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319B1 - 포터블스크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포터블스크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319B1
KR100366319B1 KR10-1998-0036634A KR19980036634A KR100366319B1 KR 100366319 B1 KR100366319 B1 KR 100366319B1 KR 19980036634 A KR19980036634 A KR 19980036634A KR 100366319 B1 KR100366319 B1 KR 10036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rail
support legs
screen assembl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568A (ko
Inventor
히데오 다카모토
데쓰지로 오무라
가즈하루 세키
Original Assignee
이즈미 코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미 코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즈미 코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프레임, 제1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스프링-바이어스 롤, 및 일단이 제2프레임에 고착되고 스프링-바이어스 롤에 감기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서로 떨어지도록 제1 및 제2프레임에 힘을 가해 스크린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익스텐더가 제공된다.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사용시, 제1 및 제2프레임은 다수의 지지다리에 의해 대략 수직으로 지지된다.

Description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
본 발명은, 영사기 또는 프로젝션 TV 세트(projection TV set)에 의해 투영된 영상을 크기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반하기 쉽고, 예컨대 평평한 바닥, 탁자 등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지만, 단지 이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영사기 또는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프로젝션 TV 세트에 의해 투영된 영상은 통상 반사형 스크린 또는 투과형(transmission type) 스크린에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스크린 중 몇몇은, 통상 천장 또는 측벽에 장착된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어, 필요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펼쳐진다. 벽걸이 스크린 또는 삼각대를 갖춘 스크린은 원하는 장소에 매달거나 배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에 수납된 롤에 스크린이 감겨진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가 오늘날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크린 어셈블리의 사용시, 우선 원하는 장소에 하우징이 설치된 다음에, 스크린은, 이에 장착된 스프링의 밀치는 힘의 작용에 의해서, 예컨대 팬터그래프와 약간 유사한 어떤 연장수단에 의해 펼쳐진다.
최근에, 회사 또는 사무소에서 미팅 또는 회담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영사기와 함께 운반하기 쉬워 회의실에 있는 평평한 면, 책상 또는 탁자에 설치되어 영사기에 의해 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루기 편하고 영사기와 함께 운반하기 쉬우며 간단한 구조의 저렴한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과 기타의 목적을 이루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프레임, 제1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스프링-바이어스 롤(spring-biased roll), 제2프레임에 그것의 일단이 고착됨과 아울러 스프링-바이어스 롤에 감겨지는 스크린, 제1 및 제2프레임을 서로 떨어지도록 힘을 가하여 스크린에 소정의 장력(tension)을 부여하는 익스텐더 (extender), 및 사용시 제1 및 제2프레임을 통상 수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간단하고,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운반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그것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익스텐더는, 스프링-바이어스 롤에 장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해 적절하게 설정되어 제1 및 제2프레임이 원하는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크린과 영사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스크린의 폭은 조절될 수 있다.
익스텐더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1레일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레일을 포함하는데, 한 쌍의 제1레일은 한 쌍의 제2레일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익스텐더는, 제1단(first ends)에서 서로 힌지 연결되고, 제2단 (second ends)에서 제1 및 제2프레임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한다.
익스텐더용으로 한 쌍 또는 두 쌍의 레일만을 필요로 하므로,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사용 전 또는 후에 익스텐더를 펴거나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프레임은,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비사용시, 스프링-바이어스 롤, 스크린, 및 익스텐더를 수용하여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두 개의 프레임이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내부 구성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으로서 제공되므로,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간단하고 저렴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지지다리 각각은 그 위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와 함께 각각의 프로젝션(projection)을 형성한 다수의 제1벽을 포함하는 반면에, 제1 및 제2프레임 각각은 다수의 제2벽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지지다리들은, 제1벽들을 제2벽에 각각 접촉하게 함으로써 펼쳐지는 한편, 제2벽에 대한 제1벽의 접촉을 해제함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각각의 지지다리에 가해지는 힘이 다수의 제1벽과 다수의 제2벽 사이의 접촉에 의해 분산되므로, 예컨대 수지와 같이 부드럽고 깨지기 쉬운 재료라고 해도 비교적 큰 힘에 견딜 수 있어 지지다리의 제조 비용을 낮춘다.
프로젝션들 각각의 일 측면에는 제1의 경사진 면이 형성되는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관련되는 하나에 대한 각 지지다리의 인력(lead-in force)은, 제1의 경사진 면을 제2벽들 중 관련되는 하나의 벽의 모서리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지지다리를 접는 동안 발생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러한 구성은 지지다리를 정지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다리고정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지지다리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또한 지지다리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로젝션들의 각각의 다른 면에는 제2의 경사진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편리한데, 이 제2의 경사진 면은, 각각의 지지다리가 펼쳐졌을 때, 제2벽들 중 관련되는 하나의 벽 모서리와 접촉하여, 외력에 의한 지지다리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에서, 제1 및 제2의 경사진 면은 연장되어 서로 교차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특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며, 여기에서 동일 부분은 동일 참조부호로서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portable screen assembly)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부분 절개 배면도;
도 3은 도 1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부분 절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에 장치된 익스텐더(extender)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접었을 때의 수평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나온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가 닫혔을 때의 수직 단면도;
도 7은 도 1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가 접혔을 때의 저면도;
도 8a는 익스텐더가 펼쳤을 때의 그 수정예의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익스텐더의 정면도;
도 8c는 도 8a의 익스텐더가 접혔을 때의 정면도;
도 8d는 도 8a의 익스텐더의 두 레일들 사이의 힌지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11은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가 접혔을 때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13은 도 9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가 어느 정도 펼쳐졌을 때,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 배면도;
도 14는 도 13에 나온 선 XIV-XIV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9에 나온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 양측에 장착된 지지다리 (support leg) 및 다리대(leg mount) 사이의 연결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연결부의 수정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 2,4 : 프레임
6 : 스크린 8 : 익스텐더
10 : 지지다리 12 : 스프링-바이어스 롤
14, 16, 18, 20 : 레일 22 : 탄성부재
24 : 각진 부재 26,28 : 레일
30 : 탄성부재 32 : 잠금수단
34 : 손잡이 36, 38 : 그립
40 : 다리대
본 출원은, 1997년 9월 5일과 1998년 2월 26일에 각각 일본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 9-240893호 및 제 10-45630호에 근거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그 내용을 참고로 인용한다.
지금부터 도면을 참조해 보면, 도 1 내지 3은, 사용 중 펼쳐진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를 나타내고 있다.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는,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프레임(2, 4)과, 두개의 프레임(2, 4) 사이에 펼쳐져 있는 스크린(6)과, 프레임(2, 4)을 서로 떨어지게 힘을 가해 원하는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익스텐더(extender) 또는 확장수단(extention means)(8), 및 프레임(2, 4) 하부 단에 힌지 연결되어 그 프레임(2, 4)을 대략 수직으로 유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10)를 포함한다. 프레임(2)은, 스크린(6)이 감기고 그 안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스프링-바이어스 롤(12)을 수용한다. 스크린(6)은, 스프링 바이어스 롤(12)에 고착되는 하나의 옆 모서리와, 프레임(4)의 내부 면에 고정된 각진 부재(나중에 설명됨)에 고착되는 다른 옆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
스크린(6)은, 예컨데 유리 또는 PET, 기본 직물(base fabric)에 고착된 반사층, 이 반사층에 형성된 비드층(bead layer) 또는 편광층(polarization layer), 및 비드층 또는 편광층을 덮는 수지층으로 만들어지는 기본 직물을 가지는 공지의 것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더(8)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14, 20) 및 역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또 다른 한 쌍의 레일(16, 18)을 포함한다. 이 레일들(14, 16, 18, 20) 각각은 통상 U자형으로 된 단면을 가진다. 이러한 레일들(14, 16, 18, 20)이 각각 이하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레일이라 한다. 제1레일(14)은 프레임(2)의 중간부(2a)에 힌지 연결된 일단(one end)을 가지고, 제2레일(16)의 일단에 힌지 연결된 중간부, 및 제3레일(18)의 일단에 힌지 연결된 타단(the other end)을 갖는다. 제2레일(16) 및 제3레일(18)의 타단은 각각 제4레일(20)의 일단 및 중간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편, 제4레일(20)의 타단은 프레임(4)의 중간부(4a)에 힌지 연결된다. 두 개의 프레임(2, 4)은, 예컨대, 제1 및 제 3레일들(14, 18) 사이의 힌지부에 연결된 일단과 제2 및 제4레일들(16, 20) 사이의 힌지부에 연결된 타단을 가진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2)에 의해 서로 떨어지도록 밀쳐지고 있다.
도 5 내지 7은,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를 사용한 후 두 개의 프레임(2, 4)이 서로 합체될 때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두 개의 프레임(2, 4)은, 스프링 바이어스 롤(12), 이 스프링 바이어스 롤(12)에 완전히 감겨진 스크린(6)과 같은 내부 구성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다수의 지지다리(10)는 프레임(2, 4) 저면의 네 모퉁이(corners)에 힌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다리(10)가 회전하게 되면 결국 프레임(2, 4)의 저면에 수용되는 상태가 되어 지지다리(10)가 프레임(2, 4)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하는 것이 방지된다(도 7). 도면에서, 참조 번호(24)는, 프레임(4)의 내부에 고정되고, 스크린의 일단이 고착되는 각진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5 내지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의 비 사용시, 두 개의 프레임(2, 4)은 서로 합체되어, 그 대향면들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체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는 통상 직사각형의 평행 육면체 형태를 가지므로 운반 및 보관이 매우 쉽다. 이 때, 스크린(6)은 스프링-바이어스 롤(12)에 장착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밀치는 힘에 의해 스프링-바이어스 롤(12)에 완전히 감기는 한편, 네 개의 레일(14, 16, 18, 20)로구성된 익스텐더(8)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혀져서 스프링-바이어스 롤(12)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의 사용 시, 프레임(2, 4)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1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 4)의 바닥면에서 유지되어 프레임(2, 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크린의 몸체의 수납 및 운반이 방해받지 않는다.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사용시, 지지다리(10)가 스크린 표면과 통상 직각을 이루게 될 때까지 지지다리(10)는 우선 회전하여 프레임(2, 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레임(2, 4)은, 지지다리(10)에 의해 확실히 지지되고,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가 설치되는 면과 통상 직각으로 연장된다(도 3). 이어서, 프레임(2, 4) 중 하나를 나머지 하나에 대하여 잡아당기면, 스크린(6)이 스프링-바이어스 롤(12)에 장착된 스프링의 밀치는 힘에 대항하여 스프링-바이어스 롤(12)로부터 끌려 나와,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장력이 익스텐더(8)에 의해서 스크린(6)에 부여된다.
여기서, 익스텐더(8)의 탄성부재(22)의 밀치는 힘은 스프링-바이어스 롤(12)의 스프링 힘을 감안하여 결정되므로, 프레임들(2, 4) 사이의 간격은 스크린(6)과 영사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의 보관(stored)시, 네 개의 레일(14, 16, 18, 20)로 구성된 익스텐더(8)는 접혀지고, 스크린(6)은 프레임(2, 4)들 중 하나를 나머지 하나에 대해 단순히 밀므로써 스프링-바이어스 롤(12)에 감겨진다.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를 닫는 것(closure)은, 지지다리(10) 모두를 도 7에 나타낸 각각의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완료된다.
도 8a 내지 8d는 익스텐더의 수정예(8a)을 나타낸다. 도 8a 및 8b는 익스텐 더(8a)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반면, 도 8c는 익스텐더(8a)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8a, 8b 및 8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더(8a)는 통상 U자형으로 된 단면을 가진 한 쌍의 레일(26, 28)을 포함한다. 제1레일(26)은, 프레임(2)의 중간부(2a)에 힌지 연결된 일단과, 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제2레일(28)의 일단에 힌지 연결된 타단을 갖는다. 제2레일(28)의 타단은 프레임(4)의 중간부분(4a)에 힌지 연결된다.
도 8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0)는, 제1 및 제2레일(26, 28) 사이의 힌지부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레일(26, 28)을 도 8a 및 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일직선을 이루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밀친다.
도 4에 도시된 익스텐더(8) 및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익스텐더(8a)는, 단지 레일의 수와 탄성부재의 모양만 다를 뿐이지 실제로는 동일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익스텐더(8a)의 작동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는, 두 개의 프레임 (2, 4)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가질 수 있어서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의 보관 또는 운반 도중에는 서로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편리하게도, 프레임(2, 4) 중 하나에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에 의해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 중, 도 9 및 도 10은 사용시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를 나타내고, 도 11 및 도 12는 보관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의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를 나타낸다.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는, 두 프레임이 닫혀 있을 때 케이싱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두 개의 프레임(2, 4)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2)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에는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를 운반시 이용하기 위해 프레임들(2, 4) 중 하나에 손잡이(34)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는, 포터블 어셈블리(S1)의 사용시 프레임(2, 4)을 통상 수직으로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다리(10)가 프레임(2, 4)의 측면에 보관된다는 점에서 상기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와는 다르다.
도 13 및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들(2, 4) 사이에서 펼쳐지는 스크린(6), 프레임(2, 4)을 밀쳐서 서로 떨어지게 하기 위한 익스텐더(8), 스크린(6)이 감기는 스프링-바이어스 롤(12)과 같은 구성 부품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에 장착된 것과 통상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 부품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또는 케이싱(2, 4)은 각각 그 길이 방향중간부에서 그 측면에 장착된 두 개의 그립(grips)(36, 38)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 (2)에 장착된 그립(36)은 그 위에 각각 고정수단(32)을 장착하고 있다. 고정수단들(32)은 각각 그 말단부에서 함께 훅(32a)을 형성하는 한편, 프레임(4) 상에 장착된 그립들(38)은 각각 그 말단부에서 함께 프로젝션(38a)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 또는 고정 해제는, 고정수단(32)의 작동, 즉, 훅(32a)을 대응하는 그립(38)의 프로젝션 (38a)과 맞물리게 하거나 프로젝션으로부터 훅을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3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 4)은 그 하부에 나사체결된 (screwed down) 각각의 다리대(leg mounts)(40)를 갖고, 다수의(예컨대, 두 개의) 지지다리(10)는 다리대(40)의 각각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다리(10)는 통상 "U"형으로 되어 있고, 예컨대 수지제 재료로 성형된다. 각각의 지지다리(10)는, 그 말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지만 그의 인접단 (proximal end)에서 분리되는 두 개의 지지 브랜치(10a)를 갖는다. 각각의 지지 브랜치(10a)는, 다수의(도면에서는 두 개) 벽(10b)을 그와 함께 일체로 형성하여 상호 평행하게 그로부터 위로 연장시키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핀(10c)을 그와 함께 일체로 형성하여 그로부터 측면으로 돌출시킨다.
벽들(10b)은 각각 그와 함께 일체로 형성하여 프로젝션(10d)을 그로부터 외부로 연장한다. 프로젝션(10d)은, 지지다리(10)의 말단부쪽을 향하는 경사진 정면 (10e)과, 지지다리(10)의 인접단 쪽을 향하는 경사지지 않은 뒷면(10f)을 가진다.또 다른 경사진 면(10g)은 각각의 벽(10d)에 형성되어 프로젝션(10d)의 경사지지 않는 뒷면(10f)과 교차한다. 경사진 면(10g)은 프로젝션(10d)의 경사진 정면(10e)에 대해 통상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지지대(40) 각각은, 각각의 지지다리(10)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래로연장된 다수의(예컨대, 네 개의) 벽(40a)을 함께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지지대(40) 각각은, 아래로 연장되는 다수의 벽(40a)의 각 측면에 두 개의 리브 (ribs)(40a)를 그와 함께 일체로 형성한다. 다수의 아래로 연장된 벽(40a)과 두 개의 리브(40a)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두 개의 리브(40b)는 각각의 핀 삽입 홀(40c)을 그 안에 형성하여 지지다리(10) 위에 형성된 핀(10c)을 수용한다.
다리대(40)에 지지다리(10)를 장착할 때, 우선 지지다리(10)의 바깥쪽 두 벽 (10b)은 다리대(40)의 아래로 연장된 벽(40a)들 사이에 형성된 다수 공간 중 외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한편, 그와 동시에 지지다리(10)의 안쪽 두 벽(10b)은 다리대 (40) 내부의 아래로 연장되는 두 벽(40a) 사이에 형성된 중앙공간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 브랜치(10a)를 안으로 누르 면, 핀(10c)은 다리대(40)의 리브(40b)에 형성된 상응하는 핀 삽입 홀(40c) 안으로 삽입된다.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의 비사용시, 각각의 지지다리(10)는 접혀 두 개의 리브(40b) 사이에 수납되어 다리대(40)의 측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젝션(10d)의 경사진 정면(10e)은 아래로 연장된 벽(40a) 저면들 중 관련되는 쪽 모서리(40d)와 접촉하여, 지지다리(10)의 인력(lead-in force)을 발생시킨다. 이 인력이 작용하여 접혀진 상태의 지지다리(10)를 유지시킨다.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의 사용시, 각각의 지지다리(10)가 우선 인력에 대항하여 화살표(B)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펼쳐짐으로써, 아래로 연장된 벽(40a)의 옆 모서리(40d)와 닿게 프로젝션(10d)의 경사진 정면(10e)을 가압하여옆 모서리(40d)에 대해 경사진 정면(10e)을 이동시킨다. 이 때, 지지브랜치(10a)는 화살표(A) 방향으로 압축력을 받는데, 이 압축력에 의해 지지브랜치(10a)를이 차례대로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아래로 연장된 벽(40a)의 옆 모서리(40d)에 대한 프로젝션(10d)의 경사진 정면(10e)의 접촉은 해제되고, 지지다리(10)는 관련되는 프레임(2 또는 4)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펼쳐져 프레임을 수직으로 유지한다.
지지다리(10)가 펼쳐진 상태에서, 프로젝션(10d)의 경사지지 않은 뒷면(10f)은 아래로 연장된 벽(40a)의 관련되는 정면(40e)과 접촉하는 한편, 경사지지 않은 뒷면(10f)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경사진 면(10g)은 아래로 연장된 벽(40a)의 옆 모서리(40d)와 접촉함으로써, 90°연장된 상태로 지지다리(10)를 고정해서 프레임(2, 4)을 확실하게 유지한다.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를 사용한 후 지지다리(10)를 보관함에 있어서,각각의 지지다리(10)의 측면을 누름으로써 두 개의 지지브랜치(10a)가 화살표(A) 방향으로 압축될 때, 아래로 연장된 벽(40a)의 정면(40e)에 대한 프로젝션(10d)의 경사지지 않은 뒷면(10f)의 접촉이 해제되어, 지지다리(10)를 쉽게 접을 수 있게 된다.
지지다리(10)는 고장을 막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지지다리(10) 들을 모두 접지 않거나 그 중 몇 개를 접지 않고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를 운반할 때, 이에 갑자기 외력이 가해진다 할지라도 지지다리(10)는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컨대 지지다리(10)가 관련되는 프레임(2, 4)에 대해 90°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어떤 지지다리(10) 말단에 화살표(B)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프로젝션(10d)의 뒷면에 형성된 경사진 면(10g)은 아래로 연장된 벽(40a)의 측면 모서리(40d)에 닿게 가압되어 그에 대해 이동한다. 이 때, 화살표(A) 방향의 압축력이 두 개의 지지브랜치(10a)에 가해져 서로 이동 근접시킨다. 결과적으로, 아래로 연장된 벽(40a)의 측면 모서리(40d)에 대한 경사진 면(10g)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지지다리(10)를 화살표(B)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지지다리(10)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에 반하여, 소정의 값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력이, 지지다리(10)가 90°로 펼쳐진 상태에서 화살표(B) 반대방향으로 지지다리(10)의 말단부에 가해질 때, 통상 U자형인 지지다리(10)의 탄성으로 인해 화살표(A) 방향으로 압축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압축력은, 아래로 연장된 벽(40a)의 정면(40e)에 대한 프로젝션(10d)의 경사지지 않은 뒷면(10f)의 접촉을 해제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지지다리(10)가 접혀 그것의 손상이 방지된다.
비록 예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2, 4)의 각각에 두 개의 지지다리(10)가 마련되어 있다하더라도, 후자의 두 회전축(핀 10c)은 동일 직선 위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 소정 각도로 서로 교차하여 두 지지다리(10)의 말단부가 바깥쪽으로 개방된다. 이 때문에, 90°펼쳐진 지지다리(10)가,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S1)의 이동또는 설치 도중 그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물체 또는 표면과 우연히 부딪친다면, 비교적 큰 힘이 비스듬하게 지지다리(10)에 가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힘은 지지브랜치(10a)를 안쪽으로 누르므로 지지다리(10)가 접혀 그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즉, 지지다리(10)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1) 지지다리(10)는, 통상 U자 형으로 형성되고, 그 인접단이 떨어져 있음으로 인해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지지다리(10)는 탄성을 이용하여 쉽게 접혀질 수 있다.
(2) 지지다리(10)에 가해진 힘은 지지다리(10)의 인접단에 형성된 다수의 벽 (10b)에 의해 분산될 수 있으므로, 수지와 같이 비교적 부드럽고 깨지기 쉬운 재료라도 큰 힘에 견딜 수 있다.
(3) 지지브랜치(10a)들이 안쪽으로 압력을 받아 서로 접근하면, 벽(10b)의 안쪽으로의 이동은 다리대(40)의 아래로 연장된 벽(40a)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따라서, 지지브랜치(10a) 중 하나만 다리대(40)의 중앙으로 접근하는 경우는 일어나지 않아, 지지다리(10)의 접는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4) 경사진 면(10e, 10g)이 프로젝션(10d)의 정면과 뒷면에 각각 형성되어 관련된 아래로 연장된 벽(40a)의 측면 모서리(40d)에 접촉하므로, 접혀지는 동안 지지다리(10)의 인력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지지다리(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다리에 갑자기 외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지지다리(10)는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다리(10) 중 하나 또는 몇 개가 손상된다 하더라도, 손상된 지지다리 또는 다리들(10)이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서 나타낸 지지다리(10) 및 다리대(4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수정예에서, 각각의 지지다리(10)에 상응하는 아래로 연장된 다수의 벽(40a) 중, 내부의 두 벽(40a)은 각각의 정면(40e)을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테이퍼지게(tapered) 하는 한편, 지지다리(10)의 내부 두 벽(10b)은 아래로 연장된 벽(40a)의 관련되는 정면(40e)과 경사지거나 테이퍼지고 서로 보완적인 각각의 뒷면(10f)들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지다리(10)가 펼쳐졌을 때, 아래로 연장된 내부의 두 벽(40a)의 경사진 정면(40e)에 대한, 내부 두 벽(10b)의 프로젝션(10d)의 경사진 뒷면(10f)의 접촉은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지다리(10)를 접는데 대한 저항이 증가하여 프레임(2, 4)을 더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명백히 가능함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이는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프레임, 제1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스프링-바이어스 롤, 제1프레임에 그것의 일단이 고착됨과 아울러 스프링-바이어스 롤에 감겨지는 스크린, 제 1 및 제2프레임을 서로 떨어지도록 힘을 가하여 스크린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익스텐더, 및 스크린의 사용시 제1 및 제2프레임을 대략 수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지지다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간단하고,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운반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그것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Claims (6)

  1.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스프링-바이어스 롤과;
    상기 제2프레임에 일단이 고착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바이어스 롤에 감겨진 스크린과;
    사용 도중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을 거의 수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와;
    서로 떨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에 힘을 가하여 상기 스크린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익스텐더를 포함하며;
    상기 익스텐더는,
    한 지점에서만 상기 제1 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제1 레일과;
    상기 제1 레일에 힌지 연결된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에 힌지 연결된 제3 레일과;
    상기 제2 및 제3 레일에 힌지 연결되고, 또한 한 지점에서만 상기 제2 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제4 레일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 수평선(same level)에 있는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1 레일의 상기 한 연결 지점,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4 레일의 상기 한 연결 지점과;
    상기 제1레일과 제3 레일 사이의 힌지 연결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제2레일과 제4 레일 사이의 힌지 연결 위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바이어스 롤에 장착된 스프링의 탄력에 대해 적절히 설정된 탄력을 가져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이 원하는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케이싱(casings)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바이어스 롤, 상기 스크린, 및 상기 익스텐더를 수용하는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다리는 각각의 프로젝션(projection)을 가지는 다수의 제1 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각각은 다수의 제2벽을 가지고,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제1벽을 상기 제2벽에 각각 접촉하게 함으로써 연장된 위치로 유지되지만,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제2벽에 대한 상기 제1벽의 접촉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연장된 위치로부터 접혀지는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프로젝션을 그 제1측면(a first side) 위에 제1의 경사진 면을 갖고, 상기 제1의 경사진 면을 각각의 상기 제2벽의 모서리(edge)와 접하게 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지지다리를 접는 동안, 제1 및 제2프레임 각각에 대한 각각의 상기 지지다리의 인력이 발생되는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다리가 상기한 펼쳐진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상기 프로젝션은 그 제2측면 위에 제2의 경사진 면을 가져 각각의 상기 제2 벽의 모서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지지다리가 외력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경사진 면들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터블 스크린 어셈블리.
KR10-1998-0036634A 1997-09-05 1998-09-05 포터블스크린어셈블리 KR100366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89397 1997-09-05
JP97-240893 1997-09-05
JP04563098A JP3385207B2 (ja) 1997-09-05 1998-02-26 可搬式スクリーン
JP98-045630 1998-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568A KR19990029568A (ko) 1999-04-26
KR100366319B1 true KR100366319B1 (ko) 2003-04-21

Family

ID=2638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634A KR100366319B1 (ko) 1997-09-05 1998-09-05 포터블스크린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49377B1 (ko)
EP (1) EP0901038B1 (ko)
JP (1) JP3385207B2 (ko)
KR (1) KR100366319B1 (ko)
CA (1) CA2245983C (ko)
DE (1) DE69820365T2 (ko)
TW (1) TW44685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61B1 (ko) 2011-09-07 2012-01-31 임길수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KR101297233B1 (ko) * 2012-04-16 2013-08-16 이천웅 4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절첩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스크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3460B1 (en) * 1999-07-09 2005-03-29 Sarnoff Corporation Retractable rear projection display
JP4141864B2 (ja) * 2002-05-23 2008-08-27 株式会社オーエス 自立式手動昇降スクリーン
KR200298928Y1 (ko) * 2002-09-18 2002-12-31 최해용 벽걸이용 스크린
AU2003287910A1 (en) * 2002-12-18 2004-07-09 Vizoo Invest Aps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projecting images and a projection screen arrangement
US7369310B1 (en) 2004-08-31 2008-05-06 Draper, Inc. Tensioned projection screen
US6785047B1 (en) 2002-12-20 2004-08-31 Draper, Inc. Tensioned projection screen apparatus
US7316257B2 (en) 2003-03-25 2008-01-08 Cameron Ronald A Portable screen assembly
EP1642253B1 (en) * 2003-06-23 2012-10-03 Simon Richard Daniel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dible screen
ZA200406212B (en) * 2003-08-04 2005-08-31 Meyer Allen Retractable display apparatus
US7314079B2 (en) * 2003-09-09 2008-01-01 Asmo Co., Ltd. Sunshade system having blind sheet
TWI318328B (en) 2003-10-31 2009-12-11 Izumi Cosmo Co Ltd A removable screen device
DE102004002620B4 (de) * 2004-01-16 2010-06-02 Felix Schram Anordnung mit wenigstens einem aufrollbaren Trenn- bzw. Wandelement
KR200348134Y1 (ko) * 2004-02-05 2004-05-03 노주석 휴대용 스크린 장치
JP2005249828A (ja) * 2004-03-01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US6873458B1 (en) * 2004-07-28 2005-03-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jection screen assembly
US7080420B2 (en) * 2004-09-16 2006-07-25 Scott Damron Adjustable head-support for therapy tables
US20060080918A1 (en) * 2004-09-17 2006-04-20 Paul Clubbe Screen assembly
WO2006074698A1 (de) 2005-01-17 2006-07-20 Felix Schram Anordnung mit wenigstens einem auftrollbaren trenn- bzw. wandelement
JP2006317796A (ja) * 2005-05-13 2006-11-24 Sony Corp スクリーン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7612938B2 (en) * 2006-02-14 2009-11-03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projection screen assembly
US7619814B2 (en) * 2006-02-14 2009-11-17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projection screen assembly
US7623290B2 (en) * 2006-02-14 2009-11-24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screen assemblies for projectors
US7936505B2 (en) 2006-08-28 2011-05-03 Draper, Inc. Tensioned projection screen
US20080158669A1 (en) * 2006-12-29 2008-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jection screen apparatus for use with portable digital projectors
EP2163948A3 (en) * 2007-05-09 2011-11-23 Bright Supply Corporation Retractable frame of projection screen
JP2009069288A (ja) 2007-09-11 2009-04-02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
TW200919075A (en) * 2007-10-19 2009-05-01 Bright View Technologies Inc Portable front projection screen assemblies with flexible screens
CN201434962Y (zh) * 2008-05-02 2010-03-31 泉株式会社 移动式投影屏装置
US8365798B2 (en) * 2008-05-27 2013-02-05 Steelcase Inc. Privacy screen assembly
JP2010019953A (ja) * 2008-07-09 2010-01-28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
EP2440973A4 (en) 2009-06-12 2013-07-31 Draper Inc TENSIONED PROJECTION SCREEN ASSEMBLY
WO2011054694A1 (de) 2009-10-26 2011-05-12 Basf Se Verfahren zum recycling von mit biologisch abbaubaren polymeren geleimten und/oder beschichteten papierprodukten
JP2012053378A (ja) * 2010-09-03 2012-03-15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装置
US8695755B2 (en) * 2011-01-11 2014-04-15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Pop up curtain assembly
JP5678696B2 (ja) * 2011-01-31 2015-03-04 株式会社リコー カバー開閉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243429A (zh) * 2011-06-16 2011-11-16 中国科学院福建物质结构研究所 一种微型投影仪便携式屏幕
US9111470B2 (en) * 2011-07-13 2015-08-18 Lori Anderson Retracta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system
CN102608857A (zh) * 2012-03-10 2012-07-25 伍炳辉 一种新型地拉幕
US8526109B1 (en) 2012-06-29 2013-09-03 Elite Screens Taiwan Co., Ltd. Portable projection screen device
US9389497B2 (en) 2013-07-18 2016-07-1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icro-projection-display devices and adjustable display screens
TWI608328B (zh) * 2013-10-24 2017-12-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03838070A (zh) * 2014-02-13 2014-06-04 江苏红叶视听器材股份有限公司 投影幕板
CN104360576B (zh) * 2014-12-08 2017-01-04 窦志刚 纵横变幅框架投影幕
KR102339290B1 (ko) * 2014-12-1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1500B1 (ko) 2015-01-22 2021-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D807312S1 (en) * 2015-11-18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USD807311S1 (en) * 2015-11-18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USD806664S1 (en) * 2015-11-18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EP3627279B1 (en) * 2015-11-27 2023-05-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403184B2 (en) 2016-12-22 2019-09-03 Waldemar Veazie, IV Freestanding exhibit display
USD909090S1 (en) 2018-09-07 2021-02-02 Fourds Limited Extendable blind
CN109501511B (zh) * 2019-01-09 2024-03-08 刘柏越 一种便携式绘画板
CN115604376A (zh) * 2021-07-07 2023-01-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Cn) 折叠机构、卷曲屏结构及电子设备
KR102411929B1 (ko) * 2021-10-18 2022-06-22 대한민국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CN114842767A (zh) * 2022-03-29 2022-08-02 麻城阳光创客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安装方便的广告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780A (en) * 1990-07-17 1995-08-08 Ata Bygg-Och Markprodukter Ab Road sign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450A (en) * 1886-12-14 Folding screen
US1915944A (en) * 1931-04-16 1933-06-27 Robert Forgie Hunter Projection screen
US1981444A (en) * 1931-05-21 1934-11-20 Eastman Kodak Co Supporting structure for a roll projection screen
GB779722A (en) * 1955-06-20 1957-07-24 John Michael Denton Improvements in projection screens
JPH04331943A (ja) 1991-05-07 1992-11-19 Sony Corp スクリーン
JP3002103B2 (ja) * 1994-06-20 2000-0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可搬式スクリーン
FR2734387B1 (fr) * 1995-05-17 1997-07-18 Doat Guy Dispositif de presentation d'informations notamment au moyen d'une nappe de materiau enroulee sur un tambour
US5706130A (en) * 1995-10-30 1998-01-06 Rosen; John B. Support assembly for a retractable device
US5839706A (en) * 1997-07-16 1998-11-24 Liu; Kun-Hei Folding collapsible stand mounting structure for a baby wal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780A (en) * 1990-07-17 1995-08-08 Ata Bygg-Och Markprodukter Ab Road sign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61B1 (ko) 2011-09-07 2012-01-31 임길수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KR101297233B1 (ko) * 2012-04-16 2013-08-16 이천웅 4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절첩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스크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1038B1 (en) 2003-12-10
US6249377B1 (en) 2001-06-19
KR19990029568A (ko) 1999-04-26
CA2245983A1 (en) 1999-03-05
TW446850B (en) 2001-07-21
JP3385207B2 (ja) 2003-03-10
DE69820365T2 (de) 2004-10-14
EP0901038A3 (en) 2002-05-22
CA2245983C (en) 2006-05-30
JPH11142974A (ja) 1999-05-28
DE69820365D1 (de) 2004-01-22
EP0901038A2 (en) 199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319B1 (ko) 포터블스크린어셈블리
US5107401A (en) Lap top computer with tilting mechanism consisting of a battery pack pivotally attached on a rear surface
US8045264B2 (en) Projection backwall apparatus and system
US4099809A (en) Collapsible work station
JP2008513814A (ja) 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
JP6782432B2 (ja) ヒンジ構造
US5555576A (en) Sectional folding bed
KR101062944B1 (ko)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WO2020009641A1 (en) Foldable frame for holding an image
JP3319212B2 (ja) 収納ケース付き及びスタンド付き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
KR200181655Y1 (ko) 야외용 테이블
KR200315002Y1 (ko) 조립식 회화용 이젤
CN214504094U (zh) 一种用于柔光箱的光源安装座及柔光箱
CN216595881U (zh) 软幕安装框架以及投影设备
CN214409539U (zh) 一种侧发光式柔光装置
KR100515113B1 (ko) 받침대가 형성된 냉장고용 단말기
KR200401434Y1 (ko) 액자
KR200291709Y1 (ko) 절첩식 테이블 다리
KR102029799B1 (ko) 팝 아웃 접이식 일체형 텐트
KR0170977B1 (ko) 프로젝터용 스크린장치
JPH0444948A (ja) 折り畳み容器
KR930006902Y1 (ko) 절첩식 상다리
JPH11128034A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装置
KR200185835Y1 (ko) 침대의 매트리스 프레임 연결구조
KR0135219Y1 (ko) 쇼케이스의 바스프링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