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909A -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909A
KR20110016909A KR1020107027136A KR20107027136A KR20110016909A KR 20110016909 A KR20110016909 A KR 20110016909A KR 1020107027136 A KR1020107027136 A KR 1020107027136A KR 20107027136 A KR20107027136 A KR 20107027136A KR 20110016909 A KR20110016909 A KR 20110016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ub
casing
parallel
scree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유키 아베
가즈하루 세키
Original Assignee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보다 경량이고, 또한 보다 취급이 용이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케이싱(1)과, 이 케이싱(1)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된 스프링 롤과, 일단이 탑 바(2)에 고정부착됨과 함께 수납시 상기 스프링 롤에 감겨진 스크린(3)과, 이 탑 바(2)에 부착된 부착부재(14)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타단이 케이싱(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신축수단(4)을 가진다. 신축수단(4)에, 신장된 스크린(3)에 평행한 신장면 내에 배치된 제1 암(5)과 제2 암(6)과 제3 암(7)을 가지고 이루어지며, 제2 암(6)은, 상기 신장면 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서로 평행한 2 이상의 서브 암(6a, 6b)으로 이루어지고, 평행 링을 형성하도록, 그 2 이상의 서브 암(6a, 6b)을 제1 암(5)과 제3 암(7)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편 팬터그래프식 신축수단(4)을 이용한다.

Description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PORTABLE 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젝터 등의 투영 장치에 의한 표시상을 확대 투영하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운반이 용이하고, 바닥 혹은 테이블 등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운반가능식(portable)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은, 일반적으로 반사형 스크린에 확대 투영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스크린 가운데, 천정 혹은 벽면에 부착시켜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납 케이스에 수용된 스크린을, 필요에 따라 전동 혹은 수동에 의해 끌어내려 사용하고 있었다.
근년, 회사 혹은 사무소 등에 있어서의 회의의 증가에 수반하여, 프로젝터와 함께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어 회의실의 바닥, 회의용 책상 혹은 테이블 상에 설치해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을 투영할 수 있는, 소형 경량이고 간단한 구성의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에 대한 요망이 증가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출원인은, 스프링 롤에 감겨진 스크린을 수납 케이스에 수납하고, 스크린의 신축수단으로서 팬터그래프를 이용한 소형 경량이고 간단한 구성의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를 제안하였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0-131766 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보다 경량이고, 또한 보다 취급이 용이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된 스프링 롤과, 일단이 탑 바에 고정장착됨과 함께 수납시 상기 스프링 롤에 감겨진 스크린과, 이 탑 바에 부착된 부착부재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타단이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신축수단을 가지며, 이 신축수단이, 신장되는 스크린에 평행한 신장면 내에 배치된 제1 암과 제2 암과 제3 암을 가지고 이루어지며, 이 제2 암은, 상기 신장면 내에 서로 평행에 설치된, 서로 평행한 2 이상의 서브 암으로 이루어지며, 평행 링크를 형성하도록 이 2 이상의 서브 암을 제1 암과 제2 암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편 팬터그래프식 신축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에서는, 상기 신축수단의 제2 암의 일단은 제1 암의 일단이 고정된 제1 연결부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제2 암의 타단은 제3 암의 일단이 고정된 제2 연결부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각 서브 암의 일단이 각각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1 연결부에 연결되고, 각 서브 암의 타단이 각각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2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의 태양에 있어서, 제1 연결부가, 제1 암의 일단의 양측면을 끼워 지지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1 끼움판으로 이루어지고, 제2 연결부가, 제3 암의 일단의 양측면을 끼워 지지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2 끼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의 태양에 있어서, 제1 끼움판 및 제2 끼움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서브 암과의 맞닿음면에 볼록부를 가지며, 서브 암의 회동시에는, 서브 암의 일단이 그 볼록부에 맞닿아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의 태양에 있어서, 신축수단은, 신축수단의 일부에 걸린 높이 유지 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기 높이 유지 수단은, 그 일단을 제2 암에 걸고, 타단은 제1 암에 걸린 가스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서브 암을 링크 부재에 의해 서로 평행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는, 상기 신축수단의 제2 암의 일단은 제1 암의 일단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제2 암의 타단은 제3 암의 일단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각 서브 암의 일단이 각각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1 암에 연결되고, 각 서브 암의 타단이 각각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2 암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신축수단의 일부에 걸린 높이 유지 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높이 유지 수단은, 그 일단을 제2 암에 걸고, 타단은 제1 암에 걸리는 가스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서브 암을 링크 부재에 의해 서로 평행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태양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는, 상기 신축수단의 제2 암의 일단은 제1 암의 일단이 고정된 제1 연결부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제2 암의 타단은 제3 암의 일단이 고정된 제2 연결부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제1 암의 타단을 케이싱의 중간부의 지지부재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시키는 한편, 제3 암의 타단을 탑 바의 중간부에 부착된 부착부재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스크린 수납시에는, 상기 부착부재를 케이싱에 걸고 탑 바를 케이싱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케이싱의 중간부의 배면측에 설치하는 한편, 케이싱의 중간부의 전면측에 걸어맞춤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재에 걸어맞춰 탑 바를 케이싱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3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제1 암의 일단의 양측면을 끼워 지지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1 끼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부가, 제3 암의 일단의 양측면을 끼워 지지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2 끼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3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신축수단의 일부에 걸린 높이 유지 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높이 유지 수단은, 그 일단을 제2 암에 걸고 타단은 제1 암에 걸리는 가스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편 팬터그래프 구조의 신축수단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팬터그래프 구조의 신축수단을 이용했을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경량이고 또한 취급이 용이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는, 신축수단으로서,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암과 제2 암과 제3 암을 이용하지만, 중간의 제2 암에 복수의 서브 암을 이용해 각 서브 암의 단부를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연결부에서 연결하고, 각 서브 암의 회동 저항에 의해 스크린의 하강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크린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고 또한 스크린이 낙하할 걱정이 없는 취급이 용이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는, 신축수단으로서,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암과 제2 암과 제3 암을 이용하지만, 중간의 제2 암에 복수의 서브 암을 이용하여, 각 서브 암의 일단을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1 암의 일단에 연결하는 한편, 각 서브 암의 타단을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3 암의 일단에 연결하여, 각 서브 암의 회동 저항에 의해 스크린의 하강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크린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고 또한 스크린의 낙하 걱정이 없는 취급의 용이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연결부가 불필요해서 보다 경량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태양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는, 편 팬터그래프 구조의 신축수단을 이용하여, 제1 암의 타단을 케이싱 중간부의 지지부재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시키는 한편, 제3 암의 타단을 탑 바의 중간부에 부착된 부착부재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스크린 수납시에는, 상기 부착부재를 케이싱에 걸어 탑 바를 케이싱에 고정하도록 한 것으로, 탑 바가 케이싱의 덮개를 겸하므로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또, 사용시에는, 부착부재와 케이싱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탑 바를 끌어올리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스크린을 펼칠 수 있어 취급이 지극히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의 사용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측의 모식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의 정면측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에 이용하는 부착부재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에 이용하는 연결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에 이용하는 연결부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에 이용하는 연결부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의 사용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 사시도이며, 프로젝터측을 정면으로 했을 경우의, 배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는, 케이싱(1)과, 케이싱(1)에 설치된 스프링 롤(미도시)과, 탑 바(2)와 스프링 롤과의 사이에 펼쳐진 스크린(3)과, 스크린(3)을 신축하는 편 팬터그래프식(half-pantograph type) 신축수단(4)과, 가스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유지 수단(10)을 구비하고 있다. 16, 17은 사용시에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다리이다. 또, 12, 13은 비사용시에 작게 접은 신축수단(4)을 유지하는 고정부재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의 사용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프로젝터측의 정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싱(1)의 중간부에는 탑 바 고정용의 걸어맞춤부재(15)를 설치하고 있고, 신축수단(4)을 접어 스크린(3)을 수납하려면, 부착부재(14)와 걸어맞춰 탑 바(2)를 케이싱(1)에 고정한다. 여기서, 걸어맞춤부재(15)는, 탑 바의 하중에 의해 케이싱이 변형하는 것을 막는 보호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걸어맞춤부재(15)는, 적어도 케이싱 중간부의 전면의 상부에 설치하면 좋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중간부의 전면 전체를 가리도록 설치해도 좋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수단(4)은, 편 팬터그래프 구조를 가진다. 신축수단(4)에 의해,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써, 스크린의 하강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제1 암(5)의 일단을 케이싱(1)의 중간부의 지지부재(11)에 회동 자유롭게 장착시킨다. 계속해서, 제1 암(5)의 타단을 제1 연결부(8)에 고정함과 함께, 중간 암이 되는 제2 암(6)의 서브 암(6a, 6b)의 일단을 각각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1 연결부(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계속해서, 서브 암(6a, 6b)의 타단을, 그 외단이 회동 가능하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2 연결부(9)에 연결한다. 계속해서, 제2 연결부(9)에 제3 암(7)의 일단을 고정함과 함께, 제3 암(7)의 타단을 탑 바(2)의 중간부에 부착된 부착부재(14) 내의 U자형 부재(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한다. 여기서, 서로 연결된 제1 암과, 제2 암을 구성하는 2개의 서브 암과, 제3 암은, 신장되는 스크린에 평행한 신장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신축수단(4)을 구성하는 암에는, 알루미늄제의 중공 각 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제1 연결부(8)는, 암을 끼움 가능하게 한 쌍의 끼움판(8a, 8b)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연결된 끼움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 연결부(8)는 제1 암(5)의 일단의 양 측면을 끼워 고정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제2 연결부(9)는, 암을 끼움 가능하게 한 쌍의 끼움판(9a, 9b)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연결된 끼움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2 연결부(9)는 제3 암(7)의 일단의 양 측면을 끼워 고정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끼움판은, 각각, 제1 암과 제2 암과 제3 암을 포함하는 상기의 신장면과 평행한 다른 신장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연결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끼움판도, 각각, 제1 암과 제2 암과 제3 암을 포함하는 상기의 신장면과 평행한 다른 신장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서브 암(6a, 6b)의 일단을, 한 쌍의 제1 끼움판(8a, 8b)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1 연결부에 연결한다. 도 4는, 신장시의 제1 연결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제1 끼움판(8b)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암(5)은, 한 쌍의 제1 끼움판(8a, 8b)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서브 암(6a, 6b)은, 각각 다른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연결축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끼움판(8a, 8b)의 사이를, 단부의 양 측면을 그 한 쌍의 제1 끼움판에 맞닿음시킨 상태로 회동한다. 또, 제2 연결부의 구조도 마찬가지이며, 제3 암은 한 쌍의 제1 끼움판(9a, 9b)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서브 암(6a, 6b)은, 각각 다른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연결축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끼움판(9a, 9b)의 사이를, 그 한 쌍의 제2 끼움판에 맞닿음시킨 상태로 회동한다.
서브 암(6a, 6b)은, 신축수단(4)의 신축에 응해 회동하지만, 그 회동시에는, 서브 암 단부와 연결축과의 힌지부의 마찰저항에 의해, 스크린의 하강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서브 암(6a, 6b)과,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4개의 연결축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평행 링크를 형성하고 있다. 스크린의 중력은 제3 암을 통하여 제2 연결부에 전달되지만, 평행 링크의 요동에 의해, 그 하중은 서브 암(6a, 6b)에 분산되고 4개의 연결축의 힌지부의 마찰저항을 발생시키고, 서브 암이 1개인 경우에 비해, 큰 마찰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크린의 하강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를 한 쌍의 끼움판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서브 암의 단부의 양 측면과 한 쌍의 제1 끼움판 및 한 쌍의 제2 끼움판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스크린의 하강을 한층 더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서브 암을 보강하기 위해서, 2 이상의 서브 암을 링크 부재에 의해 서로 평행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도 좋다. 도 1에 있어서는, 2개의 서브 암의 다른 한쪽의 측면을 링크 부재(25)에 의해 연결한 예를 나타냈지만, 한 쌍의 링크 부재를 이용해 2 이상의 서브 암의 양쪽 모두의 측면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 링크 부재의 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1개 이상 혹은 1쌍 이상 이용할 수 있다. 또, 링크 부재를 설치하는 위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서브 암의 측면이면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지만, 높이 유지 수단에 가까운 위치가 바람직하다. 또, 링크 부재는, 2 이상의 서브 암을 서로 평행이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이나 구조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끼움판으로는 금속판을 이용하고, 서브 암의 단부에는 수지성의 끝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동시에 불쾌한 소리가 발생하지 않고, 큰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스크린을 소망의 높이에, 보다 확실히 유지하기 위해서, 높이 유지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유지 수단(10)으로서 이용하는 가스 스프링은, 그 일단을 제1 암(5)에 연결 부분을 통하여 걸고, 타단은 서브 암(6a)에 연결 부분을 통하여 걸리고 있다. 높이 유지 수단은, 스프링 롤의 스프링의 탄성력 및 스크린의 중력에 저항하여 신축수단에 위쪽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높이 유지 수단은, 신축수단에 위쪽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의 가스 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탄성 수단,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 제1 암(5)과 제3 암(5)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법이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서브 암(6a)과 제2 연결부(9)와의 연결축에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걸고, 서브 암(6b)과 제1 연결부(8)와의 연결축에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거는 것에 의해, 신축수단에 위쪽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암과 연결부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코일 스프링을 걸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외에도 높이 유지 수단에는 여러 가지의 변형예가 가능하지만, 그것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3은, 부착부재(14)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부착부재(14)는, 제3 암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부착부(21)와, 스크린 수납시에, 케이싱(1)의 중간부에 설치된 탑 바 고정용의 걸어맞춤부재(15)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20)와, 회동 락(pivot lock)(24)으로 이루어진다. 걸어맞춤부(20)의 속에는, 한 쌍의 걸어맞춤부재(22, 23)가 배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20)는, 회동 락(24)의 잠금 부재(24a)를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구 가장자리부(20a, 20b)를 가지고 있다. 프로젝터측의 걸어맞춤부재(23)는, 일단에 걸어맞춤부재(15)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23a)를 가지며, 타단에는 개구 가장자리부(20b)에 맞닿는 돌기(23c)를 가지며, 또한 잠금 부재(24a)에 고정되는 고정부(23b)를 가진다. 또, 배면측의 걸어맞춤부재(22)는, 그 일단에 U자형 부재(11)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22a)를 가진다. 걸어맞춤부재(22, 23)는, 걸어맞춤돌기(23a)와 걸어맞춤돌기(22a)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부재(미도시)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스크린 수납시에는, 걸어맞춤돌기(23a)는 걸어맞춤부재(15)와 걸어맞춰지고, 걸어맞춤돌기(22a)는 U자형 부재(11)와 걸어맞춰져, 탑 바(2)가 케이싱(1)에 고정된다. 회동 락(24)을 잠금위치로 회동시키면, 걸어맞춤돌기(23a)가 탑 바 방향으로 가압된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회동 락(24)을 잠금해제위치로 회동시키면, 걸어맞춤돌기(23a)의 탑 바 방향으로의 가압력은 약해지는 결과, 탑 바를 케이싱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운반가능식 스크린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비사용시에 있어서는, 신축수단(4)이 작게 접혀, 대략 직방체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 수납 및 운반이 지극히 용이하다. 이 상태에서는, 스크린(3)은 스프링 롤(미도시)에 부착된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 롤에 완전하게 감겨짐과 함께, 신축수단(4)를 구성하는 복수의 암은 완전히 접혀 스프링 롤과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사용하는 경우에는, 탑 바(2)를 위쪽으로 끌어올이면, 스프링 롤에 부착된 스프링의 탄성력 및 중력에 저항해 스크린(3)이 스프링 롤(2)로부터 풀려나온다.
가스 스프링에는, 고압가스가 구멍을 가지는 피스톤을 통하여 실린더 내부에 봉입되어 있어 피스톤 로드의 신축에 수반하는 실린더 내의 체적 변화를, 오일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혹은 직접적으로 가스의 압력변화에 의해 조정하고 있다. 여기서, 스크린(3)이 하강하려고 하면, 피스톤 로드가 압축되기 때문에, 가스 스프링 내부의 가스 압력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하고, 신축수단에 위쪽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하여, 스크린(3)의 하강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서브 암 단부와 연결축과의 힌지부의 마찰저항과, 서브 암의 단부의 양측면과, 한 쌍의 제1 끼움판 및 한 쌍의 제2 끼움판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과, 이 가스 스프링의 위쪽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스크린의 하강을 한층 더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신축수단(4)이 작게 접힌 상태에 가까워지면, 스프링 롤의 스프링의 탄성력 및 중력에 저항하는 높이 유지 수단(10)의 반발력이 저하하여 신축수단(4)이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서브 암 단부와 연결축과의 힌지부의 마찰저항과 서브 암의 단부의 양측면과 한 쌍의 제1 끼움판 및 한 쌍의 제2 끼움판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신축수단(4)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는 효과도 가진다. 특히, 서브 암의 단부는, 신축수단이 작게 접힌 상태에 가까워지면, 끼움판과의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대한다. 이것에 의해 서브 암의 단부와 끼움판과의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하므로, 신축수단의 낙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판을 사용하지 않고, 서브 암 단부와 연결축과의 힌지부를 조여 그 힌지부의 마찰저항만을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힌지부를 너무 조이면, 신축수단의 신축이 순조롭게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끼움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힌지부가 과도하게 조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신축수단의 신축을 순조롭게 실시함과 함께, 스크린의 하강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신축수단(4)은, 케이싱(1) 및 탑 바(2)의 중앙부에만 접속되어 있어, 케이싱 및 탑 바와 2점 이상으로 접속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스크린(3)의 좌우의 밸런스를 잡기 쉽다.
게다가, 수납할 때에는 , 탑 바(2)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조작만으로, 신축수단(4)이 낙하하는 일 없이, 천천히 하강해 작게 접힘과 함께, 스크린(3)이 스프링 롤에 감겨져 케이싱에 수납된다.
또, 실린더 내부에 오일을 포함하는 프리 피스톤 타입의 가스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신축수단의 하강시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프리 피스톤 타입의 가스 스프링은, 피스톤 로드의 실린더 내부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에 구멍이 설치되어 있어 신축수단(4)이 작게 접힌 상태에 가까워지면, 가스 스프링의 피스톤 로드는 실린더 내로 깊게 밀어넣어진다. 이 때, 피스톤은 오일에 도달해 오일을 압박하기 때문에, 로드를 급격하게 밀어넣을 수가 없게 된다. 그 후, 오일은 구멍을 서서히 통과해 나가기 때문에, 로드는 완만하게 밀어넣어져 신축수단은 천천히 작게 접힌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이 평탄한 끼움판을 이용했지만, 제1 끼움판 및 제2 끼움판 중 적어도 하나로는, 서브 암과의 맞닿음면에 볼록부를 가지며, 서브 암의 회동시에는, 서브 암의 일단이 그 볼록부에 맞닿아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표면의 볼록부를 가지는 제1 끼움판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끼움판(8a)의 표면에는, 서브 암(6a, 6b)의 단부의 회동에 대응해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기부(81b)와 볼록부(81a)가 설치되어 있다. 신축수단을 신장시키는 경우, 서브 암의 회동에 수반해 마찰저항은 저하하므로, 신축수단을 용이하게 신장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스크린의 강하시에는 마찰력이 증대하므로, 하강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 볼록부는, 기계 가공에 의해 표면을 연삭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끼움판의 표면을 조면화할 수도 있다. 표면이 평탄한 끼움판을 이용했을 경우, 서브 암과의 마찰이 커지면, 불쾌한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지만, 표면을 조면화하는 것에 의해, 그것을 억제할 수 있다. 조면화의 정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산술 평균 거칠기 Ra로 규정되는 표면 거칠기가, 0.5㎛ ~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 ~ 5㎛이다.
게다가, 끼움판에 한 쪽 서브 암의 일단부에 맞닿도록 완충용의 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그 스프링(30)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스프링(30)은, 그 일단이 끼움판(8a)에 고정되고, 타단은 서브 암(6a)의 하단부에 맞닿아 있다. (a)는, 스크린을 수납한 상태, (c)는 스크린을 펼친 상태, (b)는 스크린을 펼칠 때까지의 도중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c)의 펼침 상태에서는, 스프링(30)은, 그 탄성력에 의해 서브 암의 하강을 억제한다. 또, (a), (b) 상태에서는 서브 암의 급격한 하강을 억제해 하강시의 충격을 흡수한다. 서브 암의 하단부에 맞닿을 수 있으면, 스프링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서브 암에 맞닿는 단부의 형상이, 서브 암의 하단부의 형상에 맞춘 만곡 형상을 가지는 판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이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크린의 하강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암이 2개의 서브 암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스프링 롤의 가압력이나 스크린의 중량에 응해, 3개 이상의 서브 암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마찰저항을 증대시켜, 스크린의 하강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연결부를 사용하지 않고, 각 서브 암의 일단을 각각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1 암에 연결하고, 각 서브 암의 타단을 각각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3 암에 연결한 것 이외에는,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서브 암 단부와 연결축과의 힌지부의 마찰저항에 의해, 스크린의 하강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크린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고 또한 스크린이 낙하할 걱정이 없는 취급의 용이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연결부가 불필요해서, 보다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유지 수단으로서 가스 스프링을 대신해 코일 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코일 스프링은 암 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암(6a)과 서브 암(6b)의 일단을 제1 암(5)의 일단에 각각 연결하고, 서브 암(6a)과 서브 암(6b)의 타단을 제3 암(7)의 일단에 각각 연결하여 평행 링크를 형성하고, 서브 암(6b)의 회동에 응해 신축하도록 코일 스프링을 서브 암(6b) 또는 제1 암(5)의 내부에 설치하는 한편, 서브 암(6a)의 회동에 응해 신축하도록 코일 스프링을 서브 암(6a) 또는 제3 암(7)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팬터그래프 구조의 신축수단을 이용하였을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량이고 또한 취급이 용이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 케이싱, 2 탑 바, 3 스크린, 4 신축수단, 5 제1 암, 6 제2 암, 6a, 6b 서브 암, 7 제3 암, 8 제1 연결부, 8a, 8b 제1 끼움판, 81a 볼록부, 81b 기부, 9 제2 연결부, 9a, 9b 제2 끼움판, 10 높이 유지 수단, 11 지지부재, 12, 13 고정부재, 14 부착부재, 15 걸어맞춤부재, 16, 17 지지다리, 20 걸어맞춤부, 20a, 20b 개구 가장자리부, 21 부착부, 22,23 걸어맞춤부재, 22a, 23a 걸어맞춤돌기, 23b 고정부, 23c 돌기, 24 회동 락, 24a 잠금부재, 25 링크 부재, 30 스프링.

Claims (16)

  1.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된 스프링 롤과, 일단이 탑 바에 고정장착됨과 함께 수납시 상기 스프링 롤에 감기는 스크린과, 이 탑 바에 부착된 부착부재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타단이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신축수단을 가지며,
    이 신축수단이, 신장되는 스크린에 평행한 신장면 내에 배치된 제1 암과 제2 암과 제3 암을 가지고 이루어지며, 이 제2 암은, 상기 신장면 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서로 평행한 2 이상의 서브 암으로 이루어지고, 평행 링크를 형성하도록 이 2 이상의 서브 암을 제1 암과 제2 암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편 팬터그래프식 신축수단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의 제2 암의 일단은 제1 암의 일단이 고정된 제1 연결부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제2 암의 타단은 제3 암의 일단이 고정된 제2 연결부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각 서브 암의 일단이 각각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1 연결부에 연결되고, 각 서브 암의 타단이 각각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2 연결부에 연결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제1 암의 일단의 양측면을 끼워 지지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1 끼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부가, 제3 암의 일단의 양측면을 끼워 지지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2 끼움판으로 이루어지는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판 및 제2 끼움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서브 암과의 맞닿음면에 볼록부를 가지며, 서브 암의 회동시에는, 서브 암의 일단이 그 볼록부에 맞닿아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신축수단의 일부에 걸리는 높이 유지 수단을 가지는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높이 유지 수단은, 그 일단을 제2 암에 걸고, 타단은 제1 암에 걸리는 가스 스프링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서브 암을 링크 부재에 의해 서로 평행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의 제2 암의 일단은 제1 암의 일단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제2 암의 타단은 제3 암의 일단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각 서브 암의 일단이 각각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1 암에 연결되고, 각 서브 암의 타단이 각각 회동 자유롭게 다른 연결축에 의해 제2 암에 연결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신축수단의 일부에 걸리는 높이 유지 수단을 가지는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높이 유지 수단은, 그 일단을 제2 암에 걸고, 타단은 제1 암에 걸리는 가스 스프링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서브 암을 링크 부재에 의해 서로 평행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의 제2 암의 일단은 제1 암의 일단이 고정된 제1 연결부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제2 암의 타단은 제3 암의 일단이 고정된 제2 연결부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제1 암의 타단을 케이싱의 중간부의 지지부재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시키는 한편, 제3 암의 타단을 탑 바의 중간부에 부착된 부착부재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스크린 수납시에는, 상기 부착부재를 케이싱에 걸어맞춰 탑 바를 케이싱에 고정하도록 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케이싱의 중간부의 배면측에 설치하는 한편, 케이싱의 중간부의 전면측에 걸어맞춤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재에 걸어맞춰 탑 바를 케이싱에 고정하도록 한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제1 암의 일단의 양 측면을 끼워 지지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1 끼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부가, 제3 암의 일단의 양 측면을 끼워 지지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2 끼움판으로 이루어지는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신축수단의 일부에 걸리는 높이 유지 수단을 가지는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높이 유지 수단은, 그 일단을 제2 암에 걸고, 타단은 제1 암에 걸리는 가스 스프링인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KR1020107027136A 2008-05-02 2009-04-24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KR20110016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0425 2008-05-02
JPJP-P-2008-120425 2008-05-02
CN200920000369.7 2009-02-09
CN2009200003697U CN201434962Y (zh) 2008-05-02 2009-02-09 移动式投影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909A true KR20110016909A (ko) 2011-02-18

Family

ID=4205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136A KR20110016909A (ko) 2008-05-02 2009-04-24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99402B2 (ko)
EP (1) EP2273313A4 (ko)
JP (1) JP5038492B2 (ko)
KR (1) KR20110016909A (ko)
CN (2) CN201434962Y (ko)
WO (1) WO2009133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34963Y (zh) * 2008-05-02 2010-03-31 泉株式会社 移动式投影屏装置及其所用伸缩支柱和操作工具
US20110119976A1 (en) * 2009-11-23 2011-05-26 Jorge Garcia Adjustable display board system
WO2012057327A1 (ja) * 2010-10-28 2012-05-03 京セラ株式会社 積層型圧電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噴射装置ならびに燃料噴射システム
TWM403168U (en) * 2010-12-06 2011-05-01 Bright Supply Corp Telescopic holder (5) display screen
CN202472230U (zh) * 2012-03-07 2012-10-03 极品影视设备科技(深圳)有限公司 隐藏式投影幕
US8526109B1 (en) 2012-06-29 2013-09-03 Elite Screens Taiwan Co., Ltd. Portable projection screen device
US9754320B2 (en) 2012-10-15 2017-09-0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oviding a record of an interactive conference
US9508058B2 (en) 2012-10-15 2016-11-2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providing an interactive conference
US9538117B2 (en) * 2013-01-07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98006B2 (en) * 2014-07-16 2017-10-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Quantum imaging for underwater arctic navigation
KR102454387B1 (ko) 2016-04-29 2022-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972391A (zh) * 2016-06-25 2016-09-28 庄仁山 便携式投影仪
CN105972408A (zh) * 2016-06-25 2016-09-28 庄仁山 可调节高度的商务投影仪
US10403184B2 (en) 2016-12-22 2019-09-03 Waldemar Veazie, IV Freestanding exhibit display
TWI715757B (zh) * 2017-03-31 2021-01-11 揚明光學股份有限公司 投影系統及伸展機構
US10574662B2 (en) 2017-06-20 2020-02-2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authentication of a user based on multi-factor passively acquired data
US10360733B2 (en) 2017-06-20 2019-07-2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controlled augmented resource facility
CN110647003A (zh) * 2019-09-29 2020-01-03 深圳市火乐科技发展有限公司 幕布升降机构及投影设备
CN112572155B (zh) * 2019-09-30 2022-09-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轨道车辆的受流器及轨道车辆
USD978226S1 (en) * 2020-11-10 2023-02-14 Emart International Inc Collapsible screen
USD972623S1 (en) * 2021-05-24 2022-12-13 ShenZhen Screen Workshop Technology Ltd. Electric motorized floor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76385A (en) * 1931-04-16 1932-07-14 Maude May Hunter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projection screens
JPS5539520B2 (ko) * 1972-11-14 1980-10-11
JP3385207B2 (ja) * 1997-09-05 2003-03-10 泉株式会社 可搬式スクリーン
JP3411515B2 (ja) * 1998-08-20 2003-06-03 泉株式会社 可搬式スクリーン
JP4563550B2 (ja) * 2000-05-09 2010-10-13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パンタグラフ式ジャッキ
US20060080918A1 (en) * 2004-09-17 2006-04-20 Paul Clubbe Screen assembly
KR101178383B1 (ko) * 2005-03-16 2012-08-29 최해용 이중축 구조의 휴대용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26114A1 (en) 2011-02-03
CN201434962Y (zh) 2010-03-31
WO2009133809A1 (ja) 2009-11-05
CN102016716A (zh) 2011-04-13
CN102016716B (zh) 2012-05-30
JP5038492B2 (ja) 2012-10-03
EP2273313A1 (en) 2011-01-12
US8199402B2 (en) 2012-06-12
JPWO2009133809A1 (ja) 2011-09-01
EP2273313A4 (en)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6909A (ko)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US7663868B1 (en) Display devices mounting apparatus
TW393587B (en) Portable screen assemble
KR20110016908A (ko)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신축 지주 및 조작도구
TWI273336B (en) Self-standing manual lifting screen
US8186634B2 (en) Cable management arm supporting device
KR20090040683A (ko)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US20140263922A1 (en) Artist's Easel Attachable to a Door
US20120162760A1 (en) Portable Projection Screen
US20110147562A1 (en) Safety device for a cantilevered beam and boom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JP6410114B2 (ja) 天井用照明装置の設置構造
KR100543389B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RU182203U1 (ru) Подставка для компьютера
KR20040037618A (ko) 영상표시기기의 천정/벽걸이 장치
JP2003015225A (ja) 自立式手動昇降スクリーン
JP2012523513A (ja) 脚レベリング
TWI646254B (zh) Curtain rotation structure
CN111412355B (zh) 一种升降结构及显示设备支架
JP3093127U (ja) 可搬式スクリーン
JP2021194508A (ja) 遮蔽器具
KR101427407B1 (ko) 조립식 선반
KR200348134Y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KR200348225Y1 (ko) 절첩 가능한 이젤
JP3243537U (ja) 複合式レジャー用クランプ装置
KR200249343Y1 (ko) 낚시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