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064B1 - I형알레르기성질환의예방및치료제 - Google Patents

I형알레르기성질환의예방및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064B1
KR100365064B1 KR1019970702477A KR19970702477A KR100365064B1 KR 100365064 B1 KR100365064 B1 KR 100365064B1 KR 1019970702477 A KR1019970702477 A KR 1019970702477A KR 19970702477 A KR19970702477 A KR 19970702477A KR 100365064 B1 KR100365064 B1 KR 100365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ed
group
formula
type
cy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811A (ko
Inventor
유키오 아마노
유코 미즈시마
겐지 오가타
Original Assignee
훽스트파마슈티칼스앤드케미칼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훽스트파마슈티칼스앤드케미칼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훽스트파마슈티칼스앤드케미칼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55Azo (—N=N—), diazo (=N2), azoxy (>N—O—N< or N(=O)—N<), azido (—N3) or diazoamino (—N=N—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75Nitriles; Isonitr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Ⅰ
Figure pct00017
상기식에서,
R1은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의미하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기를 의미하고,
R3
Figure pct00018
또는
Figure pct00019
을 갖는 기를 의미하고,
R4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기, 직쇄 또는 측쇄 C2-C6알케닐기, 직쇄 또는 측쇄 C2-C6알키닐기 또는 C3-C6사이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직접적 원인인 IgE의 생성을 억제시킴으로써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을 근본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알레르기성 질환에는 Ⅰ형에서 Ⅳ형까지의 질환이 있고, 각각의 병의 상태로서는, Ⅰ형이 화분증,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Ⅱ형이 자기면 역성용혈성 빈헐, 자기면역성혈소판 감소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Ⅲ형이 세균성심내막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등을 포함할 수 있고, Ⅳ형으로서는 결핵, 리슈마니아증, 리스테리아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다음에 논의된 바와 같은 것으로 사료된다. 꽃가루 또는 진드기 등의 알레르겐이 경피적으로 또는 호흡기나 소화기 점막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면, 이들의 알레르겐에 대하여 체내에서 면역글로블린E(이하 IgE 라고 칭한다)이 생산되어, 이러한 IgE가 수용체를 통해 호염구라든지 비만세포에 결합한다. IgE가 수용체를 통해 호염구 또는 비만세포에 결합한 상태 즉 감작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다시 알레르겐을 섭취하면 알레르겐은 감작상태의 호염구 또는 비만세포에 결합하여, 이로부터 히스타민, 류코트리엔, 세로토닌 등의 화학 조절을 질들이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출 물질이 기도 및 혈관의 평활근 수축작용, 혈관투과성 항진작용, 기도점막의 부종형성작용 및 점액분비 항진작용을 일으켜, 기관지천식 및 피부 염증 등의 I형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다[참조 : "Immunology Illustrated"(원서, 제 2판), 타다 토미오 감역].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제로서는 인탈(Inta1?)(후지자와약품) (일반명 : 디 나트륨 크로모글리케이트)과 같은 화학 조절물질 방출 억제제; 셀텍트(celtect?) (쿄와 발효) (일반명 : 옥사토미드) 및 리자벤(Rizaben?) (키세이 약품) (일반명 : 트라닐라스트)과 같은 화학조절물질 방출 억제 및 길항제; 및 푸레드니졸론과 같은 합성부신피질 호르몬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약제의 작용메커니즘은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화학 조절물질의 방출을 억제하거나 화학 조절물질에 길항함으로써, 화학 조절물질이 이들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항염증 또는 면역 억제 작용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들 약제의 문제점으로서는, 이들이 대증요법제라서, 체내에 알레르겐이 침입하여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복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혈중 IgE치가 높음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 체질 그 자체는 전혀 치료되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아닐리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아닐리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사람 또는 포유동물에게 아닐리드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직접 원인인 IgE의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을 근본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들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식에서,
R1은 트리플루오르메틸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의미하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기를 의미하고,
R3
Figure pct00002
을 갖는 기를 의미하고,
R4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기, 직쇄 또는 측쇄 C2-C6알케닐기, 직쇄 또는 측쇄 C2-C6알키닐기 또는 C3-C6사이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I을 갖는 아닐리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체또는 이들의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사람 또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들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학식 I의 R1내지 R4의 정의에 있어서, 할로겐 원자의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가 포함되고, 특히 염소 및 브롬이 바람직하다.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등을 들 수 있고, 직쇄 또는 측쇄 C1-C2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직쇄 또는 측쇄 C2-C6알케닐기의 예로서는, 비닐, 알릴, 2-또는 3-부테닐, 1-메틸-3-부테닐, 3-, 4-또는 5-펜테닐, 1-메틸-5-펜테닐, 3-, 4-또는 6-헥세닐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C2-C4알케닐기가 바람직하다. 직쇄 또는 측쇄 C2-C6알키닐기의 예로서는 에티닐, 푸로파길, 1-메틸-2-프로피닐, 2-또는 3-부티닐, 1-메틸-2-부티닐, 3-, 4-또는 6-핵시닐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C2-C4알키닐기가 바람직하다. C3-C7사이클로알킬기의 예로서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등을 들 수 있고, C3-C5사이클로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R1은 트리플루오로메틸, 염소, 브롬 또는 시아노이고, R2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R3은 이속사졸 또는
Figure pct00003
또는
Figure pct00004
을 갖는 기이고, R4는 메틸, 에틸, 프로필, 알릴, 2-부테닐, 프로파길, 2-부티닐, 사이클로프로필 또는 사이클로부틸 등이다.
상기 화학식 Ⅰ을 갖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5-메틸이속사졸-4-카복실산-N-(4-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리드(일반명 : 레플루노미드),
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시아노-3-하이드록시-크로톤아미드(화합물 A),
1-(3-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2-사이클로프로필-2-옥소프피오니트릴(화합물 B),
2-시아노-3-사이클로프로필-3-옥소-N-메틸-N-(4-클로로페닐)-프로피온아미드(화합물 C),
2-시아노-3,-사이클로프로필-3-옥소-(4-시아노페닐)프로피온아미드(화합물 D),
2-시아노-3-옥소-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6-헵틴아미드(화합물 E) 등을 들 수 있다.
레플루노미드는 투여후 빠르게 대사되어 약제물 활성을 갖는 상기 화합물 A로 변한다.
레플루노미드경구 LD50는 마우스의 경우 445mg/kg이고, 래트의 경우 235mg/kg이다[참조 : Brochure, Version 3 : LEFULNOMIDE (HWA486), October 1989, revised August 1991]. 지금까지의 동물질환 모델을 이용한 연구결과에서 레플루노미드 및 상기 화합물 A는 류마티스 관절염 및 전신성 홍반성 낭창 등의 자기 면역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어 있다[참조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2-72614호, Bartlett. R. et al. "Springer Semin Immunopatho1(1993), 14:381-394]. 또한, 레플루노미드가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참조 : Bartlett. R. et al. Springer Semin Immunopatho1 (1993)14:381-394]. 이것은, 레플루노미드가 종래의 알레르기성 질환치료제와 같이, 화학 조절물질의 방출 억제 작용을 갖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 B 내지 D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88048/1993호에, 상기화합물 E는 EPA 551230에 각각 기재되어 있고, 이들 화합물은 항염증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화학식 Ⅰ을 갖는 아닐리드 화합물은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직접 원인인 IgE 자체의 생산을 크게 억제할 수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동물 모델로서 알려지고 있는 브라운 노르웨이(BN) 래트에 상기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을 투여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BN 래트의 IgE 생산을 크게 억제하여, 상기 화합물이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요법약으로서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발견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로 화학 조절물질 방출 억제를 주된 작용 메커니즘으로 하고 있고, IgE 생산 그 자체를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것은 아니다.
아닐리드 화합물(Ⅰ)의 임상에 있어서, 성인의 1일 투여량은, 투여법,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 등에 의해서 다르지만, 통상은 5∼20mg의 범위에 있다. 레플루노미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약으로서 국외에서 500회 이상 사용되고 있고, 이들의 사용경험으로 보아, 통상 5∼20mg/사람/일, 즉 이정도의 사용으로는 부작용 및 독성등의 염려는 없다.
투여방법으로서는, 정맥내, 근육내, 경구, 직장내 투여등이 가능하고, 정맥내 투여의 경우는 통상의 정맥내 주사 외, 정맥내 점적 주사가 가능하다.
레플루노미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는 통상의 부형제 및 첨가제 등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주사용 제제로서는, 예를 들면 주사용 분말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적당한 수용성 충전제, 예를 들면 만니톨, 수크로즈, 락토즈, 말토즈, 글루코즈, 플럭토즈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킨다. 바이알 또는 앰플에 이 용액을 부은 후, 동결건조하고, 밀봉하여 제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신성 투여로서, 미립자의 에어로졸 제제로서, 경비 또는 경폐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로서는, 통상의 정제, 캡슐제, 과립제, 세립제, 산제의 형태 이외에도 장용성의 피복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장용 피복제제의 경우는, 만니톨, 수크로즈, 락토즈, 말토즈, 전분, 무수규산, 인산 칼슘 등의 충전제,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의 윤활제, 카복실메틸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젤라틴 및 아카시아 등의 결합제, 칼숨 카복실메틸셀룰로즈 등의 붕해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가하여, 정제, 과립제, 세립제 등을 형성한다.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즈, 아세틸 석시네이트, 폴리비닐 알코올프탈레이트, 스티렌,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장용 피복기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 및 필요에 따라 산화티탄 등의 착색제를 가하여 피복시킴으로써 제제를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이와 같이 제조한 장용 피복과립제 또는 세립제를 캡슐에 충전하여 장용 피복 캡슐제로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캡슐제를, 상기의 장용 피복기제로 피복시켜 장용 피복제로 제조하거나, 또한 상기의 장용 기제 단독 또는 이것에 겔라틴을 혼합하여 만든 캡슐을 사용하여 장용 피복 캡슐제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좌제용으로서는, 카카오버터 및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에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글리세라이드를 여러가지의 비율로 혼합한 반합성 기제 등의 친유성 기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로젤라틴 등의 친수성기제를 가온 용해한 것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주형에 이 혼합물을 부음으로써 성형하여 좌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계란 흰자 알부민(Ovalbumin:OVA)에 의한 래트의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아닐리드 화합물(Ⅰ)의 효과의 검토.
7주령의 암컷 BN/Crj 래트를 사용하여, OVA에 의한 감작을 아래와 같이 수행하였다.
OVA 10mg/kg과 수산화알루미늄(Alum) 300mg/kg을 투여 0일째에 복강내투여 (10ml/kg)하였다. 감작후 3, 7, 9일째에 채혈를 행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IgE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감작 10일째에 OVA를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60mg/kg를 래트의 꼬리정맥에 투여하여, 아나피락시성 쇽크를 야기시켰다. 또한, OVA에 의한 아나피락시성 쇽크의 야기 전후로 경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히스타민 농도를 측정하였다.
약제는 1% 카복실메틸 셀룰로즈(CMC)를 사용하여 현탁하여, 0일째에서 9일째까지 1일 1회, 반복 경구투여를 수행하였다. 투여량은 레플루노미드는 2mg/kg, 화합물 A∼E는 각각 10mg/kg, 대조용으로서의 프레드니졸론(일반명)은 2mg/kg이었다. 각 군의 모든 동물에 관해서, 주 1회 오전중에 체중측정을 행하여, 이 체중을 기초로 약물투여를 행하였다. 용매대조군에는 1% CMC 용액을 투여하였다. 또한 약제 비투여군 및 무처치 대조군을 설정하였다. 이 무처치군에 관하여는 하등의 처치도 행하지 않았다. 각 군도 6마리의 래트를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BN 래트에 대한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의 효과를 BN 래트의 생존율, 혈중 IgE 농도 및 OVA에 의한 아나피락시 쇽크의 야기 전후의 혈장중 히스타민 농도에서 검토하였다.
결과를 표 1에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이 결과에서, OVA 및 1% CMC투여군 및 OVA 및 프레드니졸론(2mg/㎏) 투여군에서는, 모든 동물이 아나필락시 쇽크의 야기후 20분에서 2시간 사이에 쇽크에 의해 사망한데 비하여, 무처치 대조군, OVA 및 레플루노미드(2mg/kg) 투여군, OVA 및 화합물B∼E(10mg /kg) 투여군에서는 아나필락시 쇽크도 보이지 않고, 모든 동물이 생존하였다.
혈청 중의 IgE 농도는 집에서 제조한 샌드위치 타입의 ELISA 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상기 결과에서, OVA 및 1% CMC투여군에서는 OVA감작후 9일째에서는 296.7㎍/ml과 무처치대조군 4.3㎍/ml과 비교하여 아주 높은 농도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프레드니졸론(2mg/kg) 투여군의 헐청중의 IgE 농도는 148.1㎍/ml까지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군에 비하여, 레플루노미드 투여군의 헐청중 IgE 농도는 2mg/kg 투여군에서 0.4㎍/Iml까지, 또한 화합물 A∼E 10mg/kg 투여군에서는 0.3∼0.6㎍/ml까지 각각 반대로 저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은 항원감작후 2∼10mg/kg의 투여량으로 완벽하게 헐청중의 IgE 농도의 상승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았다.
다음에, OVA감작후 10 일째의 OVA에 의한 아나필락시 쇽크의 야기 전후의 혈장중 히스타민 농도를 알레르기 반응의 한가지 파라미터로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이 결과에서, 쇽크 야기후에는 OVA 및 1% CMC 투여군 및 프레드니졸론 투여군에서는 혈장중 히스타민 농도가 현저히 상승하였지만, 무처치대조군과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 투여군에서는 혈장중 히스타민 농도의 상승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히스타민의 방출은 IgE에 의해서 감작된 호염기구 또는 비만세포에 항원이 결합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OVA투여에 의해서, OVA에 특이적인 IgE 항체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이로 인해, OVA 및 1%CMC 투여군 및 프레드니졸론 투여군에 있어서, OVA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쇽크와 고농도의 히스타민 방출이 야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이 DMS OVA 감작후 IgE 생산을 완전히 억제함으로써, OVA에 의한 아나필락시 쇽크의 야기 및 고농도의 히스타민 방출을 완전히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2
레필루노미드의 최소 유효투여량 검토
생후 7주의 암컷 BN/Crj 래트를 사용하여, OVA에 의한 감작을 아래와 같이 행하였다. OVA 10mg/kg와 수산화알루미늄(Alum) 300mg/kg을 투여 0일째에 복강내 투여하였다. 감작후 3, 5, 7, 9일째에 채혈를 행하고, 헐청을 분리하여 IgE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감작 10일째에 OVA을 생리식염수로 용해하여, 60mg/kg를 래트의 꼬리정맥에 투여하여, 아나필락시 쇽크를 야기시켰다.
약제는 1% 카복실메틸셀룰로스(CMC)를 사용하여 현탁하여, 1일 1회, 9일째까지 반복적으로 경구투여를 행하였다. 레플루미드의 투여량은 0.5, 1 및 2mg/kg 이었다. 각 군의 모든 동물에 대하여 주 1회 오전중에 체중측정을 행하고\이 체중을 기초로 약품투여를 행하였다. 용매대조군에는 1% CMC 용액을 투여하였다. 또한 무처치대조군을 설정하고, 이 군에 관해서는 하등의 처치도 행하지 않았다. 각 군당 6마리의 래트를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이 결과에서, OVA 및 1% CMC 투여군, OVA 및 레플루노미드(0.5mg/kg) 투여군에서는, 아나필락시 쇽크 야기후 20분에서 2시간 사이에 쇽크에 의해 모든 동물이 사망한데 비하여, 무처치대조군, OVA 및 레플루노미드(1mg/kg) 투여군, OVA 및 레플루노미드(2mg/kg) 투여군에서는 아나필락시 쇽크도 관찰되지 않고, 모든 동물이 생존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이 결과에서, OVA 및 1% CMC 투여군과 OVA 및 레플루노미드(0.5mg/kg) 투여군에서의 혈청중의 IgE 농도는 OVA 감작후 9일째에 각각 491.5㎍/ml와 357.7㎍/ml와 무처치 대조군의 3.6㎍/ml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이들 군과 비교해서, OVA 및 레플루노미드(1mg/kg) 투여군과 OVA 및 레플루노미드(2mg/kg) 투여군의 혈청중의 IgE 농도는 각각 0.8㎍/ml 및 0.4㎍/ml로 반대로 저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레플루노미드가 1mg/kg의 투여량에서항원감작 후 혈청중의 IgE 농도의 상승을 완벽하게 억제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Figure pct00010
제조법: 60메쉬의 체를 통과시킨 레플루노미드 분말을 50메쉬의 체를 통과시킨 락토즈 120메쉬의 체를 통과시킨 옥수수 전분과 V형 혼합기로 혼합하여 산제를 형성시킨다.
Figure pct00011
제조법: 60메쉬의 체를 통과시킨 상기 화합물 B 분말을 50메쉬의 체를 통과시킨 락토즈 및 120메쉬의 체를 통과시킨 옥수수전분과 V형 혼합기로 혼합한 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수용액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쌍축혼련기로 섞어 압출하여 제립기로 제립한다. 60℃에서 건조하여, 오실레이터에 의해 입자를 조절하여, 12메쉬를 통과하지만 60메쉬를 통과하지 못하는 과립제를 형성한다.
Figure pct00012
제조법: 상기 화합물 C, 락토즈, 옥수수전분 및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칼슘을 V형 혼합기로 섞어, 혼합물을 메틸셀룰로즈 수용액과 함께 혼련한다. 혼합물을 압출하여 제립기로 제립하여, 60℃에서 건조한다.
건조한 과립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더하여 혼합하고, 타정기로 타정하여 정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인 IgE의 생산을 크게 억제하여,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은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3)

  1.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화학식 Ⅰ
    Figure pct00013
    상기식에서,
    R1은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의미하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기를 의미하고,
    R3은 식
    Figure pct00014
    을 갖는 기를 의미하고,
    R4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기, 직쇄 또는 측쇄 C2-C6알케닐기, 직쇄 또는 측쇄 C2-C6알키닐기 또는 C3-C6사이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1이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며, R2가 수소원자 또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기이고, R3이 식
    Figure pct00015
    또는
    Figure pct00016
    을 갖는 기이고, R4가 직쇄 또는 측쇄 C1-C2알킬기, 직쇄 또는 측쇄 C2-C4알케닐기, 직쇄 또는 측쇄 C2-C4알키닐기 또는 C3-C5사이클로알킬기인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아닐리드 화합물이,
    5-메틸이속이사졸-4-카복실산-N-(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드,
    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시아노-3-하이드록시크로톤아미드,
    1-(3-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2-사이클로프로필-2-옥소-프로피온니트릴,
    2-시아노-3-사이클로프로필-3-옥소-N-메틸-N-(4-클로로페닐)-프로피온아미드,
    2-시아노-3-사이클로프로필-3-옥소-(4-시아노페닐)프로피온아미드, 또는
    2-시아노-3-옥소-N-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널] -6-헵틴아미드인 Ⅰ형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KR1019970702477A 1994-10-17 1995-10-04 I형알레르기성질환의예방및치료제 KR100365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50293 1994-10-17
JP25029394 1994-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811A KR970706811A (ko) 1997-12-01
KR100365064B1 true KR100365064B1 (ko) 2003-04-11

Family

ID=1720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477A KR100365064B1 (ko) 1994-10-17 1995-10-04 I형알레르기성질환의예방및치료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814649A (ko)
EP (1) EP0787491B1 (ko)
KR (1) KR100365064B1 (ko)
AT (1) ATE194912T1 (ko)
AU (1) AU695907B2 (ko)
CA (1) CA2202904C (ko)
DE (1) DE69518159T2 (ko)
DK (1) DK0787491T3 (ko)
ES (1) ES2148561T3 (ko)
FI (1) FI971584A (ko)
GR (1) GR3034413T3 (ko)
HU (1) HU222888B1 (ko)
IL (1) IL115617A (ko)
NO (1) NO315928B1 (ko)
NZ (1) NZ293691A (ko)
PT (1) PT787491E (ko)
TW (1) TW429146B (ko)
WO (1) WO1996011682A1 (ko)
ZA (1) ZA9587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987256E (pt) * 1997-08-08 2002-03-28 Aventis Pharma Gmbh Forma cristalina da n-(4-trifluorometilfenil)-5-metil-isoxazol-4-carboxamida
ATE372320T1 (de) 1998-02-19 2007-09-15 Kowa Co Cyclische amidderivate
US6303652B1 (en) 1998-08-21 2001-10-16 Hughes Institute BTK inhibitors and methods for their identification and use
JP2004504264A (ja) * 2000-01-07 2004-02-12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シンシナティ Th1又はth2リンパ球に制御される免疫応答の選択的活性化
US6849260B2 (en) 2000-08-18 2005-02-01 Amge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IgE-related disease using NNT-1 inhibitors
AU2001236361A1 (en) * 2000-10-20 2002-05-06 Parker Hughes Institute Treatment of asthma with lfm analogues
US6706703B2 (en) 2001-06-29 2004-03-16 Kowa Co., Ltd. Bis(5-aryl-2-pyridyl) derivatives
US6890940B2 (en) 2001-06-29 2005-05-10 Kowa Co., Ltd. Bis(2-aryl-5-pyridyl) derivatives
US8283515B2 (en) 2002-05-03 2012-10-0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a skin conditioning agent
RU2012115459A (ru) 2009-09-18 2013-10-27 Санофи Таблетируюмый препарат (4'-трифторметилфенил)амида (z)-2-циано-3-гидрокси-бут-2-еноевой кислоты с улучшенной устойчивостью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4439A1 (de) * 1978-12-16 1980-07-03 Hoechst Ag Ein isoxazolderiva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iese verbindung enthaltende mittel und verwendung
DE3534440A1 (de) * 1985-09-27 1987-04-02 Hoechst Ag Arzneimittel gegen chronische graft-versus-host-krankheiten sowie gegen autoimmunerkrankungen, insbesondere systemischen lupus erythematodes
GB8619432D0 (en) * 1986-08-08 1986-09-17 Lilly Industries Ltd Pharmaceutical compounds
DD297328A5 (de) * 1989-08-18 1992-01-09 �������@���������k���Kk�� 5-methyl-isoxalol-4-carbonsaeureanilide und 2 hydroxyethyliden-cyanoessigsaeureanilide zur behandlung von augenerkrankungen
US5001124A (en) * 1990-02-02 1991-03-19 Syntex (U.S.A.) Inc. 4-isoxazolecarboxamide derivatives
DE4127737A1 (de) * 1991-08-22 1993-02-25 Hoechst Ag Arzneimittel zur behandlung von abstossungsreaktionen bei organverpflanzungen
TW314467B (ko) * 1993-03-31 1997-09-01 Hoechst 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95907B2 (en) 1998-08-27
AU3618695A (en) 1996-05-06
IL115617A0 (en) 1996-01-19
NO315928B1 (no) 2003-11-17
US5814649A (en) 1998-09-29
ATE194912T1 (de) 2000-08-15
FI971584A0 (fi) 1997-04-15
DE69518159D1 (de) 2000-08-31
WO1996011682A1 (fr) 1996-04-25
HUT77135A (hu) 1998-03-02
EP0787491A4 (en) 1998-09-30
NO971743L (no) 1997-04-16
CA2202904A1 (en) 1996-04-25
GR3034413T3 (en) 2000-12-29
EP0787491A1 (en) 1997-08-06
EP0787491B1 (en) 2000-07-26
CA2202904C (en) 2006-12-19
NO971743D0 (no) 1997-04-16
FI971584A (fi) 1997-04-15
HU222888B1 (hu) 2003-12-29
IL115617A (en) 1999-11-30
ZA958708B (en) 1996-05-14
NZ293691A (en) 1999-07-29
KR970706811A (ko) 1997-12-01
PT787491E (pt) 2000-11-30
DK0787491T3 (da) 2000-10-16
DE69518159T2 (de) 2002-01-03
ES2148561T3 (es) 2000-10-16
TW429146B (en) 200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693B1 (ko) 5-메틸이소옥사졸-4-카복실산-(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드와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시아노-3-하이드록시크로톤산아미드와의배합물을함유하는제제
US20070203216A1 (en)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JP2012224641A (ja) ピルフェニドンおよび薬学的に受容可能な賦形剤のカプセル処方物
KR100365064B1 (ko) I형알레르기성질환의예방및치료제
US10806735B2 (en) Use of neutrophil elastase inhibitors in liver disease
JP2010043101A (ja) 組合せ
JP2004518653A (ja) 不安障害を治療する方法
TWI250021B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n inflammatory autoimmune disease or condition
JPH0140009B2 (ko)
US20070287689A1 (en) Therapeutic And/Or Preventive Agents For Chronic Skin Diseases
EA007952B1 (ru) Применение ирбесарта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лекарств, которые пригодны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лёгочной артериальной гипертензии
CA2112195A1 (en) 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 for arteriosclerosis
KR20240024818A (ko) 페닐 피롤 아미노구아니딘 염 및 제형
JPS5855423A (ja) ベンゾグアナミン類を主成分としする医薬
JPS6263520A (ja) 抗リウマチ剤
JPH0532635A (ja) ヒスタミン誘導体の治療への応用と、新規なヒスタミン誘導体と、この誘導体の医薬としての使用
US20050059697A1 (en) Combination of organic compounds
JPWO2004096230A1 (ja) 関節リウマチ治療剤
JP2004292407A (ja) 化学物質過敏症治療薬
JPS61145118A (ja) 免疫調節剤
JP2003063995A (ja) 免疫学的疾患の治療のための配合製剤
JPS6056123B2 (ja) 浮腫・低血圧・心不全および粘膜充血治療用剤
JP2004002353A (ja) 医薬組成物
JPS6092216A (ja) 抗リウマチ剤
WO1985003866A1 (en) Agents for treating immunodeficiency, method for treating them,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