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242B1 -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242B1
KR100960242B1 KR1020080036038A KR20080036038A KR100960242B1 KR 100960242 B1 KR100960242 B1 KR 100960242B1 KR 1020080036038 A KR1020080036038 A KR 1020080036038A KR 20080036038 A KR20080036038 A KR 20080036038A KR 100960242 B1 KR100960242 B1 KR 100960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onveying
transfer unit
unit
st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503A (ko
Inventor
정현숙
Original Assignee
신화철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철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화철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24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2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20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65G2812/02069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형강을 가공 전 방향 또는 가공 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이송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전환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서 제2 이송부로 형강을 이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이송부에서 제1 이송부로 형강을 이송시켜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강의 이송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쉽고 빠르게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형강, 이송부, 승강부재, 이송부재, 이송전환부

Description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Shape Steel Transfer 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본 발명은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강의 이송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쉽고 빠르게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강은 자른 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형상을 하고 있는 강철재를 말하며, 이러한 형상으로는 여러 가지 형상이 있지만 대표적인 것이 "L", "H", "ㄷ", "I" 등이 있다. 또한 형강은 그 단면 형상에 따라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형강은 압연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길이 방향을 절단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형강의 가공 전후 이송을 위해 컨베어를 이용한 이송이 대표적이며 컨베어 등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리프트, 지게차 등을 이용해 이동시키곤 하였다.
이러한 이송 방법들은 대부분이 시동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형강의 이동을 위한 별도 공간(지게차, 리프트 등의 진입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형강의 이송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쉽고 빠르게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는, 형강을 가공 전 방향 또는 가공 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이송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전환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서 제2 이송부로 형강을 이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이송부에서 제1 이송부로 형강을 이송시켜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이송전환부는 형강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형강이 안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 프레임을 승강하게 하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 프레임을 하부 프레임에 대해 지지되게 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일단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마련에 마련되는 지지대 안내편에 내에서 유동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한쌍이 서로 크로스 교차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가로질러 마련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류 암과, 상기 스크류 단부에 마련되어 스크류를 회전하게 하는 모터와, 상기 스크류 수평하게 마련되는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에 안착되어 안내 레일을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송전환부는 한쌍이 동시에 동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강의 이송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쉽고 빠르게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 또는 가공할 형강을 이송중 이송 방향으로 이송 방향의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는, 형강을 가공 전 방향 또는 가공 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이송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전환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서 제2 이송부로 형강을 이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이송부에서 제1 이송부로 형강을 이송시켜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이송전환부는 형강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형강이 안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 프레임을 승강하게 하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 프레임을 하부 프레임에 대해 지지되게 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일단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마련에 마련되는 지지대 안내편에 내에서 유동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한쌍이 서로 크로스 교차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가로질러 마련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류 암과, 상기 스크류 단부에 마련되어 스크류를 회전하게 하는 모터와, 상기 스크류 수평하게 마련되는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에 안착되어 안내 레일을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송전환부는 한쌍이 동시에 동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이송전환부(30)는 제1 이송부(10)와 제2 이송부(20) 사이에 마련되어 형강(S)을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전환부(30)는 승강부재(310)와 이송부재(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310)는 상부 프레임(311), 하부 프레임(312), 지지대(313) 및 승강 실린더(31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승강부재(310)는 상기 상부 프레임(311)과 하부 프레임(312) 사이를 한쌍의 승강 실린더(314)를 이용해 연결시킨 상태로 한쌍의 지지대(313)를 서로 크로스 교차시켜 상단은 상부 프레임(311) 하단에 핀축(315)을 이용해 회전 가능하게 하고 하단은 하부 프레임(312)에 마련된 지지대 안내편(316)에 결합되어 홈(316a)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311)이 승강 실린더(314)에 의해 승강시 상기 지지대(313)가 상부 프레임(311)과 하부 프레임(312)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부 프레임이 승강시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이송부재(320)는 상기 하부 프레임(312)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부(10) 및 제2 이송부(20) 사이를 가로질러 마련되는 스크류(322)와 상기 하부 프레임(312) 하단에 고정되고 내주가 상기 스크류(322)에 삽입되는 스크류 암(321)과, 상기 스크류(322)를 회전시키는 모터(325)와, 상기 하부 프레임(312) 하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323)와 상기 스크류(322)와 수평하게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323)를 안내하게 하는 안내 레일(324)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325)가 회전하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32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322)에 삽입 결합된 스크류 암(321)이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동하는 스크류 암은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스크류의 회전으로 승강부재(310)를 제1 이송부(10)에서 제2 이송부(20)로 이송하거나 또는 제2 이송부(20)에서 제1 이송부(10)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어 상부 프레임(311)에 안치되는 형강(S)의 이송이 가능하 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이송부(10)와 제2 이송부(20) 사이에 이송환전부(30)가 위치된 상태이며, 상기 상부 프레임(311)의 상단은 제1 이송부(10) 및 제2 이송부(20) 상단보다 높게 상승한 상태이다. 또한 상기 형강(S)은 제1 이송부(10)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형강(S)이 상기 이송전환부(30) 측에 위치되었을 때 제1 이송부(10)를 정지시켠 후 상기 승강 실린더(314)를 동작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311)을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대(313)는 그 하단이 상부 프레임(311)의 하강에 의해 지지대 안내편(316)을 따라 이동하며 상부 프레임의 하강에 따른 이동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320)는 정지한 상태이며, 상기 승강부재(310)를 형강(S)의 하단 위치보다 상기 상부 프레임(311)의 상단이 더 하강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320)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325)를 구동시켜 스크류(322)를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322)와 연결된 스크류 암(321)에 의해 하부 프레임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프레임과 연결된 가이드 롤러(323)가 안내 레일(321)을 따라 이동하며 승강부재(310)의 이동을 쉽게 하여 승강부재(310)가 제1 이송부(10)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송부(10) 하측에 위치된 승강부재(310)를 승강 실린더(314)를 상승시켜 상부 프레임(311)을 승강시켜 형강(S) 하단을 지지하게 하며 상기 제1 이송부(10)의 상단보다 상기 상부 프레임(311) 상단이 더 높게 승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승강부재(310)가 승강한 상태에서 모터(325)를 구성시켜 스크류(322)를 회전시키면 이를 통해 스크류 암(321)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 암(321)은 승강부재(310) 측과 연결되어 있어 승강부재(310)를 상기 제1 이송부(10)에서 제2 이송부(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에는 형강이 안치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한 이송전환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11)을 승강 실린더(314)를 작동시켜 하강하게 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311)에 안치된 형강(S)은 상부 프레임의 하강에 따라 제2 이송부(20) 상단에 안치하게 된다. 안치된 형강(S)은 상기 제2 이송부(20) 작동으로 별도의 가공 공정 측으로 이송되며, 하강한 승강부재는 스크류(322)의 회전을 통해 처음 위치된 상기 제1 이송부(10) 및 제2 이송부(20) 사이에 위치되어 동작을 정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 이송부(20)에서 제1 이송부(10) 측으로 이송하는 것은 작동설명에서 제1 이송부로의 이동을 제2 이송부로의 이동으로 동작하게 하면 가능하며 이하 동작은 앞서 설명한 것에 준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부(10) 및 제2 이송부(20)의 이송 방향은 필요에 따라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는 것은 주지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 이송 방향 전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 이송부 20 : 제2 이송부
30 : 이송전환부 310 : 승강부재
320 : 이송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형강을 가공 전 방향 또는 가공 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이송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전환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서 제2 이송부로 형강을 이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이송부에서 제1 이송부로 형강을 이송시켜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게 하는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전환부는 형강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부재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가로질러 마련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류 암과, 상기 스크류 단부에 마련되어 스크류를 회전하게 하는 모터와, 상기 스크류 수평하게 마련되는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에 안착되어 안내 레일을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7. 형강을 가공 전 방향 또는 가공 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이송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전환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서 제2 이송부로 형강을 이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이송부에서 제1 이송부로 형강을 이송시켜 형강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게 하는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전환부는 형강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전환부는 한쌍이 동시에 동작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KR1020080036038A 2008-04-18 2008-04-18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Active KR10096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38A KR100960242B1 (ko) 2008-04-18 2008-04-18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38A KR100960242B1 (ko) 2008-04-18 2008-04-18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503A KR20090110503A (ko) 2009-10-22
KR100960242B1 true KR100960242B1 (ko) 2010-06-28

Family

ID=4153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038A Active KR100960242B1 (ko) 2008-04-18 2008-04-18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642A (ko) * 2022-08-17 2024-02-26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형강 절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2816B (zh) * 2012-11-02 2015-07-22 福建华冠光电有限公司 栈板输送装置
KR102036066B1 (ko) * 2019-06-06 2019-11-26 이순선 다기능 작업대
KR102022562B1 (ko) * 2019-06-06 2019-11-04 윤보영 다기능 작업대
KR102077657B1 (ko) * 2019-06-12 2020-04-02 방동일 자재이송장치
CN114604567A (zh) * 2022-03-16 2022-06-10 福州弘泰冶金技术开发有限公司 型钢伺服码垛设备及其工作方法
KR102620934B1 (ko) * 2022-09-29 2024-01-09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무인택배함용 트레이 자동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592U (ko) * 1993-12-09 1995-07-22 김암찬 벽돌이송 조적장치
JPH07242327A (ja) * 1994-03-04 1995-09-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搬送物のストレージ装置
JP2001253536A (ja) 2000-03-09 2001-09-18 Hirata Corp 基板移載ロボッ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592U (ko) * 1993-12-09 1995-07-22 김암찬 벽돌이송 조적장치
JPH07242327A (ja) * 1994-03-04 1995-09-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搬送物のストレージ装置
JP2001253536A (ja) 2000-03-09 2001-09-18 Hirata Corp 基板移載ロボッ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642A (ko) * 2022-08-17 2024-02-26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형강 절단 시스템
KR102713163B1 (ko) * 2022-08-17 2024-10-02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형강 절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503A (ko)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242B1 (ko)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KR101221337B1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CN204470700U (zh) 棒料上下料装置及棒料切割系统
KR102092779B1 (ko) 알루미늄 압출재의 방향전환 및 이송장치
KR101293176B1 (ko) 이중 위치제어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설비설치 공간을 최소화한 판넬의 반전 장치
KR102108710B1 (ko) 합판 운반장치
KR20120044298A (ko) 슬래브 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슬래브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197954B1 (ko) 타워 버퍼 장치
KR101951154B1 (ko) 레이저 가공기 지지플레이트의 슬래그 제거장치
CN105858168A (zh) 一种保温装饰板的输送中转装置
KR20090040189A (ko) 경계석 승강이송장치
CN102363472A (zh) 翻转机
KR20110035458A (ko) 원형톱날을 이용한 초고속 수평절단장치
JP4825080B2 (ja) パレット遠心脱水装置
KR100960261B1 (ko)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CN103964248A (zh) 集装箱角柱生产线的自动翻面装置
KR100839570B1 (ko) 기판 이송방법 및 장치
JP4781936B2 (ja) パレット遠心脱水装置
CN102320460A (zh) 升降机
JP2015209293A (ja) ワーク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CN102554077B (zh) 钢筋输送装置中的移动输送机构
CN112246418A (zh) 匣钵输送装置
CN207293302U (zh) 具有辅助转向功能的链条回转式输送线
JP3204840U (ja) パネル昇降移動装置
JP4424099B2 (ja) 荷支持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