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596B1 -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 - Google Patents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596B1
KR100382596B1 KR1019960705252A KR19960705252A KR100382596B1 KR 100382596 B1 KR100382596 B1 KR 100382596B1 KR 1019960705252 A KR1019960705252 A KR 1019960705252A KR 19960705252 A KR19960705252 A KR 19960705252A KR 100382596 B1 KR100382596 B1 KR 100382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less
ball
bearing body
rail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1839A (ko
Inventor
겐이찌 하또리
Original Assignee
티에이치케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8070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825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이치케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에이치케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7070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4Preventing damage to bearings during storage or transport thereof or when otherwise out of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3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 F16C29/0638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balls
    • F16C29/0642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balls with four rows of balls
    • F16C29/0647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balls with four rows of balls with load directions in X-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6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4Preventing damage to bearings during storage or transport thereof or when otherwise out of use
    • F16C41/045Devices for provisionally retaining needles or rollers in a bearing race before mounting of the bearing on a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36Process for making bearing or component thereof
    • Y10T29/49641Linear b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Utilizing transitory attached element or associated separat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리테이너가 없는 새들용 볼 홀더로서, 긴 축과 다수의 접촉 표면을 지니고 있어 새들이 레일로부터 이탈했을 때 베어링 몸체와 협력하여 스틸 볼을 고정시키는 볼 홀더. 이 축은 중공 관이나 한 쌍의 캔티레버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어서 이의 횡단면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가능성 때문에 선로의 크기는 또한 조절될 수 있어서 스틸 볼로 작업 구역 내의 새들을 재조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
미국특허 제 4,253,709호에 공개된 종래의 직선 운동 베어링은 높은 강도를 지니고 있어 높은 정밀도로 고속의 중하중을 견딜 수 있다. 이러한 뛰어난 성질에 기인하여, 특별히 공작 기계 분야에 널리 사용되었다.
직선 운동 베어링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스틸 볼의 직경이 베어링 몸체와 레일의 상보형 홈 사이에 형성된 레이스웨이(raceway)의 직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스틸 볼에 하중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하중 때문에, 이 구조물의 조립된 강도가 높아지고, 고도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직선 운동 베어링의 단점은 리테이너의 사용에 있는데, 이 리테이너는 베어링 몸체가 레일에서 이탈될 때 스틸 볼이 베어링 몸체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리테이너의 모양은 미국특허 제 4,253,709호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구조일 수도 있고, 미국특허 제 4,929,095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을 따라 뻗어 있는 피아노 선 모양의 구조일 수도 있다.
이러한 리테이너는 베어링 몸체나 단부 캡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직선 운동 베어링의 구조는 더욱 복잡해지고 자동적인 방법에 의해 스틸 볼이 있는 베어링 몸체로 새들(saddle)을 조립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부가적으로, 만약 리테이너가 위치를 이탈하게 되면 스틸 볼과 접촉하게 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리테이너는 결국 손상을 입거나 부러질 것이다. 이것은 또한 직선 운동 베어링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리테이너의 다른 문제점은 리테이너가 협소한 레이스웨이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홈의 곡률 반경의 크기가 불가피하게 제한되고 그래서 그 크기는 하중 등급(load rating)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스틸 볼은 단지 상보형 홈에 의해서 유지되기 때문에 새들이 레일에 맞추어진 후에는 리테이너가 그 기능을 상실하고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리테이너가 직선 운동 베어링으로부터 제거된다면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되었을 때 새들의 베어링 몸체 내에 스틸 볼을 유지시킬 방법이 없기 때문에 리테이너의 존재가 필수 불가결하다.
지금도 존재하는 다른 문제는 어떻게 스틸 볼을 유지하면서 새들을 레일에 맞추는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테이너가 없는(이하에서, "리테이너리스(retainerless)"라 함)직선 운동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볼 홀더(1)와 함께 있는 새들(6)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새들(6)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볼 홀더(1)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새들(6)을 레일(R)에 조립하는 방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X-X 선을 따라 절취된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고무로 만들어진 볼 홀더(1')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베어링 몸체(4)와 단부 캡들(5, 5), 스틸 볼(7), 볼 홀더(1)로 새들(6)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방법의 도시도이다.
도 8은 단부 평판(15)이 제공된 볼 홀더(11)의 도시도이다.
도 9는 착탈가능한 단부 평판(12)의 도시도이다.
도 10은 마찰 평판(14')과 함께 있는 볼 홀더(11')의 도시도이다.
도 11은 단부 평판(15")과 계단 부분(14")과 함께 있는 볼 홀더(11")의 도시도이다.
도 12는 조정가능한 볼 홀더(21)의 도시도이다.
도 13은 조정가능한 볼 홀더(21)의 분리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14는 조정가능한 볼 홀더(21)의 합체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15는 조정가능한 볼 홀더(21)를 위한 정지 커버(28)의 도시도이다.
도 16은 맞춤 평판(14')를 지닌 두 번째 축(22')의 도시도이다.
도 17은 테이퍼된 리세스(24")와 테이퍼된 돌출부(25')를 지닌 조정가능한 볼 홀더(21")의 도시도이다.
도 18은 슬릿(slit)(35)을 지닌 조정가능한 관 모양의 볼 홀더(33)의 도시도이다.
도 19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조정가능한 관 모양의 볼 홀더(43)의 도시도이다.
도 20은 슬릿(46)을 지닌 조정가능한 관 모양의 볼 홀더(43')의 도시도이다.
도 21은 조정가능한 관 모양의 볼 홀더(33)가 베어링 몸체(4) 사이에 위치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22는 조정가능한 관 모양의 볼 홀더(33)용 삽입 요소(42)의 도시도이다.
도 23은 조정가능한 볼 홀더(33, 53 또는 65)용 리세스(43)을 지닌 삽입 요소(42)의 도시도이다.
도 24는 단부 평판(55)을 지닌 조정가능한 볼 홀더(53)의 도시도이다.
도 25는 맞춤 평판(65)을 지닌 조정가능한 볼 홀더(53)의 도시도이다.
도 26은 테이퍼된 리세스(73)가 있는 삽입 요소(70)의 도시도이다.
도 27은 리세스(83)가 있는 삽입 요소(80)의 도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테이너가 베어링 몸체로부터 완전하게 제거된 리테이너 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대신에, 베어링 몸체 혹은 새들과독립적인 볼 홀더가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했을 경우에만 사용되어 베어링 몸체 내에 스틸 볼을 유지하여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했을 때 스틸 볼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어링 몸체, 단부 캡, 스틸 볼 및 볼 홀더로 새들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방법의 구현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새들을 작업장에서 재조립할 수 있게 하는 조정가능한 볼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첫 번째 실시예는, 베어링 몸체(4)와 볼 홀더(1)에 의해 형성된 레이스웨이 공간이 조정가능하지 않은 볼 홀더(1)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홀더(1)와 함께 있는 리테이너리스 새들(6)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새들(6)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볼 홀더(1)의 사시도이다. 볼 홀더(1)의 횡단면은 트랙 축 부분(T)과 거의 동일하며, 이 트랙 축 부분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레일(R)의 상부에 위치해 있다. 볼 홀더(1)는 긴 축(2)의 네 코너에 있는 다수의 홈(3)들과 긴 축(2)에 의해 형성된다. 홈(3)들은 트랙 축 부분(T)이나 새들(6)의 수에 따라 두 개 혹은 그 이상 될 수 있다.
축(2)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갖는 도 3에 도시된 연성 플라스틱 같은 재료이다.
새들(6)이 레일(R)에서 이탈될 때 스틸 볼(7)은 볼 홀더(1)에 의해 유지된다. 베어링 몸체(4)의 상보형 홈(8)과 볼 홀더(1)의 상보형 홈(3)에 의해 형성된 레이스웨이의 직경은 스틸 볼(7)의 직경보다 조금 작다. 그러므로, 볼 홀더(1)의 홈(3)들은 볼 홀더(1)가 새들(6)내에서 압력 끼워맞춤되도록 스틸 볼(7)에 의해 약간 압력을 받게 된다.
또한, 볼 홀더(1)는 새들(6)의 베어링 몸체(4) 내부의 공동보다 작기 때문에그들 내부에 각각 볼 홀더(1)를 지닌 다수의 새들(6)을 저장함에 있어서, 새들(6)은 밀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새들(6)의 저장이 매우 편리하며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6)을 레일(R)에 조립하기 위해 단부 캡(5)의 내부 개구부를 레일(R)의 트랙 축(T)에 맞출 때 새들(6)은 작동자의 한 쪽 손에 의해 잡혀져서 레일(R)을 향하여 움직인다. 도 4에서 새들(6)이 왼쪽으로 움직일 때 스틸 볼(7)은 새들의 보상형 홈(8)과 레일(R)의 홈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레이스웨이에 잡혀지며, 각각의 레이스웨이의 직경이 스틸 볼(7)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하중을 받게 된다. 결국, 볼 홀더(1)는 트랙 축 부분(T)의 단부 표면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새들(6)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그리하여, 스틸 볼(7)은 레일(R)과 베어링 몸체(4) 사이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없이 유지된다.
새들(6)을 레일(R)에서 제거하기 위해, 볼 홀더(1)를 우선 트랙 축 부분(T)의 단부 표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새들(6)을 스틸 볼(7)이 연속적으로 새들(6)의 보상형 홈과 볼 홀더(1) 사이에 잡힐 수 있도록 도 4에서 우측으로 레일(R)로부터 볼 홀더(1)위까지 움직인다.
만약, 축(2)이 고무와 같은 풍부한 탄성을 지닌 재료로 만들어졌다면, 홈(3)은 제거될 것이고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표면(3')이 될 수 있다.
또한, 축(2)은 스틸 볼(7)이 축(2)의 투명한 몸체를 통해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볼 홀더(1)의 길이는 베어링 몸체(4)의 길이보다 적어도 같거나 더 길다.
도 7은 베어링 몸체(4), 단부 캡(5), 스틸 볼(7), 볼 홀더(1)로 새들(6)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단계 1. 단부 캡(5)이 베어링 몸체(4)의 한 쪽 단부, 바람직하게는 바닥 단부에 부착된다. 그러면, 바람직하게는 부착된 단부 캡이 아래를 향하고 베어링 몸체(4)의 개구부 단부는 위쪽을 향하게 된다.
단계 2. 레이스웨이 공간 부재(A)가 장치(B)를 움직임에 의해 베어링 몸체(4)의 개구부 공동으로 삽입된다. 레이스웨이 공간 부재(A)에는 다수의 홈(30)이 제공되고 각 흠은 베어링 몸체(4)의 각 홈(8)에 대응한다. 보상형 홈(30, 8)에 의해 형성된 각 레이스웨이 공간(9)의 직경은 스틸 볼(7)의 직경보다 같거나 약간 작다.
단계 3. 스틸 볼(7)은 레이스웨이 공간(9)에 삽입되고 탈출 볼은 구멍(10)을 통해 삽입된다. 단부 캡(5)이 베어링 몸체(4)의 바닥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틸 볼(7)은 볼 이송 장치(C)에 의해 쉽게 레이스웨이 공간(9)으로 이송되고, 구멍(10)과 단부 캡(5)의 볼 재순환 홈을 통해 탈출 볼도 쉽게 이송된다.
단계 4. 베어링 몸체(4)의 상부 단부 표면을 두 번째 단부 캡(5)으로 닫는다. 바람직하게는 두 번째 단부 캡(5)의 볼 재순환 홈이 스틸 볼(7)로 사전에 채워져 있어야 한다. 이 단계에서 새들(6)은 베어링 몸체(4)와 한 쌍의 단부 캡들(5, 5), 레이스웨이 공간 부재(A), 다수의 스틸 볼(7)에 의해 형성되지만 이 때까지는스틸 볼(7)에 아무런 하중도 존재하지 않는다.
단계 5. 볼 홀더(1)는 단부 캡(5)의 바닥 하부에 위치되고 새들(6)은 볼 홀더(1) 상부로 미끄러진다. 볼 홀더(1)의 재료가 스틸 볼(7)과 베어링 몸체(4)의 재료보다 더 부드럽기 때문에 볼 홀더(1)는 스틸 볼(7)에 하중을 더 가하지 않고 약간 압력을 받아 마찰에 의해 새들(6) 내부에 확고하게 유지된다.
볼 홀더(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쪽 단부에서 단부 평면(15)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평면(15)은 단부 캡(5)의 총체적인 형상과 실제적으로 동일한 외부 형상을 가진다.
볼 홀더(1)의 축(2)은 새들(6)의 길이보다 길게 제작될 수 있고 양 단부에 도 9와 같이 탈착가능한 평판들(12, 12)이 제공될 수 있다. 각 단부 평판들(12, 12)은 단부 캡(5)의 총체적 형상의 크기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모양을 지니고 있고 윈도우(window)(13)가 제공되어 있는데, 마찰력으로 축(2)의 단부 평판이 이 윈도우에 고정되어 있다. 볼 홀더(1)는 단부 평판들(12, 12)이 그들 사이에 새들(6)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새들(6)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단부 평판들(12, 12)중 하나는 축(2)의 단부에 영구히 고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 평판(14')은 축(2)의 한쪽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계단 부분(14")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평판(15")과 축(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맞춤 평판(14') 또는 계단 부분(14")은 단부 캡(5)의 내부 개구부에 접해 있어서 마찰 응집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도 10과 도 11에 실시된 장점은 맞춤 평판(14') 또는 계단 부분(14')으로 인해 축을 베어링 몸체에 정밀하게 배치시킬 수 있어서 새들(6)이 볼 홀더(11')와 스틸 볼(7)을 사용하지 않고 레일(R)로부터 우연히 이탈되어 바닥에 떨어졌을 경우, 스틸 볼(7), 볼 홀더(11')로 새들(6)을 다시 쉽게 재조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2에서부터 도 20까지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조정가능한 레이스웨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볼 홀더를 도시한다.
도 12는 한 쌍의 독립적인 축 부분(22, 23)으로 구성되는 조정가능한 볼 홀더(21)를 도시한다. 제 1 축 부분(22)에는 오목면(24)이 제공되어 있다. 오목면(24)에는 경사진 바닥 표면(28)이 제공되어 있다. 반면에, 제 2 축(23)은 오목면(24)에 들어맞는 돌출부(25)를 가진다. 제 1 및 제 2 축(22, 23)의 양 단부가 서로 같은 높이로 조립될 때, 그들 사이에 약간의 공차(26)를 남기고 조립된 단부 표면은 레일(R)의 트랙 축 부분(T)의 형상과 실제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축 부분들(22, 23)이 축방향을 따라 서로 약간 재위치시킬 때 공차(26)는 제거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의 조정가능한 볼 홀더(21)는 먼저 베어링 몸체(4)의 공동에 삽입되고 스틸 볼(7)이 더 커진 레이스웨이 공간(9)에 채워진다. 조절가능한 볼 홀더(21)의 홈(31)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레이스웨이 공간(9)과 베어링 몸체(4)의 홈(8)은 스틸 볼(7)보다 약간 커서 스틸 볼(7)을 채우는 작업은 쉽게 완수될 수 있다.
단부 캡(5)의 레이스웨이 공간(9)과 구멍(10)을 통과하는 탈출 볼과 볼 재순환 홈이 스틸 볼(7)로 채워진 후, 다른 단부 캡(5)이 베어링 몸체(4)의 개구부 단부를 밀폐하기 위해 고정된다. 그리고, 두 축 부분(22, 23)은 양 표면이 서로 같은높이가 될 때까지 축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두 축 부분(22, 23)의 상대적인 위치는 마찰력에 의해 유지되거나 바람직하게는 탈착가능한 나사(27)에 의해 유지된다. 그렇지 않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커버(28)가 나사(27)의 대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맞춤 평판(14')이 제공된 축(2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맞춤 평판(14')은 단부 캡(5)의 내부 개구부에 맞추어 삽입된다.
도 17은 두 축(22", 2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데, 이 속의 오목면(24')과 돌출부(25')가 횡단면으로 테이퍼되어 있다.
도 18은 축(33)이 관 모양이고 한 쌍의 립(lip)들(34, 34)에 의해 형성된 바닥으로 잘려나간 개구부(35)를 지닌 것 외에는 레일(R)의 트랙 축 부분(T)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가진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홈(35)이 볼 홀더(33)의 네 코너에 제공되어 있고 레일(R)의 트랙 축 부분(T)의 홈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도 19와 도 20은 이러한 볼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볼 홀더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도 20에서, 볼 홀더(43')에 스틸 볼(7)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윈도우(46)가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실시예에서, 볼 홀더(33)의 외부 형상은 트랙 축 부분(T)의 형상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나,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들(34, 34)이 서로 접촉하여 고정되어 있을 때는 작아지며, 그들 내부에 형성된 각 레이스웨이 공간(9)의 직경은 스틸 볼(7)의 직경보다 약간 커진다. 스틸 볼(7)이 레이스웨이 공간에 채워진후, 립들(34, 34)이 떨어져서 볼 홀더(33)는 원래의 모양에서 벗어나고 스틸 볼(7)은 베어링 몸체(4)와 볼 홀더(33)의 사이에 고정된다.
도 22는 립들(34, 34)의 사이에 형성된 공자(35)에 삽입될 삽입 요소(40)를 도시한다. 스틸 볼(7)이 채워진 후 정지 요소(40)의 돌출부(41)의 폭이 립들(34, 34) 사이의 공차(35)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볼 홀더(33)는 정지 삽입 요소(40)가 삽입될 때 새들(6)에 더욱 확고히 고정된다.
삽입 요소(40)는 새들(6)이 레일(R) 위를 미끄러질 때 볼 홀더(33)가 하중을 받는 스틸 볼(7)로부터의 저항으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막고 그리하여 또한 스틸 볼(7)이 우려되는 변형으로 인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막는다.
도 23은 리세스(43)와 돌출부(44)를 지닌 또 다른 삽입 요소(42)를 도시한다. 리세스(43)는 서로 접촉하여 립들(34, 34)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4는 단부 평판(55)과 그들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캔틸레버(cantilever)돌출부들(52, 52)를 지닌 조정가능한 볼 홀더(5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단부 평판(52)의 외부 형상은 단부 캡(5) 혹은 베어링 몸체(4)의 형상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볼 홀더(53)가 새들(6)에 삽입될 때, 단부 캡(5)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측면 평판(55)의 위치에서, 분리된 캔틸레버 돌출부들(52, 52)의 위치는 또한 스틸 볼(7)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지닌 레이스웨이(9)를 제공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로 결정되어야 한다.
분리된 캔틸레버 돌출부들(52, 52) 사이의 중심부 공차(57)는 약간 넓어진 레이스웨이(9)로 스틸 볼(7)을 삽입하기 위하여 서로 접촉시키기 위한 립들(54,54)을 고정함에 의해 좁아진다. 스틸 볼(7)을 채운 후에, 립들(54, 54)은 풀려져서 분리된 캔틸레버 돌출부들(52, 52)은 몸체(4)의 홈(8)에 대향하여 스틸 볼(7)을 고정한다.
도 25는 맞춤 평판(65)이 제공된 볼 홀더(6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맞춤 평판(65)은 마찰력으로 단부 캡(5)의 내부 개구부와 인접해 있다. 또한, 캔틸레버 돌출부들(62, 62)은 공차(66)를 지니며 맞춤 평판(65)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어서 캔틸레버 돌출부들(62, 62)이 용이하게 경사질 수 있다.
도 26은 돌출부(71)와 테이퍼된 리세스(73)를 지니는 삽입 요소(70)를 도시한다. 삽입 요소(70)의 외부 횡단면은 캔틸레버 돌출부들(52, 52)의 사이 혹은 캔틸레버 돌출부들(62, 62)의 사이에 있는 내부 공동의 횡단면과 동일하다.
공차(57 또는 67)는 립들(54, 54) 또는 립들(64, 64) 위의 테이퍼된 리세스(73)를 움직임에 의해 좁아진다. 스틸 볼(7)이 공급된 후, 삽입 요소(70)가 립으로부터 이탈된다. 그 후, 모든 삽입 요소(70)가 캔틸레버 돌출부들(52, 52)의 사이 또는 캔틸레버 돌출부들(62, 62)의 사이에 있는 내부 공동에 삽입되어 볼 홀더(53 또는 63)가 스틸 볼(7)을 더욱 견고히 고정한다.
도 27은 리세스(83)가 있는 짧은 삽입 요소(80)를 도시한다. 리세스(83)의 길이(L)는 공차(57 또는 67)를 없애기 위해 립들(54, 54) 또는 립들(64, 64)의 외부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더욱 짧다.
짧은 삽입 요소(80)의 폭(W)은 공차(57 또는 67)와 실제적으로 약간 동일하다. 그리하여 새들(6)이 조립될 때, 짧은 삽입 요소(80)는 스틸 볼(7)에 의해 좁아진 공차(57 또는 67)에 삽입되어 캔틸레버 돌출부를 외부로 밀어낸다.

Claims (6)

  1. 베어링 몸체와 그 베어링 몸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 캡을 갖는 리테이너리스(retainerless) 새들용 볼 홀더로서, 상기 볼 홀더는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되었을 때 사용되고,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은 홈을 가지며,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 상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때에, 사전에 장입된 다수의 스틸볼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레일과 조립되어서 사전 장착형의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 어셈블리를 형성하게 되는 구성으로 된 볼 홀더에 있어서,
    상기 볼 홀더가,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과 독립적이고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될 때에만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의 홈 내에서 위치되며 또한 레일로부터 독립된 긴 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긴 축 부분은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될 때 상기 스틸 볼을 직접 지지하고 상기 스틸 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볼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 지지 수단은 그 축을 따라 긴 축 부분의 주위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볼 지지 수단 각각은, 상기 볼 지지 수단 각각과 베어링 몸체의 상기 홈 각각이 독립적인 레이스웨이를 형성하도록, 베어링 몸체 내에서 제공된 각 홈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볼 홀더의 볼 지지 수단의 위치는 레일의 트랙 축 부분의 홈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볼 홀더는 상기 볼 홀더와 리테이너리스 새들 사이의 볼들을 유지시키도록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될 때에만 사용되고 사전 장입형의 직선 베어링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레일 위로 상기 새들이 삽입될 때 리테이너리스 새들밖으로 이동되며, 상기 긴 축은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리스 볼 홀더.
  2. 베어링 몸체와 그 베어링 몸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 캡을 갖는 리테이너리스 새들용 볼 홀더로서, 상기 볼 홀더는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되었을때 사용되고,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은 홈을 가지며,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 상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때에, 사전에 장입된 다수의 스틸 볼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레일과 조립되어서 사전 장착형의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 어셈블리를 형성하게 되는 구성으로 된 볼 홀더에 있어서,
    상기 볼 홀더가,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과 독립적이고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될 때에만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의 홈 내에서 위치되며 또한 레일로부터 독립된 긴 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긴 축 부분은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될 때 상기 스틸 볼을 직접 지지하고 상기 스틸 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볼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 지지 수단은 그 축을 따라 긴 축 부분의 주위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볼 지지 수단 각각은, 상기 볼 지지 수단 각각과 베어링 몸체의 상기 홈 각각이 독립적인 레이스웨이를 형성하도록, 베어링 몸체 내에서 제공된 각 홈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볼 홀더의 볼 지지 수단의 위치는 레일의 트랙 축 부분의 홈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볼 홀더는 상기 볼 홀더와 리테이너리스 새들 사이의 볼들을 유지시키도록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될 때에만 사용되고 사전 장입형의 직선 베어링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레일 위로 상기 새들이 삽입될 때 리테이너리스 새들밖으로 이동되며, 상기 긴 축은 연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리스 볼 홀더.
  3. 베어링 몸체와 그 베어링 몸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 캡을 갖는 리테이너리스 새들용 볼 홀더로서, 상기 볼 홀더는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되었을때 사용되고,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은 홈을 가지며,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 상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때에, 사전에 장입된 다수의 스틸 볼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레일과 조립되어서 사전 장착형의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 어셈블리를 형성하게 되는 구성으로 된 볼 홀더에 있어서,
    상기 볼 홀더가,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과 독립적이고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될 때에만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의 홈 내에서 위치되며 또한 레일로부터 독립된 긴 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긴 축 부분은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될 때 상기 스틸 볼을 직접 지지하고 상기 스틸 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볼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 지지 수단은 그 축을 따라 긴 축 부분의 주위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볼 지지 수단 각각은, 상기 볼 지지 수단 각각과 베어링 몸체의 상기 홈 각각이 독립적인 레이스웨이를형성하도록, 베어링 몸체 내에서 제공된 각 홈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볼 홀더의 볼 지지 수단의 위치는 레일의 트랙 축 부분의 흠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볼 홀더는 상기 볼 홀더와 리테이너리스 새들 사이의 볼들을 유지시키도록 리테이너리스 새들이 레일에서 이탈될 때에만 사용되고 사전 장입형의 직선 베어링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레일 위로 상기 새들이 삽입될 때 리테이너리스 새들밖으로 이동되며, 상기 긴 축은 접하는 제 1 축 부분과 제 2 축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리스 볼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부분에는 경사진 바닥 표면을 갖는 오목면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축 부분에는 상기 제 1 축 부분의 오목면에 들어맞는 경사진 돌출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리스 볼 홀더.
  5. 탈출 볼 관통 홀을 갖는 베어링 몸체, 스틸 볼, 한 쌍의 단부 캡들, 및 볼 홀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 홀더는 베어링 몸체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를 가지며 베어링 몸체로부터 독립적인 구성으로 된 리테이너리스 새들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직선 운동 베어링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베어링 몸체의 한 단부면에 상기 한 쌍의 단부 캡들 중 어느 한 단부캡을 부착하는 단계와,
    (b) 상기 베어링 몸체 내에 상기 스틸 볼 각각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 레이스웨이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베어링 몸체의 상기 레이스웨이와 상기 탈출볼 관통 홀 안으로 스틸 볼을 공급하는 단계와,
    (d) 새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한 쌍의 단부 캡들 중 다른 단부캡을 가지고 베어링 몸체의 개방 단부를 덮는 단계와,
    (e) 리테이너리스 새들 어셈블리가 형성되도록 상기 스틸 볼이 상기 베어링 몸체 내에서 상기 레이스웨이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하여서 상기 레이스웨이 내에 위치된 상기 스틸 볼을 유지하는 단계와,
    (f) 상기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볼 홀더가 없는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이 형성되도록 레일 상으로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 어셈블리를 활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방법.
  6. 탈출 볼 관통 홀을 갖는 베어링 몸체, 스틸 볼, 한 쌍의 단부 캡들로 이루어진 리테이너리스 새들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직선 운동 베어링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베어링 몸체의 한 단부면에 상기 한 쌍의 단부 캡들 중 어느 한 단부캡을 부착하되, 상기 한 쌍의 단부캡들 중 다른 단부캡은 상기 베어링 몸체의 다른 단부면에 부착되지 않게 하는 단계와,
    (b) 레이스웨이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베어링 몸체 내에 상기 스틸 볼 각각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 레이스웨이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베어링 몸체의 상기 레이스웨이와 상기 탈출볼 관통 홀 안으로 스틸 볼을 공급하는 단계와,
    (d) 상기 스틸 볼이 상기 베어링 몸체 내에서 상기 레이스웨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레이스웨이 내에 헐겁게 위치된 상기 스틸 볼을 상기 레이스웨이 스페이서에 의해 유지시키는 단계와,
    (e)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한 쌍의 단부캡들 중 다른 단부캡을 가지고 베어링 몸체의 다른 개방 단부를 덮는 단계와,
    (f) 상기 레이스웨이 스페이서가 레일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스틸 볼이 상기 베어링 몸체와 레일에 의해 직접 지지되게 하여서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레일 상으로 상기 리테이너리스 새들 어셈블리를 활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방법.
KR1019960705252A 1994-03-23 1995-03-23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 KR100382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642894A 1994-03-23 1994-03-23
US08/216,428 1994-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1839A KR970701839A (ko) 1997-04-12
KR100382596B1 true KR100382596B1 (ko) 2003-10-04

Family

ID=2280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252A KR100382596B1 (ko) 1994-03-23 1995-03-23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5619798A (ko)
EP (1) EP0745195B2 (ko)
JP (1) JP3745369B2 (ko)
KR (1) KR100382596B1 (ko)
DE (1) DE69524391T3 (ko)
WO (1) WO1995025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5000A (en) * 1997-12-02 2000-04-04 Rauworth; Barry Lee Blow molded drum
JP4651794B2 (ja) * 2000-09-18 2011-03-16 Thk株式会社 転がり案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転がり案内装置を含む駆動装置
EP1319853B1 (en) * 2001-12-13 2009-09-16 NSK Ltd., Linear-Mo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29888B4 (de) * 2002-07-03 2010-09-30 Dr. Johannes Heidenhai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bringen eines Maßstabs oder Maßstabträgers oder einer Maßstabführung sowie Maßstab, Maßstabträger oder Maßstabführung oder Schutzband dafür
US7670053B2 (en) * 2005-06-20 2010-03-02 Hiwin Technologies Corp. Detachable rolling-element retainer
US7445386B2 (en) * 2006-09-15 2008-11-04 Hiwin Technologies Corp. Retaining device for a linear transmission system
DE102006045215B3 (de) * 2006-09-25 2008-04-24 Hiwin Technologies Corp. Haltevorrichtung eines Linearantriebssystems
JP5370541B2 (ja) * 2012-06-25 2013-12-18 日本精工株式会社 静圧気体軸受直線案内装置、検査装置及び搬送装置
DE102012213973B4 (de) 2012-08-07 2022-03-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ontageschiene für einen Führungswagen einer Profilschienen-Wälzführung
DE102013210695B3 (de) * 2013-06-07 2014-11-2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Montageschiene für einen Führungswagen einer Linearführung
DE102013014184B4 (de) * 2013-08-24 2017-04-06 Festo A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inearführungseinrichtung
US9718148B2 (en) 2014-08-07 2017-08-01 Machitech Automation Guiding assembly for a workpiece cutting apparatus, workpiece cut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placing a cutting assembly along a workpiece cutting table
JP6850214B2 (ja) * 2016-08-08 2021-03-31 Thk株式会社 移動体保持具及び移動体
DE102017203377A1 (de) 2017-03-02 2018-09-06 Robert Bosch Gmbh Montagehilfe für einen Führungswagen
TWI626387B (zh) * 2017-09-05 2018-06-11 Hiwin Tech Corp Expanded clamping rail for linear slide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29903A (fr) * 1959-03-24 1960-09-12 Roulements A Aiguilles Sa Douille de retenue provisoire des aiguilles, utilisable dans la fabrication et la manutention des roulements à aiguilles
GB1407398A (en) * 1971-10-09 1975-09-24 Lucas Industries Ltd Linear bearings
JPS5572912A (en) * 1978-11-25 1980-06-02 Hiroshi Teramachi 4-direction equal-load type linear bearing
US4427240A (en) * 1982-02-13 1984-01-24 Hiroshi Teramachi Endless linear ball bearing
IT1177677B (it) * 1983-05-02 1987-08-26 Hiroshi Teramachi Cuscinetto a scorrimento lineare e complesso a tavola che lo comprende
JPS61206818A (ja) * 1985-03-08 1986-09-13 Hiroshi Teramachi 直線運動用ベアリングユニツト
JPS61190026U (ko) * 1985-05-20 1986-11-27
JPS63293319A (ja) * 1987-05-25 1988-11-30 Hiroshi Teramachi 直線及び曲線兼用ベアリング
US4793720A (en) * 1988-01-21 1988-12-27 American Standard Inc. Railway car resilient side bearing
JPH0650126B2 (ja) * 1988-12-19 1994-06-29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FR2642123B1 (fr) * 1989-01-25 1991-05-10 Lecomte Marc Guide lineaire de precision
DE8900848U1 (ko) * 1989-01-26 1989-03-09 Fag Kugelfischer Georg Schaefer Kgaa, 8720 Schweinfurt, De
US5175931A (en) * 1989-03-17 1993-01-05 Ntn Corporation Angular ball bear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DE3913343C2 (de) * 1989-04-22 1997-06-19 Kugelfischer G Schaefer & Co Haltehilfshülse für Rollen- und Nadellager
JP2714863B2 (ja) * 1989-08-18 1998-02-16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樹脂製直動案内ユニツト
US4974971A (en) * 1989-09-26 1990-12-04 Nippon Thompson Co., Ltd. Small-sized linear motion guide assembly
JP2584875B2 (ja) * 1989-11-08 1997-02-26 テイエチケー 株式会社 直線摺動用ベアリング
US5082374A (en) * 1989-11-09 1992-01-21 Koyo Seiko Co., Ltd. Linear guide device
JPH03199710A (ja) * 1989-12-27 1991-08-30 Nippon Thompson Co Ltd 直動案内ユニット
JP2542245Y2 (ja) * 1991-05-13 1997-07-23 テイエチケー株式会社 直線運動用ベアリングの側蓋固定構造
JP2689291B2 (ja) * 1991-05-13 1997-12-10 テイエチケー株式会社 4方向等荷重用ガイド及び往復運動テーブル機構
JPH0672609B2 (ja) * 1991-05-16 1994-09-14 テイエチケー株式会社 直線運動機構の密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877994B2 (ja) * 1991-08-21 1999-04-05 テイエチケー株式会社 直線摺動用軸受
JPH05141416A (ja) * 1991-11-16 1993-06-08 Nippon Thompson Co Ltd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ツト
JP2931465B2 (ja) * 1991-12-18 1999-08-09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JPH05332357A (ja) * 1992-05-28 1993-12-14 Nippon Thompson Co Ltd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JPH0650333A (ja) * 1992-07-30 1994-02-22 Nippon Seiko Kk リニア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25909A1 (en) 1995-09-28
EP0745195A4 (en) 1998-01-28
JPH10501602A (ja) 1998-02-10
DE69524391T2 (de) 2002-07-18
DE69524391D1 (de) 2002-01-17
JP3745369B2 (ja) 2006-02-15
KR970701839A (ko) 1997-04-12
US5774988A (en) 1998-07-07
DE69524391T3 (de) 2008-09-11
EP0745195A1 (en) 1996-12-04
US5619798A (en) 1997-04-15
EP0745195B2 (en) 2008-02-20
US6158890A (en) 2000-12-12
EP0745195B1 (en) 200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596B1 (ko) 리테이너리스 직선 운동 베어링
US6352367B1 (en) Spacer for liner motion apparatus and liner motion apparatus provided with spacer
JPH034021A (ja) 直線運動ベアリング
US7721419B2 (en) Tool for assembling a taper roller
EP0752072B1 (en) Linear motion bearing
GB2089443A (en) Roller bearing unit for guiding a linear movement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EP1328734B1 (en) Linear motion bearing segment
US3545826A (en) Compliant and self-alining ball bearing for linear motion
US5022768A (en) Moulded roller bearings and retainer cage and method of assembling drawer slides
JPH02292515A (ja) ボール・ころ併用リニアガイド装置
WO1990010159A1 (en) Bearing for straight slide and method of setting thereof
CA2038660C (en) Linear motion bearing
US4441765A (en) Track guide bearing
GB2164709A (en) Linear slide rolling bearings
US6109789A (en) Linear slide
TWM522281U (zh) 滾柱保持器及滑塊組件
US4527840A (en) Linear bearing
JPS6233140Y2 (ko)
US4443042A (en) Rolling bearing for lengthwise movement
JP6236226B2 (ja) 保持板を備えた直動案内ユニット
JP2540163Y2 (ja) 薄肉形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US4810104A (en) Linear guide apparatus with ball retainer
JPH08114223A (ja) 直線案内装置
JP2000002241A (ja) 直線案内装置
JPH0656181B2 (ja) ボール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