실린더
US6408740B1 (en) Three position cylinder
US20090315236A1 (en) Strip off pin clamp
KR100216969B1 (ko) 파일럿 전환밸브
KR20030057393A (ko) 래치트 기구를 구비한 유압식 장력기
US20170088256A1 (en) Hydraulic cylinder for aircraft landing gear
JPS61201907A (ja) ロツドロツク装置
KR20210006463A (ko) 로킹 핀을 구비한 붕괴식 밸브 브리지를 포함하는 운동 소실 밸브 트레인 구성요소가 있는 엔진 밸브 작동 시스템
US6089577A (en) Two drive-system fluid pressure chuck
US20050012258A1 (en) Compact clamping device with side clamping member
US6520359B2 (en) Lateral boom locking and actuating unit
JP3428473B2 (ja) 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EP3627018B1 (en) Cylinder drive apparatus with a cylinder drive manifold device
JP3930665B2 (ja) 流体圧シリンダ
JP3479476B2 (ja) ロック機構を備えた倍力式流体圧シリンダー装置
JPH0861308A (ja) 流体圧シリンダ
JP2607791Y2 (ja) シリンダの油圧制御回路
CN107630856B (zh) 一种顺序伸缩油缸及起重机
US20100209275A1 (en) Hydraulic cylinder having piston-mounted bypass valve
KR20220047579A (ko) 에어 척
EP1134469A3 (en) Multiway valve with cap element fixing means
JP2618768B2 (ja) 二段伸縮型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ー
JPH0218804Y2 (ko)
RU2215200C1 (ru) Вибратор
JP2005028478A (ja) ハンド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