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604B1 -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중합체 - Google Patents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604B1
KR100377604B1 KR1019950037681A KR19950037681A KR100377604B1 KR 100377604 B1 KR100377604 B1 KR 100377604B1 KR 1019950037681 A KR1019950037681 A KR 1019950037681A KR 19950037681 A KR19950037681 A KR 19950037681A KR 100377604 B1 KR100377604 B1 KR 100377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methacrylate
polymer
weight
molecular weight
methacrylat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176A (ko
Inventor
사까모또다까시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14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 - 평균 분자량이 80,000 내지 400,000 의 범위이고, 중합체의 z - 평균 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된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이 30,000 내지 1,000,000 의 범위인, 주성분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함유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본 발명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에 관한, 더욱 상세하게는 특별한 분기 구조를 가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메타크릴레이즈 중합체는 충분한 강성, 탁월한 투명성 및 내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출 성형, 예를 들면 램프 렌즈, 자동차 미터기 커버, 안경 렌즈 및 도광체(light guide members) 등과 같은 사출 성형물, 또는 압출성형, 예를 들면 현판 및 명찰과 같은 압출 쉬이트를 통해 다양한 응용을 한다.
중합체가 사출 또는 압출 성형과 같은 용융 유동상태에서 성형될 때, 중합체가 성형 공정에서 높은 유동성을 가지며 수득된 성형물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을 포함하는 탁월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합체의 분자량을 낮추는 하나의 방법이 상기에서 서술된 그와 같은 필요조건을 수행하기 위해 이전에 제안되었다.
분자량을 낮추지 않고 중합체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공지의 방법은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공중합체 성분을 중합체에 가하는 것이다.
보다 넓은 분자량 분포 및 이에 따른 높은 내약품성을 갖는 공지의 아크릴수지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고 제 58-455호, 제 58-15490호및 제 62-34046 호에 나타나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 48-95491호는 15 % 이상의 겔 분획을 가진 불용성 가교 중합체의 분말 내에서 미리 팽창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함으로써, 그리고 다작용기 단량체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아크릴 수지를 기술하고 있다.
고유동성을 위한 더 작은 분자량을 가진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낮은 내약품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공중합체 성분의 더 많은 양의 첨가는 유리 전이 온도 및 수득된 수지의 내열성을 낮게 한다. 따라서, 공중합 성분을 첨가하는 이 기술은 상기에서 언급된 다량한 물리적 성질의 향상에 대한 제한된 효과만을 가진다.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다른 제안된 수지는 낮은 용융 유동성이라는 결점을 갖는다.
일본 특허 공개 제 48-95491호에 나타나 있는 아크릴 수지는 낮은 용융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 용융 상태에서 성형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자량의 일반적인 지표로서 사용되는 환원 점도를 위해 보통 수준을 유지하는 동안에, 높은 전단 속도 조건 하에서 압출 또는 사출 성형 조건을 결정하는 높은 용융 유동 성질을 갖는 향상된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메타아크릴 수지는 용융 유동성과 상반되어 보이는 탁월한 내열성, 내약품성 및 기계적인 성질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용융 장력을 더 가지고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이외의 목적과 효과는 다음의 서술에서 분명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 - 평균 분자량이 80,000 내지 400,000 의 범위이고 z 평균 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된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이 30,000 내지 1,000,000 의 범위에 있는, 기본 성분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기본적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는 50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가 50 중량 %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일 작용기 불포화 단량체 단위에 의해 부분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와 단일 작용기 불포화 단량체 단위를 함께 '단일작용기 구조 단위' 로 간단하게 언급하고, 그 단일 작용기 단위를 형성하는 단량체(들)는 '단일 작용기 단량체' 로 간단하게 언급할 것이다. 공중합할 수 있는, 중합체 내의 단일 작용기의 불포화된 단량체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중량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중량 % 이다.
중합체는 또한 중합체의 z -평균 분자량에 있어서의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을 30,000 내지 1,000,000 의 범위로 만드는, 소정량의 다작용기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 중의 분기는 다작용기 구조 단위에 의해, 더욱 특히 다작용기 구조 단위의 말단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다작용기 구조 단위 함량은 다작용기 구조 단위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비율에 의존하고, 그 단위는 대부분의 공급된 단량체를 함유한다.
중합체 중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 함량이 50 중량 % 미만일 때, 중합체는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의 특징인 충분한 투명도 또는 기계적 강도를 보여주지 못한다.
단일 작용기 불포화 단량체 단위를 형성하는, 공중합할 수 있는 단일작용기 불포화 단량체의 예는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벤질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레이트류 ;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류 ;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말레산 및 이타콘산과 같은,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산 무수물; 2 -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 -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모노글리세롤 아크릴레이트, 2 -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모노글리세롤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히드록시 기를 포함하는 (메트) 아크릴레이트류 ; 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및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와 같은 (메트) 아크릴아미드류 ;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메트) 아크릴로니트릴류 ;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미노 기를 포함하는 (메트) 아크릴레이트류 ;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와 같은 알릴 에테르류 ; 비닐 글리시딜 에테르와 같은 비닐 에테르류 ;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폭시 기를 포함하는 (메트) 아크릴레이트류 ; 그리고 스티렌 및 α - 메틸스티렌과 같은 비닐 벤젠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중량 - 평균 분자량 (Mw)는 80,000 내지 400,000, 바람직하게는 150,000 내지 300,000 의 범위이다.
80,000 미만의 Mw 를 갖는 중합체는 불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내약품성을 갖는다.
반면에, 400,000 초과의 Mw를 갖는 중합체는 낮은 용융 유동성 및 이에 따른 바람직하지 못한, 불충분한 성형성을 갖는다.
본발명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내에서, z - 평균 분자량 (Mz) 중에 있어서의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Mzb)은 30,000 내지 1,000,000, 바람직하게는 40,000 내지 400,000 의 범위이다.
1,000,000 초과의 Mzb 를 갖는 중합체는 높은 전단 속도 조건 하에서 낮은 유동 특성과 낮은 내약품성을 갖는다.
30,000 미만의 Mzb 를 갖는 중합체는 기계적 강도와 성형물의 외관이 좋지 못하다.
Mw 및 Mz는 겔 투과크로마토그래피 (GPC)및 시차 굴절율계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된다.
측정 방법은, 예를 들면, '중합체 특성의 분석' (일본 고분자 학회의 편집, 1984년판, 교리쓰 출판 주식회사)의 24 ∼ 55 페이지에 서술되어 있다.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은 분기 구조를 갖는 중합체 중의 첫번째 분기점에서두번째 분기점 사이의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은 Mz 로부터 유도된 값에 의해 표현된다.
z -평균 분자량에 있어서의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인 Mzb는 '특성'[일본 고무 협회지 (Bulletin of the Japan Rubber Association), 제 45 권, 제 2호, 제 105 ∼ 118 페이지] 의 기재 내용을 근거로 해서 하기의 식 1 및 2 에 따라 계산된다:
[식 1]
[식 2]
[식중, GPC 용출시간의 보편 교정 곡선을 기준으로 한 대상 중합체의 절대 분자량과 극한 점도 및 표준 직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극한 점도와 분자량의 산출 사이의 관계로부터 계산되는 [η1] 은 대상 중합체의 Mz 의 값에서 극한 점도를 나타내고 ; [η2] 는 대상 중합체의 Mz 값과 동일한 분자량을 갖는 표준 직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극한 점도를 나타내고 ; 그리고 Bz 는 z - 평균 분자량 Mz 에 있어서의 분기점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중합체가 0.7이하의 환원 점도(d1/g 라는 단위로 측정됨)를 가질 때는 30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의 비율 (중량 % 로 표현됨)이 (14 × 환원 점도 (%) - 6.8) 내지 (14 × 환원 점도 (%) + 11.2) 이고, 상기 중합체가 0.7 초과의 환원 점도를 가질 때는 30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의 비율 (중량 % 로 표현됨) 이 (40 × 환원 점도 (%) - 25) 내지 (40 × 환원 점도 - 7) 인 분자량 분포를 본 발명의 메타크릴레이트가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서술에서 달리 지정되지 않으면, "분자량" 은 직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분자량에 대해 계산된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표현된 환원 점도는 대상 중합체가 1 g/dl 의 용액 농도를 가질 때 25℃ 의 클로로포름에서 측정된 값이다.
30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 부분의 분획이 상기의 지정된 범위 이내일 때, 중합체는 더 균형있는 유동성, 내약품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겔 분획 (아세톤 - 불용성 함량 대 전체 중합체의 중량 %) 로 표현되는, 본 발명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중의 가교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3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 % 이다.
본 발명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다작용기 구조 단위를 형성하고 필요조건으로서 연쇄 이동제 및/또는 중합 개시제를 더 형성하는 소정량의 단량체와 단일 작용기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다작용기 구조 단위를 형성하는 단량체는 대개 다작용기 단량체이다. 명세서에서, 다작용기 단량체는 그 분자내 적어도 두개의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이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할 수 있다.
다작용기 단량체 함량은 중합체 내에서 일반적으로 0.02 내지 0.3 %,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 중량 % 이다.
다작용기 단량체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에 의해 에스테르화된 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 및 에틸렌 글리콜의 올리고머류의 에스테르류 ;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2가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틴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디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에 의해 에스테르화된 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의 에스테르 ; 및 디비닐벤젠과 같은, 둘 이상의 알케닐 기를 갖는 아릴 화합물을 포함한다.
메타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의 연쇄 이동제도 연쇄 이동제로 사용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는 하나의 연쇄 이동제 작용기를 갖는 단일 작용기 연쇄 이동제와 둘 이상의 연쇄 이동 작용기를 갖는 다작용기 연쇄 이동제를 포함한다.
단일 작용기 연쇄 이동제의 예는 알킬 메르캅탄류 및 티오글리콜레이트류를 포함하고, 반면에 다작용기 연쇄 이동제의 예는 티오글리콜산 또는 3 - 메르캅토프로피온산으로 에스테르화된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코올류의 다가에스테르류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알코올류는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및소르비톨을 포함한다.
다작용기 연쇄 이동재는 다작용기 구조 단위를 형성하는 단량체처럼 작용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다작용기 단량체의 일부 또는 모든 부분은 다작용기 연쇄 이동제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연쇄 이동제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1몰의 단일 작용기 단량체에 대해 5 × 10-4몰 내지 5 × 10-3몰이다. 일반적으로 다작용기 단량체의 함량은 단일 작용기 단량체 1몰당 1 × 10-5내지 (연쇄 이동제 (몰) - 2.5 × 10-4) 의 작용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중량 - 평균 분자량은 주로 사용된 다작용기 단량체의 농도, 연쇄 이동제의 농도 및 라디칼 개시제의 농도에 의존한다.
중량 - 평균 분자량은 다작용기 단량체의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고 연쇄 이동제의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한다, 마찬가지로 중량 - 평균 분자량은 상기의 정해진 범위 내의 다작용기 단량체의 농도와 연쇄 이동제의 농도를 알맞게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된다.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은 주로 다작용기 단량체의 농도에 의해 조절된다.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은 다작용기 단량체의 농도의 증가와 더블어 감소한다.
다작용기 연쇄 이동제가 연쇄 이동제로 사용될 때,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은 동량의 단일 작용기 연쇄 이동제가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한다.
30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 부분의 비는 다작용기 단량체의 농도비 증가와 함께 증가한다.
비닐 단량체류의 중합에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의 중합 개시제도 중합 개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하나의 분자 내에 한쌍의 라디칼을 생기게 하는 단일 작용기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라디칼 쌍을 생기게 하는 다작용기 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중합이 벌크 중합의 경우에서처럼 45 내지 60 중량 % 중합 속도에서 종결될 때, 셋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다작용기 중합 개시제는 다작용기 단량체만을 갖는 분기화 공정과 비교하면 다작용기 단량체와 미반응 비닐기의 양을 효과적으로 줄인다.
3 - 작용기 중합 개시제 및 4 - 작용기 중합 개시제의 전형적인 예는 각각 트리스 - (t - 부틸퍼옥시) 트리아진 및 2, 2 - 비스 (4, 4 - 디 - t - 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 프로판이다.
중합체 개시제의 함량은 중합 방법에 따라 공지의 적당한 양이 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단일 작용기 단량체 100 중량부당 0.001 내지 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7 중량부이다.
다작용기 중합 개시제는 다작용기 구조 단위를 형성하는 단량체처럼 작용하고, 어떤 경우에는 다작용기 단량체의 일부 또는 모든 부분은 다작용기 중합 개시제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중량 - 평균 분자량은 종래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처럼 중합 개시제 함량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한다.
본 발명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서스펜션 중합, 벌크 중합 및 에멀션 중합 등의,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아크릴 수지용 임의의 공지된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서스펜션 중합의 반응 조건으로서, 반응 온도는 대개 약 60 내지 90℃ 의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에 의존하는 데, 예를 들면 반응은 70 내지 85℃ 의 반응 온도에서 1 내지 1.5 시간 후에 최고점에 달한다. 반응 최고점 후에 온도는 증가하여 100 ∼ 110℃ 가 되고 증가된 온도는 10 내지 30 분 동안 유지되고 반응이 완결된다. 겔 분획을 낮게 하기 위해서, 반응은 질소, 헬륨, 아르곤 등과 같은 불활성 대기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에 사용되는 다양한 첨가제, 예를 들면 금형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및 가소제는 필요조건에 따라 본 발명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에 손상을 주지 않는 한, 다른 아크릴 수지는 더 나은 내충격성 및/또는 내열성을 위해 본 발명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는 휨강도, 장력, 내약품성, 내열성을 포함하는 탁월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며, 반면에 높은 전단 속도 조건 하에서 바람직한 용용 유동성을 가진다.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이 강성, 내후성, 내약품성 및 투명성을 포함하는 필수 성질을 효과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중합체는 다양한 성형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합체는 알맞게 사출 성형하여 벽이 두꺼운 말단 부분을 가진 대형의 대상물 또는 생성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성형된 상태에서 높은 신장 점도를 가지며, 따라서 사출에서 용융을 일으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칸투어 (contour) 사출에 알맞으며, 열의 사용하에서 사출된 쉬이트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물질로 사용된다.
더우기, 블로우 (blow) 성형 또는 성형된 물질에 알맞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해진 형상으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중합체를 제공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기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어떤 의미에서도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및 참고예에서 제조된 중합체는 다음의 방법에 따라 평가된다.
· MFR : MFR (g/10 분) 은 JIS K7210 에 따라서 230℃, 3.80 kg 의 하중에서 10 분동안 측정된다.
· 나선 유동 길이 : 수득된 각 수지는 사출 성형기 (IS130F2 - 3AV, 도시바 기계 (주) 제조) 로 사출되어 40℃ 로 유지되는 두께 2 mm, 폭 10 mm 인 타원형 나선 유동 금형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금형 내에서 수지의 유동거리(cm)가 측정된다. 사출성형의 조건은 280℃ 의 실린더 온도, 820 kgf/㎠ 의 사출압 및 155 ㎤/sec 의 사출속도이다.
· 내약품성 : 사출 성형기 (메이끼 (주)에 의해 제조된 M140-SJ)로 150 mm × 150 mm × 3 mm의 평판 쉬이트를 만들고, 필름 게이트 (gate) 를 가진 평판 쉬이트 다이 (die)를 만든다. 150 mm × 25 mm × 3 mm 의 쉬이트는 사출 흐름에 평행한 방향에서 평판 쉬이트로부터 잘라진다.
잘려진 쉬이트를 6 시간 동안 감압 하에서 80℃ 에서 냉각하고, 샘플 조각은 접착성 있는 셀로판 테이프를, 가열냉각(annealing)시킨 쉬이트의 짧은 옆면에 사용함으로써 완성시킨다.
샘플 조각의 한쪽 말단이 캔틸레버 빔 (cantilever beam)에 의해 고정되는 동안에, 하중은 고정된 말단에서 6 cm 떨어진 받침대로 샘플 조각의 다른쪽 말단에 가한다.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받침대에 있는 샘플 조각의 표면에 도포하고 도포후 100 초 되는 시점에 크레이즈 (crase) 를 일으키는 하중을 응력 (kgf/㎠) 으로 표시한다.
· 휨강도 : 휨강도 (kgf/㎠)는 ASTM-D790 에 따라서 측정된다.
· 인장강도 : 인장강도 (kgf/㎠)는 ASTM-D638 에 따라서 측정된다.
· 열변형온도 (HDT) : HDT (℃) 는 ASTM-D648 에 따라서 측정된다.
· 환원 점도 (η sp/c) ; JIS Z8803 에 따라서, 환원 점도 (d1/g) 는 25℃ 의 클로로포름 용액내 1 g/d1 의 농도에서 측정된다.
. 중량-평균 분자량 (Mw) 및 z -평균 분자량 (Mz) : Mw 및 Mz는 시차 굴절율계 및 점도계 (Waters 사에서 제조한 GPC150-CV) 가 설치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표준 직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분자량 - 용출시간] 교정 곡선으로부터 얻는다.
· z- 평균 분자량에 있어서의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Mzb): Mz 값과 동일한 분자량을 갖는 표준 직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극한 점도[η2] 는 표준 직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분자량 - 용출시간] 교정 곡선 및 [극한 점도 -용출시간] 교정 곡선으로부터 얻는다. Mz 값에 상응하는 극한 점도 [η1] 은 표준 직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절대 분자랑 × 극한 점도) - 용출시간] 보편 교정 곡선으로부터 얻는다. 그 다음 Mzb는 상기의 식 1 및 2에 따라서 계산된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단량체 및 연쇄 이동제는 하기와 같다:
EGDMA :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HDA : 1, 6 -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PETA :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실시예 1
200 1 스테인레스 고압솥 안에, 96 중량부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 중량부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0.03 중량부의 EGDMA. 0.3 중량부의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0.14 중량부의 n -도데실메르캅탄, 200 중량부의 이온 - 교환수 및 1 중량부의 폴리 (소듐 메타크릴레이트) 를 혼합하고 질소 대기에서 가열시킨다. 80℃ 에서 중합을 개시한다. 90 분간의 중합 후, 그 혼합물을 100℃ 에서 60 분 동안 더 중합한다. 중합 후 혼합물을 세정, 탈수, 건조하고 비트 중합체를 산출한다. 수득된 중합체는 상기의 방법으로 평가된다. 결과는 표 1 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2 ~ 5, 비교 실시예 1 ~ 4
각각의 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연쇄 이동제 함량과 다작용기 단량체의 종류 및 함량이 표 1 및 2 에 따라서 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는다. 수득된 중합체는 상기의 방법으로 평가된다. 결과는 표 1 및 2에서 나타나 있다.
표 1
표 2

Claims (19)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000 내지 400,000 의 범위이고, z - 평균 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된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이 30,000 내지 1,000,000 의 범위이며, 중합체의 분기가 0.02 내지 0.3 중량 % 의 다작용기 구조 단위에 의해서 형성되는, 주성분으로서 50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함유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0.7 이하의 환원 점도(d1/g 라는 단위로 측정됨)를 가질 때는 30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의 비율(중량 % 로 표현됨)이 (14 × 환원 점도 (%) - 6.8) 내지 (14 × 환원 점도 (%) + 11.2) 이고, 중합체가 0.7 초과의 환원 점도를 가질 때는 30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의 비율 (중량 % 로 표현됨) 이 (40 × 환원 점도 (%) - 25) 내지 (40 × 환원 점도 (%) - 7) 인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70 중량 % 이상의 양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4. 제 2 항에 있어서, 1 중량 % 이상의 양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일 작용기 불포화 단량체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5. 제 4 항에 있어서, 단일 작용기 불포화 단량체 단위의 양이 3 중량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6. 제 5 항에 있어서, 단일 작용기 불포화 단량체 다위의 양이 3 내지 20 중량 %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다작용기 구조 단위의 양이 0.05 내지 0.2 중량 %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8. 제 4 항에 있어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일 작용기 불포화 단량체 단위가 (메트)아크릴레이트,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가진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의 산 무수물,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니트릴, 알릴 에테르, 비닐 에테르 그리고 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9. 제 1 항에 있어서, 다작용기 구조 단위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작용기 단량체, 다작용기 연쇄 이동제 및 다작용기 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다작용기 단량체가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된 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의 에스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올리고머의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된 히드록시기를 갖는 2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된 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의 에스테르 그리고 둘 이상의 알케닐기를 갖는 아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다작용기 연쇄 이동제가 티오글리콜산 또는 3 - 메르캅토프로피온산으로 에스테르화된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다작용기 중합 개시제가 3 - 작용기 또는 4 - 작용기 중합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3 - 작용기 또는 4 - 작용기 중합 개시제가 트리스 - (t -부틸퍼옥시) 트리아진 또는 2. 2 -비스 (4, 4 - 디 - t - 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 프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150,000 내지 300,000 의 범위인 중량 -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전체 중량에 의한 아세톤 - 불용성 함량의 비를 나타내는 겔 분획이 3 % 이하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겔 분획이 1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겔 분획이 약 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z - 평균 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된 분기점 사이의 분자량이 40,000 내지 400,0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한 형태를 가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KR1019950037681A 1994-10-28 1995-10-27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중합체 KR100377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65224 1994-10-28
JP26522494 1994-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176A KR960014176A (ko) 1996-05-22
KR100377604B1 true KR100377604B1 (ko) 2003-07-18

Family

ID=1741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681A KR100377604B1 (ko) 1994-10-28 1995-10-27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중합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26268A (ko)
KR (1) KR100377604B1 (ko)
DE (1) DE19540167A1 (ko)
FR (1) FR2726280B1 (ko)
GB (1) GB2294467B (ko)
TW (1) TW3009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1734A1 (de) * 1996-05-30 1997-12-04 Basf Ag Flammwidrig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phenylenethern
KR19980042502A (ko) * 1996-11-18 1998-08-17 고사이아끼오 언더컷형상을 갖는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
US6646068B2 (en) * 1998-03-12 2003-11-11 Lucite International Uk Limited Polymer composition
US6201099B1 (en) 1998-11-12 2001-03-13 National Starch &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Multireactivity polymercaptans, star polymers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6165563A (en) * 1998-11-12 2000-12-26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free radically polymerized star-branched polymers
US6177540B1 (en) 1998-11-12 2001-01-23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Use of star-branched polymers i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6150468A (en) * 1998-11-12 2000-11-21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Water soluble amphiphilic heteratom star polymers and their use as emulsion stabilizers in emulsion polymerization
KR100559103B1 (ko) 1998-11-30 2006-03-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JP4204301B2 (ja) * 2002-10-22 2009-01-0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導光板用樹脂
ES2400513T3 (es) * 2005-03-07 2013-04-10 Arkema Inc. Copolímeros de bloque conductores, métodos y artículos
JP2007269995A (ja) * 2006-03-31 2007-10-18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ポリ乳酸含有樹脂組成物、ポリ乳酸含有樹脂フィルム及びポリ乳酸含有樹脂繊維
WO2008079879A1 (en) * 2006-12-20 2008-07-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luorocopolymer blends
KR100868298B1 (ko) * 2006-12-26 2008-11-11 제일모직주식회사 내변색성 및 투과율이 우수한 메타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 방법
US8592040B2 (en) 2008-09-05 2013-11-26 Basf Se Polymer emulsion coating or binding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110212958A1 (en) * 2010-02-26 2011-09-01 Catabasis Pharmaceuticals, Inc. Fatty acid raloxifene derivatives and their uses
CN102834566B (zh) 2010-03-23 2016-04-27 巴斯夫欧洲公司 纸张涂布或粘合配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9102848B2 (en) 2011-02-28 2015-08-11 Basf Se Environmentally friendly, polymer dispersion-based coating formula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GB201405624D0 (en) 2014-03-28 2014-05-14 Synthomer Uk Ltd Method of making a branched polymer, a branched polymer and uses of such a polymer
US9758636B2 (en) 2014-12-16 2017-09-12 Rebel, Inc. High-transparent, thermoplastically processible polymer compositions
US11072673B2 (en) 2015-07-14 2021-07-2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acrylic resin, method for producing methacrylic resin, shaped article and automobile
CN105153354B (zh) * 2015-10-18 2017-07-11 长春工业大学 一种高支化聚合物的制备方法
CN113336882B (zh) * 2021-05-24 2022-11-04 博立尔化工(扬州)有限公司 一种采用间歇式本体聚合法制备窄分子量分布的pmma树脂的工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6194B2 (ko) * 1972-03-22 1979-11-07
US4246382A (en) * 1977-11-11 1981-01-20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Solvent resistent acrylic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152506A (en) * 1978-04-26 1979-05-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eparation of thermoformable methyl methacrylate sheets
JPS6060112A (ja) * 1983-09-14 1985-04-06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重合体の製造方法
US4661571A (en) * 1984-10-02 1987-04-2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eat resistant methacrylic resin
JPH066608B2 (ja) * 1985-08-06 1994-01-2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メタクリル酸エステ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DE3612791C2 (de) * 1986-04-16 1997-01-16 Roehm Gmbh Polymethacrylatformmasse mit hoher Wärmeformbeständigkeit und hoher thermischer Stabilitä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JPH0372505A (ja) * 1989-05-24 1991-03-27 Sanyo Chem Ind Ltd 電子写真用トナーバインダー
DE4038625A1 (de) * 1990-12-04 1992-06-11 Basf Ag Substanz- und suspensionspolymerisate auf der basis von methylmethacryl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26280A1 (fr) 1996-05-03
DE19540167A1 (de) 1996-05-02
GB2294467B (en) 1997-03-19
GB9521988D0 (en) 1996-01-03
FR2726280B1 (fr) 1997-10-10
KR960014176A (ko) 1996-05-22
US5726268A (en) 1998-03-10
GB2294467A (en) 1996-05-01
TW300900B (ko) 199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604B1 (ko)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중합체
US6252002B1 (en)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CA2578717A1 (en) Use of polyalkyl(meth)acrylate bead polymers and molding material for producing extruded molded parts with a matt surface
US4775731A (en) Hydrophilic three dimensional polymer and a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3232983B2 (ja)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重合体
AU678600B2 (en) Craze resistant transparent sheet
Mishra et al. Methyl methacrylate–N‐chlorophenyl maleimide copolymers: Effect of structure on properties
JP3378485B2 (ja)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樹脂射出成形体
JP3301156B2 (ja) メタクリル系樹脂の製造方法
JP4519421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もちいた車輌用ランプレンズ
JP3817993B2 (ja)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樹脂組成物
WO2005070978A1 (ja) 光学用樹脂材料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光学プリズム又はレンズ
JP3215719B2 (ja) 重合体組成物
US5483003A (en) Thermoplastically processible elastomers with improved optical properties
US5393817A (en) Molding materials based on polymethyl methacrylate and having improved notched impact strength
JPH0240260B2 (ko)
JPS5815490B2 (ja) 耐溶剤性に優れたアクリル樹脂成形材料
JP3601143B2 (ja)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03402B2 (ja)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樹脂組成物
JPS6234046B2 (ko)
JP3557732B2 (ja) アクリル系樹脂板の製造方法
JPS6214565B2 (ko)
JPH1095816A (ja) 相溶性及び混和性のコポリマー組成物
KR20060094972A (ko) 중합체 네트워크
JPH04752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