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201B1 -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201B1
KR100400201B1 KR10-2002-0045549A KR20020045549A KR100400201B1 KR 100400201 B1 KR100400201 B1 KR 100400201B1 KR 20020045549 A KR20020045549 A KR 20020045549A KR 100400201 B1 KR100400201 B1 KR 10040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bamboo leaf
leaves
dried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482A (ko
Inventor
정희종
Original Assignee
담양군
정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군, 정희종 filed Critical 담양군
Priority to KR10-2002-004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2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19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025Processe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031Moulds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fruits, nuts, e.g. almonds, seeds, plants, plant extracts, essential o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죽엽차 분말을 함유하는 죽엽 전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 죽엽을 이용하여 제조된 죽엽차를 분말로 하여서 얻어진 죽엽차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엽 전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 수입 개방에 의한 값싼 중국산 죽세공예품들이 대량으로 수입되면서 죽향인 담양지역의 대나무 재배농가는 큰 타격을 받아 죽세공예품의 판매실적이 크게 감소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죽엽 전병은 죽엽에 함유된 영양 화학적 성분을 이용하여 우리 국민들의 건강증진은 물론 고부가가치 창출로 대나무 재배농가의 소득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죽엽이 갖는 독특한 약리작용을 감안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대나무 자원을 과거보다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는 대나무 재배농가의 소득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A PROCESS FOR PRODUCING A PAN CAKE CONTAINING A TEA POWDER COMPRISING BAMBOO LEAVES}
본 발명은 죽엽차 분말을 함유하는 죽엽 전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 죽엽을 이용하여 제조된 죽엽차를 분말로 하여서 얻어진 죽엽차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엽 전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는 맹종죽, 왕대, 솜대 및 이대 등의 다양한 종류의 대나무가 분포되어 있다. 상기 대나무는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하여 약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예로서 신농본초경에서는 대나무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차가우나 곽란, 토혈, 거담, 중풍, 두통, 혈압, 현기증, 당뇨, 빈혈, 경풍, 안구통증, 피로회복 등의 그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본초강목에는 대나무를 활용한 처방은 34종류가 있으며, 특히 몸을 가볍게 하고 기운을 도와준다고 자후방(恣後方)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대나무 중에는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세린, 트레오닌, 플로린, 알라닌, 시스테인, 페닐알라닌 등의 아미노산과 크실로즈, 아라비노즈, 글루코즈, 만노즈 및 갈락토즈 등의 당류가 함유되어 있음이 최근 학계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대나무 잎인 죽엽의 주된 약리효능으로는 열(熱)을 풀어주고 번(煩)을 퇴치하며 진(津)을 생하고 이뇨작용이 있으며, 악양(惡瘍) 및 소충(小蟲)을 살(殺)하는 것으로 중약대사전 등의 문헌에 널리 알려져 있다.
대나무는 상기와 같은 우수한 약리 효과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주로 죽세공품 제작이나 건축재 등으로는 널리 사용되어왔고, 식품 용도로서 죽순 형태로 이용되거나, 대나무 통을 용기로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가열방법에 의하여 대나무의 유효 성분이 간접적으로 식품에 침투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을 뿐, 대나무 자체를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그 예를 거의 찾기가 어려우며, 특히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죽엽음료 및 죽엽가공식품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쇠퇴기에 접어든 죽세공예원료로 한정된 대나무 자원의 활용 방안을 다양화해야 할 필요성에 따라, 종래에는 그 활용이 미비했던 대나무의 어린 죽엽을 이용하여 기능성 건강차, 음료 및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소득자원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1) 죽순이 성장한 직후에 피어난 대나무 가지로부터 갓 나온 5∼7㎝ 정도 크기의 어린 죽엽을 채취하여 찬물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찬물로 수세한후 물기가 남아 있는 죽엽을 채반에 얇게 펼쳐서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잔여 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건조하여, 상기 건조된 죽엽을 2.5㎝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83∼87℃로 가열한 열판 위에서 1분간 덖거나 또는 93∼97℃의 수증기로 2분 정도 증자하고, 이렇게 덖거나 증자된 죽엽을 0.5㎝ 크기로 세절하여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 정도 건조시켜서 죽엽차를 얻는 단계,
2) 상기한 단계 1)로부터 얻어진 죽엽차를 미분쇄하여 죽엽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3) 밀가루 반죽에 상기에서 제조한 죽엽 분말 1%를 밀가루, 설탕, 버터, 참깨 및 소금 등의 원료와 혼합하여 반죽한 후, 틀에 구워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엽차 분말을 함유하는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덖음 죽엽차의 제조방법
① 죽순이 성장한 직후에 피어난 대나무 가지로부터 갓 나온 5∼7㎝ 정도 크기의 어린 죽엽을 채취하여 찬물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② 상기에서 찬물로 수세한 후 물기가 남아 있는 죽엽을 채반에 얇게 펼쳐서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잔여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건조시킨다.
③ 상기 건조된 죽엽을 2.5㎝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83∼87℃로 가열한 열판(후라이팬) 위에서 1분간 덖는다.
④ 상기 덖어진 죽엽을 0.5㎝ 크기로 세절하여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12시간정도 건조시켜 덖음 죽엽차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증제 죽엽차의 제조방법
① 죽순이 성장한 직후에 피어난 대나무 가지로부터 갓 나온 5∼7㎝ 정도 크기의 어린 죽엽을 채취하여 찬물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② 상기에서 찬물로 수세한 후 물기가 남아 있는 죽엽을 채반에 얇게 펼쳐서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잔여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말린다.
③ 상기 죽엽을 2.5㎝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93∼97℃의 수증기로 2분 정도 증자한다.
④ 상기 증자된 죽엽을 0.5㎝ 크기로 세절하여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정도 건조시켜 증제 죽엽차를 제조한다.
실시예 3. 죽엽 음료의 제조방법
① 물 1000㎖에 대하여 상기 1) 또는 2)에서 제조된 죽엽차 2.5g을 첨가하여 3분간 끓인 후, 죽엽을 제거한다.
② 상기와 같이 제조된 죽엽 추출물을 유리병 또는 캔에 150∼200㎖씩 충전하여 죽엽음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4. 죽엽 국수의 제조방법
① 1)과 같이 방법으로 제조된 죽엽차를 미분쇄하여 죽엽 분말을 제조한다.
② 상기 죽엽 분말 2 g 및 밀가루 97 g을 혼합하고, 여기에 2% 소금물 48 ㎖로 반죽하여 숙성시킨다.
③ 상기 숙성된 반죽을 다시 2차 반죽하여 면대를 만들고 면발을 뽑아내어 용도에 맞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후, 건조하여 죽엽 국수를 제조한다.
실시예 5. 죽엽 우동의 제조방법
①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죽엽차를 미분쇄하여 죽엽 분말을 제조한다.
② 상기 죽엽 분말 2 g, 밀가루 70 g, 전분 20 g, 소금 1.7 g, 식용유 2 g 및 주정 1 g을 잘 혼합하여 물 48 ㎖로 반죽한다.
③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반죽으로 면대를 만든 다음 면발을 뽑아낸 다음 용도에 맞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후 건조하여 죽엽 우동을 제조한다.
실시예 6. 죽엽 전병의 제조방법
① 밀가루, 설탕, 버터, 참깨 및 소금 등의 원료를 잘 혼합하여 반죽한다.
② 전병을 굽기 직전에 ①의 밀가루 반죽에 죽엽 분말 1%를 혼합하여 죽엽전병을 구워 내거나 또는 죽엽 분말을 전병 굽는 틀의 표면에 얇게 뿌린 다음 ①의 반죽을 틀에 취하여 죽엽 전병을 구워낸다.
실시예 7. 죽엽 다식의 제조방법
① 죽엽 분말:옥수수 전분+쌀가루(1:1):올리고당을 1:15:3.5의 비율로 잘 혼합하여 반죽한다.
② 상기 반죽을 다식 틀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죽엽 다식을 제조한다.
시험예
1) 죽엽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관능검사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학부 및 대학원 학생 12명의 관능검사원을 선발하여 미리 검사훈련을 실시한 다음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로 이루어진 시료는 세자리 숫자로 된 코드명을 부여하여 무작위 순서로 제공되었으며, 각 검사원은 빨간 불이 껴진 독립된 검사실에서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관능검사는 맛, 향기, 색깔 및 총기호도에 대하여 아주 나쁘다(1점)에서 아주 좋다(5점)까지 5단계의 기호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PC-SA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분석치간의 유의성은 P<0.05에서 던컨의 다범위 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각각 다음 표 1 내지 표 5에 기재하였다.
향기 색깔 총기호도
실시예 1 및 2 4.73±0.16 4.42±0.14 4.70±0.22 4.79±0.21
실시예 3 4.56±0.19 4.46±0.21 4.37±0.23 4.64±0.18
*모든 수치는 평균값±표준편차.
향기 색깔 총기호도
실시예 4 4.57±0.36a 4.31±0.34a 4.74±0.30a 4.83±0.21a
종래국수 4.07±0.29b 4.27±0.31a 3.87±0.29b 4.07±0.24b
* 모든 수치는 평균값±표준편차.
a-b서로 다른 문자는 유의성이 인정됨을 의미함(P<0.05).
향기 색깔 총기호도
실시예 5 4.65±0.25a 4.44±0.21a 4.69±0.25a 4.86±0.22a
종래우동 3.94±0.20b 4.24±0.18a 3.79±0.19b 3.94±0.14b
*모든 수치는 평균값±표준편차.
a-b서로 다른 문자는 유의성이 인정됨을 의미함(P<0.05).
향기 색깔 총기호도
실시예 6 4.42±0.23a 4.25±0.24a 4.68±0.20a 4.82±0.17a
종래전병 4.13±0.21a 4.17±0.21a 3.92±0.16b 4.01±0.14b
*모든 수치는 평균값±표준편차.
a-b서로 다른 문자는 유의성이 인정됨을 의미함(P<0.05).
향기 색깔 총기호도
실시예 7 4.29±0.24a 4.31±0.19a 4.81±0.23a 4.69±0.16a
송화다식 4.03±0.21b 4.15±0.22a 3.92±0.18b 4.01±0.20b
*모든 수치는 평균값±표준편차.
a-b서로 다른 문자는 유의성이 인정됨을 의미함(P<0.05).
상기 표 1 내지 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의 죽엽을 이용하는 식품의 관능검사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7은 향기의 경우 죽엽 자체가 특유의 강한 향기가 없는 관계로 그 유의성이 미약하다는 것을 제외하고, 맛, 색깔 및 총기호도의 경우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농산물 수입 개방에 의한 값싼 중국산 죽세공예품들이 대량으로 수입되면서 죽향인 담양지역의 대나무 재배농가는 큰 타격을 받아 죽세공예품의 판매실적이 크게 감소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죽엽차, 죽엽음료 및 죽엽가공식품은 죽엽에 함유된 영양 화학적 성분을 이용하여 우리 국민들의 건강증진은 물론 고부가가치 창출로 대나무 재배농가의 소득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죽엽이 갖는 독특한 약리작용을 감안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대나무 자원을 과거보다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는 대나무 재배농가의 소득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

1) 죽순이 성장한 직후에 피어난 대나무 가지로부터 갓 나온 5∼7㎝ 정도 크기의 어린 죽엽을 채취하여 찬물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찬물로 수세한 후 물기가 남아 있는 죽엽을 채반에 얇게 펼쳐서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잔여 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건조하여, 상기 건조된 죽엽을 2.5㎝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83∼87℃로 가열한 열판 위에서 1분간 덖거나 또는 93∼97℃의 수증기로 2분 정도 증자하고, 이렇게 덖거나 증자된 죽엽을 0.5㎝ 크기로 세절하여 48∼52℃의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 정도 건조시켜서 죽엽차를 얻는 단계,
2) 상기한 단계 1)로부터 얻어진 죽엽차를 미분쇄하여 죽엽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3) 밀가루 반죽에 상기에서 제조한 죽엽 분말 1%를 밀가루, 설탕, 버터, 참깨 및 소금 등의 원료와 혼합하여 반죽한 후, 틀에 구워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엽차 분말을 함유하는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
KR10-2002-0045549A 2002-08-01 2002-08-01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 KR10040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549A KR100400201B1 (ko) 2002-08-01 2002-08-01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549A KR100400201B1 (ko) 2002-08-01 2002-08-01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591A Division KR100368062B1 (ko) 2000-08-30 2000-08-30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482A KR20020067482A (ko) 2002-08-22
KR100400201B1 true KR100400201B1 (ko) 2003-10-04

Family

ID=2772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549A KR100400201B1 (ko) 2002-08-01 2002-08-01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808A (ko)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소반에 쌍화전병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808A (ko)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소반에 쌍화전병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482A (ko)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2955B (zh) 红花茶及其制备方法
KR100910585B1 (ko) 발효흑삼 및 그 제조방법
KR100950978B1 (ko) 발효인삼 및 그 제조방법
CN101654637B (zh) 一种含有美拉德化合物的天然杏提取物、它们的制备方法与用途
KR20180052182A (ko) 발효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0368062B1 (ko) 죽엽을 이용한 죽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80715B1 (ko) 죽엽 국수의 제조방법
KR101824120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팥앙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80717B1 (ko) 죽엽 우동의 제조방법
KR102020237B1 (ko) 돈부리용 쯔유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00201B1 (ko) 죽엽 전병의 제조 방법
KR100380716B1 (ko) 죽엽 다식의 제조방법
KR101401646B1 (ko) 기능성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국수
KR100367133B1 (ko) 죽엽 음료의 제조방법
KR102175589B1 (ko) 귤과 사과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CN102948538A (zh) 一种苦荞花茶生产技术
KR101402600B1 (ko) 즉석국수 제조방법
RU2439995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хлеба "филиппок"
KR20210051724A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KR100719965B1 (ko) 우엉 고추장의 제조방법
CN104431949A (zh) 粽香风味酱油的制备方法
KR100471646B1 (ko) 죽엽 쌀엿강정의 제조방법
KR100497125B1 (ko) 죽엽 매작과의 제조방법
KR100568528B1 (ko) 기능성 냉면 제조방법
KR100531121B1 (ko) 인삼잎과 콩잎을 혼합한 냉면, 국수 및 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