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683B1 - 휴대용 스크린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683B1
KR100917683B1 KR1020090053492A KR20090053492A KR100917683B1 KR 100917683 B1 KR100917683 B1 KR 100917683B1 KR 1020090053492 A KR1020090053492 A KR 1020090053492A KR 20090053492 A KR20090053492 A KR 20090053492A KR 100917683 B1 KR100917683 B1 KR 100917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ase
platform
stand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일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일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일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9005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03B21/585Inflatable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0Details adapted to collapse or fold, e.g. for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등기나 영사기의 필름 영상을 비추기 위한 휴대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대(220(22')를 연결하여 승강대(20)를 구성하는 하부대(21)(21')의 상방에 판스프링(50)(50')의 일단을 연결하여 승강대(20)가 접히는 과정에서 버퍼스프링(24)(24')의 완충력이 급격히 소멸된 상태에서 판스프링(50)(50')의 타단이 상부대(22)(22')를 받치도록 하여 승강대(20)가 안정적으로 접히도록 하고,
승강대(20)의 하부대(21)(22)와 상부대(21')(22') 형성한 각 결속홈(23)에 삽입하여 하부대(21)(22)와 상부대(21')(22')를 연결하는 결속구(30)의 양단에 사면체슬라이더(31)(31')를 유동되게 연결하여 결속홈(23)에서 미끄럼운동하는 결속구(30)를 안정적으로 미끄럼 운동 하도록하며,
케이스(10) 바닥 좌우측에 탄성재질의 완충재(11)(11')를 부착하여 승강대(20)를 케이스(10)에 접어 넣었을 때에 하부대(21)(21')과 상부대(22)(22')가 케이스(10) 바닥에 닿지 않도록 완충재(11)(11') 상면에 접혀지도록 하여 케이스(10) 바닥과 하부대(21)(21')와 상부대(22)(22')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상부대(22)(22')의 상단부에 탄성재질의 완충관(12)(12')를 삽착하여 승강대(20)를 케이스 내부에 접어 넣을 때에 상부대(22)(22')와 스크린전개대(25)가 접히는 사이를 완충재(12)(12')가 받히도록 하여 상부대(22)(22')와 스크린전개대(25)의 흠집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개방된 양단을 막는 마구리((60)(60')의 내변에 "V"자 형의 투입구(61)(61')와 삽착홈(62)(62')를 일체로 형성하여 스크린(41)을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 넣은 스크린와인더(40)의 양단을 상기 투입구(61)(61')를 통하여 삽착홈(62)(62')에 밀어 넣어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하고,
또 케이스(10)의 저면에 연결하는 받침대(70)의 양단에 내경나사(72)(72')를 구비한 구멍(71)(71')을 수직으로 관통되게 천공하여 상기 하단에 환받침(74)(74')를 연결한 볼트(73)(73')를 구멍(71)(71') 밑에서 위의 방향으로 내경나사((72)(72')에 나사끼움하여 구멍(71)(71')을 관통한 볼트(73)(73')의 상단에 손잡이(75)(75')를 연결하여 손잡이(75)(75')를 돌려 케이스(10)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승강대. 하부대. 상부대. 결속구. 사면체슬라이더. 판스프링. 완충재. 완충관. 삽입구. 삽착홈. 받침대. 구멍. 손잡이.

Description

휴대용 스크린{A portable screen}
본 발명은 환등기 또는 영사기의 화면을 비추는 스크린을 승강시키기 위한 한쌍의 승강대를 슬라이더로 "X"자 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승강대를 접거나 펼침에 따라 스크린와인더 에 감긴 스크린을 펼치는 휴대용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한 한쌍의 승강대를 펼친 상태에서 접는 과정과 상기 한 쌍의 승강대를 연결한 슬라이더의 구동을 유연함과 마모됨이 없고, 또 스크린와인더를 상기한 한 쌍의 승강대의 하단을 유동사태로 연결한 되도록 한 휴대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스크린은 핀으로 연결한 2개의 상하부대를 케이스 바닥에 핀으로 연결하고, 상기한 각 상하부대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결속홈에 두부가 원형인 결속구를 내장하여 핀으로 연결된 2개의 상하부대를 케이스 바닥에서 "X"자 형태로 접힘과 펼침되는 승강대를 형성한다.
그리고 각 상부대의 상단에 스크린전개대를 연결하여 스크린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내장한 스크린와인더를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여 스크린의 외단을 상기한 스크린전개대에 연결시켜 승강대를 펼칠 때에 스크린와인더에 감겨 있는 스크린이 전개되어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한 승강대의 각 하부대와 케이스 바닥 사이에 버퍼 스프링을 연결하여 버퍼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펼쳐진 승강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함과 승강대를 케이스 내부에 접어 넣을 때에 버퍼스프링의 완충력으로 서서히 접혀지게 구성한 것이 널리 알려져 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휴대용 스크린은 승강대를 케이스 내부로 접어 넣을 때에 승강대가 어느 정도 접히게 되면 버퍼스프링의 완충력이 급격히 소멸되어 케이스 내부로 급격하게 접혀져 승강대의 각 상하부대는 물론 케이스 바닥과 스크린전개대에 흠집이 나는 문제점과, 승강대를 이루는 핀으로 연결한 각 상하부대의 내면에 형성한 결속홈에 내장된 결속구의 두부가 원형으로 된 것이어서 승강대를 접고 펼칠 때에 결속구의 원형 두부의 둘레가 결속홈의 내주면에 접하는 부분이 면이 좁아 원형두부가 결속홈을 이탈하게 되어 승강대의 펼침과 접힘이 원활하지 못하며, 뿐만 아니라 스크린와인더를 케이스 내부에 단순히 고정되게 장착한 것이어서 스크린롤대가 이상이 있을 경우 분해 수리하기가 힘든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하여 마련한높이조절구를 케이스 저면 양단에 나사식 끼움으로 연결하여 케이스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하여는 케이스의 일단을 위로 든 상태에서 높이조절구를 돌려야 하기 때문에 스크린을 전개한 상태에서는 조작이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인 승강대를 펼치거나 접을 때에 발생하는 버퍼스프링의 완충력 보강과, 또 승강대를 구성한 상하부대를 결속한 결속구를 안 정적인 형태로 형성하여 승강대의 펼침과 접힘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도록 하고, 또 각 상하부대와 케이스 및 스크린전개대의 면과 면이 접촉되어 발생하는 흠집을 방지하도록 함과, 또 스크린을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 내장한 스크린와인더를 케이스 내부에 간편하게 장전과 해체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또 케이스의 수평을 간편하게 조절하게 된 휴대용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제공하는 휴대용 스크린은 한 쌍의 승강대를 펼친 상태에서 케이스 내부로 접어 넣을 때에 버퍼스프링의 완충력이 급격히 떨어질 때에 완충을 부여하는 접힘완충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제공하는 휴대용 스크린은 일면에 결속홈을 길게 형성하여 핀으로 연결한 상하부대를 안정적으로 "X"자 형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한 결속홈에 삽입되어 활주하는 결속구 양단에 넓은 활주면을 갖는 사면체슬라이더를 형성하여 결속홈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승강대의 원활한 펼침과 접힘의 작용을 하도록 한 결속구의 안정적 활주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제공하는 휴대용 스크린은 각 상하부대가 완전히 접혀 케이스 내부로 장전될 때에 승강대의 밑면이 케이스 바닥에 부딪치어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1차흠집방지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제공하는 휴대용 스크린은 한 쌍의 승강대가 완전히 접힐 때에 상부대의 상단을 연결한 스크린전개대와 상부대에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흠집을 방지하는 2차흠집방지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제공하는 휴대용 스크린은 스크린을 감아 내장하는 스크린와인더를 상기한 케이스 내부에 간편하게 장전과 해체를 할 수 있도록 한 스크린와인더 체결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제공하는 후대용 스크린은 스크린을 전개한 상태에서도 케이스의 한쪽을 위로 들지 않고 서도 간편하게 수평조절을 하게 되는 수평조절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는 본 발명은 승강대(20)가 케이스(10) 내부로 접히는 과정에서 버퍼스프링(24)(24')의 탄성이 소멸된 상태에서 판스프링(50)이 상부대(22)(22')를 떠 받치면서 승강대(20)가 접히게 되어 승강대(20)가 급격히 접혀지는 것을 방지한 효과와,
또한 승강대(20)를 "X"자 형으로 접힘과 펼침 되도록 연결하는 결속구(30)(30') 양단에 형성한 두부를 사면체슬라이더(31)(31')로 형성하여 활주면을 넓게하였기 때문에 결속홈(23)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활주운동을 하게 되는 효과와,
또한 케이스(10) 바닥 좌우에 완충재(11)(11')를 부착하여 승강대(11)가 완충재(11)(11')위로 접히게 되어 승강대(10)와 케이스의 바닥에 흠집이 방지된 효과가 있으며,
또 승강대(20)가 접히는 과정에서 완충관(12)(12')이 접히는 상부대(22)(22')와 스크린전개대(25)에 사이를 받치어 상부대(22)(22')와 스크린전개 대(25)에도 흠집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고,
또한 케이스(10)의 개방된 양단을 막는 마구리(60)(60')의 내면에 "V"자 형의 삽입구((61)(61')가 일체로 된 삽착홈(62)(62')을 형성하여 스크린와인더(40)를 쉽게 조립과 해체되는 효과와,
또한 케이스(10) 저면에 연결하는 받침대(70) 양단에 상면으로 노출된 손잡이(75)(75')를 돌려 받침대(70)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한 것이어서 종래 받침대를 위로 들어올려 케이스(10) 저면에서 나사를 돌려 수평을 조절하게 된것 보다 수평조절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중 승강대를 접은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중 사면체슬라이더를 보인 결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중 케이스 마구리의 내면도, 도 6은 본 발명중 받침대의 구성을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케이스 저면에 연결한 받침대의 종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보면, 케이스(10)에 장착되어 펼침과 접히는 승강대(20)를 케이스(10) 바닥 좌우에 핀으로 연결한 하부대(21)(21')의 상단에 핀으로 상부대(22)(22')를 연결하여 상기 상하부대(22)(21)와 상하부대(22')(21')의 일면에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결속홈(23))에 결속구(30)(30')의 양단을 삽입하여 상하부대(22)(21),(22')(21')를 "X"자 형태로 펼침과 접혀지도록 연결하고, 상기 하부대(21)(21')와 케이스(10) 바닥 사이에 버퍼스프링(24)(24')을 연결하여 승강대(20)를 펼쳐진 상태에서는 버퍼스프링(24)(24')의 탄성에 의하여 승강대(20)를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또 승강대(20)를 케이스(10) 내부로 접을 때에 버퍼스프링(24)(24')의 탄성에 의하여 급격히 접혀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승강대(20)의 상부대(22)(22')에 스크린전개대(25)를 연결하여 케이스(10) 내부에 장전한 스크린와인더(40) 내부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스크린(41)의 외단을 상기한 스크린전개대(25)에 연결하여 승강대(20)가 접히고 펼침에 따라 스크린(41)이 접히고 펴지도록 한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승강대(20)의 하부대(21)(21') 상단부 근처에 판스프링(50)(50')의 일단을 고정시켜 승강대(20)가 케이스(10) 내부로 접히는 과정에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한 버퍼스피링(24)(24')의 완충력이 급격히 소멸된 상태에서 판스프링(50)(50')의 개방된 외단이 상부대(22)(22')의 밑면을 받치게 되어 승강대(20) 전체가 케이스(10) 내부로 급격히 접히지 않고 판스프링(50)(50')의 탄성에 따라 서서히 접혀지는 접힘완충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대(21)(21')와 상부대(22)(22')에 형성한 각 결속홈(23)에 삽입되어 활주하는 상태에서 상기의 하부대(21)(21')와 상부대(22)(22')를 연결하여 승강대(20)를 형성하는 결속구(30)의 양단에 넓은 활주면을 갖는 사면체슬라이더(31)(31')를 유동되게 연결하여 결속홈(23)에 형성된 이탈 방지 턱의 구속력을 강화시킨 결속구의 안정적 활주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10)의 바닥 좌우에 고무 또는 스폰지와 같은 탄력을 갖는 재질의 완충재(11)(11')를 부착하여, 상기 접힘완충수단의 과정을 거쳐 케이스(10) 내부로 완전히 접히는 승강대(20)의 하부대(21)(21')와 상부대(22)(22')를 완충재(11)(11')에 상면에 접히도록 하여 하부대(21)(21')와 상부대(22)(22') 및 케이스(10) 바닥에 흠집이 나지 않도록 한 1차흠집방지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대(20)의 상부대(22)(22')에 고무나 스폰지 재질과 같은 탄성재질로 된 완충관(12)(12')을 삽착하여 승강대(20)를 케이스(10) 내부에 완전히 접혀 넣었을 때에 스크린전개대(25)(25')가 상부대(22)(22')에 삽착된 완충관(12)(12')룰 사이에 두고 접혀 스크린전개대(25)(25')와 상부대(22)(22')에 흠집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한 2차흠집방지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케이스(10)의 양측 개방된 곳을 막는 마구리(60)(60')의 내면 상방에 "V"형의 삽입구(61)(61')를 구비한 원형의 삽착홈(62)(62')를 형성하여 스크린(41)을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 내장한 스크린와인더(40)의 양끝을 삽입구(61)(61')로 강제로 밀어 넣으면 스크린와인더(40)의 양 끝이 약간 좁혀 지면서 삽착홈(62)(62')으로 유입되면서 좁혀졌던 양끝이 원상으로 복귀되어 삽착홈(62)(62')에 삽착되어 스크린완인더(40)를 케이스(10) 내부에 조립하며, 상기 장착된 스크린와인더(40)를 분해 할 때에는 스크린와인더(40)의 양 끝을 위로 당기면 상기 조립할 때의 반대 수순을 거쳐 삽입구(61)(61')로 이탈시켜 케이스(10)에 조립된 스크린와인더(40)를 분해되도록 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스크린와인더 체결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10) 저면에 연결하여 받침 역활을 하도록 한 받침대(70)의 양단측에 수직으로 구멍(71)(71')을 뚫어 상기 구멍(71)(71') 중간에 내경나사(72)(72')를 형성한다, 상기 내경나사(72)(72')에 볼트(73)(73')를 나사끼움 하는데 상기 볼트(73)(73')의 하단에는 환받침(74)(74')을 연결하고 볼트(73)(73')의 상단에는 손잡이(75)(75')를 연결하여 손잡이(75)(75')를 돌림에 따라 환받침(74)(74')이 구멍(71)(71')의 밑으로 출몰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케이스(10)의 수평을 맞추는 수평조절수단을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승강대를 접은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중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중 케이스 마구리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받침의 구성을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케이스 저면에 연결한 받침의 조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 11,11'.....완충재. 12,12'.......완충관.
20......승강대. 21,21'......하부대. 22,22'......상부대.
23......결속홈. 24,24'......버퍼스프링. 25......스크린전개대.
30......결속구, 31,31'........사각두부.
40.....스크린와인더. 41.......스크린. 50,50'........판스프링.
60,60'......마구리. 61,61'......삽입구. 62,62'......삽착홈.
70........받침대. 71,71'.....구멍. 72,72'........내경나사.
73,73'.......볼트. 74,74'......환받침. 75,75'......손잡이.

Claims (4)

  1. 핀으로 연결한 하부대(21)(21')와 상부대(22)(22')를 결속구(30)로 연결하여서 된 승강대(20)를 핀과 버퍼스프링(24)(24')으로 케이스(10) 바닥에 연결하여 승강대(20)를 "X"자 형태로 접힘과 펼침 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한 스크린와인더(40)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스크린(41)을 상부대(22)(22')에 연결한 스크린전개대(25)에 연결하여 승강대(20)가 펴짐에 따라 스크린(41)을 전개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대(21)(21')의 상다측에 판스프링(50)(50')의 일단을 연결하여 승강대(20)를 케이스(10) 내부에 접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한 버퍼스프링(24)(24')의 완충력이 급격히 소모된 상태에서 판스프링(50)(50')의 타단이 상부대(22)(22')를 받치도록 하여 승강대(20)가 안정적으로 접히도록 한 접힘완충수단을 구성하여서 된 휴대용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대(20)의 하부대(21)(22)와 상부대(21')(22') 일면에 형성한 각 결속홈(23)에 삽입되어 하부대(21)(22)와 상부대(21')(22')를 펼친상태에서 "X"자 형으로 연결하는 결속구(30)의 양단에 활주면이 넓은 사면체슬라이더(31)(31')를 유동되게 연결하여 결속홈(23)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한 결 속구의 안정적 활주수단을 구성하고,
    케이스(10) 바닥 좌우측에 탄성재질의 완충재(11)(11')를 부착하여 승강대(20)를 케이스(10)에 접어 넣었을 때에 하부대(21)(21')과 상부대(22)(22')가 케이스(10) 바닥에 닿지 않도록 완충재(11)(11') 상면에 접혀지도록 하여 케이스(10) 바닥과 하부대(21)(21')와 상부대(22)(22')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한 1차흠집방지수단을 구성하여서 되는 휴대용 스크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대(22)(22')의 상단부에 탄성재질의 완충관(12)(12')를 삽착하여 승강대(20)를 케이스 내부에 접어 넣을 때에 상부대(22)(22')와 스크린전개대(25)가 접히는 사이를 완충재(12)(12')가 받히도록 하여 상부대(22)(22')와 스크린전개대(25)의 흠집을 방지하는 2차흠집방지수단을 구성하며,
    케이스(10)의 개방된 양단을 막는 마구리((60)(60')의 내변에 "V"자 형의 삽입구(61)(61')와 삽착홈(62)(62')를 일체로 형성하여 스크린(41)을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 넣은 스크린와인더(40)의 양단을 상기 삽입구(61)(61')를 통하여 삽착홈(62)(62')에 밀어 넣어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스크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케이스(10)의 저면에 연결하는 받침대(70)의 양단에 내경나사(72)(72')를 구비한 구멍(71)(71')을 수직으로 관통되게 천공하여 상기 하단에 환받침(74)(74')를 연결한 볼트(73)(73')를 구멍(71)(71') 밑에서 위의 방향으로 내경나사((72)(72')에 나사끼움하여 구멍(71)(71')을 관통한 볼트(73)(73')의 상단에 손잡이(75)(75')를 연결하여 손잡이(75)(75')를 돌려 케이스(10)의 수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KR1020090053492A 2009-06-16 2009-06-16 휴대용 스크린 KR10091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492A KR100917683B1 (ko) 2009-06-16 2009-06-16 휴대용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492A KR100917683B1 (ko) 2009-06-16 2009-06-16 휴대용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683B1 true KR100917683B1 (ko) 2009-09-17

Family

ID=4135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492A KR100917683B1 (ko) 2009-06-16 2009-06-16 휴대용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6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61B1 (ko) 2011-09-07 2012-01-31 임길수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US10079270B2 (en) 2015-04-24 2018-09-1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JP2021185424A (ja) * 2018-07-03 2021-12-09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826A (ja) * 1991-08-01 1993-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リーン構造
JPH05313250A (ja) * 1992-05-13 1993-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昇降スクリーン
JPH06235974A (ja) * 1993-02-09 1994-08-23 Nichibei Co Ltd 映写用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826A (ja) * 1991-08-01 1993-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リーン構造
JPH05313250A (ja) * 1992-05-13 1993-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昇降スクリーン
JPH06235974A (ja) * 1993-02-09 1994-08-23 Nichibei Co Ltd 映写用スクリー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61B1 (ko) 2011-09-07 2012-01-31 임길수 휴대용 영사 스크린장치
US10079270B2 (en) 2015-04-24 2018-09-1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JP2021185424A (ja) * 2018-07-03 2021-12-09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93614S1 (en) Stand
US11457728B2 (en) Foldable table bench
KR100917683B1 (ko) 휴대용 스크린
US7631604B2 (en) Telescopic and foldable table
US8274737B2 (en) Retractable frame of projection screen
US20080090704A1 (en) Foldable trampoline frame assembly
MXPA06014790A (es) Estante para exhibicion y caballete doblables y de auto-despliegue.
US9167893B2 (en) Folding table
US20110168863A1 (en) Foldable Instrument Stand
US9572425B2 (en) Tray table apparatus
US7611104B1 (en) Stand for supporting an object
US4984785A (en) Device for simulating climbing
CN208676561U (zh) 一种双侧滑动的桌面式可升降电脑桌
ES2652449T3 (es) Partición de pared de plegado vertical
KR200393407Y1 (ko) 보조책상을 갖는 학생용 책상
US20090211496A1 (en) Portable entertainment system
KR200396465Y1 (ko) 탁구대 겸용 테이블
US20180177290A1 (en) Integrated foldable table tennis table
US20120047650A1 (en) Bed that is Folded and Expanded Easily and Quickly
KR101917731B1 (ko) 접이식 물품의 탄성줄 프레임 변위장치
US20110278197A1 (en) Portable Entertainment System
KR200442592Y1 (ko) 접이식 pop스탠드
US10604123B2 (en) Motorcycle lifting tool
US20160076693A1 (en) Tensile switchable supporting frame
KR10054952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받침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