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913B1 - 굴 젓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굴 젓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913B1
KR100374913B1 KR10-1999-0067512A KR19990067512A KR100374913B1 KR 100374913 B1 KR100374913 B1 KR 100374913B1 KR 19990067512 A KR19990067512 A KR 19990067512A KR 100374913 B1 KR100374913 B1 KR 100374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weight
oysters
seasoning
sal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981A (ko
Inventor
조영근
Original Assignee
조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근 filed Critical 조영근
Priority to KR10-1999-006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913B1/ko
Publication of KR2000002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갈의 저염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량의 식염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굴을 저염의 소금물에 담구어 두었다가 이를 꺼내어 양념과 버무린 후, 이를 다시 숙성시켜 굴 젓갈을 제조하는 방법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굴 젓갈의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OYSTER SALTED SEAFOOD}
본 발명은 젓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굴을 이용하여 저염도의 젓갈을 제조할 수 있는 굴 젓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젓갈은 우리 민족의 전통수산 발효식품으로 옛부터 부식의 대명사 처럼 우리의 식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에서 생성되는 고단백등 일상생활에 활력을 주는 영양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러한 젓갈은 어패류의 내장, 난소 및 어육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상기 방법들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젓갈 제조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89-9308 호(젓갈류의 제조 방법) 및 공개번호 제 94-20956 호(젓갈 제조 방법)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젓갈은 단순히 어패류에 식염을 넣어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저장성을 향상시킨 것이어서,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어패류는 젓갈로서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젓갈은 다량의 식염을 첨가함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 등에 악영향을 주게되고, 어린이들이 반찬으로 먹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굴의 담백한 맛을 낼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염도의 굴 젓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량의 식염을 사용하지 않는 굴 젓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공정 및 배합비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굴 젓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세척된 굴을 -35℃~-45℃에서 냉동시킨 다음, 이를 다시 해동시켜 소금물에 20~30분 동안 침적시킨 다음, 이를 다시 민물로 세척하고, 수분을 제거한 후, 이를 다시 양념과 버무린 다음에 약 5℃~1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상기 숙성된 굴을 포장하여 이를 다시 -8℃~-25℃의 냉동실에서 보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굴 젓갈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쌀죽 10~30중량%, 고춧가루 7~20중량%, 멸치액젓 10~30중량%, 물엿 10~30중량%, 파 1~7중량%, 마늘 1~5중량%, 양파 1~10중량%, 설탕 1~10중량%, 미향 1~5중량% 및 글루타민산나트륨 0.1~1중량%로 이루어진 굴 젓갈용 양념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최상의 실시 예를 토대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굴 젓갈 제조방법의 개념을 살펴보면, 젓갈의 저염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량의 식염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굴을 저염의 소금물에 담구어 두었다가 이를 꺼내어 양념과 버무린 후, 이를 다시 숙성시켜 굴 젓갈을 제조하는 방법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구현한 굴 젓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먼저 채취된 굴을 탈각시킨 후 이를 바닷물(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이를 다시 약 -35℃~-45℃ 정도에서 냉동시킨다. 이후 냉동된 굴을 해동한 다음, 소금물에 20~30분 동안 침적시킨다. 이때 상기 소금물은 물 100 중량부에 약 5~15 중량부의 소금을 첨가하여 희석시킨 것이다.
이후, 전술한 과정을 거친 굴는, 바람직하게는 저염 상태의 굴을 민물로 세척을 한 다음, 이를 다시 자연상태에서 약 1~2분 동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이어서 수분이 어느 정도 제거된 굴에 본 발명의 양념을 첨가한 다음, 즉 굴과 양념을 버무린 다음, 약 5℃~10℃ 정도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이때 굴과 양념은 약 6:4의 비율로 버무려지게 된다. 끝으로 숙성된 굴을 포장한 다음, 이를 즉시 -8℃~-25℃의 냉동실에서 보관하게 되면 본 발명의 굴 젓갈은 완제품으로 제조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양념은 10가지 성분으로 조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쌀죽 10~30중량%, 고춧가루 7~20중량%, 멸치액젓 10~30중량%, 물엿 10~30중량%, 파 1~7중량%, 마늘 1~5중량%, 양파 1~10중량%, 설탕 1~10중량%, 미향 1~5중량% 및 0.1~1중량%의 글루타민산나트륨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미향으로는 비린내 제거물질이 사용되고, 주로 정종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물질로 혼합된 양념은 순한 매운맛을 내고, 부드러운 단맛을 내고 또한 응결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굴 젓갈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공정;
우선, 물 550g에 쌀 250g을 넣어 쌀죽 800g을 만든 다음, 여기에 고춧가루 500g, 멸치액젓 800g, 물엿 800g, 잘게 절단된 쪽파 140g, 분쇄된 마늘 100g과 양파 150g 및 설탕 200g, 정종 100g, 그리고 글루타민산나트륨 20g을 혼합하여 양념을 만들었다.
제2 공정;
양식장 혹은 바다에서 채취된 굴을 탈각한 다음, 이를 바닷물로 세척한 후, 이를 다시 -40℃의 냉동실에서 냉동시켜 보관하였다.
제3 공정;
물 10kg에 소금 1kg을 첨가하여 소금물을 만든 다음, 여기에 해동된 굴을 20~30분 동안 침적시켜 저염 상태의 굴을 만들었다.
제4 공정;
저염상태의 굴을 민물로 세척한 다음, 이를 다시 자연상태에서 1~2분 동안 방치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5 공정;
수분이 어느 정도 제거된 굴에 전술한 제1공정으로 통해 얻어진 양념을 6:4의 비율로 첨가한 다음, 즉 상기 굴과 양념을 버무린 후, 이를 다시 1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켜 굴 젓갈을 제조하였다.
제6 공정;
숙성된 굴을 병에 투입한 다음, 이를 즉시 -18℃의 냉동실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 젓갈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달성한다.
첫 번째로, 굴의 담백한 맛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굴의 신선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굴 젓갈은 저염도이기 때문에 짜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고, 특히 굴 특유의 싱싱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어린이를 포함한 온가족이 함께 먹을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의 굴 젓갈은 먹은 후에는 전혀 입냄새가 없어 언제나 부담없이 즐길 수 있으며, 또한 풍부한 영양과 유효성분으로 성인병과 암, 혈액순환등에 좋은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굴 젓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념을 제조하는 공정과;
    세척된 굴을 -35℃~-45℃에서 냉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냉동된 굴을 해동시킨 다음, 이를 소금물에 20~30분 동안 침적시킨 후, 이를 다시 민물로 세척하고,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굴에 양념을 첨가한 다음, 이를 다시 5~1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숙성된 굴을 -8℃~-25℃의 냉동실에서 보관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굴 젓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은
    쌀죽 10~30중량%, 고춧가루 7~20중량%, 멸치액젓 10~30중량%, 물엿 10~30중량%, 파 1~7중량%, 마늘 1~5중량%, 양파 1~10중량%, 설탕 1~10중량%, 미향 1~5중량% 및 글루타민산나트륨 0.1~1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굴 젓갈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과 양념은 6:4의 비율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굴 젓갈의 제조방법.
KR10-1999-0067512A 1999-12-27 1999-12-27 굴 젓갈의 제조방법. KR10037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512A KR100374913B1 (ko) 1999-12-27 1999-12-27 굴 젓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512A KR100374913B1 (ko) 1999-12-27 1999-12-27 굴 젓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981A KR20000023981A (ko) 2000-05-06
KR100374913B1 true KR100374913B1 (ko) 2003-03-04

Family

ID=1963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512A KR100374913B1 (ko) 1999-12-27 1999-12-27 굴 젓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9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232B1 (ko) 2007-12-28 2008-12-26 (주)개양 민물 우렁이 젓갈 제조방법
KR20170055194A (ko) 2015-11-11 2017-05-19 이상국 오미자가 함유된 젓갈의 제조방법 및 그 젓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578A (ko) * 1987-07-29 1989-03-27 김영설 소화기관용 약제 및 그 제조방법
KR910005285A (ko) * 1989-08-24 1991-03-30 도날드 밀러 셀 비디오 카세트용 외부 인터록을 가진 반송장치
KR930007383A (ko) * 1991-10-16 1993-05-20 박수웅 조미 젓갈의 제조 방법
KR950002631A (ko) * 1993-07-07 1995-02-16 박이태 굴액젓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578A (ko) * 1987-07-29 1989-03-27 김영설 소화기관용 약제 및 그 제조방법
KR910005285A (ko) * 1989-08-24 1991-03-30 도날드 밀러 셀 비디오 카세트용 외부 인터록을 가진 반송장치
KR930007383A (ko) * 1991-10-16 1993-05-20 박수웅 조미 젓갈의 제조 방법
KR950002631A (ko) * 1993-07-07 1995-02-16 박이태 굴액젓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232B1 (ko) 2007-12-28 2008-12-26 (주)개양 민물 우렁이 젓갈 제조방법
KR20170055194A (ko) 2015-11-11 2017-05-19 이상국 오미자가 함유된 젓갈의 제조방법 및 그 젓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981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900B1 (ko) 조미훈제고등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조미훈제고등어
KR100573468B1 (ko) 트리메틸아민생성억제방법및그용도
KR100376360B1 (ko) 멍게 젓갈의 제조방법
KR101692024B1 (ko) 무염 또는 저염의 김치 제조 및 보관 방법
KR101081975B1 (ko) 매실을 함유한 젓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0048657A (ko) 간장게장 제조방법
KR100374913B1 (ko) 굴 젓갈의 제조방법.
KR100367577B1 (ko) 버섯김치 제조방법
KR100479185B1 (ko) 용봉곰탕 및 그 조리방법
KR100525060B1 (ko)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양념장 및 이를 이용한 생선조림방법
KR100385927B1 (ko) 팽이버섯이 함유된 창란젓갈의 제조방법
KR20210039027A (ko)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KR101848889B1 (ko) 미더덕 젓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더덕 젓갈
KR100917682B1 (ko)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KR101192807B1 (ko) 해산물과 명란의 혼합젓갈의 제조방법
KR101021246B1 (ko) 홍어의 내장을 이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KR100557818B1 (ko) 미역피클 제조방법
KR20150001932A (ko) 즉석 메기 매운탕의 제조방법
KR102618962B1 (ko) 감칠맛이 향상된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간장게장
KR102661657B1 (ko) 오징어 젓갈 제조방법
CN103549494B (zh) 一种粘粉沙丁鱼片的制作方法
KR102352521B1 (ko) 배추 첨가 명태 회무침의 제조방법
KR100763932B1 (ko) 홍어 식해의 제조 방법
KR20000032912A (ko) 자연산 선어 회무침
JP3728100B2 (ja) イカ塩辛様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