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806B1 -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 - Google Patents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806B1
KR100572806B1 KR1020040091701A KR20040091701A KR100572806B1 KR 100572806 B1 KR100572806 B1 KR 100572806B1 KR 1020040091701 A KR1020040091701 A KR 1020040091701A KR 20040091701 A KR20040091701 A KR 20040091701A KR 100572806 B1 KR100572806 B1 KR 10057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ody
spray
hole
nozzle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282A (ko
Inventor
미야모토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사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사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사바
Publication of KR2005010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과제) 소량 발포 살포와 대량 살포의 양 기능을 구비하고, 그 전환을 간단히 행할 수 있고,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액체 살포를 능률적으로 행하도록 한다.
(해결수단) 노즐 보디(27)를 전후방부 노즐 보디(27a, 27b)로 2분할하고, 전방부 노즐 보디(27a)의 후방부측의 내부 공간을 한층 더 확장하고, 후방부측의 확장 공간 내에 중앙 구멍(45)과 주변 구멍(46)을 가지는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를 설치하고,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보다 전방측의 확장 공간을 공기 도입 구멍(39)을 설치한 공기 혼입실(80)로 하고, 후방측의 확장 공간 내에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전방부측을 수용하고, 전방부 노즐 보디(27a)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하고, 조작용 커버(33)의 내면과 전방부 노즐 보디(27a)의 외면과의 사이를 공기 도입로(79)로 하고, 조작용 커버(33)를 연결용 캡(37)으로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조작용 커버(33)와 전방부 노즐 보디(27a)의 일부의 내외면에 설치한 나사(43, 53)끼리를 나사 결합한다.
소량 발포 살포, 대량 살포, 노즐 보디, 유량 규제 분무 부재, 공기 도입 구멍, 공기 혼입실, 조작용 커버, 연결용 캡

Description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SPRAY NOZZL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SPRINKLING IN A TYPE OF FOAMING IN SMALL QUANTITIES AND SPRINKLING IN LARGE QUANTITIES}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의 소량 발포 살포시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동일 분무 노즐의 전방부 노즐 보디를 구성하는 중간 노즐 보디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동일 중간 노즐 보디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동일 중간 노즐 보디의 내부에 수용하는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동일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동일 분무 노즐의 조작용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동일 조작용 커버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동일 분무 노즐의 후방부 노즐 보디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동일 후방부 노즐 보디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동일 분무 노즐의 전방부 노즐 보디를 구성하는 선측 노즐 보디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동일 선측 노즐 보디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동일 선측 노즐 보디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동일 선측 노즐 보디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동일 분무 노즐의 소량 발포 살포시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종단 사시도이다.
도 15는 동일 분무 노즐의 대량 살포시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동일 분무 노즐의 대량 살포시의 액체의 흐름을 도시한 종단 사시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대량 살포형 분무 노즐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소량 발포 살포형 분무 노즐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
26, 34…유로
27…노즐 보디{27a…전방부 노즐 보디(27a1…선측 노즐 보디, 27a2…중간 노즐 보디), 27b…후방부 노즐 보디}
28…유체 충돌 부재 29…유량 규제 분무 부재
30…분무구 31…분무구 부재
32…노즐 헤드 캡 33…조작용 커버
35…호스 접속용 기통 36…스트레이너
37…연결용 캡 39…공기 도입 구멍
43…수나사 44…O링(실링 부재)
45…중앙 구멍 46…주변 구멍
50…공기 흡입 구멍 51, 58, 65…링형상 돌출부
52…단차 53…암나사
54…링형상 돌출 라인 72…측방 유로
79…공기 도입로 80…공기 혼입실
본 발명은, 약액 등의 액체 살포에 사용하는 분무기의 분무 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작물, 그 밖에 약액, 물 등의 액체 살포를 하기 위하여, 수동 분무기 또는 동력 분무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분무기에 구비되어 있는 액 가압 송출 호스에, 분무 노즐을 접속하여 사용하면, 안개 형상으로 하여 액체 살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분무 노즐을 용도에 따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제초제를 살포할 경우에는 특히 약액이 필요한 장소 이외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액체를 입자가 큰 안개 형상으로 하여 부채꼴 형상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사용된다.
이러한 분무 노즐에 의해 다량 살포형 제초제를 대량 살포, 예를 들면 10a당 100∼150리터의 희석액량을 살포할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무 노즐 (1)을 사용한다. 이 대량 살포용 분무 노즐(1)은 선단에 분무구(2)를 가지는 통형상 노즐 보디(3)의 후단부와, 그 후단부가 내부에 끼워지는 호스 접속용 기통(4)의 전단부간에 통형상 어댑터(5)를 끼워놓고, 그 양 단부와 어댑터(5)를 수용하여 노즐 보디(3)와 호스 접속용 기통(4)을 연결하는 통형상의 연결용 캡(6)과, 실링 부재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노즐 보디(3)의 선단면에 직선 형상의 양단까지 관통하는 V자 홈을 설치하고, 그 V자 홈의 바닥 중앙에 분무구(2)를 설치한다. 그러므로, 대량의 액체를 바람에 비산하기 어려운 입자가 큰 안개 형상으로 하여 부채꼴 형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 소량 살포형 제초제를 소량 발포 살포, 예를 들면 10a당 25리터의 희석 액을 살포할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무 노즐(7)을 사용한다. 이 소량 발포 살포용 분무 노즐(7)은, 내부 공간(8)을 유로로 하고, 그 유로(8)의 선단 부근을 분무구(9)를 가지는 부재(10)로 씌우고, 그 유로(8)의 선단부 내에 분무구(9)에 달하는 유로 형성용의 유체 충돌 부재(11)를 수용하고, 주위 벽에 공기 도입 구멍(12)을 설치한 통형상의 노즐 보디(13)와, 그 노즐 보디(13)의 외측을 덥고, 주위 벽에 공기 흡입 구멍(14)을 설치한 통형상의 커버(15)와, 그 노즐 보디(13)와 연결하여 연통하는 유로(16)를 형성하고, 그 유로 내에 스트레이너(17)를 구비하는 호스 접속용 기통(18)과, 그 노즐 보디(13)와 커버(15)의 양 후단부와 호스 접속용 기통(18)의 전단부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연결용 캡(19)과, 그 노즐 보디(13)의 후방부측의 확장된 내부 공간 내에 설치한 중앙 구멍(20)을 가지는 유량 규제 분무 부재(21)와, 실링 부재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유량 규제 분무 부재(21)의 중앙 구멍(20)을 통과하는 소량의 액체 중에 외부의 공기를 공기 흡입 구멍(14), 공기 도입 구멍(12)을 거쳐 혼입하고, 그 공기 혼입 액체를 유체 충돌 부재(11)가 상대하는 양측방 유로(22)를 경유하여, 분무구 부재(l0)의 직선 형상 볼록부의 양단 내에 각각 인도하고, 볼록부의 정중앙에 뚫린 분무구(9)로부터 분사한다. 그러면, 소량의 액체가 공기를 포함한 발포 상태가 되어 입자 지름이 큰 안개형상이 되고, 바람에 의해 비산하기 어려우며, 대량 분사하는 경우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분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무 노즐(1, 7)은 소량 발포 살포 기능, 대량 살포 기능의 단독 기능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적용 작물, 적용 장소, 적용 잡초, 살포 시기에 맞춰 제초제나 살포량을 적당히 바꾸어야 한다. 그 때, 제초제의 사용 방법에 맞춘 분무 노즐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대형의 붐스프레이어 등의 다두구의 분무관에서는 분무 노즐(1, 7)의 교환 작업에 필요한 노력적 시간적 부담이 커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량 발포 살포와 대량 살포의 양 기능을 구비하고, 그 전환을 간단히 행할 수 있으며,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약액 등의 액체 살포를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는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은 내부 공간을 유로로 하고, 그 유로의 선단 부근에 분무구를 구비한 통형상의 노즐 보디와, 그 노즐 보디의 외측을 덮는 통형상의 조작용 커버와, 그 노즐 보디와 연결하여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그 유로를 칸막이하는 스트레이너를 구비하는 호스 접속용 기통과, 그 노즐 보디와 조작용 커버의 양 후단부와 호스 접속용 기통의 전단부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연결용 캡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 보디를 전후방부의 노즐 보디로 2분할하고, 그 전방부 노즐 보디의 후방부측의 내부 공간을 전방부측의 내부 공간보다 한층 더 확장하고, 그 후방부측의 확장 공간 내에 중앙 구멍과 주변 구멍을 가지는 유량 규제 분무 부재를 설치하여 유로를 칸막이하고, 그 유량 규제 분무 부재보다 전방측의 확장 공간을 주위 벽에 공기 도입 구멍을 설치한 공기 혼입실로 하고, 그 후방측의 확장 공간 내에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부측을 수용하고, 그 전방부 노즐 보디를 일정 범위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하고, 그 조작용 커버의 내면과 전방부 노즐 보디의 외면과의 사이를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기 도입 구멍으로 인도하는 공기 도입로로 하고, 그 조작용 커버를 연결용 캡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조작용 커버와 전방부 노즐 보디의 일부의 내외면에 설치한 나사 끼리를 나사 결합한다.
사용시에, 그 조작용 커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나사를 통하여 전방부 노즐 보디를 후방 이동시켜, 조작용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전방부 노즐 보디의 외면을 떼어내어 공기 도입로를 형성하고, 동시에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후방면을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면에 맞닿게 하고, 그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주변 구멍을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면으로 폐쇄하고, 그 중앙 구멍을 통과하는 소량의 액체 중에 공기를 혼입하여 분무한다.
또, 조작용 커버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나사를 통하여 전방부 노즐 보디를 전방이동시켜 공기 도입로를 페쇄하고, 동시에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후방면을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면으로부터 떼어내어, 그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중앙 구멍과 주변 구멍을 통과하는 다량의 액체 중에 공기를 혼입하지 않고 분무한다.
또, 조작용 커버의 전방부 주위 벽에 공기 흡입용의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그 전방부 주위 벽의 내경과 거기에 끼워지는 전방부 노즐 보디의 주위 벽의 외경을 둘 다 작게 하고, 그것 등에 이어지는 후방부측 주위 벽의 내경과 외경을 둘 다 크게 하고, 그 조작용 커버와 전방부 노즐 보디의 공기 도입로를 형성하는 내외면의 도중에 단차를 각각 설치하고, 그 단차 부근에 있는 내외면의 일방에 실링 부재를 설치하고, 또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후방면의 중앙 구멍과 주변 구멍과의 사이에 중앙 구멍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돌출 라인을 설치하고, 또는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면에 그 링형상 돌출 라인과 동일한 링형상 돌출 라인을 설치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한 도 1∼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최선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의 소량 발포 살포시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25)은 그 주요부를, 내부 공간을 유로(26)로 하는 통형상의 노즐 보디(27)와, 그 유로(26)의 선단부 내에 수용하는 원판형상의 유체 충돌 부재(28)와, 그 유로(26)의 도중을 칸막이하는 원판형상의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와, 그 유로(26)의 선단 부근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분무구(30)를 가지는 판 형상의 분무구 부재(31)와, 그 분무구 부재(31)를 노즐 보디(27)의 선단 부근에 고정하는 통형상의 노즐 헤드 캡(32)과, 그 노즐 보디(27)의 외측을 덮는 통형상의 조작용 커버(33)와, 그 노즐 보디(27)와 연결하여 연통하는 유로(34)를 형성하는 호스 접속용 기통(35)과, 그 유로(34)를 칸막이하는 스트레이너(36)와, 그 노즐 보디(27)와 조작용 커버(33)의 양 후단부와 호스 접속용 기통(35)의 전단부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연결용 캡(37)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노즐 보디(27)를 전후방부의 노즐 보디(27a, 27b)로 2분할하고, 또한 그 전방부 노즐 보디(27a)를 선측 노즐 보디(27a1), 중간 노즐 보디(27a2)로 2분할한다. 이 중간 노즐 보디(27a2)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형상체로 하고, 그 외경을 대략 전방부, 중간부, 후방부의 순으로 크게 하며, 그 내경을 대략 중간부, 전방부, 후방부의 순으로 크게 한다. 그리고, 전방부 주위 벽이 상대하는 가장자리부 부근에, 선측 노즐 보디(27a1)의 걸어 맞춤 돌기가 끼워지는 오목 개소(38(38a, 38b))를 각각 설치한다. 또, 중간부 주위 벽의 상대하는 위치에 유로(26)에 통하는 공기 도입용의 관통 구멍(39(39a, 39b))을 각각 설치하고, 그 각 공기 도입 구멍(39)의 입구 부근의 구경을 공기가 구멍 내에 도입하기 쉽도록 크게 한다. 또, 중간부의 전방부와의 경계 부근의 외주면의 단차개소에, 실링 부재인 O링을 끼우기 위한 주위 홈(40)을 설치한다.
또, 후방부의 상대하는 가장자리부 부근에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걸어 맞춤 돌기가 끼워지는 받이 오목 개소(41(41a,, 41b))를 각각 설치하고, 그 후방부의 중간부 근처 내부 공간(42)을 전방부측의 내부 공간보다 한층 더 확장하고, 거기를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를 설치하기 위한 개소로 한다. 게다가, 그 유량 규제 분무 부재 설치용 공간(42)에서 중간부를 향하여 내경을 작게 하여 내부 공간을 축소해 가고, 후방을 향하여 내경을 크게 하여 내부 공간을 확장해 간다. 또, 후방부의 가장자리부 부근을 제외한 외주면에 넓게 수나사(43)를 설치한다.
조립시, 중간 노즐 보디(27a2)의 주위 홈(40)에 O링(44)을 끼우고, 내부 공간(42)에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를 압입하여 끼운다. 이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에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앙 구멍(45)과 4개의 주변 구멍(46)을 설치하고, 그 주변 구멍(46)은 중앙 구멍(45)과 동심 형상의 원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한다. 게다가, 전방면 중앙부를 전방으로 조금 통형상으로 돌출시키고, 그 중앙 통부(47)의 내부를 중앙 구멍(45)으로 한다.
그리고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용 커버(33)의 내부에 중간 노즐 보디(27a2)를 끼워 부착한다. 이 조작용 커버(33)는 통형상체로 하고, 그 외경을 거의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조작용 커버(33)의 전방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8개소 등간격으로 하여 가장자리까지 도달하는 오목 개소(49(49a, …49h))를 배열 설치하고, 또한 그 상대하는 위치에 있는 양 오목 개소(49c, 49g)의 각 중앙부에 가장자리까지 관통하는 슬릿 형상의 관통 구멍을 공기 흡입 구멍(50(50a, 50b))으로서 각각 설치한다. 다만, 후단 부근에는 외주면에 링형상 돌출부(51)를 설치하고, 그 돌출부(51)를 연결용 캡(37)과의 걸어 맞춤 개소로 한다. 또, 조작용 커버(33)의 내경을 대략 전방부, 중간부, 후방부의 순으로 크게 하고, 그 전방부의 중간부와의 경계 부근의 내주면의 단차(52)의 개소를 중간부의 일정 내경에 도달할 때까지 서서히 크게 하며, 그 단차개소를 경사 내주면으로 한다. 또, 중간부의 전단부 부근을 제외한 내주면에 중간 노즐 보디(27a2)의 수나사(43)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53)를 설치한다.
이렇게 하여 조립한 중간 노즐 보디(27a2)와 조작용 커버(33)의 후방부측 내부에 끼워지는 후방부 노즐 보디(27b)는,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형상으로 하고, 그 외경을 대략 전방부, 중간부, 후방부의 순으로 크게 한다. 그리고 전방부 전방면의 중앙 구멍 근처 주위에 링형상 돌출 라인(54)을 설치하고, 그 전방부 외주면의 중간부 근처의 상대하는 위치에, 중간 노즐 보디(27a2)의 받이 오목 개소(41)에 끼워지는 걸어 맞춤 돌기(55(55a, 55b))를 각각 설치한다. 또, 중간부 외주면에 0링을 끼우기 위한 주위 홈(56)을 설치한다. 또, 후방부 외주면의 중간부 근처에, 조작용 커버(33)의 후단부를 받는 받이 홈(57)을 전방면측에 설치한 링형상 돌출부(58)를 설치하고, 그 돌출부(58)를 연결용 캡(37)과의 걸어 맞춤 개소로 한다. 또, 후방부 외주면의 돌출부(58)에서 후단측의 상대하는 위치에 돌기(59(59a, 59b))를 각각 설치하고, 그 각 돌기(59)를 호스 접속용 기통(35)의 전단부에 설치한 대응하는 받이 오목 개소에 끼워지는 걸어 맞춤 개소로 한다. 또,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내경을 대략 전방부, 중간부, 후방부의 순으로 크게 한다. 그래서,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주위 홈(56)에 O링(60)을 끼운 후, 조립한 중간 노즐 보디(27a2)와 조작용 커버(33)의 후방부측 내부에 끼워 부착한다.
이러한 후방부 노즐 보디(27b)와 연결하는 호스 접속용 기통(35)은 조금 굴곡진 통형상체로 하고, 그 외경을 전후방부를 각각 크게, 중간부를 작게 한다. 그리고, 전방부 부근의 외주면에 수나사(61)를 설치하고, 후방부 내주면에 암나사(도시하지 않는다)를 설치한다. 또, 호스 접속용 기통(35)의 내경을 전방부에서 크게, 그것보다 후방부측을 작게 한다. 그러면, 전방부와 중간부와의 경계에 있는 내주면에 단차(62)를 설치할 수 있다. 그래서, 호스 접속용 기통(35)을 후방부 노즐 보디(27b)에 부착할 때, 호스 접속용 기통(35)의 단차(62)의 면에 스트레이너(36)의 주변부와 O링(63)을 겹쳐서 설치하고, 그 전방부 내에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후단부 부근을 끼워서 접합한다.
그래서, 후방부 노즐 보디(27b)와 호스 접속용 기통(35)과의 접합 개소의 외측에 연결용 캡(37)을 끼우고, 그 내주면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암나사(64)를 수나사(61)와 나사 결합한다. 게다가, 연결용 캡(37)에 전단부의 내경을 후방부측보다 작게 하고, 내방에 돌출하는 링형상 돌출부(65)를 설치한다. 그러면, 그 링형상 돌출부(65)가 조작용 커버(33)의 후단 부근에 설치한 링형상 돌출부(51)의 빠짐 방지로서 작용하고, 조작용 커버(33)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체인 중간 노즐 보디(27a2)와 결합하고, 전방부 노즐 보디(27a)를 구성하는 선단 노즐 보디(27a1)는, 도 10∼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형상체로 하고, 그 외경을 대략 전방부, 중간부, 후방부의 순으로 크게 한다. 그리고, 전방부의 외주면에 링형상 돌출 라인(66)을 설치하고, 그 돌출 라인(66)을 노즐 헤드 캡(32)과의 걸어 맞춤 개소로 한다. 또, 전방부의 전단 부근의 외주면에 0링을 끼우기 위한 단차(67)를 설치하고, 또한 그 후단 부근의 외주면에 원을 따라 4개소 등간격으로 하여 오목 개소(68(68a, …68d))를 각각 설치한다. 또, 중간부의 외주면의 전방부 근처의 상대하는 위치에 돌기(69(69a, 69b))를 각각 설치하고, 또한 그 후단부 근처의 외주면에 링형상 돌출 라인(70)을 설치하고, 그 각 돌기(69), 돌출 라인(70)을 중간 노즐 보디(27a2)와의 걸어 맞춤 개소로 한다. 또, 중간부와 후방부와의 경계를 외주면에 O링을 끼우기 위한 단차(71)로 한다.
또, 선측 노즐 보디(27a1)의 내경을 대략 전방부에서는 확장하여 한층 더 크게 하고, 중간부와 후방부에서는 작게 한다. 그리고 전방부의 내부 공간 내를 분무구(30)에 이르는 유로의 대부분을 칸막이하는 유체 충돌 부재(28)의 설치 개소로 하고, 그 유체 충돌 부재(28)의 상대하는 양측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분무구 부재(31)의 내측 공간에 달하는 측방 유로(72(72a,, 72b))를 각각 설치한다. 또, 선측 노즐 보디(27a1)의 전방면에 각 측방 유로(72)를 따르게 하여 전방으로 조금 돌출한 돌기(73(73a, 73b))를 각각 설치하고, 분무구(30)에 유체를 원활하게 인도하도록 한다.
이러한 선측 노즐 보디(27a1)를 부착할 때, 단차(71)의 개소에 O링(74)을 끼운 후, 그 선측 노즐 보디(27a1)의 후방부측을 중간 노즐 보디(27a2)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선측 노즐 보디(27a1)의 중간부 외주면에 설치한 상대하는 각 돌기(69)와 링형상 돌출 라인(70)을 중간 노즐 보디(27a)의 전방부 내주면에 설치한 대응하는 각 오목 개소(38), 링형상 홈(75)에 각각 끼워서 결합한다. 그러면, 전방 부 노즐 보디(27a)가 완성된다.
그래서, 선측 노즐 보디(27a1)의 전방부 외주면의 단차(67)의 개소에 O링(76)을 끼우고, 그 내부 공간 내에 유체 충돌 부재(28)를 수용한다. 그리고, 선측 노즐 보디(27a1)의 선단 부근의 외측에 분무구 부재(31)를 설치한 후, 그 전방부에 노즐 헤드 캡(32)을 씌운다. 그러면, 노즐 헤드 캡(32)의 내주면에 설치한 링형상 홈(77)에 선측 노즐 보디(27a1)의 외주면에 설치한 링형상 돌출 라인(66)이 끼워지고, 노즐 헤드 캡(32)이 선측 노즐 보디(27a1)에 결합한다. 게다가, 노즐 헤드 캡(32)에는 그 선단부의 내경을 후방부측보다 작게 하고, 내방으로 돌출하는 링형상 돌출부(78)를 설치한다. 그러므로, 그 링형상 돌출부(78)로 분무구 부재(31)의 주변부와 O링(76)을 눌러, 그 분무구 부재(31)를 선측 노즐 보디(27a1)에 잘 고정할 수 있다. 그래서,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25)이 완성된다.
이렇게 하여 조립한 분무 노즐(25)은, 연결용 캡(35) 등을 일방의 손으로 쥐어서 고정하고, 타방의 손으로 조작용 커버(33)를 회전운동시키면, 그 조작용 커버(33)는 전방부 노즐 보디(27a)의 중간 노즐 보디(27a2)와 그 내외면에 설치한 나사(43, 53)끼리가 나사 결합하고 있으므로, 전방부 노즐 보디(27a)를 일정 범위에서 전후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전방부 노즐 보디(27a)가 가장 후방의 위치에 있고,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의 후방면이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전방면에 맞닿아 있을 때, 조작용 커버(33)의 내주면과 중간 노즐 보디(27a2)의 외주면의 사이를 공기 도입로(79)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기 흡입 구멍(50)에 의해 받아들여, 공기 도입로(79)를 거쳐, 공기 도입 구멍(39)에 잘 인도할 수 있다. 그 때,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의 후방면을 평면으로 하고, 그 후방면과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전방면에 설치한 링형상 돌출 라인(54)의 맞닿음에 의한 밀접촉에 의해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의 주변 구멍(46)을 잘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의 후방면의 중앙 구멍(45)과 주변 구멍(46)과의 사이에 중앙 구멍(45)을 둘러싸는 동일한 링형상 돌출 라인을 설치하고,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전방면을 평면으로 하여도 좋다.
또, 전방부 노즐 보디(27a)를 그 후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전방면에 설치한 링형상 돌출 라인(54)이 떨어지고, 전후방면 사이가 떨어진다. 그러면, 조작용 커버(33)와 중간 노즐 보디(27a2)의 공기 도입로(79)를 형성하는 내외주면의 도중에 링형상 단차(52) 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외주면의 단차개소에 O링(4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공기 도입로(79)를 내외주면의 단차개소의 맞물림과, 그 0링(44)에 의해 잘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부 노즐 보디(27a)의 전방이동이 정지한다. 또한, 조작용 커버(33)의 내주면의 단차(52)의 개소에 0링을 설치하고, 중간 노즐 보디(27a2)의 외주면에 단차개소만을 설치해 두어도 좋다.
사용시,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25)의 호스 접속용 기통(35)을 분무기에 설치한 액 가압 송출 호스와 접속한다. 그리고 제초제 등의 액체를 소량 발포 살포하는 경우에는, 조작용 커버(33)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의 후방면을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전방면에 맞닿게 한다. 그러면,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의 각 주변 구멍(46)이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전방면으로 페쇄되고, 그 중앙 구멍(45)만이 개공 상태가 되어, 공기 도입로(79)가 개방된다.
그래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한 액 가압 송출 호스로부터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액체를 보내면,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의 중앙 구멍(45)을 통과하는 소량의 액체가 중앙 통부(47)로부터 분출하고,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 전방측에 있는 주위 벽에 공기 도입 구멍(39)을 설치한 확장된 공간인 공기 혼입실(80)에 들어간다. 그러면, 공기 혼입실(80)의 내부에서 액체의 압력이 급격하게 내려가고, 외부로부터 2점쇄선의 화살표로 도시된 경로를 거쳐 도입되는 공기를 잘 끌어들일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혼입 액체가 유로(26)를 전방으로 나가고, 그 선단부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 충돌 부재(28)의 후방면에 충돌한 후, 양측방 유로(72)를 거쳐 분무구(30)를 향한다. 그러면, 그 분무구(30)로부터 소량의 액체가 공기를 포함한 발포 상태가 되어 입자 지름이 큰 안개형상이 되고, 부채꼴 형상으로 분사한다.
대량 살포를 실시할 경우, 조작용 커버(33)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노즐 보디(27a)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 내부에 수용한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의 후방면이 후방부 노즐 보디(27b)의 전방면에서 떨어져서, 공기 도입로(79)를 잘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혼입실(80)의 주위 벽에 설치한 공기 도입 구멍(39), 공기 도입로(79)를 통하는 액 누설을 잘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한 액 가압 송출 호스로부터 1점쇄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액체를 보내면, 유량 규제 분무 부재(29)의 중앙 구멍(45)과 주변 구멍(46)을 통과하여, 대량의 액체가 공기 혼입실(80)에 들어간다. 그러나, 공기 도입로(79)가 닫혀 있으므로, 그 공기 혼입실(80)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는다. 대량의 액체가 유로(26)를 전방으로 나가고, 그 선단부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 충돌 부재(28)의 후방면에 충돌하여, 양측방 유로(72)를 거쳐 분무구(30)를 향한다. 그러면, 그 분무구(30)로부터 대량의 액체가 입자 지름이 큰 안개형상이 되고, 부채꼴 형상으로 분사한다. 그러므로, 필요개소에 대량 살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25)을 사용하면, 조작용 커버(33)를 회전운동시키는 것뿐인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소량 발포 살포와 대량 살포의 전환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초제 등의 액체 살포를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은 소량발포 살포와 대량 살포의 양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사용중 조작용 커버를 손잡이로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전환을 간단히 행할 수 있고,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약액 등의 액체 살포를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조작용 커버와 전방부 노즐 보디의 공기 도입로를 형성하는 내외면의 도중에 단차를 각각 설치하고, 그 단차 부근에 있는 내외면의 일방에 실링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전방부 노즐 보디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대량 살포할 때에, 공기 도입로를 내외면의 단차개소의 맞물림과 그 단차 부근에 설치한 실링 부재에 의해 잘 밀폐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기 혼입실의 주위 벽에 설치한 공기 도입 구멍, 공기 도입로를 통하는 액 누설을 잘 방지할 수 있다.
또,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후방면 또는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면에 링형상 돌출 라인을 설치함으로써, 전방부 노즐 보디를 후방으로 이동하여 소량 발포 살포할 때에,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후방면 또는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면에 설치한 링형상 돌출 라인이 상대면과 맞닿음으로써,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주변 구멍을 잘 밀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중앙 구멍을 통과하는 소량의 액체에 공기를 혼입하여 소량 발포 살포를 잘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내부 공간을 유로로 하고, 그 유로의 선단 부근에 분무구를 구비한 통형상의 노즐 보디와, 그 노즐 보디의 외측을 덮는 통형상의 조작용 커버와, 그 노즐 보디와 연결하여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그 유로를 칸막이하는 스트레이너를 구비하는 호스 접속용 기통과, 그 노즐 보디와 조작용 커버의 양 후단부와 호스 접속용 기통의 전단부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연결용 캡으로 이루어지는 분무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보디를 전후방부의 노즐 보디로 2분할하고, 그 전방부 노즐 보디의 후방부측의 내부 공간을 전방부측의 내부 공간보다 한층 더 확장하고, 그 후방부측의 확장 공간 내에 중앙 구멍과 주변 구멍을 가지는 유량 규제 분무 부재를 설치하여 유로를 칸막이하고, 그 유량 규제 분무 부재보다 전방측의 확장 공간을 주위 벽에 공기 도입 구멍을 설치한 공기 혼입실로 하고, 그 후방측의 확장 공간 내에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부측을 수용하고, 그 전방부 노즐 보디를 일정 범위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하고, 그 조작용 커버의 내면과 전방부 노즐 보디의 외면과의 사이를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기 도입 구멍에 인도하는 공기 도입로로 하고, 그 조작용 커버를 연결용 캡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조작용 커버와 전방부 노즐 보디의 일부의 내외면에 설치한 나사끼리를 나사 결합하고, 사용시에 그 조작용 커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나사를 통하여 전방부 노즐 보디를 후방이동시켜, 조작용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전방부 노즐 보디의 외면을 떼어내서 공기 도입로를 형성하고, 동시에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후방면을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면에 맞닿게 하고, 그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주변 구멍을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면으로 폐쇄하고, 그 중앙 구멍을 통과하는 소량의 액체 중에 공기를 혼입하여 분무하고, 또 조작용 커버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나사를 통하여 전방부 노즐 보디를 전방이동시켜 공기 도입로를 폐쇄하고, 동시에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후방면을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면으로부터 떼어내어, 그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중앙 구멍과 주변 구멍을 통과하는 다량의 액체 중에 공기를 혼입하지 않고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용 커버의 전방부 주위 벽에 공기 흡입용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그 전방부 주위 벽의 내경과 거기에 끼워지는 전방부 노즐 보디의 주위 벽의 외경을 둘 다 작게 하고, 그것 등에 이어지는 후방부측 주위 벽의 내경과 외경을 둘 다 크게 하고, 그 조작용 커버와 전방부 노즐 보디의 공기 도입로를 형성하는 내외면의 도중에 단차를 각각 설치하고, 그 단차 부근에 있는 내외면의 일방에 실링 부재를 설치하고, 또 유량 규제 분무 부재의 후방면의 중앙 구멍과 주변 구멍과의 사이에 중앙 구멍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돌출 라인을 설치하고, 또는 후방부 노즐 보디의 전방면에 그 링형상 돌출 라인과 동일한 링형상 돌출 라인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
KR1020040091701A 2004-05-07 2004-11-11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 KR100572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8018 2004-05-07
JP2004138018A JP2005319365A (ja) 2004-05-07 2004-05-07 少量発泡散布・大量散布切替型噴霧ノズ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282A KR20050107282A (ko) 2005-11-11
KR100572806B1 true KR100572806B1 (ko) 2006-04-24

Family

ID=3546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701A KR100572806B1 (ko) 2004-05-07 2004-11-11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319365A (ko)
KR (1) KR100572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448A (ja) * 2009-07-15 2011-02-03 Central Nippon Expressway Co Ltd のり面用除草剤散布装置
JP5530974B2 (ja) * 2011-05-18 2014-06-25 ヤマホ工業株式会社 空気混入式専用の噴霧ノズル
JP7453688B2 (ja) 2021-09-17 2024-03-21 ヤマホ工業株式会社 噴霧ノズル
JP2023084837A (ja) 2021-12-08 2023-06-20 ヤマホ工業株式会社 噴霧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116B2 (ja) * 1980-10-16 1983-09-24 望月 「たく」夫 流体散布器具
JPS58150455A (ja) * 1982-03-01 1983-09-07 Yoshio Koyama 噴射ノズル
JPH05104034A (ja) * 1991-10-18 1993-04-27 Kenichi Asaba 噴霧ノズル
JPH1176880A (ja) * 1997-09-08 1999-03-23 Koike Kagaku Kk 噴射量調節機能を具えたエアゾール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282A (ko) 2005-11-11
JP2005319365A (ja)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133B2 (en) Cleaning lance
US5850973A (en) Double barrel sprayer for selective spraying of water or diluted product and use thereof
EP0904842A2 (en) Improved air assisted spray system
WO1996037261A9 (en) Double barrel sprayer
KR100364596B1 (ko) 분무기
JP2002306993A (ja) スプレイガン
US8276834B2 (en) Multi-function shower head
US3730437A (en) Ejection device for multiple-product dispensers
US4650119A (en) Air spray gun
EP0063707A1 (en) Plural component spray gun
KR100572806B1 (ko) 소량 발포 살포·대량 살포 전환형 분무 노즐
RU2256473C2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для распылителя, действующего на принципе сжимания емкости
US4132361A (en) Fluid mixing device
KR102431334B1 (ko) 물과 포 겸용 분사건
JP4287164B2 (ja) ノズル用首振りアダプタおよび該アダプタを備えた加湿器
US4976467A (en) Liquid spraying nozzle
KR102210851B1 (ko) 나선형 돌출부를 이용하는 액체 분무기
KR200226431Y1 (ko) 노즐용 건
US5921471A (en) Head for generating and for spraying foam, in particular for a fire extinguisher
CN110860397A (zh) 淋浴喷头装置
CN220590387U (zh) 花洒及淋浴设备
JP2023123597A (ja) シャワーヘッド装置およびシャワーヘッド装置の組立方法
KR102197390B1 (ko) 휴대용 에어브러시용 앰플 탄성 장착구
KR102412969B1 (ko) 구조가 단순한 미세분무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독장치
JP2534592B2 (ja) 2液混合エアアシストスプレ―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