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781B1 -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혼합물들및고광택페인트제제를위한용도 - Google Patents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혼합물들및고광택페인트제제를위한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781B1
KR100374781B1 KR1019950004385A KR19950004385A KR100374781B1 KR 100374781 B1 KR100374781 B1 KR 100374781B1 KR 1019950004385 A KR1019950004385 A KR 1019950004385A KR 19950004385 A KR19950004385 A KR 19950004385A KR 100374781 B1 KR100374781 B1 KR 100374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df
poly
vinylidene fluoride
polymer mixture
melt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439A (ko
Inventor
시오-칭린
스티븐존버크스
브래들리레인켄트
크레이그캠슬러
Original Assignee
오시몬트 에스.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시몬트 에스.페.아. filed Critical 오시몬트 에스.페.아.
Publication of KR95003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4/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114/22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수지들에 기초한 페인트들은 풍화성 및/또는 부식성 물질에 노출되는 금속 표면들에 칠해져서 개선된 광택과 높은 유기용매 저항성과 매우 좋은 유연성을 가지는 보호 도장으로 쓰인다. PVDF 수지는 (a) 5 내지 20 kPoise의 용융점도를 가지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5 내지 95 중량%; (b) 25 kPoise 이상의 용융점도를 가지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5 내지 95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용융점도는 232℃, 100sec-1의 전단속도에서 측정됨).

Description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혼합물들 및 고광택 페인트 제제를 위한 용도
본 발명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혼합물들 및 고광택 페인트 제제를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PVDF)를, 풍화성 및/또는 부식성 물질에 노출되는 금속 표면들에 칠해지는 보호 페인트의 제제를 위한 수지로서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도장(塗裝)은 칠해진 후에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구워진 다음 냉각된다. PVDF에 의하여 발휘되는 보호 작용은 실록산(Siloxane), 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다른 수지들의 보호 작용보다 확실히 우수하다. 그러나, 후자에 비하여 보호층의 광택은 낮다.
근본적으로 광택은 수지의 유동성과 굽고 냉각하는 과정 후에 수지의 재결정 속도에 좌우되기 때문에, 적절한 연쇄이동제의 존재 하에 수용성 에멀션에서 비닐리덴플로라이드(VDF)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저분자량의 PVDF를 사용하여 광택을 개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095,081 호).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도장의 용매 저항력을 현저하게 악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저항력은 아닐링 공정들(예를 들어 120℃에서 16시간 동안)에 의하여 PVDF의 결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것은 공정 시간을 상당히 증가시키고, 공업적 규모의 적용에 부적합 공정이 되게 한다. 저분자량 PVDF의 결정화는 특히 중합 온도를 낮추는 등 합성 공정을 변경하여 향상될 수 있다. 이것은 공정 시간을 늘리게 되고 상당한 비용 증가를 낳는 결과를 가져온다. 어떠한 경우에도 저장 중에 점차로 증가하게 되는 고결정성은 수축 현상으로 인한 내부의 응력들을 발달시키고 도장 유연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그것은 더 쉽게 부서지거나 균열이 생긴다.
본 발명은 높은 용매 저항력을 가지고 유연성이 매우 좋으면서도 개선된 광택을 가지는 PVDF에 기초한 보호 도장제를 제공한다. 그러한 결과는 다른 성질들을 가지는 PVDF의 혼합물들을 사용하여 얻어지는데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는 분자량이 작은 것들이고, 후자는 고분자량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다음을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이다.
(a) 5 내지 20 kPoise의 용융점도를 가지는 PVDF(제1 PVDF) 5 내지 95 중량%; 및 (b) 용융점도가 25 kPoise 이상인 PVDF(제2 PVDF) 5 내지 95 중량% (용융점도는 232℃에서 100sec-1전단속도에서 측정된 것임)
바람직하게는 성분 (a)(제1 PVDF)의 용융점도는 6 내지 15 kPoise이고, 성분 (b)(제2 PVDF)의 용융점도는 30 내지 50 kPoise의 범위이다.
특별히 바람직한 것은 성분 (a)가 40 내지 90 중량% 존재하고 성분 (b)가 10내지 60 중량%로 존재하는 중합체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PVDF)라 하는 것은 VDF 동중합체들(homopolymers)과, 비닐플로라이드, 헥사플로로프로펜, 트리플로로에틸렌, 클로로플로로에틸렌, 테트라플로로에틸렌 등등과 같은 다른 플로로올레핀 0.1-15 몰%와의 VDF 공중합체들(copolymers)을 의미한다.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VDF의 동중합체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PVDF 혼합물을 포함하는 페인트이다. 페인트에 존재하는 PVDF 혼합물의 양은 전체 건조 수지 함량의 10 내지 9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중량%이다. 페인트는 일반적으로 제 2의 비-플루오르화 수지를 또한 함유하는데, 이러한 수지는 변성제(property modifier)로 작용하며 PVDF와 열역학적으로 상화성인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2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및 그들의 공중합체들로부터 선택되어질 수 있다. 교차결합반응을 위하여 작용기가 달린 공단위체를 포함하는 동일한 수지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 수지들은 유기용매 내 또는 유기용매들의 혼합물 내에서 분산될 수 있다. 용매들은 "중간적(intermediate)" 용매들, 다시 말해서 상온에서 PVDF 수지를 용해하거나 팽윤시키지 않는 반면 상승된 온도에서는 PVDF 수지를 용해하며, 주위온도로 냉각하면 용액 내에 PVDF 수지를 보유하는 용매들이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중간적" 용매로서 이소포론(isophoron), 카비톨(Carbitol(R)) 아세테이트, 부티로락톤 등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들은 "잠재적인(latent)" 용매들, 다시 말해서 상온에서 PVDF 수지를 용해하거나 실질적으로 팽윤시키지 않는 반면, 상승된 온도에서 PVDF 수지를 용해시키나, 냉각되면 PVDF 수지가 용액으로부터 분리되는 용매들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잠재적인" 용매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프탈레이트,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는 보통 계면활성제, 안료, 왁스들, 안정제들, 유동성조절제(flow modifier) 등과 같은 다른 통상적인 첨가물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들의 제조는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첫번째 기술은 두 종류의 분말 PVDF을 완전히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분말 형태의 PVDF는 통상 주지의 방법에 따라 VDF를 수용액성 에멀션내에서 중합하여 얻어지는 라텍스로부터 출발하여, 중합체를 응집시키고, 여과하고, 세척, 건조하는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페인트들 제제에 사용되기 위해서 생성물은 평균 지름이 20마이크론 이하인 입자들을 얻을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제분기에서 조심스럽게 갈아진다.
첫번째 기술에 대신하여, 하나(전자)는 저분자량의 PVDF이고 다른 하나(후자)는 고분자량의 PVDF인 두 가지 다른 라텍스들을 공응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술한 대로 응집되고 처리된 생성물은 다른 종류의 주요 입자들을 함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들의 제조하는데 특별히 유리한 다른 기술은 수용액성 에멀션내에서 VDF를 중합하는 두 가지 다른 단계들로 구성된다. 제 1단계에서, 고분자량을 가지는 PVDF를 얻기 위해서 연쇄이동제 없이 중합반응이 수행된다. 원하는 양의 단위체가 소모되었을 때 새로운 VDF가 적당한 연쇄이동제와 함께 주입되는데 그 양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분자량을 가지는 PVDF를 얻기 위한 양만큼을 주입한다.
수용액성 에멀션에서 VDF의 중합반응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는 잘 알려진 기술이다. 그것은 온도가 일반적으로 2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30℃이고 반응 압력이 30 내지 100 bar,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bar에서 적당한 개시제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개시제로는 선택된 중합 온도에서 활성 라디칼을 발생시킬 수 있는 화합물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퍼옥시디설페이트와 같은 퍼옥사이드 무기염들; 디터부틸퍼옥사이드(DTBP)와 같은 디알킬퍼옥사이드; 디에틸과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IPP), 비스-(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와 같은 디알킬퍼옥시디카보네이트; t-알킬퍼옥시벤조네이트들; t-부틸과 t-아밀-퍼옥시피발레이트와 같은 t-알킬퍼옥시퍼발레이트들; 아세틸시클로헥산술폰닐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디커밀퍼옥사이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사용되는 개시제의 양은 결정적인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0.1 내지 10g/lH2O,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g/lH2O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반응은 안정적인 에멀션을 주기 위하여 적절한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4,360,6520 호와 제 4,025,709호에서 설명된 것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불소가 함유된 계면활성제들로 다음과 같은 일반식의 생성물들로부터 선택된다.
Rf-X M+
여기서 Rf는 C5-C16(퍼)플로로알킬 사슬이나 (퍼)플로로폴리옥시알킬렌 사슬이고, X 는 -COO-이거나 -SO3이고, M+은 H+, NH4+, 알칼리금속 이온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암모늄 퍼플로로-옥타노에이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르복실 기들로 말단이 씌워진 (퍼)플로로폴리옥시알킬렌들; Rf가 C4-C10퍼플로로알킬인 Rf-C2H4SO3H 화학식을 가진 술폰산 염들(미국특허 4,025,709호) 등이다.
PVDF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알려진 연쇄이동제들로는 예를 들어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메틸터부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과 같은 케톤들, 에스테르들, 에테르들, 3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지방족 알코올들;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플로로메탄과 같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들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수소를 함유하는 플로로(플로로)카본들; 비스(에틸)카보데이트, 비스(이소부틸)카보네이트 등과 같이 알킬기가 1 내지 5개의 탄소를 가지는 비스(알킬)카보네이트들 등이 있다.
연쇄이동제는 반응기에 계속적으로 주입되거나, 두번째의 중합단계에서 이산적인 양으로(discrete amounts) 주입된다 모든 연쇄이동제를 두번째 단계의 시작에서 모두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입되는 연쇄이동제 전체의 양은 연쇄이동제 자체의 효율과 상기한 범위내의 용융점도를 줄 수 있는 원하는 분자량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연쇄이동제의 총량은 반응기에 주입되는 단위체 전체의 0.05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중량%이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들은 다움과 같으나, 이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 자체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페인트들의 제제화를 위해, 다음의 기본 조성물들이 사용되었다(중량%).
다양한 성분들이 모래 분쇄기에서 이중으로 분쇄되어 신중하게 혼합되었다. 페인트(미세한 분말의 형태로 된)는, 20부의 PVDF를 40부의 기본조성물과 21부의이소포론을 함유하는 혼합물 내에 분산시켜서 제조된다. 성분들은 동일한 질량의 3mm 유리구슬이 함유된 교반기 내에서 한시간 동안 균질화된다.
실시예 1∼17
저분자량 PVDF의 제조
제 1중합체(P-1)
패달 교반기가 장착된 7.5 리터의 스테인리스강 수평 반응기내에, 이온이 제거된 물 4375g과 50∼60 ℃에서 용융되는 탄화수소 왁스 4g을 채운다. 반응기는 밀폐되고, 질소 흐름으로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가 되도를 한다. 2.99 g의 암모늄 퍼플로로옥타노에이트가 함유된, 이온이 제거되고 공기가 제거된 물 1000 g을 첨가한다. 그런 다음 반응기는 120℃로 가열되고 기체의 VDF에 의하여 650 psig의 압력이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연쇄이동제로서 메틸터부틸-에테르(MTBE) 8.0 ㎖를 첨가한다. 19.1 ㎖의 디터부틸-퍼옥사이드(DTBP)를 반응기에 주입함으로써 반응이 개시된다. 약 15분 가량의 유발단계가 지난 후에 반응이 시작되고 이는 압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압력이 650 psig, 온도가 120℃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VDF가 계속적으로 주입된다. 3시간 후에 단위체의 주입이 중단된다(총 1898g의 VDF가 주입됨). 수득률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반응기 압력이 150 psig가 될 때까지 시스템은 계속적으로 반응을 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반응기는 냉각되고, 반응되지 않은 VDF는 배출되고 반응기로부터 라텍스가 배수된다. 그 라텍스는 25 중량%의 고체들을 함유하고 있다. 중합체는 질산에 의하여 응집되고 이온이 제거된 물로 세척되어 중성의 pH를 가지게 하고 60℃의 대류오븐에서 건조된다. 생성물은 융점(차등주사 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에 의하여 측정됨)과 용융점도(232℃에서 100sec-1의 전단속도로 길이/지름의 비율이 15/1인 카예니스 갤럭시 V(R(Kayeness Galaxy V(R))모세관 유량계로 측정됨)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얻어진 결과들은 표 1에 있다.
제 2중합체(P-2)
페달 교반기가 장착된 7.5 리터의 스테인리스강 수평 반응기내에, 이온이 제거된 물 4175g과 50∼60 ℃에서 용융되는 탄화수소 왁스 4g을 채운다. 반응기는 밀폐되고, 질소 흐름으로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2.99 g의 암모늄 퍼플로로옥타노에이트가 함유된, 이온이 제거되고 공기가 제거된 물 1000 g을 첨가한다. 그런 다음 반응기는 125℃로 가열되고 기체의 VDF에 의하여 650 psig의 압력이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연쇄이동제로서 6.52% w/v 이소프로필 알코올 용액(IPA) 10.5㎖를 반응기내로 펌핑한다. 5.1 ㎖의 디터부틸-퍼옥사이드(DTBP)를 반응기에 주입함으로써 반응이 개시된다. 약 20분 가량의 유발단계가 지난 후에 반응이 시작되고 이는 압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압력이 650 psig, 온도가 125℃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VDF가 계속적으로 주입된다. 반응 중에 IPA 용액과 소모되는 단위체의 비율이 0.0342 ㎖/g이고, DTBP와 소모되는 단위체외 비율이 0.0166 ㎖/g이 되도록 IPA와 DTBP가 이산적인 양으로 주입된다. 전체 VDF의 50%가 소모될 때까지 IPA와 DTBP가 첨가된다. 5시간 후에 단위체의 주입이 중단된다(총 2298g의 VDF가 주입됨), 수득률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반응기 압력이 150 psig로감소될 때까지 시스템온 계속적으로 반응을 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반응기는 냉각되고, 반응되지 않은 VDF는 배출되고 반응기로부터 라텍스가 배수된다. 그 라텍스는 29.1 중량%의 고체들을 함유하고 있다. 응집되고 세척되고 건조된 중합체는 상술한 대로 특징지어진다. 얻어진 결과들은 표 1에 있다.
제 3중합체(P-3)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외하고는 제 2중합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DTBP의 첨가는 전체 VDF의 51%가 소모될 때까지 계속되고; 반면에 IPA 용액의 첨가는 전체 VDF의 68%가 소모될 때까지 계속되고, 소모되는 전체 단위체의, 양은 1652 g이고 전체 반응 시간은 6시간이고; 결과적인 라텍스는 21.7 중량%의 고체들을 함유하고 있다. 응집되고 세척되고 건조된 중합체는 상술한 대로 특징지어진다. 얻어진 결과들은 표 1에 있다.
제 4중합체(P-4)
패달 교반기가 장착된 7.5 리터의 스테인리스강 수평 반응기내에, 이온이 제거된 물 4375g과 50∼60 ℃에서 용융된 탄화수소 왁스 4g을 채운다. 반응기는 밀폐되고, 질소 흐름으로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2.99 g의 암모늄 퍼플로로옥타노에이트가 함유된, 이온이 제거되고 공기가 제거된 물 1000 g을 첨가한다. 그런 다음 반응기는 125℃로 가열되고 기체의 VDF에 의하여 650 psig의 압력이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연쇄이동제로서 메틸터부틸-에테르(MTBE) 8.6 ㎖를 첨가한다. 5.4 ㎖의 디터부틸-퍼옥사이드(DTBP)를 반응기에 주입함으로써 반응이 개시된다. 약 15분 가량의 유발단계가 지난 후에 반응이 시작되고 이는 압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압력이 650 psig, 온도가 120℃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VDF가 계속적으로 주입된다. DTBP와 소모된 단위체의 비율이 0.0166 ㎖/g이 되도록 DTBP가 이산적인 양으로 반응 중에 주입된다. DTBP는 전체 VDF의 61%가 소모될 때까지 첨가된다. 4.5 시간 후에 단위체의 주입이 중단된다(총 1876g의 VDF가 주입됨). 수득률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반응기 압력이 150 psig가 될 때까지 시스템은 계속적으로 반응을 하도록 한다. 이렇게 얻어진 라텍스는 24.0 중량%의 고체들을 함유하고 있다. 응집되고 세척되고 건조된 중합체는 상술한 대로 특징지어진다. 얻어진 결과들은 표 1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저분자량의 제 1 내지 제 4 중합체(P-1, P-2, P-3, P-4)는 용융점도(232℃, ν=100sec-1에서)가 31.1 kPoise인 고분자량의 시판되는 PVDF인 Hylar(R)5000(제 5중합체, P-5)과 함께 이소포론 내에서 공-분산되어 표 2에 보고된 상대량의 혼합물들 B-1/B-12를 형성한다. 이러한 혼합물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서 페인트들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각 페인트는 0.6 mm 두께의 알루미늄 패널에 발라지고, 알루미늄 패널은 피크 금속 온도가 460 ℉(238℃)가 되도록 540 ℉(282℃)의 오븐에서 구워지고, 그런 다음 상온의 수조에서 냉각된다. 약 20 ㎛의 두께를 가지는 이렇게 해서 얻어진 도장은 광택과 메틸에틸케톤(MEK)에 대한 저항성을 특징으로 한다. 광택은 ASTM법 D 523-85에 따라서 광선 입사각 60˚로 거울광택측정기(Specular Glossmeter)에 의하여 측정되고, 닦아진 검은 유리의 광택과 비교하여 %로 표시되었다. MEK 저항성은 ASTM법 D-4752-87(MEK로 적셔진 천으로문지름 )에 따라 측정되고, 금속물질의 노출되며 페인트가 제거될 때까지의 이중문지름(double rubs)의 횟수로 표시되었다. 그 결과들이 비교의 목적으로 제 1 내지 제 5 중합체(P-1, P-2, P-3, P-4, P-5) 각각만으로 만들어진 페인트들과 관련된 값들과 함께 표 2에 보고되어 있다(비교 실시예들 4, 5, 9, 13, 17).
실시예 18∼20
다음의 PVDF 혼합물들 제 13 내지 제 15 혼합물들(B-13/B-15) 들은 다음의 두 단계 중합 공정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제조되어진다.
패달 교반기가 장착된 7.5 리터의 스테인리스강 수평 반응기내에, 이온이 제거된 물 4375g과 50∼60 ℃에서 용융되는 탄화수소 왁스 4g을 채운다. 반응기는 밀폐되고, 질소 흐름으로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2.99 g의 암모늄 퍼플로로옥타노에이트가 함유된, 이온이 제거되고 공기가 제거된 물 1000 g을 첨가한다. 그런 다음 반응기는 120℃로 가열되고 기체의 VDF에 의하여 650 psig의 압력이 되도록 한다. 19.1 ㎖의 디터부틸-퍼옥사이드(DTBP)를 반응기에 주입함으로써 반응이 개시된다. 약 15분 가량의 유발단계가 지난 후에 반응이 시작되고 이는 압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압력이 650 psig, 온도가 120℃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VDF가 계속적으로 주입된다. 전체 VDF 중량의 25%(제 13혼합물(B-13), 실시예 18), 50%(제 14혼합물(B-14), 실시예 19) 또는 75%(제 15혼합물(B-15), 실시예 20)가 소모된 후에, 이온이 제거된 수용액에 3 중량%의 형태로 MTBE가 연쇄이동제로서 첨가된다. MTBE 용액은 소모된 VDF 200g당 28㎖의 비율로 첨가된다. MTBE의 마지막 부분은 소모된 VDF 전체의 양이 최종값인 1898g의 200g내에 있을 때 주입된다.
이상의 세 공정에서 얻어진 라텍스들로부터, 제 13 내지 제 15혼합물(B-13, B-14, B-15)들이 응집되고, 그 후 그것들이 세척되고 건조되어 표 1에 보고된 바와 같이 특징지어진다. 상기에서 설명된 페인트들을 제제화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혼합물들의 결과가 표 2에 보고되어 있다.
실시예 21∼24
고분자량의 PVDF(제 6 중합체, P-6)가 연쇄이동제가 첨가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중합체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되고; VDF 전체 양 2298 g이 공급되고; 얻어지는 라텍스는 30 중량%의 고체성분을 가진다. 상기 라텍스들로부터 표 1에 보고된 특성들을 가지는 제 6중합체(P-6)가 분리된다.
동일한 라텍스들이 표 2에 보고된 B-16/B-18 혼합물들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양으로 제 1중합체(P-1)의 제조시 얻어지는 라텍스와 혼합된다. 퍼센트들은 응집, 세척, 건조 전의 중합체 양들에 대하여 언급되어 있다. 그러한 혼합물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른 페인트들을 제제화하는데 사용된다. 그 결과들은 고분자량의 제 6중합체만으로 출발하여 제조되는 페인트들에 대하여 얻어지는 값들과 함께표 2에 보고되어 있다(비교 실시예 24).

Claims (10)

  1. 중합체 혼합물에 있어서,
    (a) 5 내지 20 kPoise의 용융점도를 가지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의 5 내지 95 중량%; 및
    (b) 25 kPoise 이상의 용융점도를 가지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의 5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며; 용융점도는 232℃ 및 100sec-1의 전단속도에서 측정된 중합체혼합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혼합물은 상기 성분 (a)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의 용융점도가 6 내지 15 kPoise 범위이고, 상기 성분 (b)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의 용융점도가 30 내지 50 kPoise 범위인 중합체 혼합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는 4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성분 (b)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는 10 내지 6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중합체혼합물.
  4.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두가지 성분을 분말형태로 완전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성분 (a)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를 함유하는 수용성 라텍스와 성분 (b)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를 함유하는 수용성 라텍스를 공-응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성분 (b)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정의에 따른 높은 용융점도를 가지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를 얻기 위하여 연쇄이동제 비존재하에 진행되는 제 1단계;
    성분 (a)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정의에 따른 낮은 용융점도를 가지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를 얻기 위한 양만큼의 연쇄이동제 존재하에 진행되는 제 2단계; 및
    상기 두 단계로 수용성 에멀션 내에서 VDF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중합체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7. 건조 수지의 함량이 10 내지 90 중량%의 양인,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페인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는 제 2의 비-불소화된 수지를 포함하는 페인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와 그들의 공중합체들로부터 선택되어지는 페인트.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는 계면활성제, 안료, 왁스, 안정제, 유동성조절제에서 선택되어지는 통상적인 첨가물들을 더 포함하고 있는 페인트.
KR1019950004385A 1994-03-04 1995-03-03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혼합물들및고광택페인트제제를위한용도 KR100374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40402A IT1269291B (it) 1994-03-04 1994-03-04 Miscele di poli (vinilidene fluoruro) e loro impiego per la formulazione di vernici ad elevata brillantezza
ITMI94A000402 1994-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439A KR950032439A (ko) 1995-12-20
KR100374781B1 true KR100374781B1 (ko) 2003-05-01

Family

ID=1136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385A KR100374781B1 (ko) 1994-03-04 1995-03-03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혼합물들및고광택페인트제제를위한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670353B1 (ko)
JP (1) JP3824331B2 (ko)
KR (1) KR100374781B1 (ko)
AT (1) ATE182914T1 (ko)
DE (1) DE69511134T2 (ko)
ES (1) ES2135606T3 (ko)
IT (1) IT12692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1280B1 (en) * 1995-02-03 2001-08-28 Ausimont Usa, Inc. Low-gloss paints including polyvinylidene fluoride having a high melt viscosity
IT1301780B1 (it) * 1998-06-23 2000-07-07 Ausimont Spa Fluoroelastomeri vulcanizzabili per via perossidica
US6242548B1 (en) 1999-05-13 2001-06-05 Dyneon Llc Fluoroplastic polymers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CN1289547C (zh) 2001-05-02 2006-12-13 3M创新有限公司 在醚类链转移剂存在下制备含氟聚合物的水乳液聚合方法
ATE356152T1 (de) 2001-07-16 2007-03-15 Arkema France Vinylidenfluoridpolymer mit nicht übertragenem kettentei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R2842203A1 (fr) * 2002-07-12 2004-01-16 Atofina Procede de fabrication du polymere du fluorure de vinylidene
WO2004033539A1 (en) * 2002-10-11 2004-04-22 University Of Connecticut Blends of amorphous and semicrystalline polymers having shape memory properties
FR2899904B1 (fr) * 2006-04-14 2008-05-23 Arkema Sa Composition conductrice a base de pvdf
KR100710507B1 (ko) * 2007-01-02 2007-04-24 주식회사 피피지코리아 고온 소부형 불소수지 도료 조성물
CN106749798B (zh) * 2015-11-24 2019-03-22 浙江省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涂料型聚偏氟乙烯聚合物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0007A (en) * 1969-12-23 1973-12-18 Diamond Shamrock Corp Polymerization of vinylidene fluoride in aqueous suspension
US3929934A (en) * 1973-11-19 1975-12-30 Du Pont Novel fluoroelastomers in powder form
JPS5839922B2 (ja) * 1978-08-24 1983-09-02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弗化ビニリデン系樹脂フイラメント
JPS56117627A (en) * 1980-02-23 1981-09-16 Kureha Chem Ind Co Ltd Polyvinilydene fluoride resin pipe
US4400487A (en) * 1981-12-31 1983-08-23 Ppg Industries, Inc. Textured fluorocarbon coating compositions
JPH0768310B2 (ja) * 1984-12-26 1995-07-26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高性能含フツ素エラストマ−
JPH03259945A (ja) * 1990-03-12 1991-11-20 Asahi Glass Co Ltd 含フッ素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US5177150A (en) * 1990-05-10 1993-01-05 Elf Atochem North America, Inc. Powder coatings of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ylene copolymers
JP3371001B2 (ja) * 1991-08-01 2003-01-27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ッ化ビニリデン系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9207105T2 (de) * 1991-08-01 1996-05-15 Kureha Chemical Ind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nylidene-Fluoride-Polymer
JPH0753822A (ja) * 1993-08-11 1995-02-28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塗料用含フッ素重合体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40402A0 (it) 1994-03-04
ITMI940402A1 (it) 1995-09-04
KR950032439A (ko) 1995-12-20
EP0670353A3 (en) 1997-08-27
DE69511134T2 (de) 2000-02-24
IT1269291B (it) 1997-03-26
EP0670353A2 (en) 1995-09-06
ATE182914T1 (de) 1999-08-15
JP3824331B2 (ja) 2006-09-20
EP0670353B1 (en) 1999-08-04
JPH07258498A (ja) 1995-10-09
ES2135606T3 (es) 1999-11-01
DE69511134D1 (de) 199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8321B2 (ja) ビニリデンフルオライド系共重合体水性分散液、ビニリデンフルオライド系シード重合体水性分散液およびそれらの製法
US5925705A (en) Aqueous dispersion of vinylidene fluoride polymer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RU2411250C2 (ru) Применение водных дисперсий полимеров на основе винилиденфторид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красок для покрытий архитектурных объектов
EP0748826B1 (en) Aqueous fluorocopolymer dispersion
KR100476078B1 (ko) Vdf중합방법
JP2715540B2 (ja) 含フッ素樹脂の水性分散体、複合粉末およびオルガノゾル組成物
EP2021421B1 (en) Concentrated fluoropolymer dispersions stabilized with anionic polyelectrolyte dispersing agents
JP2012067324A (ja) 低結晶度の弗化ビニリデンヘキサフルオルプロピレン共重合体
KR100374781B1 (ko)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혼합물들및고광택페인트제제를위한용도
KR20190129913A (ko) 플루오로중합체의 제조 방법
JP2009256455A (ja) 含フッ素ブロック共重合体
JP2570827B2 (ja) 水性分散液の製造方法および水性塗料組成物
JP4851254B2 (ja)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04788B2 (ja) 含フッ素樹脂水性分散体
JP2002220403A (ja) フッ化ビニリデン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17912A (ja) 変性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25047A (ja) Pvdfの製造方法
JP7410045B2 (ja) 高固形分、無界面活性剤フルオロポリマー
EP0591815A1 (de) Oberflächenbeschichtungen mit reduziertem Oberflächenwiderstand
JP2003012717A (ja) 含フッ素共重合体粒子の製造法および粉体塗料用組成物
JPH0753646A (ja) 含フッ素水性分散液
WO2024024891A1 (ja) フルオロポリマー水性分散液の製造方法、フルオロポリマー水性分散液および塗料組成物
WO2023210819A1 (ja) フルオロポリマーの製造方法
JPS5818951B2 (ja) 熱硬化性粉体塗料の湿式製造方法
US20240141155A1 (en) Production method of fluoropolymer composition and fluoropolymer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