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013B1 - 트리거 타입 분무기 - Google Patents

트리거 타입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013B1
KR860002013B1 KR1019830005412A KR830005412A KR860002013B1 KR 860002013 B1 KR860002013 B1 KR 860002013B1 KR 1019830005412 A KR1019830005412 A KR 1019830005412A KR 830005412 A KR830005412 A KR 830005412A KR 860002013 B1 KR860002013 B1 KR 86000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cylinder
nozzle
pist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977A (ko
Inventor
데쯔야 다다
가즈유끼 가와모도
아끼히고 야먀다
Original Assignee
캬니용 가부시기 가이샤
데쯔야 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034940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605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37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8843A/ja
Application filed by 캬니용 가부시기 가이샤, 데쯔야 다다 filed Critical 캬니용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2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 B05B1/343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being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operating elements, e.g. by means of grooves
    • B05B1/343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being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operating elements, e.g. by means of grooves the interface bei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utlet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64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2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리거 타입 분무기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종래의 세개의 유로, 두 개의 유로 및 본 발명의 단일 유로의 트리거 타입 분무기를 개략적으로 각각 표시한 개념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본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트리거 타입 분무기를 표시한 측면도, 및 부분 정면도.
제 6 도는 펌프 기구 14의 하우징을 표시한 사시도.
제 7 도는 노즐의 록크된 상태로 표시한 제 1 실시예의 분무기의 측단면도.
제 8 도는 2차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제 9 도는 1차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노즐의 록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표시한 제 1 실시예의 분무기의 측단면도.
제11도는 노즐을 압입한 상태에서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분무기의 측단면도.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의 실시예의 트리거타입 분무기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및 부분 정면도.
제14도 및 제19도는 피스톤이 초기위치(돌출위치) 및 압입위치에 있는 제 2 의 실시예의 트리거타입 분무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15도는 제 1피스톤의 정면도.
제16도는 노즐의 스핀너의 배면도.
제17도는 밸브롯드의 사시도.
제18도는 힌지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0도는 챠일드 프루브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트리거를 회동시킴으로서 피스톤을 왕복운동시키며, 그로 인해서 용기내의 액체를 빨아올리고 가압하여 분무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류의 분무기는 용기의 구부(口部)에 설치되는 분무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에 형성된 유로(流路)의 수에 맞추어, 3개의 유로(제 1 도) 또는 두 개의 유로(제 2 도)의 트리거 타입 분무기가 구성된다.
세개 유로의 트리거 타입 분무기(이하 세개유로의 분무기라 말함)에서는 용기내의 액체는 흡상관(210)및 일차밸브(211)를 거쳐 수직 유로(212)를 흘려가며 거기서 경사유로(214)에 흘려 들어간다. 트리거에 연동하는 피스톤이 경사유로(214)내에서 압입당으로서 액체는 가압되여 수평유로(216)에 유입하고, 2차밸브(217)을 거처 노즐의 오리피스에서 분무된다.
이에 대하여 두 개의 유로의 트리거 타입 분무기(이하 두개 유로의 분무기라 칭함)에서는, 경사유로가 제거되고 피스톤은 수평유로에 배설되어 있다. 즉, 흡상관(210), 수직유로(212)를 흐른 액체는, 1차밸브(211)를 거쳐 수평유로(216)에 흘러 들어간다. 그리고 액체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가압되며, 가압된 액체는 2차밸브(217) 및 오리피스를 통하여 분무된다.
그리고 피스톤과 함께 펌프기구를 구성하는 실린더는 분무기본체의 경사유로(세개유로의 분무기일때) 또는 수평유로(두개분무기 일때)에 형성되여 있다. 또 트리거는 분무기 본체와 별개로 형성되여 분무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여 있다.
여기서 세개 유로의 분무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압입 방향과 가압 액체의 흐르는 방향은 일치하지 않는다. 즉, 가압액체는 압축을 받은 경사유로로 흘려들어가며 가압 액체의 흐르는 방향이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액체의 압력의 분력(分力)이 분무기 본체에 전달되고 말아, 액체 자신의 압력 강하를 발생한다.
또한 이 타입이 세계 유로의 분무기는 유로가 많음으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며 따라서 부품수도 많아지고 싼값으로 생산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한편, 두 개유로 분무기에서는 피스톤의 압입 방향과 가압 액체의 흐르는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압력강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두개 유로 분무기는 부품수도 비교적 적고 꽤 싼값으로 생산할 수가 있다.
그러나 현실의 기술 경쟁에 있어서는, 한층 부품수를 적게하여 더욱 싼값으로 생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어 이러한 두개 유로 분무기로서도 아직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구성을 간단화하여 부품수를 가능한한 줄이고, 극히 싼값에 생산할 수 있는 트리거 타입분무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분무기 통체에 해당하는 부분은 용기와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그 일부가 되고, 분무기 통체에 해당하는 부분에 유로는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펌프 기구의 하우징은 트리거 및 실린더를 일체적으로 구비하여 형성되여서 분무기 기통체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되여 있으며, 노즐은 트리거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여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제 3 도시와 같이 실린더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평유로(216)만을 갖는 단일유로의 트리거 타입분무기를 싼값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제 4 도 제1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예의 트리거 타입 분무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4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단일유로 타입의 트리거 분무기(10)은 용기(12)와 이 용기(12)에 설치된 펌프기구(14)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용기(12)는 제 4 도 및 제 7 도에서 이해되는 바와같이 연직방향(鉛直方向)을 따라 뻗은 용기 본채(12a)와 이 용기본체(12a)의 상부의 직립면에서 형성된 일측면(12b)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은 구부(12c)등을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이 용기(12)의 구부(12c)는 가로 방향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펌프기구(14)는 제 7 도시에서 잘 알수 있는 바와같이, 용기(12)의 구부(12c)에 설치되는 하우징(16)과, 수평유로를 형성한 실린더(18)과, 실린더(18)내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0)과, 트리거(22)등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18)의 후단에는 흡상관(24)의 일단이 설치되여 서로 연통하고 있으며, 이 흡상관(24)의 타단은 만곡하여 용기(12)의 저부 방향으로 뻗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18)의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연직방향을 따라 흡상관(24)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도시에서의 같이 실린더(18)의 측선방향, 즉 수평방향을 따라 흡상관(24)를 설치하는 구성이 성형 가공상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우징(16), 실린더(18) 및 트리거(22)는 제 6 도시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여 있으며, 실린더(18)는 하우징(16)의 내부에서 이의 중간부에 설치되여 있다. 이와같이 펌프기구(14)를 용기(12)에 직접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종래의 체부링에 의하여 분무기 본체를 용기에 설치하고 있던 구성에 비교하여 체부링 및 분무기 본체가 생략되어 구성이 간단화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6) 및 구부(12c)는 이탈 방지용의 걸어맞춤돌기(26) 및 이 걸어맞춤돌기(26)가 들어갈 凹 소(28)이 각각 형성되여 있다.
또한 제 6 도시에서와 같이 트리거(22)는 엷은 힌지(30)을 통하여 하우징(16)의 전단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여 있다. 이와같이 트리거(22)를 하우징(16)과 일체로 형성한 구성은, 종래의 트리거가 실린더와 별개로 형성되었던 구성에 비하여 독립의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구성이 간단화된다. 또한 중앙에 분출공(32)이 형성된 노즐(34)은 트리거(22)와 일체로 형성되여 있다. 그러므로 똑같이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한편, 이 노즐(34)의 하단연이 트리거(22)에 엷은 힌지(36)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여 있다.
펌프기구(14)의 피스톤(20)은 노즐(34)의 원통부(34a)내로 끼워 맞춘 전방부와 실린더(18)내에 끼워맞춘 후방부 등을 구비하며, 또 피스톤(20)의 중간부의 외주면과 후단부의 외주면등에는, 실린더(18)의 내면에 각각 접접할 스카트 모양의 시일편(38),(40)이 각각 형성되여 있다. 피스톤(20)은 중공통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전단면이 개방되고 후단면에는 소경의 투공(42)이 형성되여 있다. 이 피스톤(20)내에는 2차밸브(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납되여 있다. 이 2차밸브(44)는 상술한 투공(42)를 폐쇄 가능한 2차밸브체(46)와 노즐(34)의 후면에 맞닿는 스핀너(48)와, 이들 2차밸브체(46)와 스핀너(48)사이에 현성된 스프링부(50)등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 스프링부(50)은, 2차밸브체(46)을, 이것이 투공(42)을 폐쇄하도록, 스핀너(48)을 이것이 노즐(34)에 맞닿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이 2차밸브(44)는 제 8 도시와 같이 일체로 구성되여 있으며, 2차밸브체(46)는 투공(42)내로 끼워 맞춤이 가능한 본체부(46a)와, 중심축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은 4개의 날개로 된 안내부(46b)등을 구비하며, 스핀너(48)는 원판모양의 본체(48a)와 중심 축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은 4개의 날개로 된 안내부(48b)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체(48a)의 전면에는, 중앙부에 원형의 凹 소(48c)와, 이 凹 소(48c)에서 접선 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상호 평행한 유로(48d)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핀너(48)에 있어서 접선방향의 유로(48d)는 그 자체로서는 그 전면이 개방되여 있음으로 스핀너로서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노즐(34)에 스핀너(48)가 맞닿으면, 유로(48d)의 전면이 폐쇄되기 때문에 스핀너로서 작용하며, 가압액은 유로(48d)에 의하여 와류화하여 흘러, 凹 소(48c) 및 분출공(32)을 통하여 분무된다.
한편, 실린더(18)의 후벽 중앙부에는 흡상관(24)과 연통한 투공(52)이 형성되여 있다. 또 실린더(18)의 내부 후방에는, 일차밸브(54)가 설치되여 있다. 이 일차밸브(54)는, 제 9 도에 서표시한 바와같이, 투공(52)을 폐쇄가능한 1차밸브체(56)와 같은 축에 설치되어 실린더(18)내에 끼워맞춰지는 링부(58)와, 1차밸브체(56)와 링부(58)등을 연결하는 3개의 등각적 원주방향으로 뻗도록 배설된 암(60)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1차밸브(54)의 구성으로 통상의 상태에서는 암(60)의 탄력에 의하여 1차밸브(56)은 일측으로 편의되여 투공(52)을 밀봉하고 있다. 그러나, 일차밸브체(56)는 암(60)이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투공(52)에서 떨어지도록 피스톤(20)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할수가 있다.
한편, 실린더(18)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62)이 수납되여 있으며, 이 압축코일 스프링(62)의 전단은 피스톤(20)의 후단에 맞추어 끼우고, 후단은 1차밸브(54)의 링부(58)의 전단에 맞추어 끼우고, 피스톤(20)을 실린더(18)에서 밀어내도록, 또는 1차밸브(54)를 실린더(18)의 후벽에 밀어붙이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상술한 트리거(22)의 후측에는 역 L모양의 걸어맞춤부(64)가 형성되여 있으며, 하우징(16)의 하단부에는 지(66)을 통하여, 서포트바(68)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서포트바(68)의 선단에는 걸어맞춤부(64)와 걸어 맞춤이 가능한 핀 모양의 피걸어맞춤부(70)가 형성되여 있다.
이 피걸어맞춤부(70)이 걸어맞춤부(64)와 제 6 도시와 같이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트리거(22)의 회동은 저지되고 트리거(22)는 록크된다.
한편, 서포트바(68)의 일측에는 하우징(16)에 형성된 홈(72)에 삽입되여 여기에 지지된 돌출부(74)가 형성되여 있다.
제10도시와 같이 돌출부(74)가 홈(72)에 삽입되여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포트바(68)는 트리거(22)의 회동을 자유로히 허용하고 트리거(22)는 회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실린더(18)의 전방부분에는 부압방지공(負壓防止孔)(7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압 방지공(76)은 구부(12c)의 내부를 통하여 용기(12)의 본체(12a)와 연통하고 있다. 또 이 부압방지공(76)은, 트리거(22)가 밀어 넣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제 7 도시와 같은, 양 시일편(38),(40)사이에 위치하고 있음과 동시에 트리거(22)는 압입된 상태에 있어서 제11도시와 같이 전방의 시일편(38)이 여기에 이르도록 배치되여 있다. 즉, 트리거(22)가 압입되면, 이 부압 방지공(76)을 통하여, 용기(12)내는 대기와 연통 상태가 된다. 한편, 피스톤(20)의 후방에 위치한 실린더(18)내의 내부 공간은 가압실(78)로서 규정된다.
또 제 5 도 및 제 6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트리거(22)의 소정량 이상의 회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6)의 내면 및 트리거(22)의 외면에는 2쌍의 걸어맞춤용 돌조(80),(82)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여 있다.
이 걸어맞춤용 돌조(80),(82)는 제 6 도시의 상태에서 힌지(30)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의 트리거(22)의 회동은 허용하되, 제 5 도시 상태에서 시계방향의 트리거(22)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여 있다.
이와같이 걸어맞춤용돌조(80),(82)를 형성함으로서 트리거(22)는 제 7 도 및 제10도시의 압입전 위치와 게11도시의 압입후 위치와의 사이에서 힌지(30)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자재하게 유지케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분무기(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반송 및 가게앞 전시의 단계에서는 제 7 도시와 같이 트리거(22)의 걸어맞춤부(64)에 서포트바(68)의 피걸어맞춤부(70)는 걸어맞춤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22)를 힌지(30)의 둘레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져하는 압력이 트리거(22)에 작용해도 트리거(22)는 서포트바(68)에 저지되여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트리거(22)가 부주의로 회전함이 없으며 불필요한 분무가 방지된다.
즉, 차일드 프루브(Child Proof)의 달성이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차일드 프루브 기구는 펌프기구(14)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여 있어, 그 구성이 극히 간단화할 수 있다. 이 차일드 프루브 기구는 버진 록크뿐 아니라, 일단 사용을 중지할 때에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시 걸어맞춤부(64) 및 피걸어맞춤부(70)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서포트바(68)를 힌지(66)의 둘레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돌출부(74)를 하우징(16)의 홈(72)내에, 제 9 도시와 같이 걸어 맞추워서 록크한다. 이와같이 서포트바(68)을 록크함에 따라, 서포트바(68)는 트리거(22)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트리거(22)를 앞으로 잡아 당기면 트리거(22)는 코일 스프링(62)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힌지(30)의 둘레에서 회동된다. 그러면 트리거(22)의 회동에 대응하여 피스톤(20)이 실린더(18)내로 압입되여 실린더(18)내의 가압실(78)의 용적이 적어진다.
이때, 노즐(34)는, 하단 가장자리만이 힌지(36)를 통하여 하우징(16)에 접속되고, 상단가장자리는 자유스러운 상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노즐(34)은, 이 상단 가장자리의 자유스러운 상태에 의하여 트리거(22)의 회동에 맞추어 회동함이 없이 대체로 직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하여 피스톤(20)은 대체로 수평상태를 유지한 그대로 실린더(18)내로 압입된다.
그후 트리거(22)에의 압입력을 제거하면, 코일 스프링(62)의 편의력에 의하여 피스톤(20) 및 트리거(22)는 제 9 도시의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가압실(87)의 용적은 증가함으로 가압실(78)내에 부압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암(60)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1차밸브(54)는 개방되고, 가압실(78)내의 부압에 의해 용기(12)내의 액체는 흡상관(24), 1차밸브(54)를 통하여 가압실(78)내로 유입한다.
한편, 1차밸브(54)는 액체의 유입이 끝난 시점에서 투공(52)을 폐쇄한다. 여기서 2차밸브(44)는 코일 스프링(50)의 편의력에 의하여 폐쇄되여 있고, 또 가압실(78)내의 부압은 2차밸브(44)를 폐쇄할 방향으로 작용함으로 2차밸브(44)의 액밀은 충분히 확보된다.
여기서 용기(12)내의 액체는 흡상관(24)를 통하여 가압실(78)내에 흡상됨으로서 용기(12)내의 액체는 감소하고 용기(12)내는 부압화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실린더(18)에 부압 방지공(76)이 형성되고 피스톤(20)이 실린더(18)내로 압입될때,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부압 방지공을 넘어서 시일편(38)이 이동한다.
그러므로 용기내는 부압 방지공(76)을 통하여 대기와 연통하고, 부압화가 방지된다.
그후, 트리거(22)를 제차, 힌지(30)의 둘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피스톤(20)이 실린더(18)내측으로 이동하며, 트리거(22)를 다시 회동함에 따라서 피스톤(20)은 실린더(18)내에 들어가 가압실(78)내의 액체를 가압한다. 액체가 가압되고 그 압력이 2차밸브(44)의 스프링부(50)의 편의력보다 커지면 2차밸브체(46)는 투공(42)에서 떨어져 2차밸브(44)는 개방된다. 여기서 2차밸브체(46)는 스핀너(48)의 전면을 노즐(32)에 맞닿아서 접선 방향의 유로(48d)(제 6 도 및 제 7 도 참조)의 전면을 닫으므로, 투공(42)에서 유출한 가압액은 유로(48d)내로 유입하여 와류화되여 분출공(32)에서 분무된다.
그리고 트리거(22)로의 압입력을 제거함으로서, 옹기(12)내의 액체는 가압실(78)내로 흡상되며, 다음의 분무동작의 준비가 완료되고, 트리거(22)를 당김에 따라 다음 분무가 반복된다.
한편, 분무기(10)은 스핀너(48)를 제거하면 디스펜서(dispenser)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와류화되여 분출공(32)에서 분무되는 액체를 장벽과 같은 발포 수단에 충돌시켜서 발포시킴에 따라, 발포기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측방이 아니고 용기(12)의 윗방향으로 펌프기구(14)를 설치하여, 피스톤(18)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위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는 하우징 중간부분에 흡상관의 설치부가 실린더의 일단 부분에, 트리거가 하우징의 타단 부분에 각각 일체적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트리거에 노즐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여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래의 분무기 본체를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 독립된 부재이었던 트리거, 노즐등이 실린더와 일체적으로 형성됨으로서 구성이 간단화하고 독립한 부품수를 감소한다. 또한 조립에서도 용이하게 되며 싼값으로 분무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서는, 종래의 두개 유로형의 이점을 유지한 단일유로형의 분무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내에서 바꿔놓기, 변경 등을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제 2 의 실시예 트리거 타입 분무기를 첨부도면의 제12도-제20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2도-제14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 2 의 실시예의 단일 유로의 트리거 타입 분무기(110)은 용기(112)에 설치된 펌프기구(114)를 구비하고 있다. 펌프기구(114)는 제14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수평유로를 형성한 실린더(116)와 실린더내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118)등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116)의 일단에 흡상관(120)의 일단이 설치되고, 흡상관의 타단은 만곡하여 용기의 저부 방향으로 뻗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116)의 축선 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서 흡상관(120)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도시와 같이 실린더의 축선방향을 따라 흡상관(120)을 설치하는 구성이 성형 가공상 바람직하다.
또 실린더(116)의 타단은 용기(112)의 구부(113)에 맞추어지게 함으로서 펌프기구(114)는 용기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같이 펌프기구(114)를 용기(112)에 직접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종래 체부링에 의하여 분무기본체를 용기에 설치하였던 구성에 비교하여 체부링 및 분무기 본체가 생략되어 구성이 간단화된다.
또한 참조부호(122),(124)는 실린더(116) 및 구부(113)에 형성된 떨어짐 방지용의 걸어맞춤돌기 및 구멍을 각각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14도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리거(126)는 힌지(127)을 통하여 실린더(116)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성형되여 있고, 이 트리거(126)를 실린더(116)와 일체로 성형한 구성은, 종래의 트리거가 실린더와 별개로 형성되어 있던 구성에 비하여 독립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구성이 간단화된다.
또한 노즐(128)이 트리거(126)와 일체로 성형되여 있어서, 똑같이 구성이 간단화 된다.
펌프기구(114)의 피스톤(118)은 노즐(128)내에 끼워진 제 1 피스톤(132)과, 제 1 피스톤내에 끼워진 제 2 피스톤(134)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피스톤(132)과 제 2 피스톤(134)은 실린더 (116)의 내면에 접접하는 스커트 모양의 시일편(136),(138)을 그 외주에 각각 구유하고 있다. 또한 제 1 피스톤(132)의 선단에 2차밸브(140)가 일체로 성형되여 있으며, 이 2차밸브(140)의 밸브체(142)는 등각적으로 형성된 3개의 유연한 암(144)에 의하여 제 1 피스톤(132)에 연결되여 있다. (제15도 참조) 그러므로 제 2 피스톤(134)에 형성된 밸브시이트(146)에, 통상의 상태에서는 암(144)의 탄력으로 밸브체(142)는 편의되여 밸브시트와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된다.
그러나, 밸브체(142)는 암(144)이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으므로 밸브시이트(146)에서 이탈하도록 피스톤(118)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그리고 밸브체(142)는 가압액에 의하여 벨브시이트(146)에서 이탈하면, 밸브체는 트리거(126)의 후면에 형성된 노즐의 스핀너(148)(제16도 참조)에 맞닿는다. 이 스핀너(148)에 있어, 접선 방향의 유로(150)는 그 후면이 개방되여 있어, 밸브체는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핀너로서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밸브체(142)는 스핀너(148)에 맞닿으면 유로(150)의 후면은 폐쇄됨으로 스핀너로서 작용하고 가압액은 유로(150)에 의하여 와류화 되여서 흐른다.
또 밸브 롯드(152)는 실린더(116)내에 자유스런 상태로 배설되여 있다. 밸브롯드(152)는 제17도에서와 같이 한쌍의 원추상 단부(154),(156)과, 단부(154)에 연결한 정방형 단면부(158)과 정방형부에 연결하고 경사어깨부(159)를 갖는 대경원주부(160)과 대경원주부와 단부(156)의 사이에 위치한 소경원주부(152)등을 구비하고 형성되여 있다.
또한 단부(154)와 정방형부(158)과의 연결부에 곡면으로 된 어깨부(164)가, 소경원주부(162)와 단 부(156)와의 연결부에 수직선으로 된 어깨부(166)가 각각 형성되여 있다.
그리고 어깨부(164)는 제 2 피스톤(134)의 내면에 형성된 4개의 돌기(168)과, 어깨부(166)은 실린더(116)의 내면에 형성된 반경방향 립(170)과 각각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여 있다. 또 대경 원주부(160)의 어깨부(159)는 실린더(116)의 내면에 형성된 어깨부(172)와 맞닿을 수 있게 형성되여 맞닿음므로서 1차밸브(173)가 구성된다. 또 돌기(168)는 정방형부(158)의 외주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여 있다.
피스톤(118)은 실린더(116)내에 배설된 압축 코일 스프링(174)에 의하여 돌출 방향으로 편의되며, 스프링(174)는 자유스러운 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트리거(126)의 자유단에 걸어맞춤부(17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116)에 힌지(178)를 통하여 서포트바(180)가 형성되며, 서포트바의 선단에 걸어맞춤부(176)의 걸어맞춤할수 있는 대응 걸어맞춤부(182)이 형성되어 있다.
대응 걸어맞춤부(182)의 일부(184)는 용기(112)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186)에 걸어맞춤할 수 있게 형성되여 있다.
한편, 트리거(126)에 노즐(128)은, 이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힌지(179)를 통하여 연결되여 있으며, 기타 가장지리부에는 홈(181)이 형성되여 있다. 이 힌지(179)와 홈(181)등은 트리거(126)가 힌지(127)의 둘레에서 회동할때, 피스톤(118)은 힌지(127)의 둘레에서 회동함이 없이 실린더 축선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용한다. 힌지(127),(178),(179)는 도시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망의 동작을 허용하는 형상이면 족하며, 예 : 제18도시와 같이 부분 환상부로된 엷은 부분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구성의 분무기(110)은 아래와 같이하여 사용된다. 반송 및 가개앞의 단계에서는 제14도시와 같이 트리거(126)의 걸어맞춤부(176)가 서포트바(180)의 대응걸어맞춤부(182)에 걸어맞춤되여 있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126)를 힌지(127)의 둘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코져하는 압력이 트리거에 작용하면 트리거(126)은 부호(190)에 표시한 원호를 따라 회동하고져한다. 그러나 서포트바(180)은 힌지(178)의 둘레에서 부호(192)에 표시한 원호를 따라서만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126)에 상기 압력이 작용하여도 서포트바는 회동할 수 없다. 그럼으로 트리거(126)도 회동할 수 없고 걸어맞춤부(176),(182)는 서로 걸어맞춤한 상태에서는 트리거에 압력이 가해져도 트리거는 회동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트리거가 부주의로 회동하는 사례가 없으며, 불필요한 분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차일드 프루브가 달성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차일드 프루브 기구가 펌프기구(114)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여 있어 구성이 극히 간단화 된다. 이 차일드 프루브 기구는 버진 록크뿐만 아니라, 일단 사용을 중지할 때에도 이용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차일드 프루브기구는 제20도에 변형예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바(180)가 힌지(178)를 통하여 트리거(126)에 형성된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제20도의 변형예에 있어서 트리거의 걸어맞춤부(176)는 실린더(116)에 걸어 맞춤되며, 사용시 서포트바(180)는 별개의 걸어맞춤부(183)가 트리거의 대응걸어맞춤부(185)에 걸어맞춤된다.
사용시 걸어맞춤부(176),(182)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서포트바(180)를 힌지(178)의 둘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일부(184)를 용기(112)의 걸어맞춤구멍(186)내로, 제19도시와 같이 걸어맞춤하고 록크한다. 이와같이 서포트바(180)를 록크함에 따라 서포트바(180)는 트리거(126)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트리거(126)를 앞으로 당기면 트리거는 스프링(174)의 탄력에 저항하여 힌지(127)의 둘레에서 회동된다. 그러면 트리거(126)의 회동에 대응하여 피스톤(118)이 실린더(116)내로 압입되여 실린더내의 참버(194)의 용적이 적게 된다. 이때 피스톤(118)은 힌지(179)와 홈(181)등의 존재로 힌지(127)의 둘레에서 회동함이 없이 실린더내로 압입된다. 그후 트리거에의 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74)의 탄성력으로 피스톤(118) 및 트리거(126)가 제14도시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참버(194)의 용적이 증가하므로 참버(194)내로 부합이 발생한다.
피스톤(118)이 초기 위치에 복귀할때, 제 2 피스톤(134)의 돌기(168)는 밸브 롯드(152)의 어깨부(164)에 맞닿아서 피스톤과 함께 밸브롯드를 이동시켜서 밸브롯드의 어깨부(159)를 실린더(116)의 어깨부(172)에서 떨어지게 한다.
그러므로 1차밸브(173)가 개방되고 참버(194)내의 부압으로 용기(112)내의 액체는 흡상관(120), 1차밸브(173)를 통하여 참버(194)내로 유입한다. 여기서 2차밸브(140)는 암(144)의 편의력에 의하여 폐쇄되고 또 참버(194) 내의 부압은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2차밸브(140)의 액밀은 충분히 확보된다.
용기내의 액체는 흡상관(120)을 통하여 참버(194)내로 흡상하게 됨에 따라, 용기내의 액체는 감소하고 용기내는 부압화할 염려가 있다. 그러나, 실린더(116)에 부압방지공(195)이 형성되고 피스톤(118)이 실린더내로 압입될 때, 제19도시와 같이 부압 방지공을 넘어서 시일편(136)이 이동한다. 그러므로 용기내는 부압방지공(195)를 통하여 대기와 연통하여 부압화가 방지된다.
그후 트리거(126)를 재차 힌지(127)둘레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2 피스톤(134)의 돌기(168)가 밸브롯드(152)의 정방형부(158)의 외주에 접하면서 이동한다. 그러므로 그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밸브바도 트리거(126) 및 피스톤(118)과 함께 이동하며 어깨부(159)는 어깨부(172)와 맞닿음으로서 1차밸브(173)가 닫힌다. 그후 트리거(126)를 회동함에 따라서 피스톤(118)은 실린더(116)내로 들어가 참버(194)내의 액체를 가압한다. 액체가 가압되고, 2차밸브(140)의 암(144)의 편착력보다 커지면 밸브체(42)를 밸브시이트(146)에서 이탈시켜서 2차밸브(140)를 개방한다. 여기서 밸브체(142)는 스핀너(148)의 후면에 맞닿아서 반경방향의 유로(150)(제14도 참조)의 후면을 닫히므로 2차벨브(140)에서 유출한 가압액은 유로(150)내로 유입하고, 와류화되여서 분출공(136)에서 분무된다. 그리고 트리거(126)에의 압력을 제외함으로서 용기(112)내의 액체는 참버(194)내로 흡상되여 다음 분무 동작의 준비를 완료하고, 트리거(126)를 당김으로서 다음 분무가 반복된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의 분무기(110)는 스핀너(148)를 제외하면 디스펜서로서 이용된다. 또한 와류화되여 분출공(136)에서 분무되는 액체를 장벽과 같은 발포 수단에 충돌시켜서 발포시킴으로서 발포기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측방이 아니고 용기(112)의 윗 방향에 펌프기구(114)를 설치하여 피스톤(118)을 상하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 2 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는 용기에의 걸어맞춤부를 중간부분에, 흡상관의 설치부를 일단 부분에, 트리거를 타단 부분에 각각 일체적으로 구비함과 동시에, 트리거에 노즐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여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16)

  1. (정정) 용기내에 수용된 액체를 빨아올려서, 가압하여 분무하는 트리거 타입분무기로서, 용기의 구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리거와, 이 트리거에 형성되여 분출공을 갖는 노즐과, 상기 하우징에 중간부가 유지되며, 상기 분출공에 대향 가능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실린더내와 용기내를 연동시키는 흡상관과, 일단이 노즐에 접속되며 타단이 실린더내에 위치하고 실린더의 내면에 접접하는 피스톤과, 트리거의 일방향에의 회동때에는 상기 노즐을 닫음과 동시에 흡상관을 개방하고 트리거의 타방향으로의 회동때에는 상기 노즐을 개방함과 동시에 흡상관을 폐쇄하는 밸브수단등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과 트리거, 노즐과 실린더와 흡상관등이 일체로 형성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2. (정정) 제 1 항기재에 있어서, 트리거는 힌지를 통하여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노즐은 타의 힌지를 통하여 노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3. (정정) 제 2 항 기재에 있어서, 피스톤의 일단은 노즐에 고착되며, 피스톤의 타단은 실린더내와 연통하는 투공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4. (정정) 제 3 항 기재에 있어서 밸브 수단은 흡상관과 실린더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1차밸브와, 실린더와 피스톤을 션택적으로 연통시키는 2차밸브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5. (정정) 제 4 항 기재에 있어서, 상기 1차 밸브와 2차밸브는 별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6. (정정) 제 5 항 기재에 있어서, 2차 밸브는 상기 투공을 폐쇄 가능한 2차밸브와, 피스톤내에 형성되여 상기 2차 밸브체를 이것이 투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제 2 의 힘이 가해지는 부재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7. (정정) 제 6 항 기재에 있어서, 상기 2차밸브체와 제 2 의 힘이 가해지는 부재와는 일체로 형성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8. (정정) 제 5 항 기재에 있어서, 상기 1차밸브는 상기 흡상관을 폐쇄 가능한 1차밸브체와, 실린더내에 형성되고 상기 1차밸브체를 이것이 흡상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제 1 의 힘이 가해지는 부재등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9. (정정) 제 8 항 기재에 있어서, 제 1 의 힘이 가해지는 부재와 1차밸브체와는 일체로 형성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10. (정정) 제 2 항기재에 있어서, 피스톤은 노즐에 접속되는 일단부를 갖는 제 1 의 피스톤부와, 이 제 1 의 피스톤부내에 삽입된 일단부 및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접접하는 타단부를 갖는 제 2 의 피스톤부 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11. (정정) 제10항 기재에 있어서, 제 1 의 피스톤부의 일단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2 의 피스톤부의 일단부에는 밸트시이트가 형성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12. (정정) 제11항 기재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흡상관과 실린더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1차밸브와, 제 2 의 피스톤부와 노즐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2차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13. (정정) 제12항 기재에 있어서, 1차밸브와 2차밸브는 별개로 형성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14. (정정) 제13항 개재에 있어서 2차밸브는 상기 제 1 의 피스톤부의 일단부에 설치되여 있으며, 상기 밸브시이트를 폐쇄 가능한 2차밸브체와, 이 2차밸브체를 이것이 밸브시이트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제 2 의 힘이 가해지는 부재등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15. (정정) 제14항 기재에 있어서, 2차밸브는 제 1 의 피스톤부에 일체로 형성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16. (정정) 구부가 있는 용기와, 이 용기에 설치되며 용기내에 수용된 액체를 흡상하여서 가압하여 분무하는 분무기, 본체로서, 용기의 구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리거와 이 트리거에 형성되며 분출공를 갖는 노즐과, 상기 하우징에 중간부가 유지되며 상기 분출공에 대향 가능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실린더내와 용기내를 연통시키는 흡상관과 일단이 노즐에 접속되며 타단이 실린더내에 위치하고 실린더의 내면에 접접하는 피스톤과, 트리거의 일방향으로의 회전때에는 상기 노즐을 닫음과 동시에 흡상관을 개방하고, 트리거의 타방향으로의 회동때에는 상기노즐을 개방함과 동시에 흡상관을 닫는 밸브 수단등을 구비한 분무기 본체와를 구비한 트리거 타입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구부는 용기의 대체로 직립면으로된 측면에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뻗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트리거와 노즐과 실린더와 흡상관 등은 일체로 형성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 분무기.
KR1019830005412A 1983-03-03 1983-11-15 트리거 타입 분무기 KR860002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34940 1983-03-03
JP58034940A JPS59160562A (ja) 1983-03-03 1983-03-03 トリガ−タイプ噴霧器
JP34940 1983-03-03
JP137387 1983-07-27
JP58137387A JPS6028843A (ja) 1983-07-27 1983-07-27 トリガ−タイプ噴霧器
JP58-137387 1983-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977A KR840007977A (ko) 1984-12-12
KR860002013B1 true KR860002013B1 (ko) 1986-11-15

Family

ID=2637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412A KR860002013B1 (ko) 1983-03-03 1983-11-15 트리거 타입 분무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558821A (ko)
EP (1) EP0117898A3 (ko)
KR (1) KR860002013B1 (ko)
AU (1) AU548189B2 (ko)
BR (1) BR8306014A (ko)
CA (1) CA12117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5263A (en) * 1988-03-08 1990-04-10 S. C. Johnson Son, Inc. Trigger sprayer device
US4993214A (en) * 1988-03-08 1991-02-19 S. C. Johnson & Son, Inc. Method of assembling a trigger sprayer device
DE3821212A1 (de) * 1988-06-23 1989-12-28 Wagner Gmbh J Einrichtung zur steuerung der abgabemenge einer duese
US4917303A (en) * 1988-09-26 1990-04-17 Afa Products, Inc. Snap-in trigger
US4958754A (en) * 1989-03-01 1990-09-25 Continental Sprayers, Inc. Dispenser or sprayer with vent system
US5054692A (en) * 1990-06-05 1991-10-08 Contico Internation, Inc. Fluid discharge apparatus
US5152461A (en) * 1990-10-01 1992-10-06 Proctor Rudy R Hand operated sprayer with multiple fluid containers
US5385302A (en) * 1990-10-25 1995-01-31 Contico Low cost trigger sprayer
US5425482A (en) * 1990-10-25 1995-06-20 Contico International, Inc. Trigger sprayer
US5575407A (en) * 1990-10-25 1996-11-19 Contico International, Inc. Low cost trigger sprayer having container with integral saddle
US5234166A (en) * 1990-10-25 1993-08-10 Contico International, Inc. Spinner assembly for a sprayer
US5232632A (en) * 1991-05-09 1993-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 liquid hard surface detergent composition
US5549249A (en) * 1991-12-13 1996-08-27 Contico International, Inc. Fluid spinner and nozzle head assembly with controlled fluid flood path
FR2705589B1 (fr) * 1993-05-28 1995-07-28 Valois Buse de pulvérisation et pulvérisateur comportant une telle buse.
US5402916A (en) * 1993-06-22 1995-04-04 Nottingham Spirk Design Associates Dual chamber sprayer with metering assembly
JP2857032B2 (ja) * 1993-08-06 1999-02-10 哲也 多田 手動式トリガ−タイプ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ノズル
JP2586511Y2 (ja) * 1993-08-11 1998-12-09 哲也 多田 手動式トリガ−タイプディスペンサ−
US5431345A (en) * 1993-11-12 1995-07-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 dispensing system for a foamable liquid
DE4342304A1 (de) * 1993-12-11 1995-06-14 Owens Illinois Closure Inc Sprühpumpe
US5663134A (en) * 1994-08-12 1997-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reducing malodor impression on inanimate surfaces
US5714137A (en) * 1994-08-12 1998-0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complexed cyclodextrin solutions for odor control on inanimate surfaces
US5593670A (en) * 1994-08-12 1997-01-14 The Proctor & Gamble Company Uncomplexed cyclodextrin solutions for odor control on inanimate surfaces
US5534165A (en) * 1994-08-12 1996-07-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treating composition containing beta-cyclodextrin and essentially free of perfume
US5670475A (en) 1994-08-12 1997-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reducing malodor impression of inanimate surfaces
US5668097A (en) * 1994-08-12 1997-09-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complexed cyclodextrin solutions for odor control on inanimate surfaces
US5578563A (en) * 1994-08-12 1996-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reducing malodor impression on inanimate surfaces
US5939060A (en) * 1994-08-12 1999-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reducing malodor impression on inanimate surfaces
US5582957A (en) 1995-03-28 1996-12-10 Eastman Kodak Company Resuspension optimization for photographic nanosuspensions
US5697556A (en) * 1995-12-18 1997-12-16 Contico International, Inc. Liquid dispenser having discharge valve assembly
US5716008A (en) * 1996-03-04 1998-02-10 Nottingham-Spirk Design Associates, Inc. Trigger sprayer
ES2117470T3 (es) * 1996-10-24 1998-08-01 Calmar Albert Gmbh Enganche de seguridad infantil para pulverizador de gatillo.
US5839616A (en) * 1997-08-14 1998-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ow molded container having pivotal connector for an actuation lever
USD405008S (en) * 1997-08-14 1999-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package
CA2300109A1 (en) 1997-09-04 1999-03-11 Alfred Von Schuckmann Spray pump capable of being actuated by a hand lever
USD418404S (en) * 1998-07-01 2000-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package
USD413808S (en) * 1998-09-03 1999-09-14 The Clorox Company Bottle
US6234361B1 (en) * 1999-10-22 2001-05-22 Owens-Illinois Closure Inc. Pump dispenser piston provided with a plastic inlet check valve insert
US6415800B2 (en) 2000-01-14 2002-07-09 The Gillette Company Method of shaving and a dispensing apparatus therefor
US6345738B1 (en) 2000-03-16 2002-02-12 Owen-Illinois Closure Inc. Pump dispenser having body with fill-through conduit
US7645746B1 (en) 2000-11-13 2010-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reducing malodor impression on inanimate surfaces
US6364171B1 (en) 2001-02-21 2002-04-02 Owens-Illinois Closure, Inc. Articulated trigger/cover unit for a pump dispenser
WO2003011475A1 (fr) * 2001-07-31 2003-02-13 Canyon Co., Ltd. Distributeur a pompe et pulverisateur comprenant ce dernier
US6557783B1 (en) * 2001-11-23 2003-05-06 Continental Sprayers International, Inc. Telescoping foamer nozzle
DE10200593A1 (de) * 2002-01-10 2003-07-31 Aero Pump Gmbh Betätigungskopf einer Saug-Druck-Pumpe zum Ausspritzen eines Produkts aus einem Behältnis
DE10200595A1 (de) * 2002-01-10 2003-07-31 Aero Pump Gmbh Betätigungskopf einer Saug-Druck-Pumpe zum Ausspritzen eines Produkts aus einem Behältnis
CA2513796A1 (en) * 2003-02-18 2004-09-02 Incro Limited Dispenser pump
US7318539B2 (en) * 2003-04-28 2008-01-15 Power Sprayer Llc Pump drive unit for battery operated fluid dispensers
US20040222243A1 (en) * 2003-05-08 2004-11-11 Saint-Gobain Calmar Inc. Low-cost, in-line trigger operated pump sprayer
FR2857339A1 (fr) * 2003-07-10 2005-01-14 Airlessystem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JP2005219003A (ja) * 2004-02-06 2005-08-18 Canyon Corp トリガー付き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WO2005087617A1 (en) * 2004-03-18 2005-09-22 Rust-Oleum Netherlands B.V.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 product
US7654418B2 (en) * 2004-08-30 2010-02-02 Rieke Corporation Airless dispensing pump
US8967434B2 (en) 2010-06-24 2015-03-03 L&F Innoventions Llc Self-adjusting handle for spray bottles
US8469291B2 (en) * 2011-05-11 2013-06-25 Meadwestvaco Calmar, Inc. Low cost trigger sprayer
US9038819B2 (en) 2012-06-22 2015-05-26 L&F Innoventions, LLC Wearable cleaning articles and container
FR3021635A1 (fr) * 2014-05-28 2015-12-04 Oreal Diffuseur destine a etre fixe sur un recipient muni d'un ensemble de distribution de produit, dispositif et procede associe
KR20170105074A (ko) 2015-01-14 2017-09-18 그레고리 반 버스커크 얼룩 방출을 위한 개선된 직물 처리방법
CN105546339B (zh) * 2016-02-04 2018-10-19 温岭正峰动力有限公司 一种汽车氟利昂换气装置
EP3528960B1 (en) 2016-10-18 2022-07-27 Flocon, Inc. Trigger pump dispenser
FR3065890B1 (fr) * 2017-05-05 2019-06-14 Aptar France Sas Modul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FR3065889B1 (fr) 2017-05-04 2021-12-17 Aptar France Sas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t ensemble de moulage d'une telle tete
DE102018002101A1 (de) * 2018-03-15 2019-09-19 Aptar Dortmund Gmbh Abgabespeicher und Spender
WO2020072750A1 (en) 2018-10-04 2020-04-09 Flocon, Inc. Container appendage
USD954555S1 (en) 2018-10-04 2022-06-14 Flocon, Inc. Spray dispenser head
WO2021252403A1 (en) 2020-06-07 2021-12-16 Comestaag Llc Barrier coating compositions for perishables and methods, kits and coated items relating thereto
EP4008442A1 (de) 2020-12-04 2022-06-08 Aptar Dortmund GmbH Abgabeeinrichtung und spender
USD962072S1 (en) 2021-02-26 2022-08-30 Flocon, Inc.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1478A (en) * 1970-10-08 1972-10-31 Tetsuya Tada Hand sprayer
JPS5130613A (en) * 1974-09-09 1976-03-16 Tetsuya Tada Funmuki
US4153203A (en) * 1977-03-02 1979-05-08 Tetsuya Tada Trigger type sprayer
US4336895A (en) * 1977-07-28 1982-06-29 Aleff Hans P Finger actuated pump assembly
US4325501A (en) * 1980-10-31 1982-04-20 Ethyl Products Company Extended spray pump
FR2495022A1 (fr) * 1980-12-01 1982-06-04 Bailly Comte Ets Perfectionnements aux pistolets de pulverisation manu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11742A (en) 1986-09-23
KR840007977A (ko) 1984-12-12
EP0117898A3 (en) 1985-09-04
AU548189B2 (en) 1985-11-28
BR8306014A (pt) 1984-11-13
US4558821A (en) 1985-12-17
AU2047183A (en) 1984-09-06
EP0117898A2 (en) 198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013B1 (ko) 트리거 타입 분무기
EP0718044B1 (en) A pump dispenser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pump dispenser
US4354621A (en) Child resistant assembly for aerosol dispensers
US4589573A (en) Head depression type dispenser
AU647988B2 (en) Liquid jet blower
EP0598237B1 (en) Trigger sprayer
KR100364596B1 (ko) 분무기
US9962724B2 (en) Trigger-type fluid jetting device
WO1980000011A1 (en) Sprayer used in both standing and over turning attitudes
JPS61209066A (ja) トリガ−タイプデイスペンサ−
WO2017188035A1 (ja) トリガースプレイヤ
JP2857032B2 (ja) 手動式トリガ−タイプ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ノズル
JP2004511324A (ja) 差動ピストンで形成される出口弁を有する投与部材
US20070215648A1 (en) Trigger Sprayer Piston Rod With Integral Spring and Pivoting Piston Connection
JP2011245435A (ja) トリガースプレイヤー
JP5598924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H08224509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H02980B2 (ko)
JPH07101480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装着方法およびポンプディスペ ンサ−
JPS6259635B2 (ko)
JPS6365386B2 (ko)
JP3647614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ポンプ
JPS60206462A (ja) 手動式デイスペンサ−
JPS59160562A (ja) トリガ−タイプ噴霧器
JPH08299865A (ja) 手動式トリガー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その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