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161B1 -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161B1
KR101110161B1 KR1020110090643A KR20110090643A KR101110161B1 KR 101110161 B1 KR101110161 B1 KR 101110161B1 KR 1020110090643 A KR1020110090643 A KR 1020110090643A KR 20110090643 A KR20110090643 A KR 20110090643A KR 101110161 B1 KR101110161 B1 KR 10111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stened
screen
cov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길수
Original Assignee
임길수
주식회사 엑스젠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길수, 주식회사 엑스젠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임길수
Priority to KR102011009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0Details adapted to collapse or fold, e.g. for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덮개에 클립형 손잡이를 형성하여 개폐가 용이하며, 다수 개의 회전 롤러가 레일판의 수평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하측 암을 안내하므로 스크린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작동하므로 안전성이 뛰어나며, 스크린이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각 부품들의 구조적인 변형을 차단하는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스크린이 설치된 휴대용 스크린에 있어서, 양측에 마개가 체결되고 내면 양측에 볼트 홈이 형성되고 외면에 클립형 손잡이가 체결된 덮개와, 상측에 덮개 삽입공이 형성되고 양측에 마개가 체결되며 바닥면 양측에 볼트 구멍이 형성된 하측 케이스와, 상기 덮개와 하측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린을 수평 상태로 작동되도록 다수 개의 회전 롤러가 체결되는 롤러 체결판이 체결되며 내부에 탄성 스프링과 와이어로 연결된 상,하측 암으로 이루어진 승강대와, 상기 회전 롤러가 삽입되는 수평홈을 갖는 레일판을 지지판의 양측 면에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진 수평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Portable for projection 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덮개에 클립형 손잡이를 형성하여 개폐가 용이하며, 다수 개의 회전 롤러가 레일판의 수평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하측 암을 안내하므로 스크린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작동하므로 안전성이 뛰어나며, 스크린이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각 부품들의 구조적인 변형을 차단하는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은 영사기에서 확대된 영상을 맺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천, 종이, 합성수지 등의 표면에 빛의 반사효율이 뛰어난 도료를 칠한 것이 많으나 우량, 영사스크린의 구비조건으로는 영상을 선명하게 비추어야 하고 색의 재현이 충실하며, 반사율이 놓아 넓은 각도에서 고르고 밝게 보여야 하고, 적당한 지향성(指向性)이 있어야 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스크린은 그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으나 통상적으로 극장과 같은 넓은 장소에서는 고정식으로 된 대형 스크린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강의실이나 회의실과 같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장소에서는 절첩이 가능토록 제작된 휴대용 스크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용 스크린장치는 단순히 영사막인 스크린을 벽에 걸어서 사용하거나 삼발이 형태의 받침대를 구성시키고, 이 받침대에 스크린을 걸쳐 놓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용 스크린장치에서 벽에 걸어서 사용하는 스크린의 경우에는 사용 후에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장소를 옮길 때에는 스크린을 벽 등에 걸기 위하여 못을 박아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으며, 삼발이 형태의 받침대에 걸쳐지는 스크린의 경우에는 받침대가 무겁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 역시 별도로 보관해야 하므로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핀으로 연결한 하부대(21)(21')와 상부대(22)(22')를 결속구(30)로 연결하여서 된 승강대(20)를 핀과 버퍼스프링(24)(24')으로 케이스(10) 바닥에 연결하여 승강대(20)를 "X"자 형태로 접힘과 펼침 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한 스크린와인더(40)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스크린(41)을 상부대(22)(22')에 연결한 스크린전개대(25)에 연결하여 승강대(20)가 펴짐에 따라 스크린(41)을 전개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대(21)(21')의 상단측에 판스프링(50)(50')의 일단을 연결하여 승강대(20)를 케이스(10) 내부에 접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한 버퍼스프링(24)(24')의 완충력이 급격히 소모된 상태에서 판스프링(50)(50')의 타단이 상부대(22)(22')를 받치도록 하여 승강대(20)가 안정적으로 접히도록 한 접힘완충수단을 구성하여서 된 휴대용 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스크린은 스크린을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하고자 할 때는 스크린전개대의 한쪽 측면을 누르게 되면 스크린이 좌,우 및 상,하로 기울어지면서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항상 스크린전개대의 정중앙을 눌려서 스크린이 케이스로 삽입해야 하므로 사용에 매우 불편하고 많은 신경을 써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린이 케이스로 삽입되거나 배출될 때 스크린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하는 장치가 전혀 없어 스크린이 구겨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크린을 펼쳤을 때 구겨진 자국 및 흠집으로 인해 영상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하부대의 양측에 별도의 버퍼스프링을 체결하여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덮개의 어느 부분을 눌러도 스크린이 기울어지는 현상 없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평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다수 개의 롤러가 수평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하부 암을 접었다 펼쳤다 하므로 상,하부 암이 좌,우로 기울어짐을 차단하여 스크린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스크린이 설치된 휴대용 스크린에 있어서, 양측에 마개가 체결되고 내면 양측에 볼트 홈이 형성되고 외면에 클립형 손잡이가 체결된 덮개와, 상측에 덮개 삽입공이 형성되고 양측에 마개가 체결되며 바닥면 양측에 볼트 구멍이 형성된 하측 케이스와, 상기 덮개와 하측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린을 수평 상태로 작동되도록 다수 개의 회전 롤러가 체결되는 롤러 체결판이 체결되며 내부에 탄성 스프링과 와이어로 연결된 상,하측 암으로 이루어진 승강대와, 상기 회전 롤러가 삽입되는 수평홈을 갖는 레일판을 지지판의 양측 면에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진 수평대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는 덮개에 클립형 손잡이 형성하여 덮개의 개폐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둘째는 상,하측 암을 다수 개의 회전 롤러가 수평 상태로 이동하면서 승,하강시켜 스크린이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는 덮개의 상면 어느 부분을 하측으로 눌려도 스크린이 항상 수평 상태로 하강하여 각 부품들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는 종래보다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조가 비용하고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3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덮개와 하측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측 케이스로 덮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8은 본 발명의 승강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롤러 체결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평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3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이하 도면은 본 발명의 부품들의 나타낸 도면이다. 이의 도면 부호 200은 본 발명인 휴대용 영사 스크린 장치의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본체(200)는 외면에 클립형 손잡이(115)가 형성된 덮개(110)와, 내부 바닥면(122)의 양측에 볼트 구멍(123)이 형성된 하측 케이스(120)와, 덮개(110)와 하측 케이스(120)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측 암(130)(140)의 결합부분에 회전 롤러(157)를 갖는 롤러 체결판(150)이 설치되며 스크린(181)을 상,하로 작동하는 승강대(160)와, 회전 롤러(157)가 수평 상태로 이동하도록 수평홈(179)이 형성된 수평대(170)로 구성한다.
상기 덮개(110)는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120)의 덮개 삽입공(121)에 삽입 설치된다.
이와 같은 덮개(110)는 상면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일정 공간(111)이 형성되고 양측 단에는 2개의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112)에는 마개(113)에 체결된 볼트(114)를 삽입 설치하여 고정한다.
상기 덮개(110)의 외면 중간 부분에는 2조각으로 이루어지면서 외관이 라운드 형태의 곡선을 갖는 클립형 손잡이(115)를 체결한다.
상기 클립형 손잡이(115)는 덮개(110)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116)을 형성하고, 고정판(116)의 양측 면에 힌지로 결합하여 회동 가능한 클립판(11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측 케이스(120)는 상면에 덮개(110)가 삽입되는 덮개 삽입공(121)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 바닥면(122)의 양측에는 볼트 구멍(123)을 형성하며, 양측 단에는 마개(125)가 체결되도록 구멍(124)을 형성한다.
상기 하측 케이스(120)의 마개(125)는 삼각형 형태이면서 하측에는 구멍(126)이 형성된 고정판(127)을 형성하고 내면 전방에는 스크린이 감겨있는 구동축이 체결되도록 전면에 체결홈(128a)을 갖는 결합구(128)를 형성한다.
그리고 마개(125)의 상측에는 볼트(129)가 체결되는 구멍(125a)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마개(125)는 하측 케이스(120)의 양측 단에 삽입하여 바닥면(122)의 볼트 구멍(123)과 마개(125)의 고정판(127)에 형성된 구멍(126)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123a)로 고정하고, 마개(125)의 구멍(125a)으로 체결된 볼트(129)를 하측 케이스의 구멍(124)로 체결하여 마개(125)를 고정한다.
이때, 결합구(128)의 체결홈(128a)으로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되고 외면에 스크린(181)이 감겨 있는 구동축(180)의 양측 단을 체결하여 스크린이 하측 케이스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스크린(181)의 상단은 덮개(110)의 내부 하측에 고정 설치하여 덮개와 동일하게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하측 케이스(120)는 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모양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110)에 형성된 클립형 손잡이(115)는 첨부된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덮개(110)가 하측 케이스(120)의 덮개 삽입공(121)으로 삽입된 후 클립형 손잡이(115)의 클립판(117)을 하측으로 당겨 클립판(117)의 내면을 하측 케이스(120)의 바닥면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상기 승강대(160)는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측 암(130)(140)과 상,하측 암(130)(140)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롤러 체결판(150)으로 구성한다.
상기 상측 암(130)은 내부 공간을 갖는 파이프 형태이며 상단에는 고정축(131)이 체결되어 있고 하단에는 원형의 회전판(132)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판(132)의 중앙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삽입공(133)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 중간 부분에는 와이어(138)가 삽입되도록 안내홈(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판(132)의 외주 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걸림턱(13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측 암(130)의 상단 외면에는 ㄷ자 형태이며 상면에 구멍(136)이 형성되고 측면 중앙에 삽입공(137)이 형성된 고정판(138)을 체결한다.
상기 하측 암(140)은 내부 공간을 갖는 파이프 형태이며 상단에는 하측 암(130)의 회전판(132)이 삽입되는 삽입홈(141)을 갖는 회전판(142)을 형성하고, 회전판(142)의 중앙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삽입공(143)을 형성하며, 상단에는 고정축(144)을 체결한다.
그리고 하측 암(140)의 하단 외면에는 ㄷ자 형태이며 하면에 구멍(146)이 형성되고 측면 중앙에 삽입공(147)이 형성된 고정판(145)을 체결한다.
상기 상측 암(130)의 회전판(132)을 하측 암(140)의 회전판(142)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141)으로 삽입하여 체결하고 삽입공(133)(143)을 서로 일치시킨 후에 삽입공으로 롤러 체결판(150)을 체결한다.
상기 상,하측 암(130)(140)은 롤러 체결판(150)을 중심으로 상,하로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하측 암(130)(14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하측 암(140)의 고정축(144)에 일정 길이를 갖는 탄성 스프링(148)을 체결하고, 탄성 스프링(148)의 끝단에는 와이어(138)의 양쪽에 형성된 고리(139a)(139b) 중 한쪽 고리(139a)를 체결한다.
그리고 다른 쪽 고리(139b)는 상측 암(130)의 회전판(132)에 형성된 안내홈(134)을 지나 상측 암(130)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축(131)에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상,하측 암(130)(140)은 서로 대칭되게 스크린(180)의 후방 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롤러 체결판(150)은 첨부된 도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체결판(151)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그 형태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 체결판(151)은 전방 면에 외부로 돌출된 결합축(152)을 형성하고, 결합축(152)의 전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돌기(153)와 내부로 삽입된 홈(154)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다.
상기 결합축(152)의 중앙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삽입공(155)을 형성하고 후방 면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면서 중앙에 삽입공(158)이 형성된 회전 롤러(157)가 결합하는 원형의 결합 돌기(156)를 형성한다.
상기 롤러 체결판(150)은 한쪽 체결판(151)의 결합축(152)을 하측 암(140)의 전방 삽입공(143)을 삽입하고, 다른 쪽 체결판(151)의 결합축(152)은 하측 암(140)의 후방 삽입공(143)으로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한쪽 체결판(151)의 결합축(152)에 형성된 돌기(153)는 다른 쪽 체결판(151)의 결합축(152)에 형성된 홈(154)에 삽입되고, 다른 체결판(151)의 결합축(152)에 형성된 돌기(153)는 한쪽 체결판(151)의 결합축(152)에 형성된 홈(154)에 삽입된다.
즉, 체결판(151)은 서로 기어처럼 맞물려 체결되어 한 쌍이 서로 동일하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평대(170)는 첨부된 도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측과 중간에 설치되는 지지판(171)(174)(175)과, 지지판(171)(174)(177)의 양측 면에 체결되면서 회전 롤러(157)가 이동하는 레일판(17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 지지판(171)은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사각 형태의 결합판(172)을 형성하고 가로 방향으로는 볼트공(173)이 관통되게 형성한다.
상기 우측 지지판(174)은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사각 형태의 결합판(172)을 형성하고 가로 방향으로는 볼트공(173)이 관통되게 형성한다.
상기 중간 지지판(177)은 양측에 사각 형태의 결합판(172)을 형성하고 가로방향으로는 다수 개의 볼트공(173)을 형성한다.
상기 레일판(178)은 내측으로 상,하면을 절곡하여 수평홈(179)을 형성하고, 표면에는 다수 개의 구멍(178a)을 형성한다.
상기 좌,우 및 중간 지지판(171)(174)(175)이 레일판(178)에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간 지지판(177)의 양측 결합판(172)으로 레일판(178)의 수평홈(179)으로 삽입하고, 중간 지지판(177)을 이동시켜 레일판(178)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구멍(178a)과 중간 지지판(177)의 볼트공(173)과 일치시킨 후에 볼트(190)로 고정한다.
상기 좌,우측 지지판(171)(174)도 전방으로 돌출된 양측 결합판(172)을 수평홈(179)으로 삽입한 후에 좌,우측 지지판(171)(174)의 볼트공(173)과 레일판(178)의 구멍(178a)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190)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롤러 체결판(150)에 체결된 8개의 회전 롤러(157)도 레일판(178)의 수평홈(179)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2개의 상측 암(130)에 체결된 고정판(135)을 덮개(110)의 하측 면에 고정하고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아울러, 하측 암(140)에 체결된 고정판(145)의 구멍(146)과 하측 케이스(120)의 바닥면(122)에 형성된 볼트 구멍(123)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면 도 2와 도 3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6과 같이 하측 케이스(120)의 내부로 스크린(181) 및 승강대(160)와 수평대(170)가 삽입되고 덮개(110)의 클립형 손잡이(115)가 하측 케이스(120)의 외면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클립형 손잡이(115)의 클립판(117)을 상측으로 들어 고정을 해지한다.
그런 다음, 클립판(117)을 잡고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덮개(110)에 체결된 스크린(181)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따라 올라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첨부된 도면 도 7과 같은 상태로 덮개(110)의 내부 하측에 고정된 상측 암(130)이 상측으로 벌어지면서 올라오게 된다.
이때, 상측 암(130)과 하측 암(140)의 회전판(132)(142)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롤러 체결판(150)의 회전 롤러(157)가 레일판(178)의 수평홈(179)을 따라 회전하면서 좌,우 지지판(171)(174)까지 이동하므로 상,하측 암(130)(140)이 좌,우로 기울어지는 일이 없어 스크린(181)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올라온다.
아울러, 하측 암(140)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148)이 탄성을 받아 늘어나게 되고 상측 암(130)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138)는 상측 암(130)이 벌어지는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린(181)을 상측으로 다 올리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 암(130)의 회전판(132)에 형성된 걸림턱(135)이 하측 암(140)의 회전판(142)의 하단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상측에서 하중을 주지 않으며 하측으로 내려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120)의 상면을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벌어졌던 상측 암(130)이 접히게 되고 상측 암(130)의 걸림턱(135)이 고정 상태를 해지하면서 하측으로 내려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레일판(178)의 수평홈(179)의 양측 부분에 위치한 회전 롤러(157)가 회전하면서 중간 지지판(177)까지 이동하게 되므로 스크린(181)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200:본체 110:덮개
112:구멍 113:마개
114:볼트 115:클립형 손잡이
116:고정판 117:클립판
120:하측 케이스 121:덮개 삽입공
122:바닥면 123:볼트 구멍
124,126:구멍 125:마개
127:고정판 128:결합구
130:상측 암 132,142:회전판
133,143:삽입공 134:안내홈
135:걸림턱 138,145:고정판
140:하측 암 141:삽입홈
150:롤러 체결판 151:체결판
153:결합홈 153:돌기
154:홈 160:승강대
170:수평대 171:촤측 지지대
172:결합판 173:볼트공
174:우측 지지대 177:중간 지지대
178:레일판 179:수평홈

Claims (3)

  1.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스크린이 설치된 휴대용 스크린에 있어서,
    양측에 마개가 체결되고 내면 양측에 볼트 홈이 형성되고 외면에 클립형 손잡이가 체결된 덮개와;
    상측에 덮개 삽입공이 형성되고 양측에 마개가 체결되며 바닥면 양측에 볼트 구멍이 형성된 하측 케이스와;
    상기 덮개와 하측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린을 수평 상태로 작동되도록 다수 개의 회전 롤러가 체결되는 롤러 체결판이 체결되며 내부에 탄성 스프링과 와이어로 연결된 상,하측 암으로 이루어진 승강대와;
    상기 회전 롤러가 삽입되는 수평홈을 갖는 레일판을 지지판의 양측 면에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진 수평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암은,
    상측 암은 상단에 와이어의 고리가 체결되는 고정축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삽입공이 관통되면서 외면에 안내홈과 걸림턱이 형성된 회전판을 형성하며 상단 외면에 ㄷ자형 고정구를 설치하고,
    하측 암은 상측 암과 대칭이면서 상단에 상측 암의 회전판이 삽입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회전판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탄성 스프링이 장착되는 고정축을 형성하며 그 외면에 고정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체결판은 2개의 체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판은 전방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중앙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결합축을 가지며 후방에는 회전 롤러가 체결되는 돌기가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KR1020110090643A 2011-09-07 2011-09-07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KR10111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643A KR101110161B1 (ko) 2011-09-07 2011-09-07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643A KR101110161B1 (ko) 2011-09-07 2011-09-07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161B1 true KR101110161B1 (ko) 2012-01-31

Family

ID=4561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643A KR101110161B1 (ko) 2011-09-07 2011-09-07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1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8374A (zh) * 2018-06-19 2018-08-21 华北理工大学 一种智能教学演示装置
CN112172386A (zh) * 2020-10-17 2021-01-05 安阳师范学院 一种多媒体英语教学设备
WO2024029687A1 (ko) * 2022-08-01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19B1 (ko) 1997-09-05 2003-04-21 이즈미 코스모 가부시키가이샤 포터블스크린어셈블리
KR20030087104A (ko) * 2002-05-06 2003-11-13 김기윤 연선기의 교정기용 롤러
KR100486344B1 (ko) 2004-07-16 2005-04-28 암전정밀광학 주식회사 휴대용 영사막
KR200387104Y1 (ko) 2005-03-30 2005-06-17 김일동 휴대용 스크린
KR100917683B1 (ko) 2009-06-16 2009-09-17 주식회사 대일테크놀로지 휴대용 스크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19B1 (ko) 1997-09-05 2003-04-21 이즈미 코스모 가부시키가이샤 포터블스크린어셈블리
KR20030087104A (ko) * 2002-05-06 2003-11-13 김기윤 연선기의 교정기용 롤러
KR100486344B1 (ko) 2004-07-16 2005-04-28 암전정밀광학 주식회사 휴대용 영사막
KR200387104Y1 (ko) 2005-03-30 2005-06-17 김일동 휴대용 스크린
KR100917683B1 (ko) 2009-06-16 2009-09-17 주식회사 대일테크놀로지 휴대용 스크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8374A (zh) * 2018-06-19 2018-08-21 华北理工大学 一种智能教学演示装置
CN112172386A (zh) * 2020-10-17 2021-01-05 安阳师范学院 一种多媒体英语教学设备
WO2024029687A1 (ko) * 2022-08-01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839B1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hanging table
KR101110161B1 (ko)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JPH11142974A (ja) 可搬式スクリーン
KR20110016909A (ko)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JP2008513814A (ja) 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
CN102384348A (zh) 可壁挂式电视底座
US20060124822A1 (en) Adjustable table podium
US7426077B2 (en) Portable screen device
CN109327586A (zh) 一种穿戴式手机夹持装置
KR100543389B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TW201008273A (en) Elementary support for object display comprising a hinge polyhedral compartment
US11800926B2 (en) Dual-purpose folding table
EP3106063A1 (en) Hanging table comprising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JP2005035163A (ja) 黒板装置
KR101083716B1 (ko) 책상용 가림판
KR101372313B1 (ko) 휴대용 책장 펼침 유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독서대
DK3078901T3 (en) Lampshade and lamp
KR200348134Y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JP3166219U (ja) 携帯式投影幕
CN209201131U (zh) 一种穿戴式手机夹持装置
KR20100051366A (ko) 연결식 의자의 다리 프레임에 수납되는 메모대 장치
KR100757301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CN217428195U (zh) 一种抽拉转轴式隐藏支架手机壳
CN210740059U (zh) 一种可折叠的叶子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