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246B1 - 홍어의 내장을 이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어의 내장을 이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246B1
KR101021246B1 KR1020080046461A KR20080046461A KR101021246B1 KR 101021246 B1 KR101021246 B1 KR 101021246B1 KR 1020080046461 A KR1020080046461 A KR 1020080046461A KR 20080046461 A KR20080046461 A KR 20080046461A KR 101021246 B1 KR101021246 B1 KR 101021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alted
salt
gi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579A (ko
Inventor
양승주
Original Assignee
양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제권 filed Critical 양제권
Priority to KR102008004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24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을 이용하여 젓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탈수한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으로 이루어진 젓갈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4~5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숙성시킨 후 탈수하고, 1차숙성한 젓갈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엿 8~12중량부, 고춧가루 5~8중량부, 조미고추분 2~5중량부, 소금 4~5중량부, 맛술 1~3중량부, D-솔비톨 2~4중량부, 깨 0.5~1중량부, 마늘 0.5~1중량부, 생강 0.3~0.5중량부의 양념을 혼합한 후 2차로 저온숙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을 이용하여 제조한 젓갈은 쫄깃한 식감과 감칠맛을 나타내며, 통상적인 젓갈에 비하여 소금의 포함량이 적으므로 짠맛이 적고 저온숙성과정을 통하여 양념의 풍미가 재료에 깊이 스며있으며 재료의 비린맛을 제거하여 다수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젓갈은 유통과정에서 수분의 발생이 적어 식용검과 같은 수분제거용 조절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다.
젓갈, 창란젓, 홍어, 아가미, 내장, 저염.

Description

홍어의 내장을 이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salted tripe of skates}
본 발명은 염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을 이용하여 젓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젓갈은 수산물과 소금을 주원료로 하는 저장식품으로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 중 하나로, 그 자체를 반찬으로 취식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요리를 제조해왔으며, 지역별로 젓갈의 재료나 제조방법 등에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멸치, 명태, 가자미를 비롯한 각종 어류와 게, 새우를 비롯한 갑각류, 각종 조개류와 오징어, 꼴뚜기를 비롯한 연체류는 물론이고 명태, 대구 등의 알이나 창자 또한 젓갈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젓갈은 다량의 소금을 포함하여 과다한 염분섭취로 인한 건강의 악화를 불러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소금의 양을 줄인 젓갈에 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50671호 저식염 냉동 창란젓갈의 제조방법에서는 창란에 소량의 소 금을 첨가하여 숙성 및 발효시킨 후 -30℃의 저온으로 급속냉동시켜 젓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 바 있으나, 이 경우 보관시에도 냉동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곧바로 취식하지 못하고 취식 직전에 별도의 해동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홍어는 가오리과의 어류로서, 회 또는 찜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홍탁이라 불리는 삭힌 홍어는 자극적인 암모니아의 풍미로 인하여 마니아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홍어의 아가미나 내장은 지역에 따라 일부 회나 탕에 소량 사용하는 외에는 대부분 음식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홍어의 내장은 항고혈압효과 및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5-93477호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홍어내장 추출물 및 공개특허 2005-93479 홍어 추출물의 용도와 같은 기술들이 개발되어 공개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항고혈압 및 항암효과와 같은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식의 재료로써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을 이용하여 젓갈을 제조하되, 제조과정에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소금의 사용량을 줄인 상태에서도 보존이 가능한 저염젓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을 이용하여 젓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짠맛이 적고 비린내가 없으며 양념의 풍미가 재료에 깊이 스며들어 다수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젓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을 이용하여 젓갈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젓갈은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으로 이루어진 젓갈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4~5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숙성시키고, 1차숙성한 젓갈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엿 8~12중량부, 고춧가루 5~8중량부, 조미고추분 2~5중량부, 소금 4~5중량부, 맛술 1~3중량부, D-솔비톨 2~4중량부, 깨 0.5~1중량부, 마늘 0.5~1중량부, 생강 0.3~0.5중량부의 양념을 혼합한 후 저온숙성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젓갈의 제조과정은 재료준비단계(10), 세척 및 탈수단계(20), 소금혼합단계(30), 1차숙성단계(40), 양념혼합단계(50), 2차숙성단계(60)로 세분화할 수 있다.
재료준비단계(10)에서는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으로 이루어진 젓갈재료를 물로 세척한 후, 취식이 용이하도록 0.5~1㎝ 간격으로 세절하여 준비한다.
세척 및 탈수단계(20)에서는 준비된 젓갈재료를 물로 세척한 후, 회전식 탈 수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이때 탈수시간이 너무 짧거나 회전속도가 너무 느리면 탈수가 불완전하고 탈수시간이 너무 길거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르면 재료의 육즙까지 빠져나와 맛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600~800rpm으로 2~5분 동안 탈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금혼합단계(30)에서는 세척 및 탈수한 젓갈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4~5중량부를 혼합한다. 이때, 소금을 너무 적게 혼합하면 젓갈의 재료에 간이 부족하여 맛이 떨어지거나, 2차숙성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수분이 빠져나올 수 있고, 소금을 너무 많이 혼합하면 젓갈의 맛이 짤 뿐 아니라 숙성단계에서 젓갈의 재료로부터 육즙이 많이 빠져나와 감칠맛이 떨어지게 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1차숙성단계(40)에서는 소금과 혼합된 젓갈재료를 상온에서 20~4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회전식 탈수기를 이용하여 600~800rpm으로 1~3분 동안 탈수한다. 1차숙성단계는 발효를 통하여 젓갈의 감칠맛을 내기 위한 과정이며, 숙성과정 중 발생한 수분은 탈수과정을 통하여 제거되며, 동시에 여분의 소금도 함께 제거되어 젓갈에 포함된 소금의 양이 전반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상기 숙성 온도나 시간의 조건을 크게 벗어날 경우 젓갈의 맛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탈수시 회전속도나 시간의 조건을 크게 벗어날 경우 탈수가 불완전하거나 재료의 육즙이 빠져나와 맛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양념혼합단계(50)에서는 1차숙성 및 탈수한 젓갈재료에 양념을 추가하여 혼합한다. 이때 혼합하는 양념의 종류나 양은 기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1차숙성한 젓갈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엿 8~12중량부, 고춧가루 5~8중량부, 조미고추분 2~5중량부, 소금 4~5중량부, 맛술 1~3중량부, D-솔비톨 2~4중량부, 깨 0.5~1중량부, 마늘 0.5~1중량부, 생강 0.3~0.5중량부를 혼합한다.
2차숙성단계(60)에서는 양념이 혼합된 젓갈재료를 3~10℃의 저온에서 7~20일 동안 숙성시킨다. 2차숙성단계는 젓갈재료의 비린내를 잡아주고 양념을 재료에 스며들게 하여 풍미를 더해주는 과정으로, 상기 온도나 시간을 크게 벗어날 경우 과도한 발효가 일어나거나 양념의 풍미가 재료와 어우러지지 못하여 맛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한 젓갈은 포장한 후 냉장상태로 유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젓갈은 통상적인 젓갈에 비하여 적은 양의 소금을 포함하므로 짠맛이 적고, 2단계의 숙성과정을 거쳐 양념의 풍미가 겉돌지 않고 젓갈재료와 잘 어우러져 다수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탈수과정을 통하여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고, 과도한 소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통과정 중 추가로 수분이 빠져나오지 않으므로 식용검과 같은 수분제거용 조절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을 이용하여 제조한 젓갈은 쫄깃한 식감과 감칠맛을 나타내며, 통상적인 젓갈에 비하여 소금의 포함량이 적으므로 짠맛이 적고 저온숙성과정을 통하여 양념의 풍미가 재료에 깊이 스며있으며 재료의 비 린맛을 제거하여 다수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젓갈은 유통과정에서 수분의 발생이 적어 식용검과 같은 수분제거용 조절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
젓갈재료인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을 물로 세척하고 5mm간격으로 세절한 후, 물로 다시 한번 세척하고 회전식 탈수기를 이용하여 700rpm으로 3분 동안 탈수하였다. 세척 및 탈수를 마친 젓갈재료 1kg당 소금 45g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30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회전식 탈수기를 이용하여 700rpm으로 2분 동안 탈수하였다. 숙성 및 탈수한 젓갈재료 1kg당 물엿 100g, 고춧가루 60g, 조미고추분 30g, 소금 45g, 맛술 20g, D-솔비톨 30g, 깨 7g, 마늘 7g, 생강 4g의 양념을 혼합한 후, 약 5℃의 냉장실에서 2주일 동안 숙성시켜 젓갈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젓갈은 용기에 담고 밀봉한 후 상온, 또는 냉장상태로 유통시킬 수 있으며, 통상의 젓갈에 비하여 짠맛이 적고 식감이 쫄깃하며 감칠맛이 더해져 기호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을 이용하여 젓갈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3)

  1. 홍어의 아가미와 내장으로 이루어진 젓갈재료를 물로 세척한 후 취식이 용이하도록 0.5~1㎝ 간격으로 세절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준비된 젓갈재료를 물로 세척한 후 회전식 탈수기를 이용하여 600~800rpm으로 2~5분 동안 탈수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세척 및 탈수단계,
    세척 및 탈수한 젓갈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4~5중량부를 혼합하는 소금혼합단계,
    소금과 혼합된 젓갈재료를 상온에서 20~40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회전식 탈수기를 이용하여 600~800rpm으로 1~3분 동안 탈수하는 1차 숙성단계,
    1차 숙성 및 탈수한 젓갈재료에 양념을 혼합하는 양념혼합단계,
    양념이 혼합된 젓갈재료를 3~10℃의 저온에서 7~20일 동안 숙성시키는 2차 숙성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혼합단계에서는 1차 숙성 및 탈수한 젓갈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엿 8~12중량부, 고춧가루 5~8중량부, 조미고추분 2~5중량부, 소금 4~5중량부, 맛술 1~3중량부, D-솔비톨 2~4중량부, 깨 0.5~1중량부, 마늘 0.5~1중량부, 생강 0.3~0.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갈의 제조방법.
KR1020080046461A 2008-05-20 2008-05-20 홍어의 내장을 이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KR10102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61A KR101021246B1 (ko) 2008-05-20 2008-05-20 홍어의 내장을 이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61A KR101021246B1 (ko) 2008-05-20 2008-05-20 홍어의 내장을 이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79A KR20090120579A (ko) 2009-11-25
KR101021246B1 true KR101021246B1 (ko) 2011-03-11

Family

ID=4160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461A KR101021246B1 (ko) 2008-05-20 2008-05-20 홍어의 내장을 이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88B1 (ko) 2020-06-25 2020-12-23 이승격 씨앗이 함유된 비빔용 젓갈의 제조방법
KR102380910B1 (ko) 2021-08-24 2022-03-30 이금선 오미자청과 죽통을 이용한 명란젓갈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360B1 (ko) * 1999-12-27 2003-03-15 멍게수하식수산업협동조합 멍게 젓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360B1 (ko) * 1999-12-27 2003-03-15 멍게수하식수산업협동조합 멍게 젓갈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88B1 (ko) 2020-06-25 2020-12-23 이승격 씨앗이 함유된 비빔용 젓갈의 제조방법
KR102380910B1 (ko) 2021-08-24 2022-03-30 이금선 오미자청과 죽통을 이용한 명란젓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79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48828B (zh) 一种即食调味烤鱿鱼条的加工方法
KR100888232B1 (ko) 새우장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132906B (zh) 一种即食虾仁休闲食品加工方法
CN101773259A (zh) 即食软包装南美白对虾的加工方法
CN107927622A (zh) 一种河鲀鱼干及其制备方法
US20060121177A1 (en) Process for pure aquatic ham or chinese ham containing fish
RU2311832C2 (ru) Колбаса из мяса только водных животных, содержащая рыбу, и способ ее приготовления
WO2003090563A1 (fr) Saucisse de chair de poisson a base de chair de poisson formant une piece et procede de preparation correspondant
CN101455415A (zh) 一种风味腊香鱼的制作方法
KR101081975B1 (ko) 매실을 함유한 젓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614735A (zh) 一种菊香火腿肠及其制作方法
KR101021246B1 (ko) 홍어의 내장을 이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CN108902788B (zh) 一种三明治鱼糕制备方法
KR20090107601A (ko) 멍게를 이용한 기능성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및 이것을이용한 멍게 비빔밥
KR20200141615A (ko) 조미 아귀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23317B1 (ko) 즉석 메기 매운탕의 제조방법
KR100694793B1 (ko) 절임생선의 제조방법
KR102222052B1 (ko) 간장전복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 되는 간장전복
KR20120134811A (ko) 하경원의 명태회 무침
KR20210039027A (ko)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KR101263401B1 (ko) 젓갈을 이용한 비빔장의 제조방법
CN111109546A (zh) 一种番茄风味鱼肉脯的制作方法
KR100763932B1 (ko) 홍어 식해의 제조 방법
CN115336721B (zh) 一种瘦身鱼鱼饼及其加工工艺
KR100682598B1 (ko) 갑각류고기를 포함하는 순수생동물고기의 소시지 및 이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