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833B1 - 경화선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경화처리기 - Google Patents

경화선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경화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833B1
KR100364833B1 KR1020000070956A KR20000070956A KR100364833B1 KR 100364833 B1 KR100364833 B1 KR 100364833B1 KR 1020000070956 A KR1020000070956 A KR 1020000070956A KR 20000070956 A KR20000070956 A KR 20000070956A KR 100364833 B1 KR100364833 B1 KR 100364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ening
passage
cure
coin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971A (ko
Inventor
츠루다미츠마사
타카하시유지
Original Assignee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대략 일차원적으로 연장하며, 경화를 반송하는 반송벨트수단을 갖는 경화선별통로와, 상기 경화선별통로에 설치된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권종판별기를 포함하는 경화처리기의 경화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화선별통로는 하류측에 있어서 선별되는 경화를 유도하는 경화선별통로와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유도하는 경화회수통로로 분기되며, 상기 경화선별장치는 상기 경화선별통로와 상기 경화회수통로의 분기부에 상기 경화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경화를 상기 경화선별통로나 상기 경화회수통로로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게이트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식으로 구성된 경화선별장치에 따르면, 경화선별장치가 대형화되지 않고 경화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경화선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경화처리기{Coin sorting apparatus and coin handling mach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화선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경화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화되지 않고 경화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경화선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경화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 제 2618724호는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경화판별수단과, 기준레일을 따라서 경화반송통로내로 경화를 반송하는 반송벨트와, 기준레일로부터 소정거리에서 경화반송통로에 형성되고 경화가 낙하가능하도록 하는 경화선별공과, 횡단면이 반원형인 경화반송방향 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화선별장치에 있어서, 경화판별수단에 의해서 소정 권종의 경화가 검출될 때는 경화반송방향 전환수단을 그 평면부가 기준레일과 나란히 정렬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경화를 기준레일을 따라서 반송하며, 경화판별수단에 의해서 소정 권종 이외의 권종의 경화가 검출될 때는 경화반송방향 전한수단을 회전시켜서 그 원통단면부를 경화반송통로내로 돌출시키고, 소정 권종 이외의 권종의 경화에 접촉시킴으로써 경화의 반송방향을 전환시켜서 경화를 경화선별공으로 유도하여 낙하시켜서 소정권종의 경화를 선별하는 경화선별장치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경화선별장치는 반송벨트와 경화반송통로 표면과의 사이에서 유지되면서 반송되고 있는 경화의 방향을 전환시키며, 경화를 경화선별공으로 유도하여 경화를 자유낙하시킴으로써, 소정 권종의 경화를 다른 권종의 경화로부터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 권종의 경화를 확실하게 경화선별공내로 낙하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경화반송방향으로 경화선별공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므로, 경화선별장치가 불가피하게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경화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화의 반송속도를 증대시키는 경우에는, 경화선별공을 경화반송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해야 한다. 그러므로, 경화선별장치가 대형화되고, 경화처리기도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대형화되기 때문에, 대형화를 피하기 위한 해결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화처리기용 소형 경화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화되지 않고 경화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화처리기용 경화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화되지 않고 경화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화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대략 일차원적으로 연장하고 경화를 반송하는 반송벨트수단을 갖는 경화판별통로와, 상기 경화판별통로에 설치되어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권종판별수단을 포함하는 경화처리기용 경화판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화선별통로가 그 하류측에 있어서 선별되는 경화를 유도하는 경화선별통로와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유도하는 경화회수통로로 나뉘며, 상기 경화선별통로가 상기 경화선별통로와 경화회수통로로 나뉘는 부분에 상기 경화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경화를 상기 경화선별통로나 상기 경화회수통로에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게이트수단이 설치된 경화선별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경화선별통로가 그 하류측에 있어서, 선별되는 경화를 유도하는 경화선별통로와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유도하는 경화회수통로로 나뉘며, 그 분기점에서 경화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경화를 경화선별통로나 경화회수통로로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게이트 수단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게이트 수단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경화를 경화선별통로와 경화회수통로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자유낙하시켜서 경화선별공내로 선별하는 종래의 경화선별장치와 비교하여 경화선별통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경화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화의 반송속도를 증대시킬 때에도, 경화선별통로의 길이를 과도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화선별장치와 그에 따른 경화처리기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게이트 수단은 경화를 상기 경화선별수단으로 유도할 때에는 경화가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경화를 상기 경화회수통로로 유도할 때에는 경화가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로드부재(rod member)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분기부에 설치된 축에 상기 축에 대하여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경화를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유도할 때는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요동함으로써 경화가 상기 경화회수통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경화를 상기 경화회수통로로 유도할 때는 경화선별통로내로 요동함으로써 경화가 상기 경화선별통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경화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로드형의 게이트수단을 분기점에 설치된 축에 대하여 요동함으로써 게이트 수단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경화를 경화선별통로나 경화회수통로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경화선별공내로 자유낙하시켜서 경화를선별하는 종래의 경화선별장치와 비교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경화선별통로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경화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화의 반송속도를 증대시킬 때에도, 경화선별통로의 길이를 과도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화선별장치와 그에 따른 경화처리기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수단은 그 일단부 근방에서 상기 축에 대하여 장착되고, 경화선별통로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며 상기 축을 포함하는 면을 횡단하도록 상기 경화회수통로 및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요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로드형의 게이트수단이 그 일단부 근방에서 상기 축에 대하여 장착되고, 경화선별통로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며 상기 축을 포함하는 면을 횡단하도록 상기 경화회수통로 및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요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게이트수단의 작동이 지연되더라도, 신속하게 게이트수단을 경화회수통로나 경화선별통로내에 위치시킴으로써, 경화가 경화회수통로나 경화선별통로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망하는대로 경화를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수단은 그 중앙부 근방에서 상기 축에 장착되며, 경화선별통로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축을 포함하는 면을 횡단하도록 상기 경화회수통로 및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요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로드형의 게이트수단이 그 중앙부 근방에서 상기 축에 장착되며, 경화선별통로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축을 포함하는 면을 횡단하도록 상기 경화회수통로 및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요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게이트수단의 작동이 지연되더라도, 경화회수통로나 경화선별통로내로 잘못 진입한 경화를 게이트수단에 의해서 되돌려 밀어버리므로 소망하는대로 경화를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경화선별장치는 경화회수통로의 입구부분에 설치된 제 1개구부와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입구부분에 설치된 제 2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수단은 상기 제 1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돌출하고 상기 경화회수통로의 상측면과 나란한 위치이하로 퇴피(retract)하도록 되어 있는 제 1게이트 부재와, 상기 제 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돌출하고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측면과 나란한 위치이하로 퇴피하도록 되어 있는 제 2게이트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경화를 경화선별통로로 유도할 때에는 제 1게이트 부재를 작동시키고, 경화를 경화회수통로로 유도할 때에는 제 2게이트 부재를 작동시킴으로써, 경화를 강제적으로 경화선별통로나 경화회수통로로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경화선별구로 자유낙하시켜서 경화를 선별하는 종래의 경화선별장치와 비교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경화선별통로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경화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화의 반송속도를 증대시킬 때에도, 경화선별통로의 길이를 과도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화선별장치와 그에 따른 경화처리기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게이트 부재와 상기 제 2게이트 부재가 판형부재에 의해서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또한 상기 경화선별장치를 구성한 경화처리기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화처리기는 경화선별통로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는 경화선별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경화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화의 반송속도를 증대시킬 때에도, 경화선별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경화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경화처리기가 대형화되지 않고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경화처리기는 상기 경화선별통로에 접속된 경화선별슈트(shute) 및 상기 경화회수통로에 접속된 경화회수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경화처리기는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하류부의 하방에 경화를 집적하는 경화집적수단과, 상기 경화집적수단의 하방에 상기 경화집적수단에 의해서 집적된 경화를 포장하는 경화포장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경화처리기는 상기 경화선별통로내에 경화를 검출하는 센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잇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선별장치를 구성하는 경화처리기의 도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경화선별슈트의 하방에 설치된 경화집적기구 및 경화포장기구의 도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선별장치를 구성하는 경화처리기의 검출계, 구동계, 입력계 및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선별장치를 구성하는 경화처리기를 나타내는 도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선별장치를 구성하는 경화처리기를 나타내는 도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선별장치를 구성하는 경화처리기의 검출계, 구동계, 입력계 및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회전원판 2. 개구부
3. 경화선별통로 6. 반송벨트
7. 자기센서 8. 표면패턴센서
9, 9. 한 쌍의 스토퍼 부재 10, 10. 한 쌍의 센서
11. 경화선별통로 12. 경화회수통로
13. 경화선별슈트 14. 경화회수슈트
15. 수직축 16. 게이트 부재
18, 19. 계수센서 20. 경화선별장치
25. 경화집적기구 27. 셔터
30. 경화포장기구 31. 포장롤러
32. 포장지 롤 33. 상방 크림프 클로
34. 하방 크림프 클로 35. 크림프 기구
41. 반송벨트모터 42. 솔레노이드
43. 로터리 솔레노이드 44. 집적드럼모터
45. 셔터 솔레노이드 46. 포스트 모터
55. 제어장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처리기는 회전가능한 회전원판(1)을 포함하며, 경화처리기내로 투입된 경화는 반송벨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원판(1)상으로 보내진다. 공지된 기술에서와 같이, 회전원판(1)의 주변부에는 환상의 가이드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며, 환상의 가이드부재의 개구부(2)에는 경화선별통로(3)가 접속되어 있다. 환상의 가이드부재의 개구부(2)에는 처리되는 경화 중에서 가장 두꺼운 것의 두께보다 크며 가장 얇은 것의 두께의 두배 미만의 간극을 갖는 슬롯(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경화판별통로(3)에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4, 5)와 경화를 경화판별통로(3)의 상측면에 가압하면서 반송하는 반송벨트(6)가 설치된다. 또한, 경화선별통로(3)를 따라서 반송된 각각의 경화의 자기적성질을 검출하는 자기센서(7)가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5)는 대향하는 가이드 부재(4)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며, 처리되는 경화의 권종에 따라서 가이드 부재(5)를 슬라이딩함으로써 경화판별통로(3)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쌍의 가이드 부재(4, 5)의 폭, 즉 경화판별통로(3)의 폭은 다양한 권종의 경화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서 조정됨으로써, 처리되는 경화 중에서 가장 큰 경화를 반송할 수 있다.
자기센서(7) 하류측의 경화선별통로(3)에는, 경화 하측면의 패턴을 검출하는 표면패턴센서(8)가 설치되며, 표면패턴센서(8)의 하류측에는 선별되는 경화가 소정의 수에 도달할 때 후속의 경화가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스토퍼 부재(9, 9)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스토퍼 부재(9, 9)는 반원주형이며,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그 평면형의 측면부분이 가이드 부재(4)의 내면과 나란한 위치에서 각 스토퍼 부재(9, 9)가 배치되며, 후속의 경화가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것이 방지될 때에만, 스토퍼 부재(9)가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하여 원통형의 측면부분이 경화선별통로(3)내로 돌출함으로써 후속하는 경화의 반송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토퍼 부재(9,9)의 바로 상류측의 경화선별통로(3)에는, 한 쌍의 센서(10 10)가 설치됨으로써, 한 쌍의 센서(10 10)가 후속하는 경화의 반송이 금지되는 것을 검출할 때, 한쌍의 스토퍼 부재(9,9)가 작동된다.
경화선별통로(3)는 한 쌍의 스토퍼 부재(9,9)의 하류측에 있어서 경화선별통로(11)와 경화회수통로(12)로 분기된다. 경화선별통로(11)는 경화선별슈트(13)에 접속되며, 경화회수통로(12)는 경화회수슈트(14)에 접속된다.
경화선별통로(11)와 경화회수통로(12)의 분기부에는, 수직축(15)에 대하여 요동가능하도록 로드형의 게이트 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부재(16)는 자기 센서(7)와 표면패턴센서(8)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요동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소정 권종의 경화만이 경화선별통로(11)로 유도되며, 다른 권종의 경화는 경화회수통로(12)로 유도된다. 게이트 부재(16)는 그 단부근방에서 수직축(15)에 장착되며,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고 그 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90도 이상으로 수직축(15)에 대하여 요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게이트 부재(16)는 경화를경화선별통로(11)로 유도할 때,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고 그 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요동되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제 1선별위치로 이동하여 경화회수통로(12)의 폭방향의 70%이상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경화를 경화회수통로(12)로 유도할 때에는,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며 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도 1의 화살표 B방향으로 요동하여서 파선으로 나타낸 제 2선별위치로 이동하여 경화선별통로(11)의 폭방향의 70%이상을 폐쇄할 수 있다.
경화선별통로(11)와 경화회수통로(12)의 분기점의 상류측에는, 한 쌍의 센서(17, 17)가 설치되며, 한 쌍의 센서(17, 17)가 경화를 검출할 때, 제어장치에 의해서 게이트 부재(16)가 구동됨으로써 한 쌍의 센서(17, 17)에 의해서 검출된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나 경화회수통로(12)로 선택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경화선별통로(11) 및 경화회수통로(12)에는, 계수센서(counting sensor)(18, 19)가 설치됨으로써 계수센서(18)에 의해서 경화선별통로(11)로 보내진 경화의 수가 계산되며, 계수센서(19)에 의해서 경화회수통로(12)로 보내진 경화의 수가 계산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화선별통로(11), 경화회수통로(12), 게이트 부재(16) 및 한 쌍의 센서(17, 17)에 의해서 경화선별장치가 형성된다.
도 2는 경화선별슈트(13)의 하방에 설치된 경화집적기구(25) 및 경화포장기구(30)의 도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선별통로(11)에 접속된 경화선별슈트(13)의하방에는 한 쌍의 집적드럼(26, 26)을 포함하는 경화집적기구(25)가 설치된다. 공지된 기술에서와 같이, 경화선별슈트(13)로부터 송출된 경화는 한 쌍의 집적드럼(26, 26)의 사이에 집적되며, 셔터(27)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집적기구(25)의 셔터(27)의 하방에는 경화포장기구(30)가 설치된다. 경화포장기구(30)는 3개의 포장롤러(31, 31, 31)와, 포장지롤(32)과, 상방 크림프 클로(crimp claw)(33) 및 하방 크림프 클로(34)를 갖는 크림프 기구(35)와, 경화집적기구(25)의 셔터(27)로부터 집적된 경화를 그 상측면에 수신하고 포장롤러(31, 31, 31)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화지지 포스트(36)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선별장치(20)를 구성하는 경화처리기의 검출계, 구동계, 입력계 및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처리기의 검출계는 경화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는 자기센서(7)와, 경화의 하측면의 패턴을 검출하는 표면패턴센서(8)와, 후속의 경화가 반송이 금지되는 것을 검출하는 한 쌍의 센서(17, 17)와, 경화선별통로(11)로 보내지는 경화의 수를 계산하는 계수센서(18)와, 경화회수통로(12)로 보내지는 경화의 수를 계산하는 계수센서(19)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처리기의 구동계는 회전원판(1)을 회전시키는 회전원판모터(40)와, 반송벨트(6)를 구동하는 반송벨트모터(41)와, 한 쌍의 스토퍼 부재(9, 9)를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42, 42)와, 게이트 부재(16)를 회전시키는 로터리 솔레노이드(rotary solenoid)(43)와, 한 쌍의 집적드럼(26, 26)을 회전시키는집적드럼모터(44)와, 셔터(27)를 개폐하는 셔터 솔레노이드(45)와, 셔터(27)로부터 집적된 경화를 그 상측면에서 수용하고 포장롤러(31, 31, 31)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화지지 포스트(36)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포스트 모터(46)와, 포장롤러(31, 31, 31)를 근접하여 서로 떨어지도록 하는 포장롤러 이동모터(47)와, 포장롤러(31, 31, 31)를 회전시키는 포장롤러모터(48)와, 포장롤(32)로부터 포장롤러(31, 31, 31)사이로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 공급모터(49)와, 상방 크림프 클로(33)를 이동시키는 상방 크림프 클로 모터(50)와, 하방 크림프 클로(34)를 이동시키는 하방 크림프 클로 모터(51)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처리기의 입력계는 선별되는 경화의 권종을 지정할 수 있는 키보드(54)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처리기의 제어계는 경화처리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5)와, 경화처리기의 동작프로그램, 경화의 각 권종의 기준자기 데이터, 경화의 각 권종의 기준표면 패턴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ROM(56)과, RAM(57)을 포함한다. 자기센서(7), 표면패턴센서(8), 한 쌍의 센서(10, 10), 한 쌍의 센서(17, 17), 계수센서(18) 및 계수센서(19)의 검출신호는 제어장치(55)로 입력되며, 제어장치(55)로부터 회전원판모터(40), 반송벨트모터(41), 솔레노이드(42, 42) 및 로터리 솔레노이드(43)로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제어장치(55)로부터 로터리 솔레노이드(43)로 제 1구동신호가 출력될 때, 로터리 솔레노이드(43)는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로 유도되도록 게이트 부재(16)를 요동시키는 한편, 제어장치(55)로부터 로터리 솔레노이드(43)로 제 2구동신호가 출력될 때, 로터리 솔레노이드(43)는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로 유도되도록 게이트 부재(16)를 요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이런 식으로 구성된 경화처리기의 경화선별장치는 조작자에 의해서 지정되는 권종의 경화를 선별한다.
우선, 선별되는 경화의 권종은 조작자에 의해서 키보드(54)를 통하여 입력된다. 입력신호는 제어장치(55)로 보내지며, 제어장치(55)는 선별되는 경화의 권종을 RAM(57)에 기억시킨다.
조작자가 키보드(54)를 통하여 개시신호를 입력할 때, 제어장치(55)는 회전원판모터(40)로 구동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회전원판(1)을 회전시키며, 집적드럼모터(44)로 구동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한 쌍의 집적드럼(26, 26)을 회전시킨다. 또한, 제어장치(55)는 포스트 모터(46)로 구동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경화지지 포스트(36)를 셔터(27) 하방의 대기위치로 상승시킨다.
경화투입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경화처리기내로 투입되는 경화는 반송벨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반송되어 회전원판(1)상으로 보내진다. 회전원판(1)상에 보내진 경화는 회전원판(1)의 회전에 의해서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서 회전원판(1)의 주변부에 설치된 환상의 가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따라서 개구부(2)로 안내된다.
개구부(2)에는 처리되는 경화 중에서 두께가 가장 두꺼운 것보다 크며 두께가 가장 얇은 것의 두 배 미만인 슬롯(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기 때문에, 경화는 하나씩 개구부(2)에 접속된 경화선별통로(3)내로 보내진다.
경화선별통로(3)내로 보내진 경화는 반송벨트(6)에 의해서 경화선별통로(3)의 상측면으로 가압되면서 경화선별통로(3)내로 반송되며, 자기센서(7)에 의해서 경화의 자기적 성질이 검출됨으로써, 검출신호가 제어장치(55)로 출력된다.
제어장치(55)는 ROM(56)으로부터 경화의 권종마다의 기준 자기데이터를 독출하며, 자기센서(7)에 의해서 검출된 경화의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그 경화의 권종을 잠정적으로 결정하여, RAM(57)에 기록한다.
경화는 반송벨트(6)에 의해서 경화선별통로(3)내의 하류측으로 보내지며, 표면패턴센서(8)에 의해서 그 하측면의 패턴이 검출됨으로써, 패턴검출신호가 제어장치(55)로 출력된다.
제어장치(55)는 자기센서(7)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잠정적으로 결정된 경화의 권종을 독출하며, RAM(57)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어장치(55)는 잠정적으로 결정된 권종의 경화 표면과 이면의 기준표면패턴데이터를 ROM(56)으로부터 독출하며, 그것을 표면패턴센서(8)에 의해서 검출된 경화의 하측면의 패턴데이터와 비교한다.
경화 하측면의 패턴데이터가 기준표면패턴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을 때, 제어장치(55)는 그 경화가 수용가능한 경화인지를 판별하며, 그 경화를 선별하지 않는 판별결과를 RAM(57)에 기입한다.
이에 반하여, 경화 하측면의 패턴데이터가 기준표면패턴데이터와 일치할 때, 제어장치(55)는 그 경화의 권종을 자기센서(7)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잠정적으로 결정되고 RAM(57)에 기억된 권종과 일치하는지를 판별하며, 경화의 권종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장치(55)는 이런 식으로 결정된 권종이 조작자에 의해서 지정되며 RAM(57)에 기억되어 있는 선별되는 경화의 권종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경화의 권종이 조작자에 의해서 지정되며 RAM(57)에 기억되어 있는 선별되는 경화의 권종과 일치할 때, 제어장치(55)는 그 경화를 선별해야 하는 판별결과를 RAM(57)에 기입한다. 한편, 경화의 권종이 조작자에 의해서 지정되며 RAM(57)에 기억되어 있는 선별되는 경화의 권종과 일치하지 않을 때, 제어장치(55)는 경화를 선별하지 않는 판별결과를 RAM(57)에 기입한다.
경화는 반송벨트(6)에 의해서 경화선별통로(3)의 하류측으로 보내지며, 한 쌍의 센서(17, 17)가 경화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제어장치(55)에 출력할 때, 제어장치(55)는 그 경화가 선별되어야 한다고 판별한 경우에 제 1구동신호를 로터리 솔레노이드(43)로 출력한다. 이에 반하여, 경화를 선별하지 말아야 한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제어장치(55)가 제 2구동신호를 로터리 솔레노이드(43)로 출력한다.
로터리 솔레노이드(43)는 제어장치(55)로부터 제 1구동신호를 수신할 때, 도 1의 실선으로 표시된 제 1선별위치로,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고 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수직축(15)에 대하여 게이트 부재(16)를 요동시킴으로써, 경화회수통로(12)를 폐쇄하여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로 유도된다.
이에 반하여, 로터리 솔레노이드(43)는 제어장치(55)로부터 제 2구동신호를 수신할 때, 도 1의 파선으로 표시된 제 2선별위치로,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며 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수직축(15)에 대하여 게이트 부재(16)를 요동시킴으로써, 경화선별통로(11)를 폐쇄하여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로 유도된다.
경화선별통로(11)내로 유도된 경화는 계수센서(18)에 의해서 계산되며, 제어장치(55)로 계수신호를 출력한 후에 경화선별슈트(13)로 보내진다.
공지된 기술에서와 같이, 경화선별슈트(13)로 보내진 경화는 한쌍의 집적드럼(26, 26)이 회전할 때, 한쌍의 집적드럼(26, 26) 사이에 집적된다.
한편, 경화회수통로(12)로 유도된 경화는 계수센서(19)에 의해서 계산되며, 제어장치(55)로 계수신호를 출력한 후에 경화회수슈트(14)로 보내진다.
제어장치(55)는 계수센서(18)로부터 계수신호를 수신할 때, RAM(57)에 기억된 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선별되는 경화의 계수를 갱신한다. 한편, 제어장치(55)는 계수센서(19)로부터 계수신호를 수신할 때, RAM(57)에 기억된 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선별되는 경화의 계수를 갱신한다.
따라서, RAM(57)에 기억된 선별되는 경화의 계수가 하나의 경화포장롤로 포장되는 경화의 수와 일치할 때, 제어장치(55)는 한쌍의 센서(10, 10)로부터의 후속하는 경화검출신호의 입력에 응하여, 구동신호를 한쌍의 솔레노이드(42, 42)로 출력한다. 한 쌍의 솔레노이드(42, 42)가 구동신호를 수신할 때, 각각은 결합된 스토퍼 부재(9)를 그 세로축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그 원통형의 측면부가 경화선별통로(3)로 돌출한다.
결과적으로, 경화선별통로(3)내로 반송되는 후속 경화는 한쌍의 스토퍼 부재(9, 9)에 의해서 스토퍼부재(9, 9)의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하나의 경화포장롤에 의해서 포장되는 소정의 경화수를 초과하는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로 보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경화포장롤에 의해서 포장되는 소정의 경화수와 동등한 수의 경화가 한쌍의 집적드럼(26, 26)사이에 집적되며, 집적된 경화는 셔터(27)로 보내진다.
집적된 경화가 셔터(27)상에 위치했을 때, 제어장치(55)는 구동신호를 셔터 솔레노이드(45)로 출력하여 셔터(27)를 개방함으로써, 셔터(27)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화들을 셔터(27) 바로 아래의 대기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경화지지 포스트(36)의 상측면으로 운반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장치(55)는 포스트 모터(46)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경화지지 포스트(36)를 하강시킴으로써, 집적된 경화를 포장롤러(31, 31, 31)사이의 포장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공지된 기술에서와 같이, 제어장치(55)는 포장롤러 이동모터(47)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포장롤러(31, 31, 31)를 서로 근접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그들 사이에 집적된 경화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55)는 포장지 공급모터(49)와 포장롤러모터(48)로 구동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포장지로 집적된 경화의 주위를 감싸서 집적된 경화를 포장한다.
집적된 경화가 포장지에 의해서 포장되었을 때, 제어장치(55)는 상방 크림프 클로 모터(50)와 하방 크림프 클로 모터(51)로 구동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방 크림프 클로(33)와 하방 크림프 클로(34)에 의해서 집적된 경화 주위를 감싼 포장지의 상하측부를 크림프함으로써 포장경화롤을 생성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별되는 경화는 제 1선별위치로 요동된 게이트 부재(16)에 의해서 경화회수통로(12)내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들은 제 2선별위치로 요동된 게이트 부재(16)에 의해서 경화선별통로(11)내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경화선별공내로 선별되는 경화이외의 경화를 자유낙하시켜서 경화를 선별하는 종래의 경화선별장치와 비교하여, 경화선별통로(3)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경화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화의 반송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경화선별통로(3)의 길이를 과도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화처리기용 소형 경화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 부재(16)는 그 단부근방에서 수직축에 장착되며,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고 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90도 이상으로 수직축(15)에 대하여 요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게이트 부재(16)는 경화를 경화선별통로(11)내로 유도할 때는, 제 1선별위치로 요동되어 경화회수통로(12)의 폭방향의 70%이상을 폐쇄하며, 경화를 경화회수통로(12)내로 유도할 때는, 제 2선별위치로 요동되어 경화선별통로(11)의 폭방향의 70%이상을 폐쇄한다. 그러므로, 어떠한 원인으로 게이트 부재(16)의 작동이 지연되고 게이트 부재(16)가 제 1선별위치나 제 2선별위치로 완전하게 요동되지 않더라도,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나 경화선별통로(11)내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들을 경화선별공으로 자유낙하시켜서 경화를 선별하는 종래의 경화선별장치와 비교하여 경화선별통로(3)의 길이를 대폭 짧게하고 경화선별장치(20)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선별장치가 제공된 경화처리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경화선별장치(20)에 있어서, 로드형 게이트부재(16)는 실질적으로 그 중심부에서 수직축(15)에 장착되며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에 수직이며 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요동할 수 있다.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로 유도되는 경우에, 게이트부재(16)는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에 수직이며 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도 4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즉, 경화회수통로(12)의 하류측에서 그 상류측으로 향하여 도 4에 정확하게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가로방향으로 경화회수통로(12)의 60%이상을 폐쇄하는 제 1선별위치로 향하도록 요동된다. 반면에,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로 유도되는 경우에, 게이트부재(16)는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에 수직이며 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도 4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즉, 경화회수통로(12)의 하류측에서 그 상류측으로 향하여 가로방향으로 경화회수통로(12)의 60%이상을 폐쇄하는 제 2선별위치로 향하도록 요동된다. 상기 특징 이외에, 본 실시예에 따른 경화선별장치(20)는 도 1에 나타낸 경화선별장치(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나타낸 게이트부재(16)와 달리,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로 유도되는 경우에는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에 수직이며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도 4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내로 진입하는 것을 강제로 방지하고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로 유도되는 경우에는 경화선별통로(3)의 세로방향에 수직이며 수직축(15)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도 4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내로 진입하는 것을 강제로 방지하도록 게이트부재(16)가 구성된다. 그러므로, 어떤 이유로 인해 게이트부재(16)의 작동이 지연되며 실수로 경화가 유도되지 않는 통로로 경화가 진입하는 경우조차도, 게이트부재(16)에 의해 경화는 되돌려 눌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경화선별개구내로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자유낙하시킴으로써 경화가 선별되는 종래의 경화 선별장치와 비교하여 경화선별통로(3)의 길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경화선별장치(20)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나타낸 게이트부재(16)와 달리, 게이트부재(16)가 실질적으로 그 중심부의 수직축(15)에 장착되기 때문에, 게이트부재(16)의 요동 스트로크는 작아진다. 그러므로, 게이트부재(16)는 제 1선별부 또는 제 2선별부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경화선별개구내로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자유낙하시킴으로써 경화가 선별되는 종래의 경화 선별장치와 비교하여 경화선별통로(3)의 길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경화선별장치(20)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선별장치가 설치된 경화처리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60)는 경화선별통로(11)의 입구부에 형성되며, 판형 게이트부재(61)가 그 아래에서 경화선별통로(11)로 돌출하고 개구부(60)를 통하여 경화선별통로(11)의 이하로 퇴피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62)는 경화회수통로(12)의 입구에 형성되며, 판형 게이트부재(63)가 그 아래에서 경화선별통로(11)로 돌출하고 개구부(62)를 통하여 경화회수통로(12) 이하로 퇴피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선별장치가 제공된 경화처리기의 검출계, 구동계, 입력계 및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경화처리기의 구동계는 로터리 솔레노이드(43) 대신에 게이트부재(61)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65)와 게이트부재(63)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66)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에 나타낸 경화처리기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어장치(55)는 게이트부재(61)가 경화선별통로(11)내로 돌출하는 경우에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65)로 출력하고 게이트부재(63)가 경화회수통로(12)내로 돌출하는 경우에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66)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이런 식으로 구성된 경화처리기의 경화선별장치(20)에 있어서, 앞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게, 자기센서(7)에 의해 경화선별통로(3)내로 반송되는 경화의 자기적 성질이 검출되며, 표면 패턴센서(8)에 의해서 경화 하측면의 패턴이 검출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어장치(55)는 자기센서(7)에의해 검출된 경화의 자기적 성질에 기초하여 경화의 권종을 결정하고 경화의 하부면의 패턴은 표면 패턴센서(8)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결과 검출된 경화의 권종이 조작자에 의해 지정된 선별되는 경화의 권종과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RAM(57)에 저장하고, 경화가 선별될 경화인지 아닌지에 관한 권종의 결과를 RAM(57)에 기입한다.
경화가 선별될 경화인 것을 RAM(57)에 기입할 때, 그리고 한 쌍의 센서(17, 17)가 경화를 검출하고 검출신호가 제어장치(55)에 입력될 때, 제어장치(55)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66)에 출력함으로써 경화회수통로(12) 아래로 퇴피된 판형 게이트부재(63)를 경화회수통로(12)의 입구에 형성된 개구부(62)를 통해서 들어 올려 경화회수통로(12)내로 돌출시킨다.
결과적으로, 판형 게이트부재(63)에 의해서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되며, 반대로 판형 게이트부재(61)가 경화선별통로(11)의 퇴피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므로, 경화는 경화선별통로(11)로 유도되어 경화선별슈트(13)로 공급된다.
경화선별슈트(13)로 공급된 경화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경화집적기구(25)에 의해서 집적된다. 소정의 경화가 집적되면, 집적된 경화는 경화포장기구(30)에 공급되어 경화포장기구(30)에 의해 포장됨으로써 포장된 경화롤을 생성한다.
그와 반대로, 경화가 선별되지 않는 것을 RAM(57)에 기입하는 경우에, 그리고 한 쌍의 센서(17, 17)가 경화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제어장치(55)에 입력하는경우에는, 제어장치(55)가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65)에 출력함으로써 경화선별통로(11) 아래로 퇴피된 판형 게이트부재(61)를 경화선별통로(11)의 입구에 형성된 개구부(60)를 통해서 들어 올려 경화선별통로(11)내로 돌출시킨다.
결과적으로, 판형 게이트부재(61)에 의해서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내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되며, 반대로 판형 게이트부재(63)가 경화회수통로(12)의 퇴피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므로,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로 유도되어 경화회수슈트(14)로 공급됨으로써 회수된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66)를 구동하고 경화회수통로(12)내로 경화회수통로(12)의 입구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62)를 통해서 그 아래에서 경화회수통로(12)내로 게이트부재(63)를 돌출시킴으로써 선별될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것에 의해 선별될 경화는 경화선별통로(11)로 강제로 유도된다. 반면에, 선별될 경화 이외의 경화는 솔레노이드(65)를 구동하고 경화선별통로(11)의 입구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60)를 통해서 그 아래에서 경화선별통로(11)내로 게이트부재(61)를 돌출시킴으로써 경화선별통로(11)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것에 의해, 선별된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내로 강제로 유도된다. 결과적으로, 경화선별개구내로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자유낙하시킴으로써 경화가 선별되는 종래의 경화선별장치와 비교하여 경화선별통로(3)의 길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경화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화의 반송속도가 증대되는 경우에도, 경화선별통로(3)의 길이를 과도하게 증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화처리기의 소형 경화선별장치를 제공할 수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해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상세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경화처리기에는 경화선별슈트(13)의 아래에 경화집적기구(25), 경화포장기구(30) 및 크림프 기구(35)가 설치되고, 조작자에 의해 지정된 권종의 경화를 포장하여 소정 수의 경화를 포함하는 포장된 경화롤을 생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선별장치는 경화집적기구(25), 경화포장기구(30) 및 크림프 기구(35)를 갖추지 않은 경화처리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조작자에 의해서 지정된 권종의 경화를 전적으로 계수하고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포장 경화롤에 포장될 소정의 경화를 초과하는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한 쌍의 스토퍼 부재(9, 9) 및 한 쌍의 센서(10, 10)가 경화선별통로(3)에 설치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선별장치가 경화집적기구(25), 경화포장기구(30) 및 크림프 기구(35)를 갖추지 않고 조작자에 의해 지정된 권종을 계수하여 선별하는 경화처리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스토퍼 부재(9, 9) 및 한 쌍의 센서(10, 10)를 반드시 제공할 필요는 없다.
더욱이,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경화회수통로(12)내로 공급된 경화수를 계수하기 위해 계수센서(19)가 설치되었지만, 경화회수통로(12)내로 공급된 경화의 수를 계수하기 위해서 계수센서(19)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형 게이트부재(16)는 경화선별통로(11)내로 경화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그 폭방향으로 경화회수통로(12)의 70% 이상을 폐쇄하도록 제 1선별위치로 요동하고, 경화회수통로(12)내로 경화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그 폭방향으로 경화선별통로(11)의 70% 이상을 폐쇄하도록 제 2선별위치로 요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게이트부재(16)가 제어장치(55)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경화회수통로(12)나 경화선별통로(11)내로 경화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경화선별통로(11)나 경화회수통로(12)내로 경화를 충분히 유도할 수 있으며, 반드시 경화회수통로(12)나 경화선별통로(11)의 폭방향의 70%이상을 폐쇄하도록 게이트부재(16)를 구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형 게이트부재(16)는 경화선별통로(11)내로 경화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그 폭방향으로 경화회수통로(12)의 60% 이상을 폐쇄하도록 제 1선별위치로 요동하고, 경화회수통로(12)내로 경화가 공급되는 경우에, 그 폭방향으로 경화선별통로(11)의 60% 이상을 폐쇄하도록 제 2선별위치로 요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게이트부재(16)가 제어장치(55)에 의한 판별결과에 따라서 경화회수통로(12)나 경화선별통로(11)내로 경화가 진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경화선별통로(11)나 경화회수통로(12)내로 경화를 충분히 유도할 수 있으며, 반드시 경화회수통로(12)나 경화선별통로(11)의 폭방향의 60%이상을 폐쇄하도록 게이트부재(16)를 구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비록 로드형 게이트부재(16)가 사용되었을지라도 반드시 로드형 게이트 부재(16)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나 경화선별통로(11)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떤 형태의 게이트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로 유도되면, 판형 게이트부재(61)는 경화선별통로(11)의 아래로 퇴피되며,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로 유도되면, 판형 게이트부재(63)는 경화회수통로(12)의 아래로 퇴피된다. 그러나,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로 유도되는 경우에는, 그 상단면이 경화선별통로(11)의 상부면과 나란하게 되는 위치나 혹은 그 상단면이 경화선별통로(11)의 상부면과 나란하게 되는 위치 이하에 위치하도록 판형 게이트부재(61)가 구성될 수 있고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로 유도되는 경우에는, 그 상단면이 경화회수통로(12)의 상부면과 나란하게 되는 위치나 혹은 그 상단면이 경화회수통로(12)의 상부면과 나란하게 되는 위치 이하에 위치하도록 판형 게이트 부재(63)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내로 유도되는 경우에는 판형 게이트부재(61)를 경화선별통로(11)의 이하로 위치시키며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내로 유도되는 경우에는 판형 게이트부재(63)를 경화회수통로(12)의 이하로 위치시킬 필요는 없다.
더욱이, 비록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판형 게이트부재(61) 및 판형 게이트부재(63)가 사용되었을지라도, 판형 게이트부재(61 및 63)를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경화회수통로(12)나 경화선별통로(11)내로 경화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떤 형태의 게이트부재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있어서, 경화가 경화선별통로(11)내로 유도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66)가 구동되어 판형 게이트부재(63)를 경화회수통로(12)내로 돌출하는 반면에, 경화가 경화회수통로(12)내로 유도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65)가 구동되어 판형 게이트부재(61)를 경화선별통로(11)내로 돌출하며, 게이트부재(61) 및 게이트부재(63)는 독립된 솔레노이드(65 및 66)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나, 게이트부재(61)가 경화선별통로(11)내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게이트부재(63)가 경화회수통로(12)의 아래에 위치되고, 게이트부재(63)가 경화회수통로(12)의 아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게이트부재(61)가 경화선별통로(11)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게이트부재(61) 및 게이트부재(63)를 링크기구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단일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게이트부재(61) 및 게이트부재(63)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게이트부재(16)가 로터리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며,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게이트부재(61) 및 게이트부재(63)가 솔레노이드(65) 및 솔레노이드(66)에 의해서 구동된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대신, 게이트부재(16), 게이트부재(61) 및 게이트부재(63)는 모터 등의 솔레노이드 이외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종 권종의 경화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서 한 쌍의 가이드부재(4, 5) 사이의 간격 즉, 경화선별통로(3)의 폭은 처리될 경화 중에 가장 큰 경화가 반송될 수 있도록 조정되었지만, 특정 권종의 경화를 처리하는데 적합하도록 로터리 솔레노이드(43)에 의해 구동된 게이트부재(16)를 조정하고 특정 권종의 경화를 포장하거나 특정 권종의 경화를 계수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경화를 선별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작자가 키보드(54)를 통해서 처리될 경화의 권종을 입력하는 것에 기초하여 한 쌍의 가이드부재(4, 5) 사이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이드부재(5)가 대향하는 가이드부재(5)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며, 경화선별통로(3)의 폭이 처리될 경화의 권종에 따라서 가이드부재(5)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부재(4, 5) 모두는 다른 쪽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화처리기용 소형 경화선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화처리기용 경화선별장치를 또한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으로 대형화하지 않고 경화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화하지 않고 경화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경화처리기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대략 일차원적으로 연장하며, 경화를 반송하는 반송벨트수단을 갖는 경화선별통로와, 상기 경화선별통로에 설치된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권종판별수단을 포함하는 경화처리기의 경화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화선별통로는 하류측에 있어서 선별되는 경화를 유도하는 경화선별통로와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유도하는 경화회수통로로 분기되며, 상기 경화선별장치는 상기 경화선별통로와 상기 경화회수통로의 분기부에 상기 경화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경화를 상기 경화선별통로나 상기 경화회수통로로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게이트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기의 경화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경화를 상기 경화선별통로로 유도할 때에는 경화가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경화를 상기 경화회수통로로 유도할 때에는 경화가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분기부에 설치된 축에 상기 축에 대하여 요동가능하도록장착된 로드부재(rod member)에 의해서 형성되며, 경화를 상기 경화선별통로로 유도할 때는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요동시킴으로써 경화가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경화를 상기 경화회수통로로 유도할 때는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요동시킴으로써 경화가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분기부에 설치된 축에 상기 축에 대하여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된 로드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며, 경화를 상기 경화선별통로로 유도할 때는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요동시킴으로써 경화가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경화를 상기 경화회수통로로 유도할 때는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요동시킴으로써 경화가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그 일단부 근방에서 상기 축에 장착되며,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상기 경화회수통로와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요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그 일단부 근방에서 상기 축에 장착되며,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상기 경화회수통로와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요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그 중앙부 근방에서 상기 축에 장착되며,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상기 경화회수통로와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요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그 중앙부 근방에서 상기 축에 장착되며,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횡단하도록, 상기 경화회수통로와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요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회수통로의 입구부에 제 1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경화선별통로의입구부에 제 2개구부가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 수단은 상기 제 1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돌출하고 상기 경화회수통로의 상측면과 나란한 위치 이하로 퇴피(retracct)가능한 제 1게이트 부재와, 상기 제 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돌출하고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측면과 나란한 위치 이하로 퇴피가능한 제 2게이트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회수통로의 입구부에 제 1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입구부에 제 2개구부가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 수단은 상기 제 1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돌출하고 상기 경화회수통로의 상측면과 나란한 위치 이하로 퇴피가능한 제 1게이트 부재와, 상기 제 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돌출하고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상측면과 나란한 위치 이하로 퇴피가능한 제 2게이트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1게이트 부재와 제 2게이트 부재는 판형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1게이트 부재와 제 2게이트 부재는 판형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
  13. 대략 일차원적으로 연장하며, 경화를 반송하는 반송벨트수단을 갖는 경화선별통로와, 상기 경화선별통로에 설치된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권종판별수단을 포함하는 경화선별장치가 설치된 경화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경화선별통로는 하류측에 있어서 선별되는 경화를 유도하는 경화선별통로와 선별되는 경화 이외의 경화를 유도하는 경화회수통로로 분기되며, 상기 경화선별장치는 상기 경화선별통로와 상기 경화회수통로의 분기부에 상기 권종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경화를 상기 경화선별통로나 상기 경화회수통로로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게이트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선별장치가 설치된 경화처리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경화를 상기 경화선별통로로 유도할 때에는 경화가 상기 경화회수통로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경화를 상기 경화회수통로로 유도할 때에는 경화가 상기 경화선별통로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선별통로에 접속된 경화선별슈트(coin sorting chute)와, 상기 경화회수통로에 접속된 경화회수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선별통로에 접속된 경화선별슈트와, 상기 경화회수통로에 접속된 경화회수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기.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하류부의 하방에 경화를 집적하는 경화집적수단과, 상기 경화집적수단의 하방에 상기 경화집적수단에 의해서 집적된 경화를 포장하는 경화포장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기.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선별통로의 하류부의 하방에 경화를 집적하는 경화집적수단과, 상기 경화집적수단의 하방에 상기 경화집적수단에 의해서 집적된 경화를 포장하는 경화포장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기.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선별통로내에 경화를 검출하는 센서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기.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선별통로내에 경화를 검출하는 센서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기.
KR1020000070956A 1999-12-02 2000-11-27 경화선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경화처리기 KR100364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42759 1999-12-02
JP34275999A JP3949859B2 (ja) 1999-12-02 1999-12-02 硬貨選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硬貨処理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971A KR20010061971A (ko) 2001-07-07
KR100364833B1 true KR100364833B1 (ko) 2002-12-16

Family

ID=1835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956A KR100364833B1 (ko) 1999-12-02 2000-11-27 경화선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경화처리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29885B1 (ko)
EP (1) EP1107193B1 (ko)
JP (1) JP3949859B2 (ko)
KR (1) KR100364833B1 (ko)
CN (1) CN1213387C (ko)
DE (1) DE60041316D1 (ko)
HK (1) HK1036671A1 (ko)
TW (1) TW4760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4589A1 (en) * 2005-01-11 2006-07-13 String Gregory F High speed coin processing machine
JP4777060B2 (ja) * 2005-12-26 2011-09-21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機
JP5203816B2 (ja) * 2008-06-30 2013-06-0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払出装置
JP2010026930A (ja) 2008-07-23 2010-02-04 Glory Ltd 硬貨処理装置
EP2187361B1 (en) * 2008-11-06 2015-01-07 Glory Ltd. Coin processing unit
CN105654614A (zh) * 2014-11-10 2016-06-08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硬币输送通道及使用该通道的硬币处理装置
CN105869259A (zh) * 2016-04-05 2016-08-17 王启威 一种硬币专用的分类清点打包自动化柔性系统
CN106204875B (zh) * 2016-06-27 2023-02-28 重庆交通大学 硬币分类整理系统
CN113396445B (zh) * 2018-11-23 2023-05-23 詹姆士·达拉斯 手持式移动通信装置连接的捐赠接收设备
CN111080889B (zh) * 2019-12-20 2022-04-29 湖南辰泰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硬币清分包装机整机
CN111017342B (zh) * 2019-12-20 2021-08-17 湖南辰泰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硬币清分包装流程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2286A (en) * 1969-07-19 1972-08-08 Georg Prumm Method for electronically checking coins
US3916922A (en) * 1973-06-20 1975-11-04 Georg J Prumm Electronic coin tester
US4664245A (en) * 1980-07-07 1987-05-12 Orin W. Coburn Coin chute assembly
US4920730A (en) * 1987-08-31 1990-05-01 Nihon Kinsen Kikai Kabushiki Kaisha Coin wrapping apparatus
JPH0534060Y2 (ko) * 1987-10-08 1993-08-30
JPH0777892B2 (ja) * 1988-12-22 1995-08-2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集積装置
JPH0731324Y2 (ja) * 1989-04-21 1995-07-19 サンデ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2518724B2 (ja) 1990-07-16 1996-07-31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選別装置
JP2567515B2 (ja) * 1990-10-15 1996-12-25 ユニバーサル販売株式会社 メダル投入装置
GB2253933B (en) * 1991-03-21 1995-04-26 Mars Inc Device for routing coins
JPH052680A (ja) * 1991-06-25 1993-01-08 Nippon Signal Co Ltd:The 硬貨処理機の硬貨振分装置
TW208747B (ko) * 1991-10-03 1993-07-01 Roreru Bank Machine Kk
JP3231187B2 (ja) * 1994-07-26 2001-11-1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
US5910044A (en) * 1996-09-30 1999-06-08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Coin separator and transport
JP3303771B2 (ja) * 1998-04-01 2002-07-22 富士電機株式会社 コイン識別装置
US6431342B1 (en) * 1999-09-13 2002-08-13 Andrew Schwartz Object rou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6050B (en) 2002-02-11
KR20010061971A (ko) 2001-07-07
JP2001160163A (ja) 2001-06-12
JP3949859B2 (ja) 2007-07-25
EP1107193A2 (en) 2001-06-13
EP1107193B1 (en) 2009-01-07
CN1300999A (zh) 2001-06-27
DE60041316D1 (de) 2009-02-26
US6629885B1 (en) 2003-10-07
CN1213387C (zh) 2005-08-03
HK1036671A1 (en) 2002-01-11
EP1107193A3 (en)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833B1 (ko) 경화선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경화처리기
US4997406A (en) Coin removing apparatus for coin handling machine
EP0660274B1 (en) Unacceptable coin removing apparatus for coin handling machine
US7073653B2 (en) Coin handling machine
EP0893786B1 (en) Coin wrapping machine
JPH0136157B2 (ko)
US4993990A (en) Unacceptable coin removing apparatus for coin handling machine
CN1108592C (zh) 硬币确认的设备和方法
JPH04303292A (ja) 硬貨整理装置
JPS6312314B2 (ko)
US74190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of objects such as coins or similar items
JP3012155B2 (ja) 硬貨処理機
EP0665970B1 (en) Coin 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JP3018512B2 (ja) 硬貨入出金機
JP3792300B2 (ja) 硬貨識別装置
JPH08315208A (ja) 硬貨処理機
JPS61103289A (ja) 硬貨処理機の識別異常硬貨排除装置
JPH0525015Y2 (ko)
JP3043567B2 (ja) 硬貨処理機の小径硬貨検出装置
JPS6312313B2 (ko)
JPS6323392Y2 (ko)
JPH0228195B2 (ko)
JPH04306790A (ja) 硬貨整理装置
JP2006107344A (ja) 硬貨処理機
JPH04306791A (ja) 硬貨整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