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104Y1 - 휴대용 스크린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104Y1
KR200387104Y1 KR20-2005-0008640U KR20050008640U KR200387104Y1 KR 200387104 Y1 KR200387104 Y1 KR 200387104Y1 KR 20050008640 U KR20050008640 U KR 20050008640U KR 200387104 Y1 KR200387104 Y1 KR 200387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elevating
binding
link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동
Original Assignee
김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동 filed Critical 김일동
Priority to KR20-2005-0008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03B21/585Inflatable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종래 휴대용 스크린의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서 승강수단을 상단이 전개바의 외측에 힌지결속되고 하단은 권취함의 외측에 결속되며 중앙부분에 절첩부를 형성하여서 "〈 "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첩부가 교차되게 양측으로 구비되는 승강링크와, 상기 승강링크가 스크린의 권해를 위한 승강력을 갖게 탄성지지하는 승강탄성구와, 상기 두 개의 승강링크가 승강과정에 있어 벌어짐 방지되게 결속시키는 승강결속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두개의 승강링크와, 상기 두개의 승강링크를 승강 구속하는 승강구속수단을 구비하므로서 그 승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스크린{A portable screen}
본 고안은 휴대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서 승강수단을 상단이 전개바의 외측에 힌지결속되고 하단은 권취함의 외측에 결속되며 중앙부분에 절첩부를 형성하여서 "〈 "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첩부가 교차되게 양측으로 구비되는 승강링크와, 상기 승강링크가 스크린의 권해를 위한 승강력을 갖게 탄성지지하는 승강탄성구와, 상기 두 개의 승강링크가 승강과정에 있어 벌어짐 방지되게 결속시키는 승강결속수단으로 구성하여서, 승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구성이 향상되고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은 영상기기의 상이 맺히게 하는 것으로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한 상태에서 전개시켜 사용하거나, 삼각대의 중앙부위에 스크린몸체를 구속시키고 상기 삼각대에서 슬랑이딩 돌출되는 승강봉에 스크린의 일단을 구속시켜 전개시킨 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삼각대에 슬라이딩 돌출되는 승강봉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전개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한 휴대용 스크린은 그 절첩과 전개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삼각대에 슬라이딩 돌출되는 승강봉을 이용한 스크린의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서 승강수단을 상단이 전개바의 외측에 힌지결속되고 하단은 권취함의 외측에 결속되며 중앙부분에 절첩부를 형성하여서 "〈 "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첩부가 교차되게 양측으로 구비되는 승강링크와, 상기 승강링크가 스크린의 권해를 위한 승강력을 갖게 탄성지지하는 승강탄성구와, 상기 두 개의 승강링크가 승강과정에 있어 벌어짐 방지되게 결속시키는 승강결속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두개의 승강링크와, 상기 두개의 승강링크를 승강 구속하는 승강구속수단을 구비하므로서 그 승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휴대용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서 그 구성을 단순화하며 승강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스크린(51)을 탄성 권취하는 스크린롤(52)을 수납하는 권취함(53)과, 상기 스크린롤(52)에 의하여 권취되는 스크린(51)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전개바(54)와, 상기 전개바(54)를 승강시켜 스크린이 전개되게 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권취함(53)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속되는 지지발(55)로 구성한 휴대용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단이 전개바(54)의 외측에 힌지 결속되고 하단은 권취함(53)의 외측에 힌지 결속되며 중앙부분에 절첩부가 형성되는 "〈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첩부가 상호 교차되게 양측으로 구비되는 두 개의 승강링크(10)와, 상기 두 개의 승강링크(10)가 스크린의 권해를 위한 승강력을 갖게 하단이 권취함(53)에 힌지구속되는 승강탄성구(20)와, 상기 두 개의 승강링크(10)가 승강과정에 있어 벌어짐 방지를 위하여 상호 결속시키는 승강결속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탄성구(20)는 승강링크(10)의 하단링크에 상단이 결속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 및 하단이 권취함(53)에 힌지 결속되며 상기 압축스프링을 가압하며 외통에 대하여 출몰 동작되는 내통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결속수단은 두 개의 승강링크(10)의 상단링크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형성하되 마주 대하게 형성되는 결속가이드홈(31)과, 양단이 상기 결속가이드홈(31)에 구속되어 승강링크(10)의 승강과정에 있어 구속하는 승강결속구(32)로 구성하되, 상기 결속가이드홈(31)은 링크봉체의 내부로 형성되는 원형의 단면에 상기 원형단면의 직경보다 폭이 좁게 개구된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결속구(32)는 양단에 결속가이드홈(31)과 동일단면을 갖는 구형체로서 봉부재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링크(10)의 승강동작 과정에 있어 두 개의 링크봉체가 마찰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승강결속구(32)의 봉부재에 이격플랜지(32a)를 형성하여 실시하거나, 테프론과 같은 윤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일측이 절개된 이격와셔(32b)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결속수단은 승강링크(10)의 하단링크에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권취함(53)의 상단에는 일측이 권취함(53)에 힌지수단에 의하여 결속된 뚜껑(40)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수단은 권취함(53)의 개구부측 일측 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속되는 힌지봉(4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뚜껑의 일측에 권취함(53)의 측방향에서 끼워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한 "C"형 단면의 힌지클립(4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발(55)의 힌지 결속면에는 힌지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탄성력을 갖게 부분 절개되며 상면으로 돌출된 돌기를 돌출형성한 전개결속구(55a)을 구비하고 이와 대응되는 권취함(53)의 힌지결속부에 전개결속홈(53a)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5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스크린롤(52)의 권취력과 승강링크(10)의 전개력에 의하여 스크린(51)에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보정할 수 있게 지지발(55)이 힌지 결속된 권취함(53)의 하단 힌지결속부에 힌지점을 중심으로 전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두꺼워지고 후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얇아지는 기울임보정부(56)를 구비하여 실시하되, 상기 기울임보정부(56)는 권취함(53)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부재로 구비하여서 결착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기울임각은 1~15°의 범위에서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린(51)을 탄성 권취하는 스크린롤(52)을 수납하는 권취함(53)과, 상기 스크린롤(52)에 의하여 권취되는 스크린(51)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전개바(54)와, 상기 전개바(54)를 승강시켜 스크린이 전개되게 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영사막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단이 전개바(54)의 외측에 힌지 결속되고 하단은 권취함(53)의 외측에 힌지 결속되며 중앙부분에 절첩부가 형성되는 "〈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첩부가 상호 교차되게 양측으로 구비되는 두 개의 승강링크(10)와, 상기 두 개의 승강링크(10)가 스크린의 권해를 위한 승강력을 갖게 하단이 권취함(53)에 힌지구속되는 승강탄성구(20)와, 상기 두 개의 승강링크(10)가 승강과정에 있어 벌어짐 방지를 위하여 상호 결속시키는 승강결속수단으로 구성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승강결속수단을 그리고, 상기 승강결속수단은 두 개의 승강링크(10)의 상단링크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형성하되 마주 대하게 형성되는 결속가이드홈(31)과, 양단이 상기 결속가이드홈(31)에 구속되어 승강링크(10)의 승강과정에 있어 구속하는 승강결속구(32)로 구성하되, 상기 결속가이드홈(31)은 링크봉체의 내부로 형성되는 원형의 단면에 상기 원형단면의 직경보다 폭이 좁게 개구된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결속구(32)는 양단에 결속가이드홈(31)과 동일단면을 갖는 구형체로서 봉부재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상기 승강탄성구(20)을 승강링크(10)의 하단링크에 상단이 결속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 및 하단이 권취함(53)에 힌지 결속되며 상기 압축스프링을 가압하며 외통에 대하여 출몰 동작되는 내통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스크린롤(52)에 권취되어 있는 스크린(51)을 전개시키기 위하여 전개바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전개력을 작용시켜 스크린(51)을 일정 높이로 전개시키며 상기 승강탄성구(20)가 승강링크(10)의 하단링크에 승강력을 작용시켜 별도의 상승력 없이 스크린(51)이 전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이 스크린(51)이 전개되는 과정에 있어 승강링크(10)의 상단링크 또는 상, 하단링크 모두가 승강결속수단인 승강결속구(32)에 의하여 결속되어 있어 승강탄성구(20)에 의하여 승강링크가 벌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승강동작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결속구(32)에 이격플랜지(32a) 또는 이격와셔(32b)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승강링크(10)의 승강과정에 있어 링크부재간의 마찰접촉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단링크와 하단링크에 모두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며 그 승강동작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승강결속수단의 구성인 결속가이드홈(31)으로 인하여 승강링크(10)의 굽힘강성과 비틀림강성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권취함(53)의 원형단면의 힌지봉(4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뚜껑(40)에 힌지클립(42)을 형성하여 실시하므로서 별도의 힌지구를 구비하지 않고 그 힌지결속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신속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발(55)의 힌지 결속면에 전개결속구(55a)을 구비하여 실시하게되면, 스크린(51)의 전개를 위하여 지지발(55)의 전개시 전개결속구(55a)가 권취함(53)의 전개결속홈(53a)에 안착되어서 그 전개상태가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권취함(53)의 하단 힌지결속부와 지지발(55) 사이에 기울임보정부(56)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스크린(51)의 전개시 스크린롤(52)의 권치력과 승강링크(10)의 전개력에 의하여 기울어진 스크린(51)의 전개상태가 보정되어 그 전개상태가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두개의 승강링크와, 상기 두개의 승강링크를 승강 구속할 수 있게 승강가이드홈과 승강결속구로 구성된 승강구속수단을 구비하므로서 그 승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그 구성이 단순화되어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결속구에 이격플랜지 또는 이격와셔를 구비하므로서 승강링크의 승강과정에 있어 링크부재의 마찰접촉으로 인한 마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링크에 승강구속수단인 승강가이드홈을 형성하므로서 그 굽힘강성과 비트림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의 결속을 힌지수단을 권취함에 일체로 형성한 힌지봉과 힌지클립을 구성하므로서 별도의 힌지구를 상용하지 않고 그 힌지 결속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발에 탄성결속구를 구비하므로서 스크린을 전개를 위한 지지발의 전개시 그 전개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권취함과 지지발 사이에 기울임보정부를 구비하므로서 스크린롤의 권취력과 승강링크의 전개력에 의하여 기울어진 스크린이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결속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부분 상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결속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상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결속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상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권취함의 분해 사시도.
도 7 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다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강링크
20 : 승강탄성구
31 : 결속가이드홈 32 : 승강결속구
32a: 이격플랜지 32b: 이격와셔
40 : 뚜껑
41 : 힌지봉 42 : 힌지클립
51 : 스크린 52 : 스크린롤
53 : 권취함 53a: 전개결속홈
54 : 전개바
55 : 지지발 55a: 전개결속구
56 : 기울임보정부

Claims (3)

  1. 스크린(51)을 탄성 권취하는 스크린롤(52)을 수납하는 권취함(53)과, 상기 스크린(51)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전개바(54)와, 상기 스크린이 전개되게 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권취함(53)의 하단에 결속되는 지지발(55)로 구성한 휴대용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단이 전개바(54)의 외측에 힌지 결속되고 하단은 권취함(53)의 외측에 힌지 결속되며 중앙부분에 절첩부가 형성되는 "〈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첩부가 상호 교차되게 양측으로 구비되는 두 개의 승강링크(10)와, 상기 두 개의 승강링크(10)가 스크린의 권해를 위한 승강력을 갖게 하단이 권취함(53)에 힌지구속되는 승강탄성구(20)와, 상기 두 개의 승강링크(10)가 승강과정에 있어 벌어짐 방지를 위하여 상호 결속시키는 승강결속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승강탄성구(20)는 승강링크(10)의 하단링크에 상단이 결속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 및 하단이 권취함(53)에 힌지 결속되며 상기 압축스프링을 가압하며 외통에 대하여 출몰 동작되는 내통으로 구성하며,
    상기 승강결속수단은 두 개의 승강링크(10)의 상단링크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형성하되 마주 대하게 형성되는 결속가이드홈(31)과, 양단이 상기 결속가이드홈(31)에 구속되어 승강링크(10)의 승강과정에 있어 구속하는 승강결속구(32)로 구성하되, 상기 결속가이드홈(31)은 링크봉체의 내부로 형성되는 원형의 단면에 상기 원형단면의 직경보다 폭이 좁게 개구된 단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승강결속구(32)는 양단에 결속가이드홈(31)과 동일단면을 갖는 구형체로서 봉부재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상기 지지발(55)의 힌지 결속면에는 힌지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탄성력을 갖게 부분 절개되며 상면으로 돌출된 돌기를 돌출형성한 전개결속구(55a)을 구비하고 이와 대응되는 권취함(53)의 힌지결속부에 전개결속홈(53a)을 형성하며,
    상기 권취함(53)의 상단에는 일측이 권취함(53)에 힌지수단에 의하여 결속된 뚜껑(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결속수단은 승강링크(10)의 하단링크에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의 힌지수단은 권취함(53)의 개구부측 일측 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속되는 힌지봉(4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뚜껑의 일측에 권취함(53)의 측방향에서 끼워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한 "C"형 단면의 힌지클립(42)을 형성하며,
    상기 스크린(51)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보정할 수 있게 지지발(55)이 힌지 결속된 권취함(53)의 하단 힌지결속부에 힌지점을 중심으로 전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두꺼워지고 후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얇아지는 기울임보정부(56)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링크(10)의 승강동작 과정에 있어 두 개의 링크봉체가 마찰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승강결속구(32)의 봉부재에 이격플랜지(32a)를 형성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결속수단은 승강링크(10)의 하단링크에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의 힌지수단은 권취함(53)의 개구부측 일측 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속되는 힌지봉(4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뚜껑의 일측에 권취함(53)의 측방향에서 끼워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한 "C"형 단면의 힌지클립(42)을 형성하며,
    상기 스크린(51)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보정할 수 있게 지지발(55)이 힌지 결속된 권취함(53)의 하단 힌지결속부에 힌지점을 중심으로 전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두꺼워지고 후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얇아지는 기울임보정부(56)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링크(10)의 승강동작 과정에 있어 두 개의 링크봉체가 마찰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승강결속구(32)의 봉부재에 윤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일측이 절개된 이격와셔(32b)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KR20-2005-0008640U 2005-03-30 2005-03-30 휴대용 스크린 KR200387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40U KR200387104Y1 (ko) 2005-03-30 2005-03-30 휴대용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40U KR200387104Y1 (ko) 2005-03-30 2005-03-30 휴대용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104Y1 true KR200387104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640U KR200387104Y1 (ko) 2005-03-30 2005-03-30 휴대용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10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61B1 (ko) 2011-09-07 2012-01-31 임길수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CN108469714A (zh) * 2018-05-30 2018-08-31 马鞍山宏锦舞台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拆卸的银幕架
KR101907577B1 (ko) * 2016-11-14 2018-10-12 이현석 접이식 엑스선 방어 장치
KR20230039424A (ko) *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무인 탁구대 관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61B1 (ko) 2011-09-07 2012-01-31 임길수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KR101907577B1 (ko) * 2016-11-14 2018-10-12 이현석 접이식 엑스선 방어 장치
CN108469714A (zh) * 2018-05-30 2018-08-31 马鞍山宏锦舞台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拆卸的银幕架
KR20230039424A (ko) *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무인 탁구대 관리장치
KR102553864B1 (ko) * 2021-09-14 2023-07-12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무인 탁구대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063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US7694919B2 (en) Stand for display device
US7497410B2 (en) Stand of a display device
JP4141864B2 (ja) 自立式手動昇降スクリーン
KR200387104Y1 (ko) 휴대용 스크린
KR100658836B1 (ko) 스탠드 장치
JP2010019953A (ja) スクリーン
EP1745555A1 (en) A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JP2003189451A (ja) ハーネス弛み吸収装置
US7690620B2 (en)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and stand for display device
US8655226B2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10448740B1 (en) Spring-loaded leg rocking chair
JP2019069234A (ja) 房掛
KR102136219B1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힌지 어셈블리
KR100486344B1 (ko) 휴대용 영사막
JP4150657B2 (ja) 横引き収納式網戸
JP3106737U (ja) スクリーン支持装置
JP2006094996A (ja) テーブル
KR100613660B1 (ko) 접이식 베드
JP2008083283A (ja) 折り畳み式スクリーン
JP4641509B2 (ja) 建具
JP5213101B2 (ja) 天板付き家具
JP4226496B2 (ja) 携帯製品の開閉装置
JP4251398B2 (ja) レーザー墨出し器
JP2010144761A (ja) 平行リンク式機器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