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631B1 -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 Google Patents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631B1
KR100372631B1 KR10-2001-0009453A KR20010009453A KR100372631B1 KR 100372631 B1 KR100372631 B1 KR 100372631B1 KR 20010009453 A KR20010009453 A KR 20010009453A KR 100372631 B1 KR100372631 B1 KR 10037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upport plate
fixed
plate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281A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10-2001-000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6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용 상향 이송버퍼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콘베이어 일측에 설치하여 콘베이어로부터 회로기판을 전달받아 상향이송시키도록 하되, 상향이송장치의 구조를 한 단씩 밀어 올리는 새로운 구조로 개선함은 물론 회로기판을 받치는 방향을 좌, 우 방향으로하여 전방쪽으로 불량기판을 인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콘베이어(C)로부터 회로기판(P)을 이송받기 위해 가이드레일(110)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설치된 벨트(120)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100); 상기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100)의 하측 중앙에 설치하되, 회로기판(P)을 밀어올리기 위한 복수의 수직핀(210)들과, 수직핀들이 고정된 플레이트(220)와, 로드(230)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연결된 상승실린더(240)로 이루어진 상승작동기구(200); 좌, 우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중앙부분이 전, 후방쪽으로 개방되도록 한 한 쌍의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310)(320)와, 이들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같은 방향으로 위치시킨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를 포함하는 지지수단(300); 상기한 우측 지지플레이트(320)와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의 안쪽면 양쪽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한 쌍씩 고정한 고정 받침기구(410)와, 상기한 우측 지지플레이트(320)와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의 안쪽면 앞에 위치시키되, 우측 지지플레이트(320) 및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에 고정된 업다운 실린더(421)와, 이 업다운 실린더의 로드(422)에 고정된 연결간(423)에 의해 상, 하 왕복운동할 수 있는 업다운 받침기구(420)를 포함하는 상향이송수단(400); 상기한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를 좌, 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310)(320)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횡방향으로 설치한 나선축(510)(520)과, 이들 사이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설치한 상, 하 한 쌍의 가이드봉(530)으로 이루어진 간격조절수단(500);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회로기판용 이송버퍼{BUFFER UNIT FOR PCB}
본 발명은 회로기판용 상향 이송버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회로기판을 상향이송시키면서 불량기판을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용 이송버퍼는 회로기판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자동생산라인에서 회로부품 조립장치나 검사장치 등의 기계장치에서 앞이나 뒤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회로기판용 이송버퍼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로서 도면상 좌측의 콘베이어(C)를 통해 이송되어 오는 회로기판(P)을 어태치먼트 체인구동장치(B)로써 하나씩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버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버퍼의 어태치먼트 체인구동장치(B)에 의해서 상향이송되고 있는 회로기판들 중에는 제조과정에서 잘못되어 불량처리해야 하는 불량기판이 종종 포함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불량기판을 인출해 내고자 할 때, 버퍼의 정면쪽으로 인출하지 못하고 도 1 및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인출해야 하는 큰 불편이 있다.
이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불량기판을 인출해야 하는 이유는 상향 이송을 위한 체인구동장치(B)의 체인 설치 방향이 도 1에서 보듯이 전방과 후방에 한 쌍씩을 이루도록 설치 되어 있고, 이를 외장판재(A)로 마감처리하고 있기 때문이며, 체인구동장치(B)를 상기와 같이 전방과 후방에 한 쌍씩 설치하게 되는 이유는 회로기판을 버퍼까지 이송하는 콘베이어(C)의 구조가 회로기판의 앞쪽변과 뒷쪽변을 받치는 상태로 유입되기 때문이며, 이와 동시에 체인구동장치(B)는 어태치먼트가 반드시 가이드레일(G)의 밑에서 부터 위로 올라 가면서 회로기판(P)을 받쳐 올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필히 콘베이어와 같이 전방과 후방에 한 쌍의 체인구동장치를 설치할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콘베이어 일측에 설치하여 콘베이어로부터 회로기판을 전달받아 상향이송시키도록 하되, 상향이송장치의 구조를 한 단씩 밀어 올리는 새로운 구조로 개선함은 물론 회로기판을 받치는 방향을 좌, 우 방향으로하여 전방쪽으로 불량기판을 인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콘베이어로부터 회로기판을 이송받기 위해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설치된 벨트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의 하측 중앙에 설치하되, 회로기판을 밀어올리기 위한 복수의 수직핀들과, 수직핀들이 고정된 플레이트와, 로드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연결된 상승실린더로 이루어진 상승작동기구, 그리고 좌, 우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중앙부분이 전, 후방쪽으로 개방되도록 한 한 쌍의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이들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같은 방향으로 위치시킨 유동측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지수단, 그리고 상기한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유동측 지지플레이트의 안쪽면 양쪽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한 쌍씩 고정한 고정 받침기구와, 상기한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유동측 지지플레이트의 안쪽면 앞에 위치시키되,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유동측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된 업다운 실린더와, 이 업다운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된 연결간에 의해 상, 하 왕복운동할 수 있는 업다운 받침기구를 포함하는 상향이송수단, 그리고 상기한 유동측 지지플레이트를 좌, 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횡방향으로 설치한 나선축과, 이들 사이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설치한 상, 하 한 쌍의 가이드봉으로 이루어진 간격조절수단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송버퍼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이송버퍼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향이송수단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향이송수단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동식 받침편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
도 10은 최하단의 회동식 받침편위로 회로기판이 올라가는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최하단의 회동식 받침편에 회로기판이 얹힌 상태도
도 12는 업다운 받침기구에 의해 회로기판이 한 단계 상승하는 상태도
도 13은 한 단계 상승된 위치의 회동식 받침편에 회로기판이 얹힌 상태도
도 14는 업다운 받침기구가 하강할 때의 회동식 받침편의 상태도
도 15는 업다운 받침기구가 다음 차례의 회로기판을 상승시키는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전체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유입구동기구 200 : 상승작동기구
300 : 지지수단 400 : 상향이송수단
500 : 간격조절수단
110 : 가이드레일 120 : 벨트
210 : 수직핀 220 : 플레이트
230 : 로드 240 : 상승실린더
310 : 좌측 지지플레이트 320 : 우측 지지플레이트
330 : 유동측 지지플레이트 410 : 고정 받침기구
411 : 챤넬부재 412 : 핀
420 : 업다운 받침기구 440 : 회동식 받침편
441 : 돌출부 510,520 : 상, 하 나사축
530 : 가이드봉 540 : 타임벨트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우측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크게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100)와, 최초의 상승작동기구(200)와, 상향이송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300)과, 회로기판을 한 단계씩 밀어 올리는 상향이송수단(400), 그리고 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상향이송수단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500)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1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베이어(C)로부터 회로기판(P)을 이송받기 위해 가이드레일(110)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설치된 벨트(120)를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모터(130)가 작동하면 벨트(120)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순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레일 위로 지나가도록 한 벨트의 순환력으로 회로기판이 이송된다.
상승작동기구(200)는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100)의 하측 중앙에 설치하되, 회로기판(P)을 밀어올리기 위한 복수의 수직핀(210)들과, 이 수직핀(210)들이 고정된 플레이트(220)와, 로드(230)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연결된 상승실린더(240)로 이루어 진다.
지지수단(300)은 좌, 우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중앙부분이 전, 후방쪽으로 개방되도록 한 한 쌍의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310)(320)와, 이들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같은 방향으로 위치시킨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를 포함한다.
상향이송수단(400)은 상기한 우측 지지플레이트(320)와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의 안쪽면 양쪽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한 쌍씩 고정한 고정 받침기구(410)와, 상기한 우측 지지플레이트(320)와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의 안쪽면 앞에 위치시키되, 우측 지지플레이트(320) 및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에 고정된 업다운 실린더(421)와, 이 업다운 실린더의 로드(422)에 고정된 연결간(423)에 의해 상, 하 왕복운동할 수 있는 업다운 받침기구(420)를 가지는 것이다.
이때, 고정 받침기구(410)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듯이 U자형 단면을 갖는 수직의 챤넬부재(411)와, 이 챤넬부재(411)의 홈을 따라 핀(412)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축설한 회동식 받침편(440)들을 가진다.
이들 회동식 받침편(440)들은 상측 모서리는 라운드 가공되어 있고, 하측 모서리는 각이 진 상태이기 때문에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 돌출부(441)가 수평을 이룰 때 뒷면이 챤넬부재(411)의 바닥에 닿아 하향 회동이 억제되고, 상향 회동만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 업다운 받침기구(420)는 판체(424)와, 상기 판체의 양쪽에 상기 고정 받침기구(410)를 복수로 고정한 후, 이 판체(424)에 업다운 실린더(421)의 로드(422)가 연결된 연결간(423)으로 연결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동식 받침편(440)들의 한 칸 간격으로 상, 하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간격조절수단(500)은 상기한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를 좌, 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310)(320)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횡방향으로 설치한 나선축(510)(520)과, 이들 사이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설치한 상, 하 한 쌍의 가이드봉(530)으로 이루어 진다.
이 간격조절수단(500)의 상, 하 나선축(510)(520)은 타임벨트(540)로써 서로 연결되어 상측의 손잡이(550)를 돌렸을 때, 상측과 하측이 같이 움직이며, 가이드봉(530)은 움직일 때 유동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21은 연결간의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구멍이고, 140은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의 스톱퍼이다.
다음은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회로기판(P)이 도면상 좌측의 콘베이어(C)로부터 공급되면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100)가 작동한다.
즉, 모터(130)의 작동으로 벨트(120)가 순환하면 가이드레일(110)위에 얹힌 회로기판(P)이 상승작동기구(200)의 위로 이송되는데, 상승작동기구(200)의스톱퍼(140)에 걸릴 때 까지 진행되면 상측의 상향이송수단(400)으로 올려 줄 준비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승작동기구(200)는 정위치에 도달된 회로기판(P)을 상향이송수단(400)의 최하단 도입 위치까지 올려주는 작동을 한다.
이 상승작동기구(200)는 사실상 상향이송수단(400)과 연계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상향이송수단의 일부로 볼 수 있는 것으로서, 회로기판(P)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수평이동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수직핀(210)들이 밑에 내려가 있다가 올려 주는 것이 중요하다.
스톱퍼(140)에 의해 위치가 잡힌 상태에서 상승작동기구(200)의 상승실린더(240)가 작동하여 실린더 로드(230)가 연장되면, 플레이트(220)가 상승하므로 그 위의 수직핀(210)들이 도 1의 가상선 위치에서 실선의 위치까지 올라간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10)위에 있던 회로기판(P)은 전, 후 양측 끝단부가 아니라 그 좌, 우 양측 끝단부가 상향이송수단(400)의 좌, 우 양쪽 고정 받침기구(410)와 업다운 받침기구(420)가 가지는 회동식 받침편(440)들 위로 얹히는데 계속 반복하여 얹으면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향 이송되어 올라간다.
자세히 말해서, 도 6에서 보듯이 우측 지지플레이트(320) 상에 마련된 양측 고정 받침기구(410)와 중앙의 업다운 받침기구(420), 그리고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 상에 마련된 양측 고정 받침기구(410)와 중앙의 업다운 받침기구(420)들이 가지는 각각의 최하단 회동식 받침편(440)에 올려진다.
이와 같이 올려진 상태에서 도 8에서 보듯이 중앙의 업다운 받침기구(420)가 임의의 행정구간(회동식 받침편의 상, 하 간격)만큼을 상, 하 왕복운동하면, 도 10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한 단계씩 회로기판이 상승한다.
더 자세히 말해서 모든 회동식 받침편(440)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핀(412)을 축으로 상향 회동만 가능하고 하향 회동은 되지 않기 때문에 최초로 올려지는 회로기판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의 회동식 받침편(440)들을 모두 들어 올리면서 올라 갔다가 자중에 의해 회동식 받침편(440)들이 모두 수평상태로 내려오면 그 위에 회로기판(P)이 얹히게 되는 것이며, 이는 도 11과 같다.
이들 도 10 및 도 11에서 회로기판(P)의 양끝을 받치는 2개의 회동식 받침편(440)은 업 다운이 되지 않는 고정측이고, 중간의 2개의 회동식 받침편(440)은 업다운측 회동식 받침편이며, 도 12 내지 도 15에서도 같다.
도 11이 상태에서 계속 진행하면 한 단계씩 상승하는 작동이다.
즉, 도 8에서 보듯이 양쪽 업다운 받침기구(420)가 상승하면 그에 해당하는 중앙의 회동식 받침편(440)들이 도 12에서와 같이 회로기판(P)을 밀어 올리는 것이며, 양측의 고정측 회동식 받침편(440)들이 위로 제쳐 졌다가 다시 하강하면 도 13에서와 같이 그 위에 회로기판(P)이 얹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하강하는 업다운측 회동식 받침편(440)들은 회로기판(P)에 닿기 때문에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로 제쳐 졌다가 다시 내려오는 회동동작을 거쳐 본래의 위치로 돌아 온다.
이와 같이 도 11의 상태로부터 도 15의 상태를 반복하면 도 7 및 도 8에서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을 상향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회로기판(P)을 상향이송시키다가 미리 제공되는 불량기판에 대한 정보(자동생산라인에서 미리 감지/통보 됨)가 전달되어 오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위치에 해당하는 회로기판을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정면쪽에서 당기면 이송버퍼 속에서 이동되는 중이라 하더라도 쉽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콘베이어(C)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회로기판이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100)의 가이드레일(110)로 수평이송되어 들어 올 때는 회로기판의 전, 후 끝단을 받친 채 유입되지만, 상향이동 될 때는 가이드레일(110) 보다 밑에 설치되어 수직핀(210)으로 밀어 올리는 상승작동기구(200)와, 가이드레일(110) 보다 위에 설치하되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와 우측 지지플레이트(320)를 전, 후방 쪽이 개방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회로기판(P)의 좌, 우 양측 끝단을 받친 채 상향이송시키는 상향이송수단(400)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방에서 기판을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전, 후방이 막히고 좌,우 양측이 개방되어 있는 체인을 이용한 상향이송수단과 달리 작업자가 똑바로 선 상태에서 불량기판을 뽑아 인출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회로기판의 위로 상체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콘베이어(C)로부터 회로기판(P)을 이송받기 위해 가이드레일(110)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설치된 벨트(120)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100);
    상기 회로기판 유입구동기구(100)의 하측 중앙에 설치하되, 회로기판(P)을 밀어올리기 위한 복수의 수직핀(210)들과, 수직핀들이 고정된 플레이트(220)와, 로드(230)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연결된 상승실린더(240)로 이루어진 상승작동기구(200);
    좌, 우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중앙부분이 전, 후방쪽으로 개방되도록 한 한 쌍의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310)(320)와, 이들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같은 방향으로 위치시킨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를 포함하는 지지수단(300);
    상기한 우측 지지플레이트(320)와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의 안쪽면 양쪽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한 쌍씩 고정한 고정 받침기구(410)와, 상기한 우측 지지플레이트(320)와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의 안쪽면 앞에 위치시키되, 우측 지지플레이트(320) 및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에 고정된 업다운 실린더(421)와, 이 업다운 실린더의 로드(422)에 고정된 연결간(423)에 의해 상, 하 왕복운동할 수 있는 업다운 받침기구(420)를 포함하는 상향이송수단(400);
    상기한 유동측 지지플레이트(330)를 좌, 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310)(320)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횡방향으로 설치한 나선축(510)(520)과, 이들 사이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설치한 상, 하 한 쌍의 가이드봉(530)으로 이루어진 간격조절수단(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향이송수단(400)의 고정 받침기구(410)는 U자형 단면을 갖는 수직의 챤넬부재(411)와, 이 챤넬부재(411)의 홈을 따라 핀(412)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축설하되, 전방 돌출부(441)가 수평을 이룰 때는 뒷면이 챤넬부재(411)의 바닥에 닿아 하향 회동이 억제되고, 상향 회동만이 가능하도록 한 다수의 회동식 받침편(440)들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향이송수단(400)의 업다운 받침기구(420)는 판체(424)와, 상기 판체의 양쪽에 상기 고정 받침기구(410)를 복수로 고정한 후, 이 판체(424)에 업다운 실린더(421)의 로드(422)가 연결된 연결간(423)으로 연결하여 임의의 간격으로 상, 하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KR10-2001-0009453A 2001-02-24 2001-02-24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KR10037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453A KR100372631B1 (ko) 2001-02-24 2001-02-24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453A KR100372631B1 (ko) 2001-02-24 2001-02-24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996U Division KR200231089Y1 (ko) 2001-02-26 2001-02-26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81A KR20020069281A (ko) 2002-08-30
KR100372631B1 true KR100372631B1 (ko) 2003-02-15

Family

ID=2769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453A KR100372631B1 (ko) 2001-02-24 2001-02-24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75678A (zh) * 2016-04-13 2016-07-20 浙江中智机器人有限公司 适用于陶瓷ptc装配的电阻片送料机
CN109178771A (zh) * 2018-11-09 2019-01-11 惠州市新视觉实业有限公司 用于对电路板进行下料回收的自动化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8198A (ja) * 1988-04-20 1989-10-25 Hitachi Ltd マガジン供給装置
JPH02276731A (ja) * 1988-11-07 1990-11-13 Taiyo Yuden Co Ltd 基板収納装置
KR0169932B1 (ko) * 1996-02-28 1999-04-15 배순훈 불량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KR100285906B1 (ko) * 1998-10-02 2001-04-16 윤종용 인쇄회로기판이송용모듈컨베이어형버퍼
KR200231089Y1 (ko) * 2001-02-26 2001-07-19 이주영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8198A (ja) * 1988-04-20 1989-10-25 Hitachi Ltd マガジン供給装置
JPH02276731A (ja) * 1988-11-07 1990-11-13 Taiyo Yuden Co Ltd 基板収納装置
KR0169932B1 (ko) * 1996-02-28 1999-04-15 배순훈 불량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KR100285906B1 (ko) * 1998-10-02 2001-04-16 윤종용 인쇄회로기판이송용모듈컨베이어형버퍼
KR200231089Y1 (ko) * 2001-02-26 2001-07-19 이주영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81A (ko) 200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211B1 (ko) 카메라 승하강 장치
KR100244688B1 (ko) 웨이퍼 반송장치
CN105080846A (zh) 一种轨道装置及使用该轨道装置的物流分拣装置
KR100839503B1 (ko) 인라인 버퍼장치
KR100372631B1 (ko)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JPH07172538A (ja) コンベヤ装置
KR200231089Y1 (ko)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KR100960242B1 (ko)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KR100884257B1 (ko) 트레이이송장치
CN204974494U (zh) 轨道装置及使用该轨道装置的物流分拣装置
CN216775128U (zh) 立式电路板承载装置
JP2013103549A (ja) 無人搬送車の積荷落下防止用ストッパー装置
KR100500171B1 (ko) 기판의 경사 이송장치 및 경사 이송방법과 이를 적용한 기판의 처리방법
KR19990081673A (ko) 수평식 핸들러의 냉각챔버내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US2912989A (en) Plating machine
JP2009043846A (ja) 基板搬送装置
KR100957104B1 (ko) 윈도우 글라스 승강장치
CN113511608B (zh) 升降装置
CN218560299U (zh) 一种顶升移载阻挡机构
CN115366556B (zh) 自动翻页机构及自动翻页方法
CN114789980B (zh) 一种更换上托辊装置
KR100373230B1 (ko)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JP3937512B2 (ja) 基板の移載装置
JP4837173B2 (ja) ローラコンベアにおける搬送物移載装置
CN108493135A (zh) 硅片旋转装置和硅片分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