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172B1 -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172B1
KR100373172B1 KR1019960046279A KR19960046279A KR100373172B1 KR 100373172 B1 KR100373172 B1 KR 100373172B1 KR 1019960046279 A KR1019960046279 A KR 1019960046279A KR 19960046279 A KR19960046279 A KR 19960046279A KR 100373172 B1 KR100373172 B1 KR 10037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polyamide resin
polyamide
aci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484A (ko
Inventor
박은하
김정식
박용선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6004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172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5/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5/04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 H01G5/06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due to rotation of flat or substantially flat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18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H01G4/1227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tita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복잡한 구조 또는 대형 제품의 사출 성형시 표면이 양호하고 내열성, 내충격성 및 강도가 우수하여 특히 자동차의 엔진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수지의 하나와 길이 10∼13mm, 직경 10∼13㎛인 촙(Chop) 형태이며, 표면이 실란으로 커플링 처리된 유리섬유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소수 6∼15의 지방족 디아민류, 다음 식3으로 표시되는 디아민류, 탄소수 6∼15의 지방족디카르본산류,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탄소수 6∼15의 락탐이나 아미노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축중합된 무정형폴리아미드로서 식3으로 표시되는 지환족 디아민이나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5몰% 이상 함유된 무정형폴리아미드 수지 3∼10 중량부와, 산변성폴리올레핀 화합물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조성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열안정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및 활제를 선택적으로 더 첨가하여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식3]
식3에서 R1,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H 또는 탄소수 1∼3인 알킬그룹이다.

Description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제품 성형시 유동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구조의 제품이나 대형 제품의 사출 성형시에도 제품 표면이 양호하여 특히 자동차의 엔진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 제품에 있어 외관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외관이 양호한 사출 성형품을 얻기 위해서는 사출 성형 조건의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성형품의 모양, 크기 등에 따라 사출 성형 조건의 조절이 어렵고 또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소재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표면이 양호한 제품을 얻고 있다.
이렇게 유동성이 우수한 소재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중합시 분자량을 낮추는 방법, 즉 점도를 낮추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재는 유동성은 좋으나 다른 기계적 물성 즉, 내충격성 및 강성 등이 떨어진다.
한편 자동차 부품을 비롯하여 전기/전자 부품을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경량화, 낮은 제조원가, 설계 자유도 향상,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위한 방향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플라스틱 대체화 소재중에 폴리아미드 수지는 강성, 인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과, 내약품성, 보강재 첨가의 효과 등은 우수하나, 아미드 결합(-CO-NH-) 때문에 수분 흡습에 따른 치수안정성이 불량하고 결정성 폴리머이기에 충격강도가 약하고 성형수축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그렇지만 이들 단점 중에 일부를 개량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용도, 즉 전기/전자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도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엔진니어링 프라스틱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강성, 내열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 되지 못하여, 대부분은 유리 섬유와 같은 무기물을 강화제로서 첨가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고내열/고강성을 요하는 자동차 부품으로의 용도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아미드 수지의 강성, 내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유리 섬유를 첨가하되 기존의 촙(Chop) 형태가 아닌 길이가 훨씬 긴 형태의 유리 섬유를 사용하여 보다 우수한 충격강도, 굴곡탄성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길이가 긴 유리섬유(이하, "롱유리섬유"라 한다)를 사용함에 따라 불량해지는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정형 폴리아미드 수지와 산변성폴리올레핀을 함께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수지에 유리 섬유를 첨가하여 수지의 강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특성을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강화하는 기술과 유동성을 개선하는 기술에 대한 것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미국 특허 제4988764호, 일본특허공고 소60-86162, 소60-179455에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강성, 유동성,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나 내열성이 부족하다.
미국 특허 제2696482호 및 제3597400호에 개시된 비스(4-아미노싸이클로헥실)-메탄과 이소프탈산에서 축중합된 무정형 폴리아미드,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되는 무정형 폴리아미드는 용융 점도가 높기 때문에 유동성이 불량하여 구조가 복잡한 제품을 성형하면 성형 불량이 생긴다.
또한 미국 특허 제4594386호에서는 말레인산 무수물이 그라프팅(Grafting)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 폴리아미드를 블렌딩(Blending)하는 방법이, 미국 특허 제4593066호에서는 스틸렌 및 아크릴산의 중합체로 그라프팅된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고무와 블렌딩하는 방법이, 미국 특허 제4448934호 및 제4529776에서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중합된 설폰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고무를 블렌딩하는 방법이 각각 개시되어 있으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의 내충격성과 내흡습성을 개량하기 위해 고무와 블렌딩함에 따라 내열성 및 유동성은 오히려 불량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은 성형품이 작고 구조가 간단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뿐 큰 제품이나 복잡한 구조물, 예를들어 자동차 엔진커버, 팬, 탱크류 등에 적용하면 성형 불량 및 표면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3843591호에서는 커플링제를 도입하여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였지만, 이 방법은 커플링제의 도입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비경제적이다.
일본특허공개 소60-108463, 소60-47061에서는 유리섬유와 크레이를 복합강화하는 방법이 소개되었으나, 이는 크레이가 첨가됨에 따라 충격강도, 굴곡탄성율의 저하를 초래하였고, 일본특허공개 소59-133249호에서는 유리섬유와 가소제를 도입하여 유동성을 대폭 개량하였으나 굴곡탄성율, 내열성의 개선은 미비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특히 유동성이 우수하여 구조가 복잡한 제품이나 크기가 큰 제품의 성형시에도 성형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제품의 표면이 양호한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계 수지와 길이가 긴 유리섬유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무정형폴리아미드 수지 3∼10 중량부, 산변성폴리올레핀 화합물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조성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열안정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및 활제 등을 선택적으로 더 첨가하여 조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에 길이 1/2인치 정도의 롱유리섬유를 강화하여 충격강도, 굴곡탄성율, 열변형온도를 향상시켰고, 여기에 무정형폴리아미드 수지 및 산변성폴리올레핀 화합물을 첨가하여 롱유리섬유의 첨가에 따라 유동성이 불량해지는 점을 해소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아미드 수지로는 다음의 식 1 및 식 2로 표시되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를 사용한다.
[식1]
[식2]
상기 식1 및 식2에서 n은 200∼15000의 정수이다.
폴리아마이드6 수지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에 제조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ε-카프로락탐 100중량%에 대해 물 7.17중량부 및 기포억제제 0.004중량부, 내열제인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와 N-N'-헥사메틸렌 비스(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미드)의 1 대 1 혼합물인 이가녹스 B 1171(상품명, 제조회사 : 씨바 가이지) 0.09중량부를 260℃의 반응관에 투입하고 압력 15㎏/㎠까지 승압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 30분 정도 계속 압력을 유지하면서 서서히 압력을 떨어뜨려 대기와 같은 압력으로 2시간 정도 반응을 진행시킨후 서서히 -360㎜Hg로 감압하여 1시간 정도 반응을 더 진행시켜 질소를 투입하면서 반응시켜 제조한다.
폴리아미드66 수지는 교반기, 열감지기, 온도조절기와 스팀 환류냉각기물이 순환될 수 있는 장치가 되어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 중합용 오토크레이브에 폴리아미드 중합 원료인 헥사메틸렌디아민 아디페이트염(이하 AH염 이라함)과 이 AH염의 농도에 따라 저당량의 물을 투입하고 온도를 올리면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균일히 녹인 후 각종 첨가제를 투입 원료 제조용 용기에서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균일한 슬러리를 제조해 AH염이 녹아 있는 반응관에 투입하여 통상의 폴리아미드66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표1과 같은 조건에 따라 제조한다. 또한 상기의 원료 이외에도 점도 안정제로써 초산, 과잉첨가물로 헥사메티렌디아민 및 소포제 등을 부가적으로 소량 첨가할 수 있고, 모든 원료가 반응관에 투입되고 난 후 순도가 높은 질소가스를 퍼지하면서 산소를 제거시킨 후 원하는 폴리아미드66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단 계 압력(㎏/㎠) 온도(℃) 시간(분)
승온, 승압 상압 --> 17.5 120 --> 230 60
제 압 17.5 로 유지 230 --> 255 80
감 압 17.5 -->상압 255 --> 270 70
유 지 상압 270 --> 275 30
토 출 상압 --> 2.5 275 --> 280 20
위 표1에서 승압, 승온 단계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스팀이 오토크레이브내에 차게 되므로 압력 상승이 초래된다. 이때 온도가 120℃ 되는 때부터 60분간에 걸쳐 230℃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압력이 17.5㎏/㎠이 되면 스팀을 외부로 유출시키면서 압력을 유지하고 온도를 250℃ 정도까지 상승시킨다. 다시 스팀을 외부로 유출시키면서 압력을 70분간에 걸쳐 상압까지 떨어뜨린 후 30분간 유지하고 안정화시킨 후 질소를 2 내지 2.5㎏/㎠정도로 투입하여 토출과정을 거쳐 원하는 폴리아미드66 수지를 제조한다.
상기의 제법으로 얻게되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은 본 발명에 맞는 최종 수지 조성물을 위해 제습형 건조기에서 90℃, 5시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유리섬유의 강화 및 첨가제를 사용하는 조성물로 제조되는데, 원하는 목적의 물성도달을 위해서 폴리아미드6 보다 폴리아미드66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의 제한은 없으나 폴리아미드6 수지는 상대 점도 2.4 내지 3.0(20℃ 96% 황산 100㎖중 폴리머 1g 용액)이고 폴리아미드66 수지는 상대점도 2.5 내지 3.5(20℃ 96% 황산 100㎖중 폴리아미드66 1g 용액)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점도가 상기의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강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이상의 경우에는 유동성의 불량으로 유리섬유의 표면 표출 현상이 생길뿐더러 성형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무정형폴리아미드 수지로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지방족 디아민류와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디아민류, 탄소수 6 내지 15의 지방족디카르본산류,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탄소수 6 내지 15의 락탐이나 아미노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이 축중합된 무정형폴리아미드로서, 식3으로 표시되는 지환족 디아민이나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5몰%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을 폴리아미드 수지와 유리섬유의 혼합 사용량 100중량부에 대해 3 내지 1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다. 3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효과가 미비하고 10중량부 이상 첨가하면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 불량에 의해 표면 불량이 발생하고 결국, 이 때문에 도장성이 불량해짐은 물론 제조비용이 올라가는 단점이 있다.
[식3]
상기 식3에서 R1,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H 또는 탄소수 1∼3인 알킬그룹이다.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지환족 디아민으로써는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2-메틸-사이크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2-에틸-사이크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3-에틸-사이크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2-프로필-사이크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3-프로필-사이크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2-이소프로필-사이크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3-이소프로필-사이크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2-메틸-사이크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크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2-에틸-사이크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3-에틸-사이크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2-프로필-사이크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3-프로필-사이크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2-이소프로필-사이크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3-이소프로필-사이크로헥실)-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환족 디아민은 방향족환의 수소 첨가에 의해 생성되는 사이클로헥산환의 1,4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아미노기와 탄소 원자간 형성하는 기하이성질체, 즉 트랜스-트랜스 구조, 트랜스-시스 구조, 시스-시스 구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보통은 트랜스-트랜스 구조의 경우 유리전이 온도가 높아 내열성이 우수하나 본 조성물에 있어서의 큰 제약은 없다. 또한 디아민계 단량체와 같은 몰비로 적용할 수 있는 디카르본산 단량체로써는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식산, 데카노인산, 도데카노인산, 2.2.4-트리메틸아디핀산, 2.4.4-트리메틸아디핀산 등의 탄소수 6 내지 15 의 지방족 디카르본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으로 대표되는 방향족 디카르본산, ε-카프로락탐, ω-라우릴락탐 등으로 대표되는 탄소수 6 내지 15의 락탐이나 아미노산 등이 있다. 여기서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또는 식3으로 표시되는 지환족 디아민의 경우 적어도 5몰%이상 함유되어야 하는데, 이 함량 이하의 경우는 원하는 조성물의 목적에 도달할 수 없다.
산변성폴리올레핀은 통상 윤활제라 칭하는 것으로, 최종 조성물에 있어서 무정형폴리아미드와 동시에 사용하면 우수한 유동성을 발휘하여 성형이 용이하고 표면 특성이 양호하게 된다. 산변성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며 개질되는 것으로는 산치환이 이뤄진다. 보통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폴리올레핀을 증류수가 담겨져 있는 반응관에 넣고 교반조가 설치되어 있는 반응관에서 서서히 저어가며 폴리올레핀을 현탁상태로 두고 수산기(-OH)가 있는 단량체(Monomer)로 통상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산 등의 모노머와 모노머퍼록사이드(Monomerperoxide)를 첨가한다. 다음으로 라디칼 개시제라 불리우는 벤조익퍼록사이드(Benzoicperoxide)를 첨가한 후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만들고 반응 압력을 1000∼1500㎏/㎠로 하고 온도를 120∼130℃로 하면서 반응진행시간을 5 내지 6시간으로하여 산변성폴리올레핀 수지를 얻게 되는데, 보통 폴리올레핀 100중량부 대해 그라프팅되는 관능기의 양을 1∼3중량부하여 조절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먼저 만든 프리폴리머와 변성되지 않은 폴리올레핀을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이때 사용하는 물질은 폴리올레핀 100중량부 대해서 산이 존재하는 모노머 2∼10중량부, 모노머퍼록사이드 0.2중량부, 라디칼개시제 0.15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한 산변성폴리올레핀의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와 유리섬유의 총합 100중량부 대해 1∼5중량부가 적당하며 1중량부 미만은 효과가 없고 5중량부 이상은 내열성 저하 및 제조 비용이 올라가는 단점이 있다.
유리섬유로는 통상 "G" 또는 "K"그라스(Glass)로 통용되는 촙(Chop) 형태의 유리섬유에서 단순히 길이만 10 내지 13㎜인 것으로, 주성분은 CaO.SiO2.Al2O3이고 CaO 10∼20중량%, SiO250∼70중량% 및 Al2O32∼15중량%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최종 조성물과의 계면접착력을 위해 유리 섬유 표면에 실란(Silane)으로 커플링(Coupling) 처리되고, 섬유경의 직경이10 내지 13㎛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조성물에서 사용한 유리섬유는 피피지(PPG)사의 상품명 "3541"을 사용했으며 그 사용 함량은 15∼45중량% 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또 다른 내열제로 아미드기를 가진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와 N-N'-헥사메틸렌비스(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미드)의 1:1 혼합물인 이가녹스 B1171(상품명, 제조사:씨바가이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앞서 말한 열안정제(이가녹스 B1171) 이외에도이형제, 대전방지제, 활제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압출기로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배럴의 온도 275∼285℃(폴리아미드6의 경우 245∼255℃)에서 제조될 수 있는데,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투입구가 3개인 압출기를 이용하여 1차 투입구에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내열제를 2차 투입구에는 무정형폴리아미드와 산변성폴리올레핀화합물을 그리고 3차 투입구에는 유리섬유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차 투입구는 가능한 압출기의 토출부에 가까이 설치된 것이 좋은데, 이는 압출기내에서 스크류의 쉬어(Shear)에 의한 유리섬유의 파손을 최대한 줄이기 위함이다. 아울러 용융 혼련시 조성물의 물성 최대화 일환으로 체류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차 투입구 및 토출부 근처에 벤트(Vent)라 불리우는 감압장치가 설치하여 150㎜Hg 이하로 감압하여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로 나누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16)
하기 표1의 성분과 조성으로 280℃(폴리아미드6은 25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내에서 원재료를 용융 혼련한 후 칩(Chip) 상태로 만들고, 이를 제습형 건조기에서 90℃, 5시간 동안 건조한 후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시와 동일한 온도로 각각의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이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여 표2에 표시하였다.
성분실시예 폴리아미드66 (중량부) 폴리아미드6 (중량부) 롱-유리섬유 (중량부) 무정형폴리아미드(중량부) 산변성폴리올레핀(중량부)
123456789101112131415161718 8570705555----7070707070---- -----85707055-----70707070 153030454515303045303030303030303030 3610336610 366631066310 PA1PA2PA2PA1PA1PA1PA2PA2PA1PA2PA1PA1PA2PA2PA1PA1PA2PA2 333153153153351511
※무정형폴리아미드 PA1 :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45몰%와 아디핀산 35몰%와 ω-라우릴락탐 20몰%로 구성된 무정형폴리아미드 수지로 용융점도(280℃, 5,000 1/sec) 7,500 포이즈이고 유리전이온도 147℃인 수지.
※무정형폴리아미드 PA2 : 2,2,4 및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1:1 혼합물 40몰%와 헥사메틸렌디아민 15몰%와 이소프탈산 20몰%, 테레프탈산 25몰%로 구성된 무정형폴리아미드로 용융점도(280℃, 5,000 1/sec) 6,000포이즈이고 유리전이온도 150℃인 수지.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로 시편을 만들어 각종 물성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2와 같다.
※충격강도 : ASTM D256에 의거하여 1/4" 시편을 제작하여 상온에서 아이조드 노치(Izod Notched)로 측정하였다.
※굴곡탄성율: ASTM D790에 의거하여 1/4" 시편을 제작한 후 측정하였다.
※열변형 온도: ASTM D648에 의거하여 1/4" 시편을 제작한 후 하중 264psi에서 측정하였다.
※유동성: ASTM D1238에 의거하여 수지조성물을칩(Chip)형태로하여 290℃(폴리아미드6의 경우 250℃), 2.16㎏ 하중에서 10분간 흐른 양을 측정하였다.
물성실시예 굴곡탄성율 (㎏/㎠) 열변형온도(℃) 충격강도(㎏㎝/㎝) 유동지수(g/10min)
123456789101112131415161718 58,00084,20086,300 119,400120,100 52,30080,40087,10099,80085,20085,90087,70085,20084,90079,10076,40077,10080,200 217214242244245191209211213239243245241242208209210213 13.1141714.514.111.813.816.514.615.114.214.613.217.515.515.314.916.3 25.423.824.330.930.32227.221.822.832.128.324.529.522.833.224.724.521.6
(비교예1∼8)
수지 조성물중 롱유리섬유만을 사용한 경우와 단순 촙형태의 유리섬유를 사용한 것으로, 표3의 성분과 조성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에 대하여 물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4와 같다.
성분비교예 폴리아미드66(중량부) 폴리아미드6(중량부) 롱-유리섬유(중량부) 촙-유리섬유(중량부)
123456 8570--70- --8570-70 15301530-- ----3030
물성비교예 굴곡탄성율(㎏/㎠) 열변형온도(℃) 충격강도(㎏㎝/㎝) 유동지수(g/10min)
123456 47,40074,80040,90068,40068,30063,700 207240182208236203 8.19.27.99.37.57.2 15.213.215.814.11718.4
(비교예 9∼10)
수지 조성물중 무정형폴리아미드 혹은 산변성폴리올레핀화합물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것으로, 표5의 성분과 조성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만들어 물성 평가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는 표6과 같다.
성분비교예 폴리아미드66(중량부) 폴리아미드6(중량부) 롱-유리섬유(중량부) 무정형폴리아미드(중량부) 산변성폴리올레핀(중량부)
78910 7070-- --7070 30303030 6-6- PA1PA2PA1PA2 -3-3
물성비교예 굴곡탄성율(㎏/㎠) 열변형온도(℃) 충격강도(㎏·㎝/㎝) 유동지수(g/10min)
78910 81,50080,30076,90075,900 243242201202 14.111.213.610.9 14.82515.626.3
(비교예11∼18)
표7의 성분과 조성을 사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만들어 물성 평가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는 표8와 같다.
구분비교예 폴리아미드66(중량부) 폴리아미드6(중량부) 롱-유리섬유(중량부) 무정형폴리아미드(중량부) 산변성폴리올레핀(중량부)
1112131415161718 70707070---- ----70707070 3030303030303030 1126611266 PA1PA1PA1PA2PA1PA1PA1PA2 330.56330.56
물성비교예 굴곡탄성율(㎏/㎠) 열변형온도(℃) 충격강도(㎏·㎝/㎝) 유동지수(g/10min)
1112131415161718 77,30090,30080,80058,30073,50080,10067,30051,100 241243242226209210200181 9.21413.77.38.813.211.97.1 22.81617.23023.116.517.132.2
상기 실험 결과로 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리강화 폴리아미드 수지는 기존의 것에 비해 전체적으로 열변형온도와 충격강도가 조금 우수하나 굴곡탄성율과 유동지수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를 주제로 사용하고 길이 10∼13mm, 직경 10∼13㎛인 촙(Chop) 형태의 유리섬유를 강화함으로서 자동차, 전기/전자 부품, 특히 구조가 복잡하거나 큰 제품 성형이 가능할 정도로 충격강도, 굴곡탄성율, 열변형온도과 특히 유동성이 우수하다.

Claims (3)

  1. 상대점도 2.4∼3.0 (20℃, 96% 황산 100㎖ 중 폴리머 1g 용액)이고 하기 식1로 표시되는 폴리아미드6과 상대점도 2.5∼3.5 (20℃, 96% 황산 100㎖ 중 폴리머 1g 용액)이고 하기 식2로 표시되는 폴리아미드66으로 구성된 폴리아미드계 수지에서 선택된 1종과, 길이 10∼13mm, 직경 10∼13㎛인 촙(Chop) 형태의 유리섬유가 55∼85 : 15∼4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에 무정형폴리아미드 수지와 산변성폴리올레핀 화합물 첨가하여 조성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식1]
    [식2]
    상기 식1 및 식2에서 n은 200∼15000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무정형폴리아미드 수지는 탄소수 6∼15의 지방족 디아민류,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디아민류, 탄소수 6∼15의 지방족디카르본산류,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탄소수 6∼15의 락탐이나 아미노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축중합된 무정형폴리아미드로서 식3으로 표시되는 지환족 디아민,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5몰% 이상 함유된 것이 폴리아미드계 수지와 유리섬유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3∼10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식3]
    (상기 식3에서 R1,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H 또는 탄소수 1∼3인 알킬그룹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산변성폴리올레핀 화합물은 폴리아미드계 수지와 유리섬유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9960046279A 1996-10-16 1996-10-16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037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279A KR100373172B1 (ko) 1996-10-16 1996-10-16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279A KR100373172B1 (ko) 1996-10-16 1996-10-16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484A KR19980027484A (ko) 1998-07-15
KR100373172B1 true KR100373172B1 (ko) 2003-08-19

Family

ID=3741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279A KR100373172B1 (ko) 1996-10-16 1996-10-16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438B1 (ko) * 2006-07-03 2008-08-21 신일화학공업(주) 고내열성, 고강성 및 우수한 외관을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9064A (ja) * 1988-04-13 1988-11-25 Toray Ind Inc 自動車用オイルパン
JPS63289063A (ja) * 1988-04-13 1988-11-25 Toray Ind Inc 自動車用シリンダーヘッドカバー
JPS63304053A (ja) * 1988-04-13 1988-12-12 Toray Ind Inc 自動車用排ガス系統部品
KR900004934A (ko) * 1988-09-15 1990-04-13 고재군 개량된 내열성 알파- 아밀라아제의 제조 방법
JPH04337355A (ja) * 1991-05-15 1992-11-25 Mitsubishi Kasei Corp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H0598153A (ja) * 1991-10-08 1993-04-20 Mitsubishi Kasei Corp 二輪車ホイール用樹脂組成物
KR0156555B1 (ko) * 1995-06-29 1998-12-01 김태구 하이브리드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9064A (ja) * 1988-04-13 1988-11-25 Toray Ind Inc 自動車用オイルパン
JPS63289063A (ja) * 1988-04-13 1988-11-25 Toray Ind Inc 自動車用シリンダーヘッドカバー
JPS63304053A (ja) * 1988-04-13 1988-12-12 Toray Ind Inc 自動車用排ガス系統部品
KR900004934A (ko) * 1988-09-15 1990-04-13 고재군 개량된 내열성 알파- 아밀라아제의 제조 방법
JPH04337355A (ja) * 1991-05-15 1992-11-25 Mitsubishi Kasei Corp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H0598153A (ja) * 1991-10-08 1993-04-20 Mitsubishi Kasei Corp 二輪車ホイール用樹脂組成物
KR0156555B1 (ko) * 1995-06-29 1998-12-01 김태구 하이브리드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484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6279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US20090149590A1 (en) Modified Polyamides, Uses Thereof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EP2125954B1 (en) Composite of nylon polymer
KR950001856B1 (ko) 저온 내충격성 및 안료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US3988287A (en) Polyamide compositions
JP2011057976A (ja) 低吸水性ポリアミド組成物
JPS59133250A (ja) フエノ−ル化合物含有ポリアミド
KR20070017872A (ko)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US5262461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940011170B1 (ko) 폴리황화아릴렌 수지조성물
KR100373172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H03231969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7440996B2 (ja) 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成形品
KR20080100730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411850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060102416A (ko) 도전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US5254609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JP2011068876A (ja) 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成形品
JP3446768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0246052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0156555B1 (ko) 하이브리드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EP0482179B1 (en) Blends from amino-functionalized polyphenylene resins and ethylen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s
JP3043618B2 (ja) 強化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並びに成形品
KR19980084808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0899770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