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344B1 -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 Google Patents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344B1
KR100375344B1 KR10-2000-0053433A KR20000053433A KR100375344B1 KR 100375344 B1 KR100375344 B1 KR 100375344B1 KR 20000053433 A KR20000053433 A KR 20000053433A KR 100375344 B1 KR100375344 B1 KR 10037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urizing
weight
steel
addition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875A (ko
Inventor
후쿠즈미다쓰오
우에노히데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코 무로란 도쿠슈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644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753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코 무로란 도쿠슈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코 무로란 도쿠슈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Abstract

기계부품의 소형, 경량화와 고응력부하의 요구 때문에 피팅피로강도와 함께 충격강도도 동시에 개선한다.
중량 퍼센트로, C = 0.10∼0.30%, Si = 0.40∼1.00%, Mn = 0.30∼1.50%, P = 0.035%이하, S = 0.005∼0.050%, Ni = 0.00∼1.00%, Cr = 0.30 ∼1.50%, Cu = 0.01∼0.50%, Mo = 0.00∼1.00%, Al = 0.010∼0.035%, Nb = 0.001∼0.050%, N = 0.0050∼0.0200% 및 O = 0.0015%이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Mo+Ni에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0.30% 이상 2.00% 이하이며,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원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이다. 또한, 상기 강철은, V = 0.01∼0.50%, Ti = 0.005∼0.050%, B = 0.0005∼0.0050% 중에서 1종 이상을 더욱 함유한다. 또한 피삭성을 향상하는 원소이며, 피로특성을 현저히 저해하지 않은 원소로서, Pb = 0.01 ∼0.09%, Bi = 0.04∼0.20%, Te = 0.002∼0.050%, Zr = 0.01∼0.20%, Ca = 0.0001∼0.0100% 중에서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것도 있다. 강철은 소형·경량화 및 고응력부하화가 요구되기 때문에 피팅피로강도와 함께 높은 충격강도가 개선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CARBURIZING AND CARBONITRIDING STEEL}
본 발명은, 높은 피팅피로강도와 함께 높은 충격강도가 요구되는 톱니 바퀴나 회전축류에 적용되는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굴곡피로강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피로균열의 원인이 되는 입계산화상(粒界酸化相)을 줄일 목적으로, Fe보다 산화되기 쉬운 원소인 Si, Mn 및 Cr 등을 줄이고, Fe보다 산화되기 어려운 원소인 Ni 및 Mo 등으로 담금질성 및 기계적성질을 조정하는 기술이나 숏피닝에 의해 표면압축잔류응력을 부여하고, 피로균열의 진전을 늦추는 기술 등이 있다. 그위에, 굴곡피로강도가 개선됨으로써 클로즈업된 피팅피로강도의 개선을 목적으로 Si나 V의 첨가가 검토된 예가 보고되어 있다.
근년, 자동차 및 산업기계류의 경량화 및 엔진고출력화에의 대응으로서, 톱니 바퀴나 회전축류의 한층 더 소형·경량화 및 고응력부하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결과 피팅피로강도 및 충격강도를 향상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로서는 이들 양립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나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비추어, 강철의 화학성분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피팅피로강도 및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는 것이다.
도 1은, 템퍼링경도 평가용의 시험편형상의 설명도,
도 2는, 침탄충격강도 평가용의 시험편형상의 설명도,
도 3은, 침탄담금질-템퍼링 처리조건의 설명도,
도 4는, 템퍼링 경도와 Si 함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침탄충격강도와 Si 함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침탄충격강도와 템퍼링 경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롤러/피팅 피로시험기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롤러/피팅 피로시험편 형상의 설명도,
도 9는, 롤러/피팅 피로시험기의 부하 롤러의 형상의 설명도,
도 10은, 피팅피로수명과 침탄충격강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Si 함유량을 증량함에 의해 침탄 혹은 침탄질화처리후의 강철의 템퍼링 경도를 향상함과 동시에, Ni 및 Mo를 단독, 혹은 복합첨가함으로써 침탄층 및 심부의 파괴인성치(破壞靭性値)를 향상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라서, 중량 퍼센트로,
C = 0.10∼0.30%,
Si = 0.40∼1.00%,
Mn = 0.30∼1.50%,
P = 0.035%이하,
S = 0.005∼0.050%,
Ni = 0.00∼1.00%,
Cr = 0.30∼1.50%,
Cu = 0.01∼0.50%,
Mo = 0.00∼1.00%,
Al = 0.010∼0.035%,
Nb = 0.001∼0.050%,
N = 0.0050∼0.0200%, 및
O = 0.0015%이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Mo+Ni에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0.30% 내지 2.00% 이며,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원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서, 상기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에, 중량 퍼센트로
V = 0.01∼0.50%,
Ti = 0.005∼0.050%, 및
B = 0.0005∼0.0050%,
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양상에 따라서, 피로특성을 현저히 저해하지 않고, 강철의 피삭성을 향상하는 원소로서, 중량%이고,
Pb = 0.01∼0.09%,
Bi = 0.04∼0.20%,
Te = 0.002∼0.050%,
Zr = 0.01∼0.20%, 및
Ca = 0.0001∼0.0100%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양상에 특정된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이다.
본 발명자 등은, 피팅피로강도와 충격강도에 관해서,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강철의 화학성분을 조정함으로써,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로서 상정할 수 있는 화학성분의 범위에 있어서도, 그것들의 강도를 향상하는 방법을 찾아내었다.
그 화학성분의 조정의 골자는, Si 함유량의 증량에 의한 템퍼링 경도의 향상과 Ni 및 Mo의 단독, 혹은 복합첨가에 의한 침탄층 및 심부의 파괴인성치의 향상이다.
이 지견에 이르기까지에는, 수많은 실험에 의한 검증을 거듭하여왔다. 이하에 그 일예를 나타낸다. 지금까지의 연구성과에 의해, 침탄 톱니바퀴의 피팅피로와 충격강도를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각각, 템퍼링 경도와 침탄충격강도인 것은 알고 있었다. 표 1은, 이들 인자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한 발명강철과 비교강철의 화학성분을 나타낸다.
[표 1]
여기서, "제 1 발명강철"이란 청구항1에 해당하는 발명강철이며, "제 2 발명강철"이란 청구항2에 해당하는 발명강철, 그리고 "제 3 발명강철"이란 청구항3에 해당하는 발명강철이다. 이들 강철을 고주파진공용해로에 의해 용제한다. 용제한 강철덩어리를 1250℃에 가열후 직경 30 mmø 로 단신(鍛伸)하고, 또한, 925℃로 소준(燒準)하였다. 이들 소재로부터 기계가공에 의해, 각각 템퍼링 경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형상의 시험편을 1개, 충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내는 형상의 시험편을 3개씩 제작하였다. 이들의 시험편 전체수를 도 3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침탄담금질-템퍼링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도 1에 나타내는 템퍼링 경도 용의 시험편은, 또한 톱니 바퀴회전중의 마찰열의 발생을 상정하여, 250 ℃로 가열한 전기화로에 8시간 유지하여 공냉하였다. 그리고, 공냉후의 시험편을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임의의 90°마다 2개소에 관해서, 표면에서 50㎛의 위치까지의 경도를 10㎛ 마다 마이크로빅커스경도계로 측정하여, 그것들의 평균량을 구하였다. 이들 결과를 템퍼링 후의 경도로서 상기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침탄충격용시험편은, 각 강철종 3개 샤르피(Charpy)충격시험을 실시하여, 샤르피충격치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이들 결과를 침탄충격강도로서 상기 표 1에 나타낸다. 이하에, 이들 데이터에 관해서 상술한다.
도 4에는, 템퍼링 경도와 Si 함유량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것으로, Si 함유량이 0.40중량% 이상의 범위로서는, 템퍼링 경도는 700 HV 이상이며, 그 미만의 Si 함유량의 강철보다도 템퍼링 경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종래부터 지적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템퍼링/연화저항을 높이는 Si 함유량을 증량함에 의해, 톱니 바퀴회전중의 마찰열을 상정한 템퍼링 후에도 표면경도가 높은 레벨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5에는, 침탄충격강도와 Si 함유량의 관계를 나타낸다. 우선, Ni와 Mo 함유량의 합계치가 0.30중량% 이하에서는, Si 함유량이 높아짐에 따라서, 침탄충격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Si 함유량의 증량에 의해 침탄층 및 심부의 파괴인성치가 저하하였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한편, Ni와 Mo 함유량의 합계치가 0.30중량% 미만으로서는, Si 함유량이 높아짐에 따라서, 아주 조금 침탄충격강도가 저하하지만, 그 정도는 Ni와 Mo 함유량의 합계치가 0.30중량% 미만의 강철보다도 대단히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Si 함유량이 증량하더라도, Ni나 Mo의 첨가에 의하여 침탄층 및 심부의 파괴인성치가 높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Si 함유량이 0.40중량% 이상이며, 또한, Ni와 Mo 함유량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Ni+Mo의 파라미터가 0.30중량% 이상의 발명강철의 범위에서는, 템퍼링 경도가 높고, 또한, 침탄충격강도가 높은 것을 알았다.
도 6에는, 이들의 관계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템퍼링 경도와 침탄충격강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템퍼링 경도의 향상과 침탄충격강도의 향상을 양립하는 것에 대하여, 발명강철은 비교강철보다 매우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성과로부터 본 발명은 이루어졌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화학성분에 관해서, 그 한정이유를 설명한다. 그리고, 톱니 바퀴용 강철의 화학성분은, 그 사용환경, 즉, 톱니 바퀴가 크기, 부하강도 및 침탄 혹은 침탄질화조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범위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들의 상정할 수 있는 어떠한 화학성분의 범위에 있어서도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성분청구범위를 청구하였다.
C:0.10∼0.30중량%
C는, 톱니 바퀴에 요구되는 심부경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0.10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지나친 첨가는, 심부의 경도를 너무 상승시키고, 또한 심부의 인성을 열화시킨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30중량%으로 한정해야 한다.
따라서, C의 첨가량은 0.10∼0.3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Si:0.40∼1.00중량%
Si는 본 발명강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소이다. 특히, Si는 톱니 바퀴등이 회전중에 도달한다고 생각되는 200∼250℃의 온도영역에 있어서의 연화를 작게 하는 원소이다. 이들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0.40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지나친 첨가는, 침탄층 및 심부의 인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침탄성을 저해하거나, 침탄전의 강철재료가 너무 딱딱하게 되는 것 때문에, 냉단성(냉단성)이나 절삭성을 열화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1.00중량%으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Si의 첨가량은 0.40∼1.0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Mn:0.30∼1.50중량%
Mn은, 담금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원소이며, 적어도 0.30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지나친 첨가는 침탄전의 강철재료가 너무 딱딱해짐으로써, 냉단성이나 절삭성을 열화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1.50중량%으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Mn의 첨가량은 0.30∼1.5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P:0.035중량% 이하
P는 오스테나이트입계에 편석하여 입계를 취약하게 함으로써 인성이나 피로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소이다. 0.035중량%을 넘게 포함하면 이러한 폐해가 현저하게 된다.
따라서, P의 함유량은 0.035중량% 이하로 한정하였다.
Ni:0.00∼1.00중량%
Ni는 본 발명강철에 있어서, Si 에 다음으로 후술하는 Mo와 같이 중요한 원소이다. 특히, Ni는 Mo와 같이 침탄층 및 심부의 파괴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따라서, Mo가 첨가되어 있지 않으면 첨가해야하는 원소이다. 그러나, Ni는 비싼 원소인 것부터, 그 지나친 첨가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표면경도가 저하하고, 또한, 침탄전의 강철재료가 너무 딱딱해짐으로써, 냉단성이나 절삭성을 열화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1.00중량%에 한정해야 한다.
따라서, Ni의 첨가량은 0.00∼1.0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Cr:0.30∼1.50중량%
Cr은, 담금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원소이며, 적어도 0.30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지나친 첨가는, 침탄전의 강철재료가 너무 딱딱해짐으로써, 냉단성이나 절삭성을 열화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1.50중량%에 한정하는 필요가 있다.
따라서, Cr의 첨가량은 0.30∼1.5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Mo:0.00∼1.00중량% 이하
Mo는 본 발명강철에 있어서, Si에 이어서 전술한 Ni와 같이 중요한 원소이다. 특히, Mo는 Ni와 같이 침탄층 및 심부의 파괴인성치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따라서, 전술한 Ni가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첨가해야 하는 원소이다. 그러나, Mo는 비싼 원소인 점에서 그 지나친 첨가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침탄전의 강철재료가 너무 딱딱해짐으로써, 냉단성이나 절삭성을 열화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1.00중량%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술한 Ni가 첨가되어 있으면, 굳이 첨가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Mo의 첨가량은 0.00∼1.0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Al:0.010∼0.035중량%
Al는 N과 결합하여 AlN을 형성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결정립을 미세화하여, 침탄층 및 심부의 인성을 향상한다. 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0.010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나친 첨가는 피로강도에 대하여 유해한 Al2O3개재물의 생성을 조장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035중량%에 한정해야 한다.
따라서, Al의 첨가량은 0.010∼0.035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Nb:0.001∼0.050중량%
Nb는 강철 중의 C 및 N과 결합하여 탄질화물을 형성함으로써, AlN과 같이 오스테나이트결정립의 크기를 감소하기에 효과적이다. 이 입자크기가 미세할지라도, 원소는 침탄층 및 심부의 인성을 향상한다. 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0.01%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지나친 첨가는 거칠고 큰 탄질화물을 형성, 석출하여, 침탄층의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050중량%으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Nb의 첨가량은 0.001∼0.05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O:0.0015중량% 이하
O은, 강철중에 있어서는, 산화물계개재물로서 존재하며, 피로강도를 손상하는 원소이다.
따라서, O의 상한을 0.0015중량%이하로 규정하였다.
N:0.0050∼0.0200중량%
N은 Al이나 Nb와 결합하여 AlN, NbN을 형성하고, 오스테나이트결정입자를 미세화하고, 침탄층 및 심부의 인성을 향상한다. 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0.0050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나친 첨가는 응고시의 강철덩어리표면에서 거품이 발생하거나 강철재료의 단조성을 열화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0200중량%에 한정해야 한다.
따라서, N의 첨가량은 0.0050∼0.020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Ni+Mo에서 표시되는 파라미터: 0.30중량% 내지 2.00%
Ni 및 Mo는 해당하는 각각의 항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Si 첨가량의 증량에 의하여 저하한 침탄층 및 심부의 파괴인성치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적어도 Ni+Mo에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0.30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Ni, Mo는 비싼 원소인 점에서, 그 지나친 첨가는 경제적인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침탄전의 강철재료가 너무 딱딱하게 되어버림으로써, 냉단성나 절삭성을 열화시킨다. 이 때문에, 상한을 2.00중량%에 한정해야 한다.
Cu:0.01∼0.50중량%
Cu는 400∼600℃의 비교적 높은 온도영역에 있어서 석출경화를 기대할 수 있는 원소이다. 따라서, 톱니면 혹은 회전면의 온도가 현저히 상승할 정도로 심하게 사용하는 상태가 상정되는 경우나, 항공기재료와 같이 제트추진기나 터빈근방의 고온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첨가하여야 한다. 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Cu 0.01%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나친 첨가는 열간취성을 증가시키고, 또한, 침탄성을 저해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50중량%에 한정해야 한다.
따라서, Cu의 첨가량은 0.01∼0.5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V:0.01∼0.50중량 %
V는 침탄온도근방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 있어서도 탄화물을 형성하고, 침탄층의 경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담금질성을 향상하는 원소이다. 그러므로, 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0.01%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지나친 첨가는, 침탄층의 인성을 열화시키고, 또한, V는 비싼 원소인 점에서 경제적인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침탄전의 강철재료가 너무 딱딱해짐으로써, 냉단성나 절삭성을 열화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50중량%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V의 첨가량은 0.01∼0.5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Ti:0.005∼0.050중량% 이하
Ti는 강철중의 N이 후술하는 B와 결합하여 BN을 생성하고 B의 담금질성향상효과를 열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원소이다. 그러므로, 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0.005%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다량으로 첨가하면 대형의 TiN을 생성하여 피로파괴의 기점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한을 0.050중량%에 한정하는 필요가 있다.
따라서, Ti의 첨가량은 0.005∼0.05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B:0.0005∼0.0050중량%
B는, 침탄전의 강철재료의 냉단성이나 절삭성을 열화시키는 일없이, 담금질성을 향상하는 원소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효과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첨가하여야 한다. 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0.0005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0.0050중량%을 넘어 첨가하여도 그 효과가 포화함과 동시에, 열간가공성을 열화한다. 그러므로, 상한을 0.0050중량%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B의 첨가량은 0.0005∼0.005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S:0.005∼0.050중량%
S는 대부분은 유화물계 개재물로서 강철 중에 존재하여, 톱니 바퀴와 같이절삭가공에 의해 성형되는 부품으로서는, 피삭성의 향상에 효과적인 원소이다. 그것을 위하여는 적어도 0.005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나친 첨가는, 피로강도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050중량%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S의 첨가량은 0.005∼0.05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Pb:0.01∼0.09중량%
Pb는 S의 단독첨가에 더하여, 보다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0.01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지나친 첨가는, 피로강도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는 원소이다. 또한, 0.01중량% 이상으로서는 Pb의 취급상, 집진장치, 방법 등이 법적인 규제를 받는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09중량%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Pb의 첨가량은 0.01∼0.09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Bi:0.04∼0.20중량%
Bi는 S의 단독첨가로 가하여, 보다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그러므로, 그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0.04중량% 이상 첨가해야한다. 그러나, 지나친 첨가는,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20중량%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Bi의 첨가량은 0.04∼0.2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Te:0.002∼0.050중량%
Te는 S의 단독첨가로 가하여, 보다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그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0.002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나친 첨가는, 열간취성을 발생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050중량%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Te의 첨가량은 0.002∼0.05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Zr:0.01∼0.20중량%
Zr는 S의 단독첨가로 가하여, 보다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0.01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나친 첨가는,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20중량%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Zr의 첨가량은 0.01∼0.2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Ca:0.0001∼0.0100 중량%
Ca는, S의 단독첨가로 가하여, 보다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0.0001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지나친 첨가는,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한을 0.0100중량%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Ca의 첨가량은 0.0001∼0.0100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2에는 이상의 지견을 기초로 하여 실화로로 용제한 발명강철과 그것과 대비하기 위한 비교강철의 화학성분을 나타낸다.
[표 2]
표에서 발명강철 A는 붕소무첨가이며, 발명강철 B는 붕소함유 강철이다. 또한, 비교강철 I는 JIS(Japanise Industrial Standard)의 SNCM420H 이며, 비교강철 Ⅱ는 JIS의 SCM420H를 베이스로 Si 함유량을 증량한 강철이다.
이들 강철에 대하여 롤러/피팅 피로시험과 침탄충격시험을 실시하고, 그들 피팅피로수명과 침탄충격강도를 평가하였다. 도 7에는, 롤러/피팅피로시험기의 개요를 나타낸다. 여기서 1은 시험편, 2는 부하롤러, 3 및 4는 맞물림톱니바퀴, 5는 축받이, 6은 커플링, 7은 전달벨트, 8은 모터이다. 도 8은 롤러/피팅피로시험편의 형상, 도 9는 롤러/피팅피로시험기의 부하롤러의 형상을 나타낸다.
우선, 발명강철과 비교강철을 직경 30 mmø 로 열간단조후, 소준한 다음, 도 8에 나타낸 롤러/피팅피로시험편과 도 2에 나타내는 침탄충격용 시험편을 5개씩 작성하였다. 다음에, 이들 시험편을 도 3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침탄담금질-템퍼링처리를 실시하였다.
롤러/피팅 피로시험편에 대해서는, 표 3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롤러피팅 피로시험을 실시하고, 피팅 피로수명을 요구하였다. 침탄충격용 시험편에 대해서는, 샤르피충격시험을 실시하고, 침탄충격강도를 구하였다. 표 4에, 이들 결과를 나타낸다. 롤러/피팅 피로시험에 대해서는, 전동회수 20.00×106까지 실시하고, 피팅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시험을 종료하였다. 도 10에는, 표 4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표 3]
제 언 내 용
최대헤르쯔응력 2940 MPa
슬립율(slip rate) -40%
회전수 1000 r.p.m
윤활유 엔진오일(코마츠 순수유 EO-30-cd)
윤활유온도 50℃
대 롤러/크라우닝 지름 300 mmR
[표 4]
피팅피로수명(×106) 침탄충격강도(J/cm2)
n=1 n=2 n=3 n=4 n=5 n=1 n=2 n=3 n=4 n=5
발명강철A 20.00* 20.00* 20.00* 20.00* 20.00* 35.3 36.1 32.8 33.1 37.7
발명강철B 20.00* 20.00* 20.00* 20.00* 20.00* 30.1 34.2 32.2 31.6 34.0
비교강철Ⅰ 0.75 0.66 0.51 0.47 0.38 35.5 32.1 32.0 33.0 34.8
비교강철Ⅱ 15.70* 20.00* 13.30 20.00* 20.00* 8.9 15.2 12.2 11.1 7.8
이 표로부터, 발명강철 A 및 발명강철 B 양쪽 다 피팅피로수명은 20.00×106이상이며, 또한, 침탄충격강도가 30 J/cm2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강철 I에 있어서는, 침탄충격강도는 30 J/cm2이상이지만, 피팅피로수명이 짧다. 부가하여, 비교강철 Ⅱ는, 피팅피로수명은 양호하지만, 침탄충격강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명강철은 피팅피로강도가 높고, 또한, 충격강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강철의 화학성분을 강정(鋼整)하는 것만으로, 피팅피로강도의 향상과 같이 충격강도도 향상할 수가 있고,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로서는, 현상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도, 침탄톱니 바퀴의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또한, 같은 형상 및 치수로도 보다 고출력화가 가능해지며, 톱니 바퀴류를 사용하는 산업계에서, 비용의 저감과 신뢰성의 향상에 널리 공헌하는 것을 들 수 있다.

Claims (6)

  1. 중량퍼센트로,
    C = 0.10∼0.30%,
    Si = 0.40∼1.00%,
    Mn = 0.30∼1.50%,
    P = 0.035%이하,
    S = 0.005∼0.050%,
    Ni = 1.00%이하,
    Cr = 0.30∼1.50%,
    Cu = 0.01∼0.50%,
    Mo = 1.00%이하,
    Al = 0.010∼0.035%,
    Nb = 0.001∼0.050%,
    N = 0.0050∼0.0200%, 및
    O = 0.0015%이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Mo+Ni에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0.30% 내지 2.00%이며,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원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2. 중량퍼센트로,
    C = 0.10∼0.30%,
    Si = 0.40∼1.00%,
    Mn = 0.30∼1.50%,
    P = 0.035%이하,
    S = 0.005∼0.050%,
    Cr = 0.30∼1.50%,
    Cu = 0.01∼0.50%,
    Mo = 0.30∼1.00%,
    Al = 0.010∼0.035%,
    Nb = 0.001∼0.050%,
    N = 0.0050∼0.0200%, 및
    O = 0.0015%이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원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3. 중량퍼센트로,
    C = 0.10∼0.30%,
    Si = 0.40∼1.00%,
    Mn = 0.30∼1.50%,
    P = 0.035%이하,
    S = 0.005∼0.050%,
    Ni = 0.30∼1.00%,
    Cr = 0.30∼1.50%,
    Cu = 0.01∼0.50%,
    Al = 0.010∼0.035%,
    Nb = 0.001∼0.050%,
    N = 0.0050∼0.0200%, 및
    O = 0.0015%이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원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량퍼센트이며,
    V = 0.01∼0.50%,
    Ti = 0.005∼0.050%, 및
    B = 0.0005∼0.0050%,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를 더욱 함유하고 있는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철의 피삭성을 향상하는 원소로서 중량%로,
    Pb = 0.01∼0.09%,
    Bi = 0.04∼0.20%,
    Te = 0.002∼0.050%,
    Zr = 0.01∼0.20%, 및
    Ca = 0.0001∼0.0100%
    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를 더욱 함유하고 있는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6. 제 4 항에 있어서,
    강철의 피삭성을 향상하는 원소로서 중량%로,
    Pb = 0.01∼0.09%,
    Bi = 0.04∼0.20%,
    Te = 0.002∼0.050%,
    Zr = 0.01∼0.20%, 및
    Ca = 0.0001∼0.0100%
    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를 더욱 함유하고 있는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KR10-2000-0053433A 1999-10-27 2000-09-08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KR100375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570999 1999-10-27
JP305709 1999-10-27
JP2000193780A JP3253293B2 (ja) 1999-10-27 2000-06-28 浸炭および浸炭窒化用鋼
JP193780 2000-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875A KR20010039875A (ko) 2001-05-15
KR100375344B1 true KR100375344B1 (ko) 2003-03-10

Family

ID=2656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433A KR100375344B1 (ko) 1999-10-27 2000-09-08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53293B2 (ko)
KR (1) KR100375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588B1 (ko) * 2004-03-24 2006-02-13 주식회사 세아베스틸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온 침탄용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953B2 (ja) 2000-06-20 2006-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交流電動機の駆動システム
JP3938486B2 (ja) 2001-11-06 2007-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多重巻線電動機の制御装置
KR100646440B1 (ko) * 2004-11-23 2006-11-23 김춘식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미세합금 침탄강 및 그 제조방법
US8580050B2 (en) * 2005-08-24 2013-11-12 Daido Steel Co., Ltd. Carburized machine parts
JP4821582B2 (ja) * 2006-11-28 2011-11-2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真空浸炭歯車用鋼
JP5018586B2 (ja) * 2007-04-09 2012-09-05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高強度浸炭高周波焼入れ部品
JP5185852B2 (ja) * 2009-02-13 2013-04-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剥離損傷性に優れた歯車
KR101144516B1 (ko) 2009-12-01 2012-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저온 진공침탄 전용 합금강
CN102286698B (zh) * 2010-06-17 2013-06-2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塑料模具钢及其制造方法
JP5632722B2 (ja) * 2010-11-26 2014-11-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処理歪みの少ない肌焼鋼
US10745772B2 (en) 2014-03-05 2020-08-18 Daido Steel Co., Ltd. Age hardening non-heat treated bainitic steel
JP2017125232A (ja) * 2016-01-13 2017-07-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浸炭窒化用鋼材および浸炭窒化部品
CN113481442A (zh) * 2021-08-05 2021-10-08 青海西钢特殊钢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重卡用高品质渗碳齿轮钢及其生产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588B1 (ko) * 2004-03-24 2006-02-13 주식회사 세아베스틸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온 침탄용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875A (ko) 2001-05-15
JP3253293B2 (ja) 2002-02-04
JP2001192765A (ja) 2001-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9139B2 (ja) 高周波焼入れ用鋼
KR100375344B1 (ko) 침탄 및 침탄질화용 강철
CN112292471B (zh) 机械部件
JP5206271B2 (ja) 鋼製の浸炭窒化部品
JP2001303173A (ja) 浸炭および浸炭窒化用鋼
JP4557833B2 (ja) 疲労特性に優れた高強度機械構造用鋼部品およびその製法
EP1167561A2 (en) Carburizing and carbonitriding steel
JP2002212672A (ja) 鋼部材
JPH08120438A (ja) 機械構造用部品の製造方法
EP0312054B1 (en) Free-cutting steel having high fatigue strength
JP3932102B2 (ja) 肌焼鋼及びこれを用いた浸炭部品
JP2004285384A (ja) 高強度浸炭部品
JP5272609B2 (ja) 鋼製の浸炭窒化部品
JPH0488148A (ja) 迅速浸炭可能な高強度歯車用鋼及び高強度歯車
JPH07188895A (ja) 機械構造用部品の製造方法
JPH0261032A (ja) 疲労強度の優れた肌焼鋼
JP7436779B2 (ja) 浸炭歯車用鋼、浸炭歯車及び浸炭歯車の製造方法
JPH08260039A (ja) 浸炭肌焼鋼の製造方法
JP3036401B2 (ja) 肌焼鋼および衝撃疲労特性に優れた浸炭部品
JPH10259450A (ja) 低サイクル疲労強度の優れた肌焼鋼
JPH09137266A (ja) 熱処理歪みの少ない肌焼用鋼
CN107532252B (zh) 表面硬化钢
JP3996386B2 (ja) ねじり疲労特性に優れた浸炭用鋼
JPH09235654A (ja) 高周波焼入れ用鋼及び高周波焼入れ部品
JP3375221B2 (ja) 浸炭歯車用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