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062B1 -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062B1
KR100368062B1 KR10-2000-0050591A KR20000050591A KR100368062B1 KR 100368062 B1 KR100368062 B1 KR 100368062B1 KR 20000050591 A KR20000050591 A KR 20000050591A KR 100368062 B1 KR100368062 B1 KR 100368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leaves
size
bamboo leaf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342A (ko
Inventor
정희종
Original Assignee
담양군
정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군, 정희종 filed Critical 담양군
Priority to KR10-2000-005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06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Nood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 수입 개방에 의한 값싼 중국산 죽세공예품들이 대량으로 수입되면서 죽향인 담양지역의 대나무 재배농가는 큰 타격을 받아 죽세공예품의 판매실적이 크게 감소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죽엽차는 죽엽에 함유된 영양 화학적 성분을 이용하여 우리 국민들의 건강증진은 물론 고부가가치 창출로 대나무 재배농가의 소득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죽엽이 갖는 독특한 약리작용을 감안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대나무 자원을 과거보다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는 대나무 재배농가의 소득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A TEA USING BAMBOO LEAF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죽엽(竹葉)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는 맹종죽, 왕대, 솜대 및 이대 등의 다양한 종류의 대나무가 분포되어 있다. 상기 대나무는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하여 약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예로서 신농본초경에서는 대나무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차가우나 곽란, 토혈, 거담, 중풍, 두통, 혈압, 현기증, 당뇨, 빈혈, 경풍, 안구통증, 피로회복 등의 그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본초강목에는 대나무를 활용한 처방은 34종류가 있으며, 특히 몸을 가볍게 하고 기운을 도와준다고 자후방(恣後方)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대나무 중에는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세린, 트레오닌, 플로린, 알라닌, 시스테인, 페닐알라닌 등의 아미노산과 크실로즈, 아라비노즈, 글루코즈, 만노즈 및 갈락토즈 등의 당류가 함유되어 있음이 최근 학계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대나무 잎인 죽엽의 주된 약리효능으로는 열(熱)을 풀어주고 번(煩)을 퇴치하며 진(津)을 생하고 이뇨작용이 있으며, 악양(惡瘍) 및 소충(小蟲)을 살(殺)하는 것으로 중약대사전 등의 문헌에 널리 알려져 있다.
대나무는 상기와 같은 우수한 약리 효과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주로 죽세공품 제작이나 건축재 등으로는 널리 사용되어왔고, 식품 용도로서 죽순 형태로 이용되거나, 대나무 통을 용기로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가열방법에 의하여 대나무의 유효 성분이 간접적으로 식품에 침투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을 뿐, 대나무 자체를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그 예를 거의 찾기가 어려우며, 특히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죽엽음료 및 죽엽가공식품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쇠퇴기에 접어든 죽세공예원료로 한정된 대나무 자원의 활용 방안을 다양화해야 할 필요성에 따라, 종래에는 그 활용이 미비했던 대나무의 어린 죽엽을 이용하여 기능성 건강차, 음료 및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소득자원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본 발명은1) 죽순이 성장한 직후에 피어난 대나무 가지로부터 갓 나온 5∼7㎝ 정도 크기의 어린 죽엽을 채취하여 찬물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2) 상기에서 찬물로 수세한 후 물기가 남아 있는 죽엽을 채반에 얇게 펼쳐서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잔여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건조하는 단계,3) 상기 건조된 죽엽을 2.5㎝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83∼87℃로 가열한 열판 위에서 1분간 덖는 단계,4) 상기 덖어진 죽엽을 0.5㎝ 크기로 세절하여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정도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엽차의 제조방법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1) 죽순이 성장한 직후에 피어난 대나무 가지로부터 갓 나온 5∼7㎝ 정도 크기의 어린 죽엽을 채취하여 찬물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2) 상기에서 찬물로 수세한 후 물기가 남아 있는 죽엽을 채반에 얇게 펼쳐서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잔여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건조하는 단계,3) 상기 건조된 죽엽을 2.5㎝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93∼97℃의 수증기로 2분 정도 증자하는 단계,4) 상기 증자된 죽엽을 0.5㎝ 크기로 세절하여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정도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엽차의 제조방법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덖음 죽엽차의 제조방법
① 죽순이 성장한 직후에 피어난 대나무 가지로부터 갓 나온 5∼7㎝ 정도 크기의 어린 죽엽을 채취하여 찬물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② 상기에서 찬물로 수세한 후 물기가 남아 있는 죽엽을 채반에 얇게 펼쳐서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잔여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건조시킨다.
③ 상기 건조된 죽엽을 2.5㎝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83∼87℃로 가열한 열판(후라이팬) 위에서 1분간 덖는다.
④ 상기 덖어진 죽엽을 0.5㎝ 크기로 세절하여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정도 건조시켜 덖음 죽엽차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증제 죽엽차의 제조방법
① 죽순이 성장한 직후에 피어난 대나무 가지로부터 갓 나온 5∼7㎝ 정도 크기의 어린 죽엽을 채취하여 찬물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② 상기에서 찬물로 수세한 후 물기가 남아 있는 죽엽을 채반에 얇게 펼쳐서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잔여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말린다.
③ 상기 죽엽을 2.5㎝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93∼97℃의 수증기로 2분 정도 증자한다.
④ 상기 증자된 죽엽을 0.5㎝ 크기로 세절하여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정도 건조시켜 증제 죽엽차를 제조한다.
실시예 3. 죽엽 음료의 제조방법
① 물 1000㎖에 대하여 상기 1) 또는 2)에서 제조된 죽엽차 2.5g을 첨가하여 3분간 끓인 후, 죽엽을 제거한다.
② 상기와 같이 제조된 죽엽 추출물을 유리병 또는 캔에 150∼200㎖씩 충전하여 죽엽음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4. 죽엽 국수의 제조방법
① 1)과 같이 방법으로 제조된 죽엽차를 미분쇄하여 죽엽 분말을 제조한다.
② 상기 죽엽 분말 2 g 및 밀가루 97 g을 혼합하고, 여기에 2% 소금물 48 ㎖로 반죽하여 숙성시킨다.
③ 상기 숙성된 반죽을 다시 2차 반죽하여 면대를 만들고 면발을 뽑아내어 용도에 맞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후, 건조하여 죽엽국수를 제조한다.
실시예 5. 죽엽 우동의 제조방법
①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죽엽차를 미분쇄하여 죽엽 분말을 제조한다.
② 상기 죽엽 분말 2 g, 밀가루 70 g, 전분 20 g, 소금 1.7 g, 식용유 2 g 및 주정 1 g을 잘 혼합하여 물 48 ㎖로 반죽한다.
③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반죽으로 면대를 만든 다음 면발을 뽑아낸 다음 용도에 맞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후 건조하여 죽엽우동을 제조한다.
실시예 6. 죽엽 전병의 제조방법
① 밀가루, 설탕, 버터, 참깨 및 소금 등의 원료를 잘 혼합하여 반죽한다.
② 전병을 굽기 직전에 ①의 밀가루 반죽에 죽엽 분말 1%를 혼합하여 죽엽전병을 구워 내거나 또는 죽엽 분말을 전병 굽는 틀의 표면에 얇게 뿌린 다음 ①의 반죽을 틀에 취하여 죽엽전병을 구워낸다.
실시예 7. 죽엽 다식의 제조방법
① 죽엽 분말:옥수수 전분+쌀가루(1:1):올리고당을 1:15:3.5의 비율로 잘 혼합하여 반죽한다.
② 상기 반죽을 다식 틀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죽엽다식을 제조한다.
시험예
1) 죽엽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관능검사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학부 및 대학원 학생 12명의 관능검사원을 선발하여 미리 검사훈련을 실시한 다음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1 내지 7로 이루어진 시료는 세자리 숫자로 된 코드명을 부여하여 무작위 순서로 제공되었으며, 각 검사원은 빨간 불이 껴진 독립된 검사실에서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관능검사는 맛, 향기, 색깔 및 총기호도에 대하여 아주 나쁘다(1점)에서 아주 좋다(5점)까지 5단계의 기호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PC-SA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분석치간의 유의성은 P<0.05에서 던컨의 다범위 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각각 다음 표 1 내지 표 5에 기재하였다.
향기 색깔 총기호도
실시예 1 및 2 4.73±0.16 4.42±0.14 4.70±0.22 4.79±0.21
실시예 3 4.56±0.19 4.46±0.21 4.37±0.23 4.64±0.18
*모든 수치는 평균값±표준편차.
향기 색깔 총기호도
실시예 4 4.57±0.36a 4.31±0.34a 4.74±0.30a 4.83±0.21a
종래국수 4.07±0.29b 4.27±0.31a 3.87±0.29b 4.07±0.24b
* 모든 수치는 평균값±표준편차.
a-b서로 다른 문자는 유의성이 인정됨을 의미함(P<0.05).
향기 색깔 총기호도
실시예 5 4.65±0.25a 4.44±0.21a 4.69±0.25a 4.86±0.22a
종래우동 3.94±0.20b 4.24±0.18a 3.79±0.19b 3.94±0.14b
*모든 수치는 평균값±표준편차.
a-b서로 다른 문자는 유의성이 인정됨을 의미함(P<0.05).
향기 색깔 총기호도
실시예 6 4.42±0.23a 4.25±0.24a 4.68±0.20a 4.82±0.17a
종래전병 4.13±0.21a 4.17±0.21a 3.92±0.16b 4.01±0.14b
*모든 수치는 평균값±표준편차.
a-b서로 다른 문자는 유의성이 인정됨을 의미함(P<0.05).
향기 색깔 총기호도
실시예 7 4.29±0.24a 4.31±0.19a 4.81±0.23a 4.69±0.16a
송화다식 4.03±0.21b 4.15±0.22a 3.92±0.18b 4.01±0.20b
*모든 수치는 평균값±표준편차.
a-b서로 다른 문자는 유의성이 인정됨을 의미함(P<0.05).
상기 표 1 내지 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의 죽엽을 이용하는 식품의 관능검사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7은 향기의 경우 죽엽 자체가 특유의 강한 향기가 없는 관계로 그 유의성이 미약하다는 것을 제외하고, 맛, 색깔 및 총기호도의 경우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농산물 수입 개방에 의한 값싼 중국산 죽세공예품들이 대량으로 수입되면서 죽향인 담양지역의 대나무 재배농가는 큰 타격을 받아 죽세공예품의 판매실적이 크게 감소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죽엽차, 죽엽음료 및 죽엽가공식품은 죽엽에 함유된 영양 화학적 성분을 이용하여 우리 국민들의 건강증진은 물론 고부가가치 창출로 대나무 재배농가의 소득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죽엽이 갖는 독특한 약리작용을 감안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대나무 자원을 과거보다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는 대나무 재배농가의 소득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8)

1) 죽순이 성장한 직후에 피어난 대나무 가지로부터 갓 나온 5∼7㎝ 정도 크기의 어린 죽엽을 채취하여 찬물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2) 상기에서 찬물로 수세한 후 물기가 남아 있는 죽엽을 채반에 얇게 펼쳐서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잔여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건조하는 단계,
3) 상기 건조된 죽엽을 2.5㎝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83∼87℃로 가열한 열판 위에서 1분간 덖는 단계,
4) 상기 덖어진 죽엽을 0.5㎝ 크기로 세절하여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정도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엽차의 제조방법.
1) 죽순이 성장한 직후에 피어난 대나무 가지로부터 갓 나온 5∼7㎝ 정도 크기의 어린 죽엽을 채취하여 찬물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2) 상기에서 찬물로 수세한 후 물기가 남아 있는 죽엽을 채반에 얇게 펼쳐서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잔여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건조하는 단계,
3) 상기 건조된 죽엽을 2.5㎝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93∼97℃의 수증기로 2분 정도 증자하는 단계,
4) 상기 증자된 죽엽을 0.5㎝ 크기로 세절하여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정도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엽차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00-0050591A 2000-08-30 2000-08-30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68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591A KR100368062B1 (ko) 2000-08-30 2000-08-30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591A KR100368062B1 (ko) 2000-08-30 2000-08-30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549A Division KR100400201B1 (ko) 2002-08-01 2002-08-01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
KR10-2002-0045546A Division KR100380716B1 (ko) 2002-08-01 2002-08-01 죽엽 다식의 제조방법
KR10-2002-0045545A Division KR100380715B1 (ko) 2002-08-01 2002-08-01 죽엽 국수의 제조방법
KR10-2002-0045547A Division KR100380717B1 (ko) 2002-08-01 2002-08-01 죽엽 우동의 제조방법
KR10-2002-0045548A Division KR100367133B1 (ko) 2002-08-01 2002-08-01 죽엽 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342A KR20020017342A (ko) 2002-03-07
KR100368062B1 true KR100368062B1 (ko) 2003-01-24

Family

ID=1968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591A KR100368062B1 (ko) 2000-08-30 2000-08-30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493B1 (ko) * 2003-10-21 2006-02-14 (주)명설차 죽엽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672842B1 (ko) 2005-05-31 2007-01-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조릿대잎 혼합차와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41A (ko) * 2000-09-22 2000-12-05 임경빈 조릿대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KR20010044759A (ko) * 2001-03-23 2001-06-05 김애정 양잠산물과 허브가 첨가된 기능성 강화 다식의 제조방법
KR100437654B1 (ko) * 2001-08-10 2004-06-30 이성문 대나무삼계탕을 요리하는 방법
KR20020064731A (ko) * 2002-07-08 2002-08-09 이승용 자연 재료로 만든 약령시 전통 한방 국수 제조 방법
KR101148121B1 (ko) * 2009-12-21 2012-05-23 국근섭 죽순잎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잎차
CN103609803B (zh) * 2013-12-03 2015-02-18 何莉 一种竹叶茶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493B1 (ko) * 2003-10-21 2006-02-14 (주)명설차 죽엽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672842B1 (ko) 2005-05-31 2007-01-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조릿대잎 혼합차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342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2955B (zh) 红花茶及其制备方法
KR100910585B1 (ko) 발효흑삼 및 그 제조방법
CN101654637B (zh) 一种含有美拉德化合物的天然杏提取物、它们的制备方法与用途
CN105767363A (zh) 一种蒸青石竹绿茶的制作工艺
KR100368062B1 (ko)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80715B1 (ko) 죽엽 국수의 제조방법
KR101824120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팥앙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80717B1 (ko) 죽엽 우동의 제조방법
KR101401646B1 (ko) 기능성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국수
KR100400201B1 (ko)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
KR100380716B1 (ko) 죽엽 다식의 제조방법
KR100367133B1 (ko) 죽엽 음료의 제조방법
D'Antuono et al. Cornelian cherry: an important local resource and promising health promoting fruit plant of the Black Sea area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5124A (ko) 대나무추출물이 함유된 밀가루음식 제조방법
KR880001671B1 (ko) 쑥차의 제조방법
KR100497125B1 (ko) 죽엽 매작과의 제조방법
KR100568528B1 (ko) 기능성 냉면 제조방법
KR100471646B1 (ko) 죽엽 쌀엿강정의 제조방법
KR102305520B1 (ko)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
KR102487459B1 (ko) 발효하수오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
KR100955300B1 (ko) 어성초와 삼백초 발효추출액을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100497126B1 (ko) 죽엽 산자의 제조방법
KR20170098129A (ko) 건조 숙성된 식방풍을 첨가한 모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
KR101528467B1 (ko) 설탕 및 꿀을 첨가한 더덕 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더덕 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