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266B1 - 폴리카보네이트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266B1
KR100366266B1 KR1019950020539A KR19950020539A KR100366266B1 KR 100366266 B1 KR100366266 B1 KR 100366266B1 KR 1019950020539 A KR1019950020539 A KR 1019950020539A KR 19950020539 A KR19950020539 A KR 19950020539A KR 100366266 B1 KR100366266 B1 KR 10036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olycarbonate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446A (ko
Inventor
노데라아끼오
찌바지로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0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수지(polycarbonate resin)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열안정성에 뛰어나고 고도의 유동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와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의 혼합물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첨가한 조성물에 의해 얻어진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기계적 강도, 특히 충격 강도, 전기적 성질 및 난연성이 요구되는 사무자동기기, 전기·전자기기, 자동차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resin)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안정성, 유동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기계적 강도, 특히 충격 강도, 전기적 성질, 투명성 등이 우수하고 사무자동기기(이하, OA기기), 전기 · 전자기기, 자동차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용분야 중에서, OA기기, 전기·전자기기등 일부분야는 난연성이 요구된다.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들 중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반적으로 산소 지수가 높고 자기소화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OA기기, 전기/전자기기 등의 분야에 이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UL94 규격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등급 V-0와 같은 높은 등급의 난연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난연제 및/또는 난연 조제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가해진다.
한편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혼합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그 자체보다 더 높은 난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만으로는 난연성이 불충분하여 각종 난연제를 첨가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89059/1988, 210462/1989, 200862/1991, 202465/1992 등 참조).
그렇지만,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유동성을 높일 경우 이전에 공개된 선행 기술은 연소시 용융점을 떨어뜨리는 결점을 안고 있다. 게다가, 난연제 또는 브롬 화합물과 혼합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열안정성에 약하다는 결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열안정성이 뛰어나고 고도의 유동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세밀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혼합물은 조성물중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성분비가 0.1-2.0중량%일 때 최대의 산소지수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고 여기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첨가하면 연소시 용융점 하락을 방지하여 목적하는 특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과와 정보에 의해 성취되었다. 즉,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 (B)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C) 섬유(fibril) 형성능력을 갖는 평균분자량 500,000 이상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구성되고 (A)성분이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의 5-100중량%, (B)성분이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의 95-0중량%, (A)성분 중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양은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의 0.1-2.0중량%, (C)성분이 (A)성분과 (B)성분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0.05-1.0중량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다.
먼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A)성분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중합체(이하, PC-PDMS 공중합체라고 약칭함)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다음 일반식 (1)
[식중, R1및 R2는 각각 할로겐 원자(예를 들면,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 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각종 펜틸기, 각종 헥실기,각종 헵틸기,각종 옥틸기)이다; m및 n은 각각 0-4의 정수로서 m이 2-4일때 R1은 각기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n이 2-4일 때 R2는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Z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8의 알킬리덴기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에틸리덴기, 이소프로필리덴기 등), 탄소수 5-15를 갖는 사이클로알킬리덴기 (예를 들면, 사이클로펜틸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사이클로펜틸리덴기, 사이클로헥실리덴기 등), 또는 -SO2-, -SO-, -S-, -O-, -CO- 결합 또는 다음 일반식(2) 또는 (2')
로 표시된 결합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구조를 반복단위로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성분과 또한 다음의 일반식 (3),
[식중 R3, R4및 R5는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 1-5의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등) 또는 페닐기이며 p와 q는 각각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다.] 로 나타내는 구조를 반복단위로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성분으로 된 것이다.
여기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성분의 중합도는 3-100이 바람직하고 또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중합도는 2-500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PC-PDMS공중합체는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성분과 상기 일반식 (3)으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성분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로서, 점도-평균 분자량이10,000-40,000 바람직하게는 12,000-35,000인 것이다.
이와 같은 PC-PDMS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미리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oligomer, 이하 PC 올리고머로 약칭함)와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성분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말단에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예를 들면,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디에틸 실록산등의 폴리디알킬실록산 또는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등을 염화메틸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에 용해시키고 비스페닐이 함유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촉매로서 트리에틸아민과 염화트리메틸벤질암모늄 등을 사용하여 계면중축합 반응함으로써 제조하게 된다.
또한 일본 특공소 44-3010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과 일본 특공소 45-20510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PC-PDMS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PC올리고머는 용제법, 즉 예를 들면, 염화메틸렌 등의 용매중에 공지의 산수용체(acid receptor)와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하에서 다음 일반식 (4)
(식중, R1, R2, Z, m 및 n은 상기와 동일함)
으로 표시되는 2가 페놀과 포스겐 또는 탄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카보네이트 전구체와의 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염화메틸렌등의 용매중에서 공지의 산수용체나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하에 2가 페놀과 포스겐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반응에 의해 또는 2가 페놀과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해서 제조된다.
상기 일반식 (4)로 표시된 2가 페놀로서는 여러가지가 다양하게 있으나 특히 2, 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가 바람직하다. 비스페놀 이외에 2가 페놀로서는 비스페놀 A 이외의 비스(4-히드록시페닐)알칸; 1,1-(4-히드록시페닐)메탄; 1,1-(4-히드록시페닐)에탄;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알칸; 비스(4-히드록시페닐)산화물; 비스(4-히드록시페닐)황화물;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시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을 들 수 있다. 기타 2가 페놀로서는 하이드로퀴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2가 페놀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탄산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의 디아닐카보네이트와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등의 디알킬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분자량조절제로는 일반적으로 카보네이트 중합에 사용되는 것도 되고 각종의 것에 사용되는 것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가 페놀로서 페놀, p-크레졸, p-tert-부틸페놀, p-tert-옥틸페놀, p-큐밀페놀 및 노닐 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PC-PDMS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PC 올리고머는 상기의 2가 페놀 1종을 사용한 단일중합체(homopolymer)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사용한 공중합체(copolymer)도 된다. 더 나아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상기한 2가 페놀과 함께 사용해서 얻은 임의로 측쇄형 열가소성 카보네이트도 좋다.
다음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B)성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2가 페놀과 포스겐 또는 탄산에스테르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염화메틸렌 등의 용매중에 있어서 공지의 산수용체와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하에 2가 페놀과 포스겐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와의 반응에 의해 또는 2가 페놀과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와의 에스테르교환반응 등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에서 (B)성분 제조를 위한 2가 페놀로서는 상기의 일반식 (4)로 표시된 화합물과 같거나 달라도 된다. 또한 상기의 2가 페놀 1종을 사용한 단일 중합체도 되고 2종이상을 사용한 공중합체여도 된다. 더 나아가 다관능성 방향족화합물을 상기한 2가 페놀과 함께 사용해서 얻은 임의로 가지달린 열가소성 카보네이트도 좋다.
탄산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의 디아릴카보네이트와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등의 알킬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분자조절제로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통상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되는 것도 되고 각종의 다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가 페놀로서 예를 들면 페놀, p-크레졸, p-tert-부틸페놀, p-tert-옥틸페놀, 노닐페놀등을 들 수 있다.
(A)성분과 (B)성분의 배합비율은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에 대해서, (A)성분이 5-1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100중량, (B)성분이 95-0중량%, 바람직하게는 90-0중량%이다. (A)성분이 5중량%미만으로 (B)성분이 95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분산성이 악화되고 충분한 난연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해 (A)성분 및 (B)성분이 바람직한 범위에서는 난연성이 양호한 것이 얻어진다. (A)성분중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부분의 성분비는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에 대해서 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1.5 중량%이다. 이때 0.1중량%미만 또는 2.0중량%를 초과하면 충분한 산소지수가 얻어지지 않고 목적하는 난연성이 발현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범위일 때보다 적절한 산소지수가 얻어지고 우수한 난연성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C)성분인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이하 PTFE로 약칭함)은 용융적하방지효과(melt dripping preventive effect)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섬유형성능력을 갖는 것을 사용하게 되면 높은 난연성이 부여된다. 평균분자량 500,000 이상인 것이 필요하며 바람직하게는 500,000-10,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0-10,000,000 이다.
(C)성분은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에 대햐여 중량부 단위로 0.05-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0.5중량부이다. 이 양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성형품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뿐만 아니라 혼련압출시 스트렌드(strand)의 토출이 진동하여 안정한 펠렛의 제조에 적당하지 않다. 또한 0.05중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용융적하 방지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바람직한 범위일 때 용융적하 방지효과가 나타나고 우수한 난연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C)성분인 섬유형성능력을 갖는 PTFE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ASTM 표준에 의해 제3종으로 분류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종류로 분류된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테프론 6-J(상품명, 듀퐁-미쯔이 플로오로케미컬社製), 폴리프론 D-1 및 폴리프론 F-103(상품명, 다이킨공업社製)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3종 외에 알고프론 F5(상품명, 몬테플로오스社製) 및 폴리프론 MPA FA-100(상품명, 다이킨공업社製)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PTFE는 두가지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와 같은 섬유형성능력은 갖는 PTFE는 예를 들면 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을 수성용매 중에서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퍼옥시설피드의 존재하에 1-100psi 압력 및 온도 0-200℃ 바람직하게는 20-100℃에서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각 성분 (A), (B) 및 (C) 외에 필요에 따라 각종 무기질 충진제, 첨가제 또는 기타 합성수지, 탄성중합체(elastomer)등을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배합하는 것이좋다 [이하 이것을 (D)성분으로 약칭함].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내구성 또는 증량을 목적으로서 배합한 상기 무기질 충진제로서 예를 들면 유리섬유(GF), 탄소섬유, 유리구슬(bead), 유리편상(flake), 카본 블랙, 황화칼슘, 탄산칼슘, 규산칼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실리카, 석면, 활석, 점토, 운모, 석영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장애(hindered) 페놀계, 인산계(아인산에스테르계, 인산에스테르계 등), 아미노계 등의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의 자외선 흡수제 예를 들면, 지방족 카본산 에스테르계, 파라핀계, 실리콘 오일, 폴리에틸렌왁스 등의 외부 윤활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다른 합성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AS수지(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BS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탄성중합체로서는 이소부티렌-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아크릴계 탄성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각 성분 (A), (B) 및 (C)와 필요에 따라서 (D)를 배합하고 혼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배합과 혼련은 통상 사용되는 방법 예를 들면 리본 블렌더(ribbon blender), 헨쉘 믹서(Henschel mixer),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드럼 텀블러(drum tumbler), 단축스크류 압출기(single screw extruder), 이축스크류 압출기(twin screw extruder), 코니더(cokneader) 또는 다축스크류 압출기(multi-screw extruder)등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혼련시 가열 온도는 통상 240-320℃의 범위에서 선택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이미 알려진 각종의 성형방법, 예를 들면 사출성형, 중공성형, 압출성형, 압축성형, 카렌다성형, 회전성형등을 적용하여 OA기기의 샤시(chassis)등의 성형품 또는 전기 ·전자 분야의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다시 본 발명을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조예-1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PC올리고머 A)의 제조]
400리터의 5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60kg의 비스페놀 A를 용해하여 비스페놀 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한다.
다음에 실온에서 유지한 이 비스페놀A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38liter/hr 의 유량으로, 또한 염화메틸렌을 69 liter/hr의 유량으로, 내경 10mm, 관 길이 10m의 관형 반응기에 오리피스판(orifice plate)을 통해 도입하고 여기에 포스겐을 평행한 흐름으로 하여 10.7kg/hr의 유량으로 흘려준다. 이 반응은 3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관형 반응기는 이중관으로 되어 있고 쟈켓부분에는 냉각수를 통과시켜 반응액의 배출온도를 25℃로 유지했다. 또한 배출액의 pH는 10-11의 영역에서 조절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반응액을 방치해둠으로써 수상(water phase)을 분리, 제거하고 염화메틸렌상(220 리터)을 채취하여 여기에 염화메틸렌 170 리터를 가한 후 충분히 교반한 것을 PC올리고머- A(농도 317g/liter)라고 한다.
이렇게 제조된 PC올리고머 A의 중합도는 3 -4 이다.
제조예 2-1 [반응성 PDMS-A 의 제조]
1,483g의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96g의 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및 35g의 86% 황산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17시간 교반한다. 그 다음에 오일상을 분리하고 25g의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한 후 1시간 교반한다. 여과한 후 150℃, 3torr에서 진공증류하여 낮은 비점 성분을 제거한 후 오일을 얻는다.
60g의 2-알릴페놀과 0.0014g의 염화백금-알콜레이트 착체 형태의 백금에 상기에서 얻은 오일을 90℃에서 첨가한다. 생성물을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고 80%의 메탄을 수용액으로 3회 세정하여 과잉의 2-알릴페놀을 제거한다. 이 생성물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진공중에서 115℃의 온도까지 가열하여 용제를 증류 제거시킨다.
제조된 말단페놀 PDMS는 NMR 측정에 의해 디메틸실라노옥시의 반복 단위가 30임을 알아냈다.
제조예 2-2 [ 반응성 PDMS-B의 제조]
제조예 2-1에 있어서, 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의 양을 18.1g 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제조된 말단페놀 PDMS는 NMR 측정에 의해 디메틸실라노옥시의 반복 단위가 150임을 알아냈다.
제조예 3-1 [PC-PDMS 공중합체A1의 제조]
제조예 2-1에서 얻은 반응성 PDMS-A 185g을 염화메틸렌 2리터에 용해시켜 제조예 1에서 얻은 PC 올리고머 10리터를 혼합한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26g을 물 1리터에 용해시킨 것에 트리에틸아민 5.7cc를 첨가한 후 500rpm으로 실온에서 1시간교반, 반응시킨다.
반응종료후 상기 반응계에 5.2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리터에 비스페놀A 600g을 용해시키고 염화메틸렌 8리터 및 p-tert-부틸페놀 81을 첨가한 후 500rpm으로 실온에서 1시간 교반, 반응시킨다.
반응 후 , 염화메틸렌 5리터를 가하고 이것을 물 5리터로 수세, 0.01노르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리터로 산세정 및 물 5리터로 연속하여 수세를 행한다. 최종적으로 염화메틸렌을 제거하여 칩(chip)상의 PC-PDMS 공중합체를 얻는다.
제조예 3-2 [PC-PDMS 공중합체A2의 제조]
p-tert-부틸페놀 81g을 113g으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3-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칩상의 PC-PDMS 공중합체를 얻는다.
제조예 3-3 [PC-PDMS 공중합체 A3의 제조]
반응성 PDMS-A 185g을 42g으로, p-tert-부틸페놀 81g을 113g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3-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칩상의 PC-PDMS 공중합체를 얻는다.
제조예 3-4 [PC-PDMS 공중합체 A4의 제조]
반응성 PDMS-A를 반응성 PDMS-B로 변화시키고, p-tert-부틸페놀 81g을 113g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3-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칩상의 PC-PDMS 공중합체를 얻는다.
제조예 3-1 내지 3-4에서 얻은 PC-PDMS 공중합체 A1∼A4를 각각 120℃에서 하룻밤 건조시키고 280℃에서 압출하여 펠렛화 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각 펠렛은 PDMS의 사슬길이, PDMS 함유량 및 점도-평균분자량을 측정함으로써 공중합체의 물성을 평가한다. 그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고 그 결과를 제 1 표에 나타냈다.
(1) PDMS 사슬길이(n : 디메틸실라노옥시 단위)
.1H-NMR로 0.2ppm에서 관찰되는 디메틸실록산의 메틸기의 피크와 2.6ppm에서 관찰되는 PC-PDMS결합부의 메틸렌기의 피크와의 강도비로부터 구했다.
(2) PDMS 함유량
1H-NMR로 1.7ppm에서 발견되는 비스페놀A의 이소프로필의 메틸기의 피크와 0.2ppm에서 발견되는 디메틸실록산의 메틸기의 피크와의 강도비로부터 구했다.
(3) 점도-평균분자량(Mv)
우베로데 점도계(Ubelhode Viscometer)를 사용하여 20℃에서 염화메틸렌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극한점도 [η]를 다음식에 의해 산출했다.
제 1 표
실시예 1∼4및 비교예 1∼6
제조예 3-1 내지 3-4에서 얻은 PC-PDMS공중합체 A1∼A4및 시판되고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TFE, 알칼리금속염인 빙정석(Na3AIF6)을 제2표에 나타난 성분비로 배합하고 2축 스크류압출기[도시바기계(주)製, TEM-35B]에 의해 280℃로 혼련하고 펠렛화한다.
또한 사용한 각원료는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B1: 이데미쓰 폴리카보네이트 A 2200[이데미쓰 석유화학사제, Mv = 21,000]
B2: 이데미쓰 폴리카보네이트 A 1500[이데미쓰 석유화학사제, Mv = 15,000]
(B) PTFE
C1: 알고프론 F5 [몬테플로오스사제, 섬유형성능력 있음]
C2: 루브론 L5 [다이킨공업사제, 섬유형성능력 없음]
(C) 폴리디메틸실록산
D1: SH200 [다우코닝 토레이 실리콘사제]
(D) 빙정석
E1: Na3AlF6[알드리치화학사제]
제 2 표
제조된 펠렛은 각각 120℃에서 5시간 열풍건조시킨 후, 사출성형기(도시바 기계(주)제, IS100EN)를 이용하여 280℃의 성형온도, 80℃의 금형온도로 연소시험바를 제작하여 스미또모 중장비(주)제, 스미또모 네스탈N515/150 을 이용하여 300℃의 성형온도, 80℃의 금형온도로 140mm x 140mm x 3.2mm의 표면외관 및 장기내열성 평가용 평판을 제작했다.
제조된 펠렛 및 성형품의 성능평가로서 산소지수, 난열성, 표면외관, 장기내열성 및 유동값(melt flow Index)을 측정했다. 그 측정방법은 아래에 나타냈고 그 결과는 제 3 표에 나타냈다.
(1) 산소지수
JIS K 7201에 준해서 측정했다.
산소/질소의 성분비를 변화시켜서 연소관중에서 윗쪽으로부터 접근착화, 3분간이상 연속하여 연소한 산소/질소의 최소치를 구했다.
(2) 난연성
UL94규격, 두께 1.5mm와 1.0mm, Underwriters Laboratory Subject 94에 따라 수직연소시험을 행했다.
(3) 유동값
JIS K 7201에 준하여 측정온도 280℃, 하중 160kg으로 측정했다.
(4) 표면외관
성형온도 300℃에서 성형한 140mm x 140mm x 3.2mm의 평판을 눈으로 관찰하여 은(silver)의 유무를 평가했다.
(5) 장기 내열성
성형온도 300℃에서 성형한 140mm x 140mm x 3.2mm 평판을 고온 오븐(PHH-200, 다바이사제) 내에서 140℃로 1,000시간 방치하여 초기(0시간)의 성형품과의 색조차(△YI)를 측정했다.
YI(황색도)는 JIS K 7105에 준하여 측정했다.
제 3 표
제 3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PC-PDMS 공중합체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중의 PDMS 함유량이 0.1-2.0중량%, PTFE의 함유량이 0.05-1.0 중량부인 실시예는 높은 난연성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2-4는 유동성이 우수하다.
한편, 비교예1-6은 본 발명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난연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 1은 산소지수가 낮고 두께 1.5mm, 1.0mm 모두에 대해 V-2 실격이 된다.
비교예 2는 PTFE가 부족하기 때문에 용융적하 방지효과가 없고 V-0를 얻을 수 없다.
비교예 3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혼합한 예로서 산소지수가 낮고 난연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산소지수의 향상이 인정되는 유일한 경우는 본 발명의 PC-PDMS 공중합체가 적용될 때이다.
비교예 4, 5는 PDMS 함유율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로 산소지수의 향상정도가 적어서 원하는 난연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 6은 섬유형성능력이 없는 PTFE를 이용한 예로서 용융적하 방지 효과가 없어서 V-0을 취득할 수 없다.
비교예 7은 실시예 3에 알칼리금속염을 첨가한 예로서 (일본 특개평 3-200862호 공보참조), 고온성형시에 무기금속염과 기본 PC 폴리머가 상호 융화 되지 않기 때문에 은을 발생시키고 더 나아가 장기내열성이 약화되고 색조변화가 크다.

Claims (7)

  1. (A)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2-알릴페놀과 반응시켜 수득된 말단페놀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공중합체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 (B)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C) 섬유형성능력을 갖는 평균분자량 500,000 이상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구성되고, (A)성분이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의 5∼100중량%, (B)성분이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의 95∼0중량%, (A)성분 중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성분의 함량은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의 0.1∼2.0중량% 이고, (C)성분이 (A) 성분과 (B)성분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0.05∼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A)성분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함량이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의 0.5∼1.5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A)성분의 함량이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의 10∼100중량%이고 (B)성분의 함량이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의 90∼0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C)성분의 함량이 (A)성분과 (B)성분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0.5중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가 10,000∼40,000의 점도 평균분자량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의 평균분자량이 500,000∼10,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무기 충진제, (A) 또는 (B)성분 이외의 합성수지, 탄성중합체,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윤활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및 착색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9950020539A 1994-07-15 1995-07-13 폴리카보네이트수지조성물 KR100366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64110 1994-07-15
JP16411094 1994-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446A KR960004446A (ko) 1996-02-23
KR100366266B1 true KR100366266B1 (ko) 2003-04-23

Family

ID=1578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539A KR100366266B1 (ko) 1994-07-15 1995-07-13 폴리카보네이트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692522B1 (ko)
KR (1) KR100366266B1 (ko)
CN (1) CN1074782C (ko)
BR (1) BR9503334A (ko)
DE (1) DE69528121T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390B1 (ko) 2005-04-08 2013-08-05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성형체
KR20160067748A (ko) * 2014-12-04 2016-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6089118A3 (ko) * 2014-12-04 2016-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82923A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9732186B2 (en) 2014-09-05 2017-08-1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816500B1 (ko) * 2010-08-26 2018-01-09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US9969841B2 (en) 2014-12-04 2018-05-1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62235B1 (en) 1998-12-25 2003-12-03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Frame-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formed article
JP4377484B2 (ja) 1999-08-04 2009-12-02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1331246A4 (en) * 2000-11-01 2005-07-13 Idemitsu Kosan Co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S
US7799855B2 (en) 2001-11-12 2010-09-2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e and method thereof
EP1944337B1 (en) 2002-01-30 2009-10-07 Idemitsu Kosan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
JP4473114B2 (ja) * 2002-04-26 2010-06-02 株式会社カネカ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212841B2 (ja) * 2002-07-01 2009-01-21 出光興産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および成形品
US7018567B2 (en) * 2002-07-22 2006-03-28 General Electric Company Antistatic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JP4225459B2 (ja) * 2002-08-06 2009-02-18 住友ダウ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170706B2 (ja) * 2002-08-30 2008-10-22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US7223804B2 (en) 2003-12-30 2007-05-2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
WO2005075549A1 (en) * 2004-02-03 2005-08-18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 with enhanced flex-fold properties
US7232854B2 (en) 2004-02-03 2007-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thin-wall flame retardance
US8075984B2 (en) * 2004-04-26 2011-12-13 Idemitsu Kosan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formed article using the same
US8399546B2 (en) 2004-08-05 2013-03-1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having EMI shielding
US20060030647A1 (en) 2004-08-05 2006-02-09 Thomas Ebeling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7321014B2 (en) 2004-12-29 2008-01-22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parent compositions,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US7695815B2 (en) 2005-08-26 2010-04-13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Low smoke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laminates, method of manufacture and product made therefrom
US7544745B2 (en) 2005-10-25 2009-06-0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649051B2 (en) 2005-10-25 2010-01-1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7553895B2 (en) 2006-06-29 2009-06-3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JP5374023B2 (ja) * 2007-02-23 2013-12-25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成形体
JP5379424B2 (ja) 2008-08-07 2013-12-25 出光興産株式会社 摺動用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を用いた成形品
US7994248B2 (en) 2008-12-11 2011-08-0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CN104387739A (zh) * 2014-11-27 2015-03-04 西南石油大学 一种阻燃聚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131550B (zh) * 2015-08-28 2017-05-3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24199B1 (ko) * 2016-02-01 2018-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CN106189019A (zh) * 2016-07-25 2016-12-07 广西南宁胜祺安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可降解环保型光电材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4730A1 (en) * 1991-07-01 1993-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high impact silicone-polycarbonate copolymer blen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818A (en) * 1987-03-23 1988-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gloss,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4880864A (en) 1987-12-29 1989-11-14 Mobay Corporation Thermoplastic polycarbonates and blends with enhanced flame retardant properties
DE3906919A1 (de) 1989-03-03 1990-09-06 Bayer Ag Flammwidrige polydiorganosiloxan-polycarbonat-blockcopolymere
JP2981572B2 (ja) 1990-11-30 1999-11-2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0522753A3 (en) * 1991-07-01 1993-08-11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aromatic polycarbonates and aromatic polycarbonate blends
DE4133259A1 (de) * 1991-10-08 1993-04-15 Bayer Ag Thermoplastische polycarbonformmassen mit flammwidrigen eigenschaften
US5451632A (en) * 1992-10-26 1995-09-19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olycarbonate-polyorganosiloxane copolymer and a resi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4730A1 (en) * 1991-07-01 1993-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high impact silicone-polycarbonate copolymer blends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390B1 (ko) 2005-04-08 2013-08-05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성형체
KR101816500B1 (ko) * 2010-08-26 2018-01-09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US9732186B2 (en) 2014-09-05 2017-08-1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745418B2 (en) 2014-09-05 2017-08-29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804439B1 (ko) * 2014-12-04 2017-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9840585B2 (en) 2014-12-04 2017-12-12 Lg Chem,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9718958B2 (en) 2014-12-04 2017-08-01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9580597B2 (en) 2014-12-04 2017-02-28 Lg Chem, Ltd.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US9745417B2 (en) 2014-12-04 2017-08-29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745466B2 (en) 2014-12-04 2017-08-29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1666669B1 (ko) 2014-12-04 2016-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9751979B2 (en) 2014-12-04 2017-09-0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9777112B2 (en) 2014-12-04 2017-10-03 Lg Chem, Ltd. Co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9809677B2 (en) 2014-12-04 2017-11-07 Lg Chem, Ltd.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KR101803959B1 (ko) * 2014-12-04 2017-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804428B1 (ko) * 2014-12-04 2017-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16089118A3 (ko) * 2014-12-04 2016-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10294365B2 (en) 2014-12-04 2019-05-21 Lg Chem, Ltd.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KR101809649B1 (ko) 2014-12-04 2017-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20160067748A (ko) * 2014-12-04 2016-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17680B1 (ko) * 2014-12-04 2018-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9868818B2 (en) 2014-12-04 2018-01-16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9902853B2 (en) 2014-12-04 2018-02-27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969841B2 (en) 2014-12-04 2018-05-1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0011716B2 (en) 2014-12-04 2018-07-03 Lg Chem, Ltd. Co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article containing the same
US10081730B2 (en) 2014-12-04 2018-09-25 Lg Chem, Ltd.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US10174194B2 (en) 2014-12-04 2019-01-08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0196516B2 (en) 2014-12-04 2019-02-0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including the same
US10240038B2 (en) 2014-12-04 2019-03-26 Lg Chem, Ltd. Flame resistant polycarbate 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s thereof
US10240037B2 (en) 2014-12-04 2019-03-26 Lg Chem, Ltd.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KR20170082923A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073254B1 (ko) 2016-01-07 2020-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291A (zh) 1996-05-29
BR9503334A (pt) 1996-04-30
EP0692522A2 (en) 1996-01-17
DE69528121D1 (de) 2002-10-17
DE69528121T2 (de) 2003-10-02
KR960004446A (ko) 1996-02-23
EP0692522A3 (en) 1996-09-18
CN1074782C (zh) 2001-11-14
EP0692522B1 (en)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266B1 (ko) 폴리카보네이트수지조성물
US6001929A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303758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H08176427A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1533340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537402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成形体
JP2013209546A (ja) 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シロキサンブロックコポリマー及び難燃性樹脂組成物
JP4951835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333473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
US20030027928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7217757B2 (en) Thermoplastic resin and formed product
KR2007009473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JP261957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27527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21272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20010044484A1 (en) Flame retardant organic resin composition
JPH0717327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
JPH07207140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JP462985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275279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3409819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
JP550739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561492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3483007B2 (ja) 変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3259493B2 (ja) 難燃化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