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596B1 - 분무기 - Google Patents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596B1
KR100364596B1 KR1019960704292A KR19960704292A KR100364596B1 KR 100364596 B1 KR100364596 B1 KR 100364596B1 KR 1019960704292 A KR1019960704292 A KR 1019960704292A KR 19960704292 A KR19960704292 A KR 19960704292A KR 100364596 B1 KR100364596 B1 KR 100364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ischarge nozzle
gas
cylinder
impinge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까하루 타사끼
시게루 하야까와
미쓰히로 사사자끼
찌토시 오까와라
세이이찌 와타나베
시게루 아꾸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 B05B7/005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05B7/006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ments, e.g. needles, baffles, rotat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Spring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분무기는 용기의 구경부에 부착하여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를 흡상하여 분무하는 형의 분무기에 아주 적합하다. 분무라는 용어에는 액체를 미세한 입자로 하여 안개 형상으로 분사하는 경우와, 이 미세 입자의 액체를 공기와 혼합하여 거품 형상으로 하여 분사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무기는 토출 노즐(21)의 전방에 충돌판(50)을 배치하여, 충돌판(50)이 닫힌 상태의 분무 상태와 충돌판(50)이 열린 상태의 분무 상태를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분무기{SPRAYER}
분무기에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소 63-20970호 공보, 실개소 64-12668호 공보, 실공소 62-770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것들에 개시되어 있는 분무기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힘주어진(부세된) 트리거를 구비한 소위 트리거식으로서, 트리거를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대항하여 끌어당김으로써 펌프실의 액체를 피스톤으로 가압하여 분무하고, 분무후에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 및 트리거를 복귀시켜서 용기 내의 액체를 펌프에 의해 펌프실로 흡상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무기에서는 분무기를 조립할 때에 코일스프링을 조립해 넣는 데 문제가 있었다. 즉 코일스프링의 축중심과 코일스프링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구멍의 축중심이 일치하지 않아서, 수납구멍에 코일스프링을 삽입하기가 곤란해질 수 있다. 또 그와 같이 축중심이 어긋난 채로 코일스프링을 수납구멍에 삽입하면 수납구멍의 내주면이 손상을 입어서, 코일스프링이 신축할 때에 그 손상된 곳에 걸리어서 코일스프링의 원활한 신축을 방해하는 일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이것을 해결하는 데 있다.
또 분무기에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공소 62-5963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체를 포말형상으로 하여 분사하는 것도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종류의 분무기에서는 거품이 이는 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되어 있어서, 거품이 이는 정도를 변경하여 분사할 수 없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거품이 이는 정도를 변경할 수 있으면 편리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거품이 이는 정도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한 액체 세제, 살충제 등의 분무 액체를 안개 형상 또는 포말 형상으로 분사하는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분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분무기의 펌프실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분무기의 코일스프링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분무기의 코일스프링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 의 분무기의 코일스프링의 변형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분무기의 코일스프링의 변형례를 측방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분무기의 토출부의 조립 종단면도(도 8의 I-I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분무기의 토출부의 조립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분무기를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분무기의 지지체의 종단면도(도 1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분무기의 지지체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분무기의 분무부재의 종단면도(도 13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분무기의 분무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분무기의 분무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IV-IV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의 분무기의 충돌판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2의 분무기의 충돌판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V-V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2의 분무기의 충돌판을 토출 노즐에 대향 배치했을 때의 분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2의 분부기에서 충돌판을 토출 노즐에 대향 배치하여 분사했을 때의 벽면에 대한 거품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2의 분무기에서 충돌판을 토출 노즐에 대향 배치하여 분사했을 때의 벽면에 대한 거품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2의 분무기에서 충돌판을 토출 노즐의 전방으로부터 물러나게 했을 때의 분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 2의 분무기에서 충돌판을 토출 노즐의 전방으로부터 물러나게 하여 분사했을 때의 벽면에 대한 거품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2의 분무기에서 충돌판을 토출 노즐의 전방으로부터 물러나게 하여 분사했을 때의 벽면에 대한 거품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분무기에 대해서는 도 1∼도 6의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분무기는 트리거식이며, 도시하지 않은 용기의 구경부(口頸部)에 장착되어 사용한다. 도 1은 분무기 종단면도이며, 분무기는 사출 실린더(B1), 지지 실린더(B2), 파지부(B3)를 갖는 분무기본체(B)와, 분무기본체(B)의 선단에 형성된 분무 부재(A)와, 토출실(C)과, 펌프실(D)과, 트리거(E)와, 부착용 캡(F)을 구비하고 있다.
부착용 캡(F)은 지지 실린더(B2)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분무기는 이 부착용 캡(F)에 의해 용기의 구경부에 고정된다.
토출실(C)은 지지 실린더(B2)의 내부에 장착된 토출 실린더(101)로 구성되어 있으며, 토출 실린더(101)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흡입실(103)이 형성되고, 상방으로 토출 밸브실(104)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 실린더(101)의 하단에는 흡상 파이프(102)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흡상 파이프(102)에 의해 용기 내와 흡입실(103)이 접속되어 있다.
흡입실(103)의 내벽면으로서 흡상 파이프(102)의 바로 상망에는 밸브 시트(10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밸브 시트(106)에는 흡입실(103) 내에 수용된 볼 밸브(105)가 착좌, 이반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토출 밸브실(104)에는 토출 밸브실(104)의 상단과 걸어맞추는 탄성 변형부(108)를 갖춘 토출 밸브 보디(107)가 수용되어 있으며, 이 토출 밸브 보디(107)는 흡입실(103)과 토출 밸브실(104) 사이에 설치된 밸브 시트(109)에 착좌, 이반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토출 실린더(101)에는 흡입실(103)과 후술하는 실린더실(124)을 연통하는 개구(110), 및 토출 밸브실(104)과 후술하는 토출로(112)를 연통하는 개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출 실린더(B1)에는 상기 개구(111)를 거쳐서 토출 밸브실(104)에 연통하는 토출로(112)가 형성되어 있다. 분무 부재(A)에는 토출로(112)에 연통하는 유로(113, 114)와 유로(114)에 연통하는 분무 구멍(115)이 형성되어 있다.
펌프실(D)은 실린더(120)와 피스톤(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펌프실(D)의 확대단면도이며, 실린더(120)는 외주(121)와 저벽(122), 내부 실린더(123)를 갖추고, 실린더(120)의 내면과 피스톤(130)의 단부(136)사이에 실린더실(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실린더(123)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140)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 구멍(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면에는 코일 스프링(140)을 파지하기 위한 돌기(125a)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20)의 저벽(122)에는 개구(110)를 거쳐서 흡입실(103)에 연통하는 개구(126)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실린더(121)의 하방에는 피스톤(130)의 전진 동작의 종단에서 용기 내와 외기를 연통하는 흡기 구멍(12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피스톤(130)의 전진 동작이라 함은 피스톤(130)이 실린더(120)의 저벽(12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흡기공(127)은 토출 실린더(101)의 하방에 형성한 개구(116)에 통로(117)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으며, 개구(116)를 거쳐서 용기 내에 연통되어 있다.
피스톤(130)은 실린더부(131)와 피스톤부(132)를 갖추고 있다. 실린더부(131)의 선단부(133)에는 트리거(E)와 걸어맞추는 凹부(1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부(131)의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140)을 지지하는 지지 구멍(135)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구멍(135)의 내주면에는 단부(135a)가 형성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140)을 파지하기 위한 돌기(135b)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부(132)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120)의 외측 실린더(121)의 내주면을 기밀하게 슬라이드하는 외측 슬라이드부(132a)와, 내측 실린더(123)의 외주면을 기밀하게 슬라이드하는 내측 슬라이드부(132b)와, 실린더실(124)에 대향하는 단부(136)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슬라이드부(132a)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의 직경은 실린더(120)의 외측 실린더(121)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는 피스톤(130)을 실린더(120)에 장착했을 때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피스톤(130)의 단부(136)에는 장착시의 변형을 흡수하기 위한 환상 홈(136a, 136b)이 형성되어 있다.
트리거(E)는 일단을 사출 실린더(B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핸들부(151)와, 핸들부(151)의 도중에 형성된 가압편(152)을 감추며, 가압편(152)은 피스톤(130)의 凹부(134)에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130)의 실린더부(131)와 실린더(120)의 내측 실린더(123) 사이에는 트리거(E)를 탄성적으로 후진 동작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14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코일 스프링(140)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코일 스프링(140)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코일 스프링(140)은 코일 권선(14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140)은 코일 권선(141)의 종단 권선부(142)를 그것에 인접한 권선부(144)에 접촉시키면서 내측으로 편위시키고, 또한 종단 권선부(142)에서 코일 권선(141)의 절단 단면(143)으로부터 일정한 길이의 부분을 코일 스프링(140)의 축중심(P)에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종단 권선부(142)의 편위 부분은 상기 중심선에 직교하는 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최선이지만, 반드시 정확히 직교하는 면이 아니어도 좋으며, 다시 말해서 대략 직교하는 면상에 배치하여도 좋다.
도 3은 코일 스프링(140)의 축중심(P)을 중심으로 하여 절단단면(143)으로부터 각도 θ(이하 이것을 편위각도 θ라 한다)에 대응하는 부분을 코일 스프링(140)의 축중심(P)에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면상에 배치하고, 절단 단면(143)을 코일 권선(141)의 외접원으로부터 치수 s(이하 이것을 편위량 s라 한다)만큼 편위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코일 권선(141)의 직경 d와 편위량 s와 편위각도 θ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예를 들어 편위각도 θ가 90도인 경우에는 편위량 s는 약 0.66d가 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위각도 θ를 180도로 한 경우에는 편위량 s는 약 0.87d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코일 스프링(140)은 펌프실(D)을 조립할 때에 대단히 유효하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펌프실(D)을 조립할 경우에는 우선 피스톤(130)의 지지 구멍(135)에 코일 스프링(140)의 일단측을 삽입하고, 코일 스프링(140)의 종단 권선부(142)를 단부(135a)와 걸어맞춘다. 여기서 종단 권선부(142)는 코일 스프링(140)의 축중심(P)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단 권선부(142)를 단부(135a)와 걸어맞춤으로써 코일 스프링(140)의 축중심(P)은 피스톤(130)의 축중심과 대략 일치하게 된다.
다음에 이 코일 스프링(140)이 장착된 피스톤(130)을 실린더(120)에 장착한다. 그 때에는 피스톤(130)을 실린더(120)에 삽입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140)의 타단측을 실린더(120)의 지지 구멍(125)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이 분무기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40)의 축중심(P)이 피스톤(130)의 축중심과 대략 일치하고 있으므로 피스톤(130)을 실린더(120)에 삽입하는 작업과, 코일 스프링(140)의 타단측을 지지 구멍(125)에 삽입하는 작업을 대단히 원활하고 정확하게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40)의 장착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코일 스프링(140)의 타단측을 실린더(120)의 지지 구멍(125)에 삽입할 때에 코일 스프링(140)의 타단측이 지지 구멍(125)의 내주면에 걸리는 일이 없으므로 지지 구멍(125)의 내주면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으며, 그 결과 코일 스프링(140)의 신축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펌프실(D)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코일 스프링(140)의 종단 권선부(142)의 편위각도 θ가 클수록 효과적이나, 실제로 실시하는 데는 S≥0.5d로 설정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이 분무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용기의 구경부에 고정된 분무기의 트리거(E)를 화살표 G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편(52)이 피스톤(130)의 선단부(133)의 凹부(134)를 가압한다. 그 결과 피스톤(132)의 단부(136)가 실린더(120)의 저벽(122)에 접할 때까지 이동하여 실린더실(124) 내에 충만하고 있던 액체를 개구(126)로부터 흡입실(103)로 밀어내어 흡입실(103) 내의 액압에 의해 토출 밸브 보디(107)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토출 밸브 보디(107)는 그 탄성 변형부(108)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방으로 움직여서 밸브 시트(109)로부터 이간하여 밸브를 연다. 그 결과 액체는 흡입식(103)로부터 토출 밸브실(104)로 유입하고, 다시 개구(111)를 지나서토출로(112)로 유입하고, 다시 유로(113, 114)를 지나서 분무 구멍(115)으로부터 안개 형상으로 사출된다.
그 동안에 피스톤(130)의 실린더부(131)가 코일 스프링(140)을 압축하여 흡입실(103) 내의 액압이 볼 밸브(105)를 밸브 시트(106)에 착좌시켜서 이곳을 막는다.
분무구멍(115)으로부터의 액체의 분무가 완료한 후에 트리거(E)의 가압을 풀면, 코일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130)은 도 1에 나타낸 위치로 복귀하고, 실린더실(124)이 확장하여 실린더실(124) 내가 부압이 되어, 이 부압이 토출 밸브 보디(107)와 볼 밸브(105)에 작용하고, 토출 밸브 보디(107)는 밸브 시트(109)에 착좌하여 밸브를 닫고, 볼 밸브(105)는 밸브 시트(106)로부터 이간하여 밸브를 연다. 그 결과 용기 내의 액체가 흡상 파이프(124)로부터 흡입실(103)로 흡상되어, 다시 개구(110, 126)를 지나서 실린더실(124)로 충전되어 다음 회의 사출에 대비한다.
실린더(120)의 외측 실린더(121)에 형성된 흡기 구멍(127)은 피스톤(130)의 단부(136)가 실린더(120)의 저벽(122)에 접근했을 때에 외기와 연통하여, 통로(117)와 개구(116)를 거쳐서 외기를 용기 내로 도입한다. 그 후에 피스톤(130)이 도 1에 나타낸 위치에 복귀했을 때에 흡기 구멍(127)은 피스톤(130)의 외측 슬라이드부(132a)에 의해 막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용기가 전도할 때에도 용기 내의 액체가 흡기 구멍(127)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펌프실(D)과 사출 실린더(B1)의 축선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나, 일본국 실공소 62-77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펌프실(D)과 사출 실린더(B1)의 축선이 경사지게 교차하는 분무기에도 상기 구성의 코일 스프링(140)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분무기에 대해 도 7∼도 24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분무기의 외관 측면도이며, 분무기는 액체세제(발포성의 액체)가 충전된 용기(80)의 입구에 캡(90)으로 부착되어 있다.
분무기는 트리거식이며, 프레임(1)과,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부세된 트리거(2)와, 프레임(1)의 선단에 부착된 분무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무기에서는 트리거(2)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복귀할 때에 용기(80) 내의 액체세제가 프레임(1) 내로 흡상되고, 트리거(2)를 후방으로 끌어당기면 프레임(2) 내에 흡상된 액체세제가 분무부재(20)의 선단으로부터 거품형상으로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분무기 토출부의 종단면도(도 8의 I-I 단면도)이며, 도 8은 그 정면도이다.
프레임(1)은 그 선단부에 토출관(3)을 갖추고 있으며, 이 토출관(3)에 지지제(10)가 고정되 있다.
도 10은 지지체(10)의 종단면도(도 11의 II-II 단면도)이며, 도 11은 그 정면도이다. 지지체(10)는 베이스 실린더(12), 파지 실린더(13), 및 서로 편심하여 설치된 베이스 실린더(12)와 파지 실린더(13) 사이에 배치된 칸막이판(11)을 갖는다. 베이스 실린더(12)는 토출관(3)의 외측에 봉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실린더(12)와 파지실린더(13)는 칸막이판(11)에 형성된 관통구멍(14)을 통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칸막이판(11)으로부터는 파지 실린더(13)의 내측에 동심으로 배치된 원주형상의 축부재(15)가 돌출하여 있다. 축부재(15)의 전면측 외주면에는 그 축선방향으로 축부재(15)의 전면 단부까지 뻗는 2개의 수직홈(16, 16)이 서로 원주방향으로 180°떨어져서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10)의 파지 실린더(13)에는 분무부재(20)가 부착되어 있다. 도 12는 분무부재(20)의 종단면도(도 13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13은 그 정면도이이며, 도 14는 그 배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IV-IV 단면도이다.
분무부재(20)는 그 중앙에 토출 노즐(21)이 관통 형성된 수직벽(22)을 갖는다. 이 수직벽(22)으로부터는 토출 노즐(21)과 동심으로 배치된 각각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내측 실린더(23), 중간 실린더(24), 외측 실린더(25)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실린더(23)의 저면(29)에는 토출 노즐(21)과 동심으로 배치된 원형의 소경(小徑) 凹부(26)와, 이 소경 凹부(26)로부터 소경 凹부(26) 내주면의 접선방향 외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뻗는 2개의 홈(선회류형성로)(27, 27)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실린더(23)의 전면 내주면에는 내측 실린더(23)의 선단면으로부터 저면의 전면 위치까지 직선적으로 뻗는 2개의 수직홈(28, 28)이 서로 원주방향으로 180°떨어져서 형성되어 있다. 홈(27, 27)은 수직홈(28, 28)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분무부재(20)는 내측 실린더(23) 내에 지지체(10)의 축부재(15)를 회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중간 실린더(24)의 외주면을 지지체(10)의 파지 실린더(13)의 전면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외측 실린더(25)의 내주면에 설치한 삽입환(30)을 파지 실린더(13)의 외주면에 설치한 삽입환(17)에 삽입시킴으로써 지지체(10)에 회동 가능하고 이탈 불가능하게 밀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지지체(10)의 축부재(15)의 선단면은 내측 실린더(23)의 저면(29)에 접촉하여 소경 凹부(26)를 막고 있다.
분무부재(20)를 지지체(10)에 대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지지체(10)의 수직홈(16)의 후단부와 분무부재(20)의 수직홈(28)의 선단부를 각각 합치시키거나 엇갈리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수직홈(16)의 후단부와 수직홈(28)의 선단부를 각각 합치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수직홈(16)을 통해 홈(27)이 수직홈(28)과 연결된다. 수직홈(16, 28)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하면, 수직홈(28)이 축부재(15)의 외주면에 의해 막힘과 동시에 수직홈(16)이 내측 실린더(23)의 내주면에 의해 막히므로 수직홈(16)과 수직홈(28) 사이의 연결이 차단된다.
분무부재(20)의 수직벽(22)으로부터는 중공의 돌출부(31)와 패각벽(32)이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31)의 내측에는 토출 노즐(21)과 연결된 원형의 소경 凹부(33)와 원형의 대경 凹부(34)가 토출 노즐(21)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각벽(32)은 돌출부(3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패각벽(32)의 선단은 돌출부(31)보다도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소경 凹부(33) 내주면에는 4개의 공기구멍(공기 유입로)(35)가 토출 노즐(21)의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패각벽(32)의 외주면으로 뚫린 공기통로(36)에 연결되어 있다. 패각벽(32)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절삭부(37, 38)를 가짐과 동시에, 상부의 절삭부(37)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멍(39, 39)과 하부의 절삭부(38)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멍(40, 40)을 갖는다.
분무부재(20)의 선단부에는 외면이 평탄한 충돌판(50)이 부착되어 있다. 도 16은 충돌판(50)의 측면도이며, 도 17은 그 배면도(도 16의 우측에서 본)이며, 도 18은 도 17의 V-V 단면도이다.
충돌판(50)의 상부에는 한쌍의 지축부(51, 5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지축부(51, 51)를 분무부재(20)의 관통구멍(39, 39)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충돌판(5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축부(51)는 관통구멍(39)에 단단하게 고정하여 충돌판(50)이 부주의로 인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충돌판(50)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수시킬 때(이하 충돌판(50)의 닫힌 상태라 한다) 분무부재(20)의 패각벽(32) 내에 딱 들어 맞는 형상 및 크기로 설계한다. 충돌판(50)의 하부에는 패각벽(32)보다 아래로 뻗는 설편(tongue)(5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설편(52)의 양측에 설치된 삽입돌기(53, 53)는 패각벽(32)의 관통구멍(40, 40)에 각각 삽입되어 충돌판(50)을 닫힌 상태로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충돌판(50)은 이 충돌판이 닫힌 상태일 때 토출 노즐(21)과 동심으로 위치하는 관통구멍(연장로)(54)을 갖는다. 이 관통구멍(54)은 분무부재(20)의 대경 凹부(34)의 내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다. 관통구멍(54)의 후부측에는 관통구멍(54)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단차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충돌판(50)이 닫힌 상태에서는 단차구멍(55) 내에 분무부재(20)의 돌출부(31)의 선단이 삽입하여 단차부에 근접해서 위치하게 된다.
충돌판(50)의 선단측에는 관통구멍(54)의 내주면으로부터 관통구멍(54)의 중심을 향해 뻗는 5개의 막대형상 충벽(충벽부)(56)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막대형상 충벽(56)의 선단은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관통구멍(54)의 선단은 5개의 막대형상 충벽(56)에 의해 중앙 개구(유통개구)(57)와 이 중앙개구(57)의 주위에 위치한 5개의 부채형상 개구(유통개구)(58)로 분할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 분무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분무부재(20)를 회전하여 지지체(10)의 수직홈(16)과 분무부재(20)의 수직홈(28)을 연결하고, 트리거(2)를 후방으로 끌어당기면 용기(80)의 액체세제가 토출관(3)으로 흡상된다. 이 액체세제는 토출관(3)으로부터 지지체(10)의 베이스 실린더(12), 관통구멍(14), 파지 실린더(13)를 통과하여, 수직홈(16, 28) 및 홈(27)을 통해 소경 凹부(26) 내로 유입한다.
액체세제는 홈(27)로부터 소경 凹부(26)로 유입했을 때 고속 선회류가 되고, 고속 선회하면서 토출 노즐(21)을 통해 흘러간다. 토출 노즐(21)을 나온 액체세제는 원심력에 의해 확산되면서 미세한 입자가 되어 소경 凹부(33) 및 대경 凹부(34) 내로 분사된다. 토출 노즐(21)로부터 액체세제가 분사되면 소경 凹부(33) 내가 부압이 되고, 이에 따라 공기구멍(35)으로부터 소경 凹부(33) 내로 공기가 유입한다.
이 분무기에서는 충돌판(50)의 개폐에 의해 액체세제의 분무형태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충돌판(50)을 닫았을 경우>
도 19는 충돌판(50)이 토출 노즐(21)에 대향에서 위치한 경우의 분사된 액체세제의 분무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는 분무부재(20)의 소경 凹부(33)와 대경 凹부(34) 및 충돌판(50)의 관통구멍(54)에 의해 기액기액 혼합로가 구성되어, 토출 노즐(21)로부터 분사된 액체세제의 분무입자의 일부는 상기 기액기액 혼합로의 내주면이나 막대형상 충벽(56)에 충돌하여 더욱 작은 입자가 되어 확산하여 기액기액 혼합로 내를 교반한다. 그 결과, 액체세제의 분무입자와 공기구멍으로부터 유입한 공기가 기액기액 혼합로 내에서 혼합되어 거품이 되고, 이 거품이 막대형상 충벽(56) 등에 충돌하지 않고 직진하는 분무입자와 혼합하여 충돌판(50)의 개구(57, 58)로부터 분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충돌판(50)을 닫았을 경우에는 기액기액 혼합로 내의 유입물이 충분히 교반되므로 액체세제에 거품이 잘 인다. 또 토출 노즐(21)과 기액기액 혼합로의 선단간의 거리가 길고, 확산각도가 좁으므로 개구(57, 58)로부터 분사되는 거품 및 분무입자는 거의 확산하지 않고 집속한 상태로 분사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판(50)을 닫고 액체세제를 분사시켜서 분무부재(20)의 전방 약 25∼30cm에 위치한 벽면 X-X에서의 액체세제의 부착상태를 관찰하였던 바, 도 20의 측면도 및 도 21의 정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되었다. 즉 이경우에는 액체세제는 벽면의 좁은 범위로 볼륨이 있는 거품상태로 부착되었다.
<충돌판(50)을 상방으로 물러나게 하였을 때>
도 22는 충돌판(50)을 상방으로 회전하여 토출 노즐(21)의 전방으로부터 물러나게 하였을 경우의 액체세제의 분사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분사부재(20)의 소경 凹부(33)와 대경 凹부(34)에 의해서 기액기액 혼합로가 구성된다. 따라서 충돌판(50)을 닫았을 때보다도 기액기액 혼합로의 전길이가 짧다.
토출 노즐(21)로부터 분사된 액체세제의 분무입자의 일부는 상기 기액기액 혼합로의 내주면에 충돌하여 보다 작은 입자가 되어 확산하고 기액기액 혼합로 내의 유입물을 교반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충돌판(50)이 물러나 있으므로 분무입자의 확산이 충돌판(50)을 닫은 경우에 비해 적어지고, 기액기액 혼합로 내를 교반하는 작용도 약해진다. 그러므로 액체세제의 거품도 충돌판(50)을 닫았을 경우에 비해 덜 일게 된다. 이 거품은 기액기액 혼합로의 내주면에 충돌하지 않고 직진하는 분무입자와 혼합하여 분무부재(20)의 대경 凹부(34)로부터 분사된다.
이와 같이 충돌판(50)을 물러나게 한 경우에는 토출 노즐(21)과 기액기액 혼합로 선단간의 거리가 짧고 확산각도가 넓어지므로 거품 및 분무입자는 대경 凹부(34)로부터 확산하면서 분사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판(50)을 상방으로 물러나게 하여 액체세제를 분사시켜서 분무부재(20)의 전방 약 25∼30cm에 위치한 벽면 X-X에서의 액체세제의 부착상태를 관찰하였던바, 도 23의 측면도 및 도 24의 정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되었다. 즉 이 경우에는 액체세제는 벽면의 넓은 범위로, 그 중앙부분이 거품상태로 되고 그 주위가 분무상태로 되어 얇고 넓게 부착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한 분무기에서는 토출 노즐(21)에 대향해서 배치된 충돌판(50)을 토출 노즐(21)의 전방위치로부터 물러나게 함으로써 액체를 충분한 거품상태로 분사시키느냐 또는 그다지 좋지 않은 거품상태로 분사시키느냐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충돌판(50)을 토출 노즐(21)에 대향해서 배치한 경우에 기액기액 혼합로를 실질적으로 연장시키는 관통구멍(54)을 충돌판(50)에 형성한 경우에는 충돌판(50)의 유통개구로부터 분사되는 거품의 확산을 적게 할 수 있다.
본원의 제1의 발명의 분무기는 (a) 분무구멍을 갖는 분무부재와, (b) 실린더와, (c) 상기 실린더 내에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어서, 후진동작시에 실린더 내에 액체를 빨아 올리고, 전진동작시에 실린더 내의 액체를 가압하여 상기 분무부재의 분무구멍으로부터 액체를 분무하는 피스톤과,
(d)나선형상으로 감은 코일권선으로 되며, 그 종단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부분을 코일권선의 축중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편위시키고, 또한 편위시킨 부분을 코일권선의 축중심에 대해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면상에 배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을 후진동작 방향으로 부세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권선의 종단으로부터의 소정 길이라 함은 코일권선의 종단으로부터 나선의 감는 방향에 연하여 측정한 길이를 말한다. 코일권선의 축중심이라 함은 나선의 중심을 말한다.
코일스프링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을 올바른 자세로 하여 실린더와 피스톤간에 조립해 넣을 수 있다. 또 조립해 넣은 코일스프링은 원활하게 탄성수축할 수 있으므로 분무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원 제2의 발명의 분무기는 상기 제1의 발명을 전제로 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을 다음과 같이 치수 설정한 것이다.
s≥0.5d
여기서 s는 상기 코일권선의 종단의 축중심방향으로의 편위량이며, d는 코일권선의 선의 직경이다.
단 제1의 발명은 이 치수의 범위를 벗어나도 성립한다.
본원 제3의 발명의 분무기는 발포성을 갖는 액체를 포말형상으로 하여 분사하는 분무기이며, (a) 토출 노즐과, (b) 상기 토출 노즐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토출 노즐에 연통하여 액체에 선회류를 생기게 하는 선회류 형성로와, (c) 상기 토출 노즐의 하류측에 토출 노즐과 동심상으로 연통하여 설치된 기액기액 혼합로와, (d) 상기 기액기액 혼합로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로와, (e) 상기 기액기액 혼합로의 하류측에 상기 토출 노즐에 대향해서 배치됨과 동시에 토출 노즐의 전방위치로부터 물러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층벽부 및 유통개구를 갖는 충돌판을 구비한다.
선회류 형성로를 통한 액체는 선회류가 되어 토출 노즐로부터 기액기액 혼합로로 분사되고, 이때에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미세한 분무입자가 되어 확산한다. 토출 노즐로부터의 액체의 분사에 의해 토출 노즐 근방이 부압화되고, 이에 따라 공기 유입로로부터 공기가 기액기액 혼합로 내로 유입한다.
충돌판을 토출 노즐에 대향해서 배치할 때에는 기액기액 혼합로로 분사된 분무입자의 일부가 기액기액 혼합로 및 충돌판의 층벽부에 충돌하여 비산하여 기액기액 혼합로 내를 교반한다. 그 결과 액체의 분무입자와 공기가 기액기액 혼합로 내에서 충분히 혼합되어 거품이 되고, 이 거품이 층벽부 등에 충돌하지 않고 직진하는 분무입자와 혼합하여 유통개구로부터 분사된다. 이와 같이 충돌판을 닫은 경우에는 기액기액 혼합로 내가 충분히 교반되므로 액체세제에 충분히 거품이 인다.
한편 충돌판을 토출 노즐의 전방위치로부터 물러나게 한 경우에는 기액기액 혼합로로 분사된 분무 입자가 충돌 가능한 부분은 기액기액 혼합로의 내주면만이므로 기액기액 혼합로 내를 교반하는 작용이 약해서 거품이 이는 일도 적다.
상기 공기 유입로의 개구단은 토출 노즐에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액체와 공기의 혼합효과를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원 제4의 발명의 분무기는 상기 제3의 발명을 전제로 하여, 상기 토출 노즐과 선회류 형성로와 기액기액 혼합로와 공기 유입로를 갖는 선단 구성부재를 구비하며, 이 선단 구성부재에 상기 충돌판을 회동 가능하게 부착시킨 것이다.
본원 제5의 발명의 분무기는 상기 제3의 발명을 전제로 하여, 상기 충돌판은 충돌판을 토출 노즐에 대향해서 배치했을 때에 상기 기액기액 혼합로를 실질적으로 연장시키는 연장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연장로의 하류측에 상기 층벽부 및 유통개구가 배치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충돌판의 유통개구로부터 분사되는 거품의 확산을 적게 할 수 있다. 단 제3의 발명에 대해서는 상기 연장로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충돌판이라도 성립한다.
본원 제6의 발명의 분무기는 상기 제3의 발명을 전제로 하여, 상기 충돌판의 충벽부를 상기 토출 노즐의 중심연장선상에 접속하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는 복수의 막대형상 벽으로 구성하고, 상기 유통개구를 막대형상 충벽과 막대형상 충벽 사이, 및 토출 노즐의 중심연장선상에 형성한 것이다. 단 제3의 발명은 상기 이외의 구성으로 된 충돌부와 유통개구이어도 성립한다.
또한 제1∼제6의 발명중의 임의의 어느 분무기에 있어서도 펌프구동기구로는 트리거식이나 기타 여러가지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 세제나 액체 살충제, 기타 여러가지 용도에 사용되는 액체를 분무형상 또는 거품 형상으로 분사하는 분무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a) 토출 노즐과,
    (b) 상기 토출 노즐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토출 노즐에 연통하여 액체에 선회류를 생기게 하는 선회류 형성로와,
    (c) 상기 토출 노즐의 하류측에 토출 노즐과 동심상에 연통하여 설치된 기액기액 혼합로와,
    (d) 상기 기액기액 혼합로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복수의 공기 유입로와,
    (e) 상기 기액기액 혼합로의 하류측에 상기 토출 노즐에 대향해서 배치됨과 동시에 토출 노즐의 전방위치로부터 물러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충벽부 및 유통개구를 갖는 충돌판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유입로는 상기 토출 노즐의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충돌판은 외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는, 발포성을 갖는 액체를 포말형상으로 분사하는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노즐과 상기 선회류 형성로와 상기 기액기액 혼합로와 상기 공기 유입로를 갖는 선단 구성부재를 구비하며, 이 선단 구성부재에 상기 충돌판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분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은 충돌판을 토출 노즐에 대향해서 배치했을 때에 상기 기액기액 혼합로를 실질적으로 연장시키는 연장로를 구비하고, 이 연장로의 하류측에 상기 충벽부 및 유통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분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의 충벽부는 상기 토출 노즐의 중심연장선상에 접속하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는 복수의 막대형상 충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통개구는 막대형상 충벽과 막대형상 충벽 사이 및 토출 노즐의 중심연장선상에 형성된 분무기.
KR1019960704292A 1994-12-09 1995-12-05 분무기 KR100364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92394A JP3566368B2 (ja) 1994-12-09 1994-12-09 トリガ式噴霧器のバネ部材
JP94-330923 1994-12-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068A Division KR100378206B1 (ko) 1994-12-09 1995-12-05 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4596B1 true KR100364596B1 (ko) 2003-03-06

Family

ID=182379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068A KR100378206B1 (ko) 1994-12-09 1995-12-05 분무기
KR1019960704292A KR100364596B1 (ko) 1994-12-09 1995-12-05 분무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068A KR100378206B1 (ko) 1994-12-09 1995-12-05 분무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75594A (ko)
EP (3) EP1103307B1 (ko)
JP (1) JP3566368B2 (ko)
KR (2) KR100378206B1 (ko)
CN (3) CN1140424A (ko)
AU (1) AU714943B2 (ko)
CA (1) CA2181820C (ko)
DE (2) DE69535197T2 (ko)
WO (1) WO1996017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9481B2 (en) * 1995-04-10 2004-05-25 Dispensing Patents International Llc Spray dispensing device with nozzle closure
US6382463B2 (en) * 1995-04-10 2002-05-07 Dispensing Patents International Llc Spray dispensing device with nozzle closure
JP3781904B2 (ja) * 1998-05-01 2006-06-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における合成樹脂製復帰ばね
US7010343B2 (en) * 2001-04-06 2006-03-07 Mattioli Engineering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kin absorption enhancement and transdermal drug delivery
WO2003011475A1 (fr) * 2001-07-31 2003-02-13 Canyon Co., Ltd. Distributeur a pompe et pulverisateur comprenant ce dernier
EP1439005B1 (en) * 2001-10-16 2009-03-11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Aerosol spray nozzle
JP2004351267A (ja) * 2003-05-27 2004-12-16 Denso Corp マイクロミスト発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071036A (ja) * 2005-09-05 2007-03-22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US7303150B2 (en) * 2005-11-22 2007-12-04 Meadwestvaco Corporation Foam and spray nozzles having a hinged door and a trigger dispenser incorporating same
US20070119982A1 (en) * 2005-11-29 2007-05-31 Hildebrand George R Foam nozzles having a locked screen door and a trigger dispenser incorporating same
JP2007205398A (ja) * 2006-01-31 2007-08-16 Showa Corp ばね受構造
JP2010173555A (ja) * 2009-01-30 2010-08-1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マスタシリンダ
CN101797539B (zh) * 2009-02-11 2011-11-23 屠旭峰 泡沫喷枪
GB201110250D0 (en) 2011-06-16 2011-08-03 Obrist Closures Switzerland A trigger pump dispenser
FR3005916B1 (fr) * 2013-05-24 2015-05-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Lave glace multi jets
JP6308809B2 (ja) * 2013-08-30 2018-04-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WO2015145399A1 (en) * 2014-03-28 2015-10-01 Fater S.P.A. Cleaning system comprising a sprayer bottle and a cleaning composition
DE102015108478B4 (de) * 2015-05-29 2018-08-02 VAG GmbH Ventilanordnung
CN105251628A (zh) * 2015-08-28 2016-01-20 宁波市创佳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美容喷枪
US11213842B2 (en) * 2018-01-30 2022-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 dispenser with unitary sprayer cover and method of assembling a spray dispenser
JP6956655B2 (ja) * 2018-02-28 2021-11-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IT202000013405A1 (it) * 2020-06-05 2021-12-05 Guala Dispensing Spa Testa di erogazione a grilletto con gruppo ugello
CN114832717B (zh) * 2022-05-14 2023-05-16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油漆施工配料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8457U (ja) * 1983-04-05 1984-10-24 株式会社 三谷バルブ 噴霧ポンプのバネ部材
DE4005094A1 (de) * 1989-03-06 1990-09-13 Monturas Sa Schaeumvorrichtung
JPH0370765U (ko) * 1989-11-09 1991-07-16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4169A (en) * 1967-02-17 1968-12-03 Diamond Int Corp Liquid dispenser
DE1932696A1 (de) * 1968-07-01 1970-01-29 Cook Chemical Company Steuerventil fuer Handpumpen
US3583605A (en) * 1969-01-17 1971-06-08 Diamond Int Corp Liquid dispensing pump
US4065038A (en) * 1976-04-07 1977-12-27 Realex Corporation Pump sprayer
US4153203A (en) * 1977-03-02 1979-05-08 Tetsuya Tada Trigger type sprayer
JPS5482711A (en) * 1977-12-14 1979-07-02 Tetsuya Tada Sprayer
US4463905A (en) * 1978-06-27 1984-08-07 The Dow Chemical Company Foam-generating pump sprayer
DE2902624C2 (de) * 1979-01-24 1985-10-10 Pfeiffer Zerstäuber Vertriebsgesellschaft mbH & Co KG, 7760 Radolfzell Ausgabepumpe
JPS5638155A (en) * 1979-09-05 1981-04-13 Canyon Corp Foam spray unit
AU537072B2 (en) * 1979-08-16 1984-06-07 Canyon Corp. Foam dispenser
FR2528328B1 (fr) * 1982-06-11 1985-11-22 Valve Precision Sarl Dispositif de pulverisation pour liquides
ES273524Y (es) * 1983-07-14 1985-04-16 Monturas Y Fornituras S.A. Pistola proyectora de liquidos
FR2579531B1 (fr) * 1985-03-26 1989-05-26 Abg Semca Procede et dispositif de chauffage pour vehicules a besoin de puissance limitee
JPS6320970A (ja) * 1986-07-15 1988-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ヨン信号の雑音抑圧装置
US4779803A (en) * 1986-08-11 1988-10-25 Calmar, Inc. Manually actuated liquid sprayer
JPH07110034B2 (ja) * 1987-07-06 1995-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ト状物の搬送読取り装置
JPH01110863U (ko) * 1988-01-14 1989-07-26
US4925106A (en) * 1988-04-13 1990-05-15 Afa Products, Inc. Foam-off nozzle assembly with barrel screen insert for use in a trigger sprayer
US4958754A (en) * 1989-03-01 1990-09-25 Continental Sprayers, Inc. Dispenser or sprayer with vent system
JPH0383653A (ja) * 1989-08-29 1991-04-09 Brother Ind Ltd カラープリンタ
JPH0383653U (ko) * 1989-12-15 1991-08-26
DE4008070A1 (de) * 1990-03-14 1991-09-19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kopf fuer medien-austragvorrichtungen
US5065911A (en) * 1990-05-14 1991-11-19 Seaquist Closures Two-piece dispensing closure with cantilevered biasing member
US5575407A (en) * 1990-10-25 1996-11-19 Contico International, Inc. Low cost trigger sprayer having container with integral saddle
US5385302A (en) * 1990-10-25 1995-01-31 Contico Low cost trigger sprayer
US5158233A (en) * 1991-10-07 1992-10-27 Contico International, Inc. Foamer trigger dispenser with sealing device
JP2711050B2 (ja) * 1992-07-13 1998-02-10 三田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ユニット固定構造
WO1994005911A1 (en) * 1992-09-03 1994-03-17 Yoshino Kogyosho Co., Ltd. Piston of pump of trigger type liquid discharger
DE4324607A1 (de) * 1993-01-26 1994-08-04 Meckenstock Fritz Gmbh Handbetätigte Sprühpumpe
JP2857032B2 (ja) * 1993-08-06 1999-02-10 哲也 多田 手動式トリガ−タイプ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ノズル
DE4342304A1 (de) * 1993-12-11 1995-06-14 Owens Illinois Closure Inc Sprühpumpe
US5397060A (en) * 1994-01-21 1995-03-14 Afa Products, Inc. Foam-spray-off trigger sprayer
US5366160A (en) * 1994-03-09 1994-11-22 Calmar Inc. Foamer nozzle with looped rib flow disrupters
JP2892289B2 (ja) * 1994-09-16 1999-05-17 キャニヨン株式会社 トリガ−タイプ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ための一方向弁
US5622317A (en) * 1994-12-12 1997-04-22 Contico International, Inc. Pressure buildup trigger sprayer
US5562250A (en) * 1995-02-13 1996-10-08 Contico International, Inc. Multiple component mixing trigger spray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8457U (ja) * 1983-04-05 1984-10-24 株式会社 三谷バルブ 噴霧ポンプのバネ部材
DE4005094A1 (de) * 1989-03-06 1990-09-13 Monturas Sa Schaeumvorrichtung
JPH0370765U (ko) * 1989-11-09 1991-07-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66368B2 (ja) 2004-09-15
CN1107552C (zh) 2003-05-07
CA2181820A1 (en) 1996-06-13
EP0744217A1 (en) 1996-11-27
EP1103308A3 (en) 2001-08-29
EP1103308A2 (en) 2001-05-30
WO1996017690A1 (fr) 1996-06-13
CN1304802A (zh) 2001-07-25
US5775594A (en) 1998-07-07
DE69535197T2 (de) 2007-07-19
KR100378206B1 (ko) 2003-03-29
EP1103307B1 (en) 2006-08-23
CN1110376C (zh) 2003-06-04
EP1103307A3 (en) 2001-08-29
CA2181820C (en) 2004-03-09
JPH08155353A (ja) 1996-06-18
DE69535624D1 (de) 2007-11-29
AU3994995A (en) 1996-06-26
EP0744217A4 (en) 1998-05-06
DE69535624T2 (de) 2008-07-24
CN1140424A (zh) 1997-01-15
EP1103308B1 (en) 2007-10-17
AU714943B2 (en) 2000-01-13
DE69535197D1 (de) 2006-10-05
EP1103307A2 (en) 2001-05-30
CN1304801A (zh)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596B1 (ko) 분무기
KR100257489B1 (ko) 분무노즐
US4187985A (en) Aerosol valve for barrier type packages
US6715698B2 (en) Manually operable trigger sprayer with rearwardly located sprayer valve
KR860002013B1 (ko) 트리거 타입 분무기
US20060065765A1 (en) Fluidic nozzle for trigger spray applications
KR930009079B1 (ko) 트리거 스프레이어에 사용되는 배럴스크린 인서트를 구비한 거품노즐조립체
KR20040100930A (ko) 외부 혼합 용기를 구비하는 이중 분무기
JPH0734881B2 (ja) 噴射装置用スプレーヘツド
US6561438B1 (en) Foam generating nozzle assembly
JP3524165B2 (ja) 噴射装置の吐出部構造
JPH0679202A (ja) 噴霧ノズル
JPS60183061A (ja) ワンウエ−のトリガ−タイプ噴霧器およびデイスペンサ−
JP7502775B2 (ja) 噴霧ノズル
KR100572806B1 (ko)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
JPH03256879A (ja) 液体を噴霧状に送り出すための改良されたバルブ
JPS641014Y2 (ko)
KR102412969B1 (ko) 구조가 단순한 미세분무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독장치
AU750464B2 (en) Sprayer
KR840000019Y1 (ko) 발포기(發泡器)
AU728935B2 (en) Sprayer
JP2022014193A (ja) 噴霧ノズル
JP2602636Y2 (ja) 噴霧器
JPH11169759A (ja) エアゾル噴射装置
JPH0436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