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932B1 - 불량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불량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932B1
KR0169932B1 KR1019960005122A KR19960005122A KR0169932B1 KR 0169932 B1 KR0169932 B1 KR 0169932B1 KR 1019960005122 A KR1019960005122 A KR 1019960005122A KR 19960005122 A KR19960005122 A KR 19960005122A KR 0169932 B1 KR0169932 B1 KR 0169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ader
conveyor
logic controller
inspection object
programmable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344A (ko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0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932B1/ko
Publication of KR97006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동작검사기에 관련된 것으로써, 특히 상기 키동작검사기에서 불량품판정을 받은 검사대상체(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수리사의 테이블로 자동이송시키는 불량품 자동이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리사의 작업테이블과 연결되는 이송컨베어와, 후단장비와 연결되는 작업컨베어, 및 상기 이송컨베어와 작업컨베어사이에 구비되는 언로더부를 구비하는 불량품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전·후단장비 및 상기 이송컨베어와의 신호교환을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신호교환을 통해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된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상기 이송컨베어를 구동시키고 상기 언로더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1,2모터를 구비하는 모터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상기 언로더부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실린더부와, 상기 언로더부에 구비되어 검사대상체의 인입여부를 체크하고, 검사대상체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불량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키동작검사기의 후단에 구비되는 불량품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품 이송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터페이스부(I/F 부) 20 : 모터부
30 :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부) 40 : 실린더부
50 : 센서부
본 발명은 작업컨베어상에 설치되는 키동작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동작검사에 의한 불량 또는 양품으로 판정된 인쇄회로기판을 자동으로 분리 및 이송하는 불량품 자동이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동작검사시스템은 전자레인지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메인 인쇄회로기판(PCB) 어셈블리상에서, 키동작과 마이콤의 기능검사를 행하는 것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컨베어(conveyor)상을 이동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 ASS'Y)를 작업 지그상에 올려놓아 콘넥터를 체결하고, 상기 어셈블리를 고정시킨후, 그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고, 설정된 작업지도표에 따라 상기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키를 조작하고, 그 조작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내용이 예상된 출력결과와 같은 지를 확인함에 의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불량여부를 판단하여, 양품은 지그상에서 분리하여 다음 공정으로 가기위해 작업컨베어상에 다시 놓여지고, 반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내용을 확인한 결과 불량으로 판단되면, 작업자가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지그상에서 분리하여 수리사에게 보낸다.
그런데, 종래에는 불량품을 수리사에게 이송하는데 있어서, 키동작검사 지그주변에 별도의 적재함을 마련해놓고, 작업자가 수조작으로 지그상에서 불량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하여, 상기 적재함에 적재하며, 이 적재함이 만재가 되면 수리사에게 작업자가 직접가져다 주거나, 수리사가 가져가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작업자 또는 수리사가 별도의 시간을 내서 불량품을 이송하여야 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컨베어외에 불량품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어를 구비하여, 불량품과 양품을 자동분리 및 이송하는 불량품 자동이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수리사의 작업테이블과 연결되는 이송컨베어와, 후단장비와 연결되는 작업컨베어, 및 상기 이송컨베어와 작업컨베어사이에 구비되는 언로더부를 구비하는 불량품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전·후단장비 및 상기 이송컨베어와의 신호교환을 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신호교환을 통해 불량품 이송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상기 이송컨베어 또는 작업컨베어를 구동시키는 제1,2모터를 구비하는 모터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상기 언로더부를 상·하 및 좌·우로 구동시키는 실린더부와,
상기 언로더에 구비되어 검사대상체의 인입, 반출 및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본 불량품 자동이송장치가 구비된 공장자동화기기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본 불량품 자동이송장치의 전단장비로써 검사대상체의 키동작의 양호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양호판정을 하도록 하는 키동작검사기(31)와, 상기 키동작검사기(31)로부터 이송되는 검사대상체를 그 불량여부판정에 따라 분리하는 언로더부(32)와, 상기 언로더부(32)의 일측과 수리사의 수리테이블과를 연결하는 이송컨베어(34)와, 상기 키동작검사기(31), 언로더(32)등이 설치되는 작업컨베어(33)를 구비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품 자동이송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로써, 제1도에 구비되는 작업컨베어상에 설치되는 언로더부(32)의 전단장비(키동작검사기)(31) 및 후단장비(도시생략)와, 상기 불량품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어(34)와의 신호교환을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1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상기 전·후단장비 및 이송컨베어(34)로부터의 신호를 체크하여 불량품이송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30)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3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상기 이송콘베어(34) 및 작업콘베어(33)를 움직이게 하는 제1모터(21), 제2모터(22)를 구비하는 모터부(20)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2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상기 언로더부(32)를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실린더(41)를 포함하는 실린더부(40)와, 상기 제3도의 언로더부(32)에 설치되어 검사대상체의 인입여부를 체크하는 인입센서(51)와, 언로더상의 검사대상체 존재여부를 체크하는 감지센서(52)를 포함하는 센서부(50)를 구비한다.
제2도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3도에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30)는 인터페이스부(10)을 통해 입력되는 이송컨베어(34) 및 전·후단장비로부터의 신호를 체크하여 모터부(20), 실린더부(40)등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상기 인터페이스부(10)로 입력되는 신호로는 전단장비(키동작검사기(31))로부터의 조정완료신호와, 양품·불량품 판정신호와 조정대상체(PCB어셈블리)를 송신한다는 의미의 신호가 있고, 이송컨베어(34)로부터의 불량조정대상체를 요구하는 요구신호가 있으며, 후단장비(도시생략)로부터의 양품의 조정대상체를 요구하는 요구신호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3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0)로 입력되는 신호로는 전단장비(31)로부터 PCB어셈블리를 요구하는 요구신호와, 이송컨베어(34) 또는 후단장비로 PCB어셈블리를 이송한다는 송신신호가 있다.
상기에 의하여, 제1모터(21)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30)의 제어를 받아 회전동작하여, 작업컨베어(33)를 움직이고, 제2모터(22)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30)의 제어를 받아 회전동작하여, 언로더(32)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실린더(41)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30)의 동작제어신호에 의하여 언로더(32)를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이 언로더(32)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검사대상체가 차단 또는 통과된다. 그리고 인입센서(51)는 전단장비(31)로부터 언로더(32)로 조정대상체가 이송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어셈블리 감지센서(52)는 언로더상에 조정대상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불량품 이송과정의 상세한 동작을 제2도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불량품 자동이송장치 및 전·후단장비(도시생략)에 전원이 공급되면(S20), 감지센서(52)를 체크하여, 언로더(32)상에 검사대상체(PCB어셈블리)가 있는지를 여부를 판단한다(S21). 상기 어셈블리 감지센서(52)로부터의 신호가 오프되어, 즉 검사대상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단장비인 키동작검사기(31)로부터의 검사대상체 송신신호가 수신될때까지 상기 키동작검사기(31)로 검사대상체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그리하여 상기 전단장비(키동작검사기(31))로부터의 검사대상체 송신신호가 수신되면, 작업컨베어(33)를 움직이도록 하는 제1모터(21)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인입센서(51)를 체크하여, 검사대상체가 입력되면(인입센서가 온되면), 상기 전단장비(키동작검사기(31))로 송신하던 검사대상테 요구신호를 오프하고, 다시 감지센서(52)를 체크하여, 언로더(32)상에 검사대상체가 존재하게 되면(감지센서가 온), 제1모터(21)의 동작을 오프시켜, 더이상의 검사대상체가 이송되는 것을 막는다(S22)
그다음으로, 언로더(32)상에 위치한 검사대상체의 양품·불량품여부에 따라서 그 분리 및 이송동작이 이루어진다(S23).
먼저 양품이라면, 언로더(32)의 후단에 연결되는 컨베어(33)로부터 검사대상체 요구신호가 수신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후단의 컨베어(33)로 검사대상체 송신신호를 송출하여, 컨베어(33)로부터 검사대상체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제1모터(21)를 동작시키고, 실린더(41)를 하강시켜, 언로더(32)상의 검사대상체를 컨베어(33)로 이송되도록 한다. 즉, 어셈블리 감지센서(52)가 오프될때(즉, 언로더(32)상에 검사대상체가 존재하지 않게될때) 약간의 시간딜레이(예, 1초)를 가져 상기 검사대상체가 언로더상에서 완전하게 반출되도록 하여, 제1모터(21)의 동작을 오프시키고, 제1실린더(41)를 상승시키고, 컨베어(32)로 송출하던 검사대상체 송신신호를 오프시킨다(S24).
이상에 의하여, 전단부(키동작검사기(31))로부터 양품판정을 받은 검사대상체가 언로더(32)를 지나 작업컨베어(33)로 이송되어 다음 공정을 거치도록 한다.
그런데, 불량품이라면, 제1모터(22)를 온하여 제2도의 언로더(32)를 좌우(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켜, 언로더(32)에 구비되는 검사대상체의 이동이 완료되면(S25), 그 끝이 수리테이블과 연결되는 이송콘베어(34)로 검사대상체 송신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송컨베어(34)로부터 검사대상체 요구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송신신호 송출과, 수신신호체크를 반복하여, 검사대상체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제1모터(21)를 온하고, 실린더(41)를 하강시켜 언로더(32)상의 검사대상체가 이송컨베어(34)로 이송되도록 한다. 감지센서(52)를 체크하여(S26), 언로더(32)상에 검사대상체가 존재하지 않으면(검사대상체의 이송이 완료되면), 제1모터(21)를 오프하여 동작을 멈추게하고, 실린더(41)를 상승시킨 후, 이송콘베어(34)로 송출하던 검사대상체 송신신호를 오프한다(S27). 그리고 제2모터(22)를 온시켜, 원래의 작업콘베어(33)상의 위치로 오게하고(S28), 언로더(34)가 제자리에 오게 되면 전단장비(키동작검사기)로 다음 검사대상체 요구신호를 송출한다(S29).
이와같이, 본 발명은 전단장비로부터 입력되는 양품·불량품신호에 의하여 검사대상체를 분리하고, 불량품을 수리사에게로 자동으로 이송함에 의하여, 작업자 또는 수리사의 이송동작을 대신하여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줄이고, 그로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수리사의 작업테이블과 연결되는 이송컨베어와, 후단장비와 연결되는 작업컨베어, 및 상기 이송컨베어와 작업컨베어사이에 구비되는 언로더부를 구비하는 불량품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전·후단장비 및 상기 이송컨베어와의 신호교환을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신호교환을 통해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된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상기 이송컨베어를 구동시키고 상기 언로더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1,2모터를 구비하는 모터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상기 언로더부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실린더부와, 상기 언로더부에 구비되어 검사대상체의 인입여부를 체크하고, 검사대상체를 감지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품 자동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교환되는 신호가 상기 전단장비로부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로 입력되는 조정완료신호와, 양품·불량품 판정신호와 검사대상체를 송신한다는 의미의 신호와, 상기 이송컨베어로부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로 입력되는 불량조정대상체를 요구하는 요구신호와, 상기 후단장비로부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로 입력되는 양품의 조정대상체를 요구하는 요구신호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3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0)로 입력되는 전단장비(31)로부터 PCB어셈블리를 요구하는 요구신호와, 이송컨베어(34) 또는 후단장비로 PCB어셈블리를 이송한다는 송신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품 자동이송장치.
  3. 불량품을 자동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언로더상에 검사대상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검사대상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단장비로부터 언로더상으로 검사대상체를 이송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언로더상의 검사대상체가 양품인지 불량품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양품이면, 언로더상의 검사대상체를 작업콘베어로 이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불량품이면, 언로더의 좌우이동시키는 모터를 구동시켜, 언로더를 이송컨베어상(上))으로 이동시키는 제5단계와, 언로더상의 검사대상체를 이송컨베어로 이송시키는 제6단계와, 상기 언로더를 작업컨베어상의 제자리로 옮기는 제7단계와, 전단장비로 다음 검사대상체 요구신호를 송출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품 자동이송방법.
KR1019960005122A 1996-02-28 1996-02-28 불량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KR0169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122A KR0169932B1 (ko) 1996-02-28 1996-02-28 불량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122A KR0169932B1 (ko) 1996-02-28 1996-02-28 불량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344A KR970064344A (ko) 1997-09-12
KR0169932B1 true KR0169932B1 (ko) 1999-04-15

Family

ID=1945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122A KR0169932B1 (ko) 1996-02-28 1996-02-28 불량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631B1 (ko) * 2001-02-24 2003-02-15 이주영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631B1 (ko) * 2001-02-24 2003-02-15 이주영 회로기판용 이송버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344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8435B (zh) 部件安装系统及其控制装置和部件安装方法
CN113976940A (zh) 一种钻孔设备及钻孔方法
KR0169932B1 (ko) 불량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US5628112A (en) Circuit board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20010057625A (ko) 컨베이어 속도 동기식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시트 투입 방법
KR20040091386A (ko) 불량품 검출 및 취출 시스템
CN111132463B (zh) 用于电路板的集成式操作平台以及操作方法
CN209342042U (zh) 一种手机壳体在线视觉检测机
KR100222834B1 (ko) 반자동 키동작 검사장치 및 방법
CN110127346B (zh) 氦检油箱流转方法及油箱氦检自动化生产线
CN113213102A (zh) 一种防错系统以及基于该系统的防错方法
AU2023203279B2 (en) Non-PLC-based conveyor controller
CN207780861U (zh) 一种机号追溯系统
CN116313922A (zh) 晶圆盒状态监控装置、半导体工艺设备及晶圆传送方法
CN215755136U (zh) 一种智能工厂用六自由度物料搬运系统
CN114079831B (zh) 一种产线信息的传输处理方法、自动化检测系统及设备
CN218656893U (zh) 一种钻孔设备
CN105438761A (zh) 流水线控制方法和用于实现该控制方法的设备
CN114779726A (zh) 基于io远程控制的产线控制系统
KR0139171Y1 (ko) Pcb의 선별분리장치
CN215885355U (zh) Pcb板自动翻板装置
CN215438432U (zh) 输送系统及插件系统
JP2795684B2 (ja) ワーク識別装置
KR20090129618A (ko) 제품 생산라인의 품질 자동 검사장치
KR0165434B1 (ko) 큐에프피 운반용 트레이 피더의 트레버서부의 속도제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